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교육’에 대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영향 분석

        강태중(姜泰重),송혜정(宋慧靜),김진경(金眞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가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한 대학을 사례로 삼아, 입학사정관 전형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사정관전형 집단)을 대상으로, 대입전형에 어떤 전략으로 대응했으며 ‘사교육’에는 어떤 양상으로 참여했는지, 그리고 입학사정관 전형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졌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이때 조사 분석은 입학사정관 전형이 아닌 다른 ‘일반 전형’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비교집단)과 비교하는 양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의 초점은 입학사정관 전형이 직접적으로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지 살피는 데 있었으며, 입학사정관 전형에 대한 입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간접적으로라도 그런 전형이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지도 추론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사교육 의존의 경향을 낳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견을 긍정해주지 않았다. 입학사정관 전형이 사교육 수요를 늘리는 기미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이 없다고 장담하기는 어렵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 전형이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어떤 정책을 고려해야 할지 제안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Korean Admissions Officer(AO) system on three areas of college preparation behaviors, which are related to 1)the college entrance exam(Korean SAT) or GPA, 2)the preparation for application materials such as portfolios and essays, and 3) extracurricular activities. Utilizing the data from a university in Seoul, the study compared two groups of students(those who had gotten admission through the AO track and those who had gotten admission otherwise ) with regard to their strategic behaviors for college admission and conceptions on the AO system. Based on this comparison the possibility that the needs for extra preparation for college admission might be was examined and discussed. More directly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articipation and spending for these extra preparation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the amount of spending for college preparation but differ in the areas of investment. The AO group tended to invest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le the other group in various general preparations including Korean SAT or GPA. Since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college preparation(investment) behavior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AO system would causes more spending for college preparations. If AO system is adopted by m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future and students begin to perceive the system as a major track of college admission, however, the needs for extra preparations would be felt by more students and private spending could increase. On the other hand, more thought needs to be given to the possibility that extra preparation behaviors are not necessary a evil. The behaviors might do educationally desirable functions that would help the students explore their career path in an authentic sense, rather than might cause extra financial burden.

      •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간 종단연구

        류영철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입학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을 비교해 보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대학생활은 학업성적과 교내활동 참여, 장학금 횟수를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연구대상은 C대학교의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입학생중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업성적의 평균변화율은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교내활동 참여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입학생들이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장학금 횟수는 입학사정관제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wly introduced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to compare the new students, admissions officers on the basis of that study to make use of the benefits of screening, the downside is suggesting complementary began in the spirit.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alyz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cholarships. Methods of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study of C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in the academic year 2009 and 2010 school year, students entering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screening randomized to screening was conducted by entrants. Analysi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achiev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dmissions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new students are more actively involved as entrants showed. Finally, the number of scholarships is whether the admissions offic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respectively.

      • KCI등재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Jung-Hui Choi),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입학생들의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업성취도(GPA)와 학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D대학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2020학년도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전형을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수능으로 세분하였으며,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의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평균비교를 통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시 중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이어서 수시 교과전형 입학생의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입학생의 성취도는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전체 평균은 모든 전형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서 수시와 정시 입학생 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시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가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결과, 교과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상승한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학전형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차원의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s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post-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Methods D University,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enrolled in 2020 according to admissions was conducted. Admission screening was subdivided into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school subject, essay writing, and SAT, and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verage GPA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dmission screening. Next,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in 2019 and 2020 according to the admissions proces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admission processes,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which is a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creening for excellent school subjects showed hig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dmitted with excellent essay writing skills was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students with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mean increased in all types. In terms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an overall difference between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occasional admis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based on the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depart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chool subject records, SAT, and essay screening increased, whil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did not chang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longer-term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make a rational judgment on the effects of admissions typ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및 취업 효과 분석

        주영효,전하람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OS) on college life and employment. The AOS was introduced to specialize student selection by individual colleges, normaliz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reduce expenditures of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implified college entrance policy in 2013, the AOS was changed its name to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CSRP). In this context,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outcomes related to college life and employment between students who got an admission through the AOS and other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the 4th to 12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graduates who get an admission through the AOS reported higher degree of the congruence between their current jobs and majors than other graduates. This significant difference confirmed that the AO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matching with major among colleg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outcomes between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reflect individual students’ level and needs, enhancing the systems to support better educational performance amo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및 취업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대학 이념에 맞는 학생 선발 특성화 및 전문화, 초・중등학교교육 정상화,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2013년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 발표 이후부터는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입학사정관 전형 관련 학술 연구는 제도 시행 효과와 사교육 영향 분석, 제도 개선방안, 해외 사례와의 비교, 입학사정관 역할과 역량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반면,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과 졸업 후 취업 성과에 미친 실제적인 효과 분석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4~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원 진학자를 제외한 대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 입학 전형 중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생활과 졸업 후 취업과 관련된 성과에서 다른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종속 변수로는 졸업 평균 학점, 취업 여부, 정규직 여부, 월 평균 임금, 직무-전공 일치도를 고려하였고, OLS 회귀모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분석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대학 관련 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대학 졸업생의 경우 졸업 평균 학점, 취업 여부, 정규직 여부, 평균 임금에서는 다른 학생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무전공 일치도는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대학생의 전공 일치 취업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반면, 학생 수준 및 요구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 개편, 대학생 지도 및 교육 지원 강화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부종합 전형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생 개인의 대학생활 및 취업 성과에 맞춘 정책 효과 분석을 통하여 정부의 정책 기조를 검증하고, 정책의 지속・확대 유무 판단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정책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남궁경현 ( Kyung Hyun Nam Gung ),이승아 ( Seung A Lee ),정다운 ( Da Woon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입학년도별 입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 입학사정관전형 유형별로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의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입학사정관전형은 다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만들었다.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서는 학생부교과유형 입학생의 GPA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모든 계열에서 동일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계열별로 볼 때, 인문, 자연, 예·체능계열에 비해 한의과대학에서 전형유형 간 GPA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전형 내에서는 일반유형과 학생부교과 유형, 학교장추천유형이 GPA가 높았으며, 고른기회유형과 특기자유형이 낮은 GPA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GPA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based on their year of entrance as part of an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 System(AOS), which has been executed extensively since 2009.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system is now possible as the students who had enrolled through the AOS are now graduating, and their GPA can b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GPA of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09 to 2014,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o form the analysis framework, stud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more specific subcategories, six from the Admission type and five from AOS. In the AS category,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consistently across all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rts, and Athletics,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howed the biggest GP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mission system. In the AOS category, the highest GPAs was in the Regular Type, the Grade Type,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Type while Equal Opportunities System and Talented Students System showed the lowest GPA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GPA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his study inspects student adaptability in relation to their attributes, and seek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admission systems planning.

      •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생의 다양성 연구

        임진택 ( Jin Taek Lim ),조민경 ( Min Gyeong Cho ),김효희 ( Hyo He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이 연구는 대학 입학전형별로 입학생의 사회적 배경과 개인 역량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와 역량을 갖춘 학생 선발을 위한 대입전형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등의 의미, 미국의 소수자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과 우리나라의 기회균형 선발제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K대학교 입학생의 대학입학전형별 사회적 배경과 개인 역량을 살펴봄으로써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 관점에서 소득계층별로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이 경제적 약자의 입학 기회가 많고 수능 중심 전형이 입학 기회가 적으며, 지역별로도 학생부종합전형이 수도권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비수도권 학생의 입학 기회가 많고 논술과 실기 중심 전형이 입학 기회가 적고, 고교유형별로도 학생부종합전형이 특목고·자사고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일반고 학생들의 입학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고, 수능과 실기 중심 전형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역량의 다양성`` 관점에서 대학 및 계열별 인재상을 전형의 지원자격에 명확히 명시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해당 모집단위별 특성 인재 선발에 부합한 학생 선발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이 정성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소득·지역·고교 측면에서 학생 구성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대학 및 계열별 인재상에 부합한 학생 선발에 가장 적합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개성과 다양성 있는 인재 선발을 위해 대학은 입학사정관에 의해 학생의 개인 역량을 개별적·종합적으로 살피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속적인 확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cial backgrounds and individual competence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students with diversified values and competences required by our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achieve this, I first reviewed the meaning of equality as wel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ffirmative action policy in US and Korea and made empirical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student compositions by inquiring into their social backgrounds and individual competence by college admissions screening at K Universit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t was discovered that, from the viewpoint of ``diversity of social background``, the economically weaker section had more admission opportunity with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former Admission Officer System) but less so with SAT- centric (Scholastic Aptitude Test) system; in terms of region,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mitigated overemphasi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ave students from out of metropolitan area higher chance for admissions, but less so with essay and practice-centric screening system; in terms of high school types,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 mitigated overemphasis on special purpose and private high schools and gave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higher chance for admissions, but less so with SAT and practice-centric screening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diversity in individual competence``, it was clear that the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System(former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explicitly states specific qualifications by college and departments, was the conforming screening procedure for selection of specific talents.

      • 대학입학전형별 전공/비전공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남궁경현 ( Nam Gung Kyung Hyun ),이승아 ( Lee Seung-a ),정다운 ( Jung Da Wo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전형유형에 따른 계열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별로 2010∼2012학년도 입학생의 전공과 비전공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전공과 비전공 GPA를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인문계열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특기·적성에서는 전공평점이 비전공평점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자연계열의 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수능에서, 비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특기·적성의 전공평점은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한의과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전공평점은 특기·적성에서, 비전공평점은 입학사정관전형에서도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예능계열은 입학사정관, 학생부교과, 논술전형에서 전공과 비전공평점 모두 높은 GPA가 나타났으며, 특기·적성유형은 전공평점이 비전공평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체능계열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전공 과 비전공평점 모두 높은 GPA가 나타난 반면, 특기·적성전형에서 가장 낮은 GPA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공과 비전공 GPA의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Grade Point Average (GPA) based on their admission types. The GPA for major and non-major courses of the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10 to 2012, categorized by admission types, was studied. In the Humanitie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the AOS students showed high GPAs whil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type students showed lower GPAs in their majors than their non-major courses. In the Natural Science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tudents received high GPAs in their major courses, and the Grade type and AOS performed well in their non-major courses. In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overall, whil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type and the AOS students had high GPAs in their major and non-major courses, respectively. In the Arts Department, the AOS, Grade type, and the Essay type students all had high GPAS in both the major and the non-major courses. In the Athletic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AOS type received high GPAs in both the major and the non-major courses.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 가정배경 및 학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이기혜 ( Kihye Yi ),최윤진 ( Yunjin Choi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199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된 이후 다양화, 자율화, 간소화를 지향하며 수차례 대학입학전형개혁이 추진되어 왔으나 사교육 유발, 기득권층을 위한 전형, 입시경쟁교육 심화 등 비판적 여론이 지속되는 현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1-8차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을 정시 일반, 수시 일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구분하고 대학입학전형 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수시 일반전형의 비교에서 성별,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는 수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수능성적과 재학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와 중소도시인 경우, 그리고 사교육비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유의한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 결과,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동아리(임원)경험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 교사영향력은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수능성적과 출신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인 경우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수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에서는 대체로 학교교육경험 관련 변인이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입학전형의 사회적·계층적 함의를 논의하고 입학사정관전형을 계승한 학생부종합전형을 비롯하여 대학입학전형 제도의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1st-8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as performed separately on regular admission, rolling admission, and admission officer system. First, in comparing regular admission to rolling admission, gender, high school record, participation in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award record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on the likelihood of university admission, using rolling admission. When regular admission was used,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or micropolita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associated with likelihood of entrance. Second, when regular admission was compared with admission officer system, high school record,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experience of club officers, award records, teacher`s influ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while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had positive effect on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regular admission. Lastly, when rolling admission was compared to admission officer system, it was proven that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experience were likely to increase possibility of entering university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variables that can distinguish rolling admission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ocial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ways to improv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임진택 ( Jin Teak Lim ),조민경 ( Min Gyeong Cho ),김효희 ( Hyo He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4 입학전형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교우관계, 중도탈락률 등을 통해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입학전형별 입학생 학업성취도에서는 2011∼13학년도 입학생 모두 수시 입학사정관전형, 수시 논술전형, 정시 수능전형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입학전형별 재학생들의 생활적응도 분석 결과에서도 수시 입학사정관전형 재학생들이 타 전형에 비해서 긍정적인 수치를 보여주었다. 입학사정관전형 내 N전형 입학생학업성취도 분석 결과 수능성적이 우수한 그룹이 수능성적이 낮거나 미 응시한 그룹보다 입학 후 학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생 및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생활적응도 결과를 통해서 향후 대학입학전형 방향과 수능 최저학력기준 설정 여부를 위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tness of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experience satisfaction, peer relation, and abandonment rate base on types of admissions. Based on this study,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year 2011-2013, all students resulted in high academic performance in the order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early admission, essay test of the early admission, and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the regular admission. In addi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ose students who were enrolled through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showed positiv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college experience compare to other types of admission. Students with excellent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chieved higher academic grades compare to students with low or non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within the college admission of N in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 The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freshmen and current students suggest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whethe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llege admissions and the minimum scholastic standard of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대졸자의 전공만족도 분석

        안영은,김승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creening in college admission and major satisfaction. Admission Officer System(AOS) and Regular admission which differ from the operating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analyzed in comparis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used 5,963 cases of『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 The data was analyzed with chi-square verification, Ordinally Least Squares(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for the estim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AOS were assessed on various factors, and there tended to choose their major considering their interest in majors rather than test scores. Second, graduates with AO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major satisfaction in comparison to graduates with regular Admission. Third, the influence of the OLS on both male and fem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ed the control variables, the basis for the selection of majors(interests/grades) and the school type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OS has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compared to regular admiss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students who consider not only their grades but also their interests and aptitude in major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adaptation to majors and career development.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과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운영 주체와 전형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정시 일반전형과 입학사정관 전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조사(GOMS) 2015』의 자료를 활용하여 경향점수매칭법(PSM)으로 입학사정관전형 학생과 정시전형 학생 간 사전 동등성을 확보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전공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 입시요소와 전공선택요인 분석에서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들은 정시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하여 더 다양한 요소에 의해 평가받는다고 인지하였다. 전공 선택 요인은 시험 성적보다는 전공에 대한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둘째,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시전형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전공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성별 집단에 따라 추가 분석하였을 때 남녀 집단 모두 입학사정관제의 영향력은 유의하였으며, 통제변수 중 전공 선택 근거(흥미적성/성적), 학교유형 변수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정시 일반전형 대비 졸업자의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며, 입학 전형 방법에 따라 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 선발 과정에서 성적뿐만 아니라 전공에 대한 흥미와 적성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될 때, 대학 입학 후 학생의 학과 적응 및 진로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