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해외 주요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지연(Ji-Yeon Lee),권효원(Hyo-won K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진로교육의 4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노르웨이·스웨덴·영국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지향가치(철학),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4대 핵심영역이란 ①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진로교육·진로지도 콘텐츠, ② 진로담당인력의 전문성·역량 함양, ③ 진로교육 전달방식, ④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지원하는 진로교육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역별 해외사례의 정책과 실제를 분석하여 각 영역을 아우르며 관통하는 지향가치(철학) 12개를 추출하고 우리나라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가치(철학) 7개를 선별하고 4대 영역별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하여 지향가치(철학)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은 전문가 FGI 및 온라인 설문조사, 콜로키움 및 국내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4대 핵심 영역별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들은 전통적인 초·중등단계 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으로부터 혁신적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패 가능성을 조기에 예방하는 전제조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진로교육의 혁신이 단순한 내부적 변화뿐 아니라 다양한 부처와의 협업과 진로개발 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 등과 같이 진로교육의 외부 환경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모든 국민의 생애 진로개발을 지원하는 확장된 진로교육의 순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관점과 모든 교육(훈련)·고용·평생학습의 중심에 진로교육의 철학이 반영되어야 하는 진로교육 본위론(本位論的) 철학의 공감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uch innovative models by finding best practices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hrough reviewing overseas cases that can be adapted for career-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Not only will this help prevent failures of future career development policies but also present in-depth recommendations for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four particular areas: 1) School curricula and contents, 2)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3) Delivery methods, 4) Career education for disadvantaged groups. Furthermore, we consider values (i.e. philosophies) extrapol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that were discussed via meetings, in-depth interviews, FGIs, colloquiums, and a seminar with career education experts. Finally, the results were further validated by an online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political agenda reflecting those values. The core valu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most significant and necessary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turned out national obligation, compulsory curriculum, professionalization(expertise), collaboration & cooperation, social integration, accessibility, and endogenous principles of caree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re values (philosophies) are found to be serving as the primary direction for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over the entire lifespan and lay the foundation for key strategies that shall be put forward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교 교사의 진로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나라,정진철,최수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stantial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of three teachers. Overall career education narratives a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were explor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the difficulties in career education, and exemplary practices were presented in the career education narrative section. Four topics were analyzed i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section: 1)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2)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in subjects-integr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3) the importance of class teachers as a person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and 4) the trinity of parents, students, and teachers in career education. The conclusions and the implications to career education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이 연구는 전문계 고교 교사 세 명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실질적인 진로교육 경험을 탐구하였다. 크게 전문계 고교 교사의 진로교육 전반에 걸친 내러티브와 진로교육 경험 분석으로 논의를 이끌어갔다. 진로교육 내러티브에서는 전문계 고교에서 진로교육의 필요성, 진로교육의 어려움, 진로교육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에서는 교사들의 내러티브 중에서 전문계 고교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부분을 중학교 단계 진로교육의 중요성, 교과통합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진로교육의 효과성, 진로교육 담당인력으로서 담임교사의 중요성, 학부모-학생-교사의 삼위일체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사교육을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허선주(Hur, Sun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형태를 학교교육과 사교육으로 구분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고등학생용)’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특성, 재학 중인 학교의 규모와 소재지가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진로교육에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에서 제공되는 진로교육에 추가로 외부 기관을 활용하여 진로사교육에 참여하면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사교육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cusing on school education sector and private education s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KRIVET’s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nel in 2019(for high school students) was us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gender, school size, location of school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regardless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Secondly,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in school education sector. Thirdly,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o school career education enhances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Lastly, in private education sector also,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사범계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와 진로별 교과교육과정

        김철주,고병철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epartment of education’s career problems, cause of career problems, demands of academic circles for field of career and find way to suggest solutions for career problem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feasible way to overcome unclear situation of career path of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students.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the origins of career problems that originated from the October, 1983 act. Securing diverse career rel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zation of curriculum was pointed out as demands from academic circles for the career field. The problems of career guidance from the department of education were the followings; improper career guidance for acquiring certification, limited scope of obtaining certification such as teacher, life-long educator and counselor and not enough guidance for uncertified career path. We suggested six following solutions for the career problems for department of education; 1. for the certification related case, needs of presenting concrete road-map for career path and developing field related program was proposed (this is for life-long educator and counselor course), use of double major or linked major (for teaching certification course), and needs of expanding scope of certification acquisition. 2. for the non-certified case, diver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ach career path and needs of feedback system was introduced. 3. in case that formal curriculum can not take the career field, activation of extra curriculum program was suggested. 4. needs of road-map for each career path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extra curriculum program. 5. sharing career guidance curriculum and road-map information. 6. creating department based community culture for career development was proposed. As the unclear situation of continues for education major students’ career path, guiding diverse career field, providing curriculum for each career path and road-map will be necessary.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for creating community culture for searching career.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for contribution of the education major students’ career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과의 당면 과제 가운데 진로 문제에 주목해 진로 문제가 발생한 역사적 계기, 진로 분야에 대한 학계의 요구, 진로 안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진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몇 가지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사범계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 방향이 구체적이지 않은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가 발생한 계기로 83년 10월 조치를 지적하였다. 진로 분야에 대한 학계의 요구로는 주로 진로 교육과정의 다양성 확보와 특성화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육학과 진로 안내의 문제점으로 자격증 취득 관련 진로 안내가 불충분하고, 자격증 취득 범위가 교사․평생교육사․전문상담교사에 국한되어 있고, 자격증이 없는 진로의 교과교육과정을 제시한 경우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진로 문제의 해소 방향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격증이 있는 경우, 로드맵의 제시와 현장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평생교육사나 전문상담교사의 경우), 복수전공제나 연계전공제의 적극적 활용(교사의 경우), 자격증 취득 범위의 확대 필요성이다. 둘째, 자격증이 없는 경우, 진로별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특성화와 피드백 시스템의 필요성이다. 셋째, 교과교육과정에 진로 분야를 담을 수 없는 경우, 진로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이다. 넷째, 진로별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로드맵의 필요성이다. 다섯째, 진로 교육과정과 로드맵의 정보의 공유이다. 정보 공유 시점으로는 2학년 전후 학기가 적절하다고 지적하였다. 여섯째, 진로 개척을 위한 공동체 문화의 조성이다. 앞으로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가 불투명한 상황이 지속될수록 학과 차원에서 다양한 진로 분야를 안내하고, 주요 진로별 교육과정과 로드맵의 마련해 학생과 공유하고, 나아가 진로 탐색을 위한 공동체 문화를 조성해야 하는 상황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가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진로와 직업」교육과정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박정(Jung Park),김진혁(Jinhyuk Kim),조완섭(Wansup Cho),이종범(Jongbum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6차∼2015 개정 고등학교「진로와 직업」교육과정의 변화 동향을 계량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각 시기별 교육과정의 핵심 키워드 분석과 중심성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진로와 직업」교육과정 핵심 키워드 분석을 통해 ‘진로’, ‘직업’, ‘자신’, ‘이해’, ‘탐색’, ‘다양’, ‘역량’이 교과의 중심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심성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각 시기별 「진로와 직업」교육과정의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진로와 직업」교육과정은 제1기 ‘산업 발전에 따른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준비하기 위한 진로교육기’, 제2기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특성에 관련된 진로를 탐색하기 위한 진로교육기’, 제3기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진로교육기’로 변화하여 왔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추후 텍스트 마이닝 분석방법을 적용한 교육과정 연구와 교육과정 원문 분석의 효율적 알고리즘 연구가 필요하며, 중학교「진로와 직업」교육과 정 원문을 포함한 교육과정 분석 연구를 통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성격을 보다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6th to 2015 revised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 curriculum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R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f each curriculu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vocational”, “self”, “understanding”, “exploration”, “diversity”, “competency” are central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keywords in th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features by time of curriculum appeared through centrality and network analysis. Third, history of Career and Vocation curriculum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focusing on the preparation of the world of work based on industrial development), the second period(emphasis on self-understanding for career exploration), the third period(approach to build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on curriculum which applied text mining analysis metho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 of school career education through various studies o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경험 분석

        김나라,이현민,이윤진,정윤경,조연수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teach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s teaching plans. and We interviewed 8 high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ory and procedure of Strauss & Corbin (1994). As a result of the study, 62 concepts of open coding, 38 subcategories, and 18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e paradigm component, the central phenomenon is that the subject teacher runs the curriculum - linked career education class. Causal conditions are teachers’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Contextual conditions appeared to be the development of class environment, class consent, school cooperation. And we conducte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interaction strategie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First, Linkage between curriculum goals and career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Use of records and evaluations in student life records, Third, Diffusion of best practices, Forth,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연계 진로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4)의 이론과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개방코딩 결과 62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구성 요소 결과로서 중심 현상은 교과 담당교사가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다. 맥락적 조건은 기존 수업 환경에서 운영 가능, 적절한 수업 시기 고려, 긍정적 수업 동의, 긍정적 학교 협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진로교육 전문성 부족 인식, 내용 및 방법적 연계에 대한 고민 속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교과와 진로교육 간 연계 내용 및 비중의 적절성 고민, 수업의 방향성 설정의 어려움, 수업내용의 구체성 설정에 대한 요구, 적절한 수업시간의 안배가 있었다. 중재적 조건은 새로운 교수학습자료의 생성 및 활용, 진로교육전문가 컨설팅, 전문지식 가진 교과교사의 도움이 있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교과연계 방법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연구, 학생의 사전과제 수행 정도, 학생의 적극적 참여가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서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자신감, 교과연계 진로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목표 달성, 교과연계 수업 확대의지로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수업운영과 학생들의 진로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진로교육 성취기준과의 연계, 학생생활기록부에서의 기록 및 평가 활용,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진로전담교사와 교과교사간의 긴밀한 협업을 위한 환경 제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적용 방안 연구

        김나라,이지연,정윤경,최수정,방재현,최지원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rish Transition Year and develop Korean version of Transition Year with administrative system. To accomplish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 and advisory committee were introduced. Based on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Korean version of Transition Year can be introduced to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be operated as a one-year cyler of one-semester cycle. Second, the six fundamental directions can be suggested: domestications and diversity of school curriculum, students’s career oriented curriculum, operating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needs, operating career education oriented curriculum, making career education level, operating various learning techniques, operating integrated curriculum, operating work experienced oriented curriculum. Third, the Korean version of Transition Year for middle school can be operated for helping students to explore and ready for their career based on the activities which focused on the alignment of school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Fourth, the Korean version of Transition Year for high school can be operated for helping students to reflect and explore their life and career based on various and wide learning experience. Fifth, administrative systems for Korean version of Transition Year can be operated based on credit system, non-graded system, block time system, career education oriented curriculum, cooperative articulation for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companies for career education, foundation of legislative system. 이 연구의 목적은 아일랜드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의 체제와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형 진로탐색학년제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원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아일랜드 전환학년 체제와 특징, 사례를 분석하였고, 아일랜드 방문 인터뷰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한국형 진로탐색학년제 운영 모형과 지원 체제를 개발하였다. 한국형 진로탐색학년제는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할 것이고, 1년 또는 1학기제로 운영할 수 있다. 단위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다양화 강조, 학생의 진로중심 교육과정 실현, 학생 진로요구에 적합한 진로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기본․교양․진로특성화 과목의 교육과정운영, 진로개발 수준별 수업 및 보충심화과정 운영,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새로운 무시험 평가체제 구축, 교과통합진로교육운영, 방과 후 및 방학 중 직장(일터) 체험 강조 등의 6가지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중학교 진로탐색학년제는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을 연계한 체험 중심의 활동을 통하여 중학교 이후 진로에 대한 탐색과 준비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등학교 진로탐색학년제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삶과 진로를 더욱 의미 있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안에서 다양하고 포괄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형 진로탐색학년제 운영 지원 체제로 학점제 및 무학년제, 블록타임제 등의 새로운 전환 시도, 학생의 ‘진로’ 중심 학교 운영 체제, 학생의 진로 중심의 상호협력적인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교사․학생․학부모․산업체의 참여와 소통 확대, 법적 근거에 기초한 한국형 진로탐색 학년제 운영을 전제로 하였다.

      • KCI등재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개발

        정철영,임정훈,김태환,임한려,임소현,이영광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anders(1980)의 4단계 모형을 기반으로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개념화, 모형 구축, 타당성 검증 과정을 통해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념화를 위하여 진로교육의 개념 및 목표, 성과평가의 개념 및 성과평가모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은 과정요인과 성과평가요인이 포함되고, 수준에 있어서는 개인 수준과 지역 및 국가 수준의 성과평가 준거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개념적 모형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진로교육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개념 및 내용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은 그간 개별 연구자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진로교육 활동의 효과성 분석과 산출 중심의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통합 및 발전시킴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마지막에는 진로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및 이 모형의 활용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nceptual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conceptualization, construction, and validity test of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four-step model of Randers(1980). For conceptualization,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objectives of career education, the concept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found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could consist of the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model including process factor and performance factor, the performance criteria of career education at individual level and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 Finally, we developed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ceptual model, three experts in career education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concept and contents. We expect that the conceptual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systemic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about some point of the conceptual model and proposed the themes further research needed.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정철영(Chul-young Jy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남중수(Jungsoo Nam),정지은(Jieun Jeong),임소현(So Hyun 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운영 중인 강좌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교원 양성기관에서 진로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은 ① 초·중등 진로교육 및 초․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②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영역 도출, ③ 초·중등 교원 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강좌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④ 교원 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도출로, 관련 문헌 분석 및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강좌 강의계획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개념, 초등학교의 진로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등의 내용을 다루고 실제로 모의수업을 통해 경험해 보는 강의가 필요하다. 또한, 초등 진로교육 단계의 진로교육 목표 중 중요한 부분의 하나가 긍정적인 직업관 형성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그에 대한 내용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는 교직이수 및 대학원 등의 과정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는 사범대학 내에서도 교원의 진로교육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예비교사의 진로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가 필수로 이수하는 교육과정 내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운영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며, 현재 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및 보완을 위해 표준화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ourses operated in relation to career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and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econd, to derive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content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ird to analyze 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 fourth,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eacher"s education related to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literature and syllabus of lectur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pera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mostly include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career theory and self-understanding area. However, understanding of changing gender role, attitudes for occupation and the formation of habits need to be more important. Second, in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t needs to more cover the contents of school career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tandardized contents of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th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 지각에 의한 학교관리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과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관계에서 진로교육 지원의 매개효과

        형찬주(Chan-Ju, Hyeong),박주호(Joo-Ho, Park)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로교육에서 학교관리자(교장 및 교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과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서 진로교육 지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실시한 <2020 진로교육 현황조사>에 참여한 진로전담교사 40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선, 학교관리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은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진로교육 지원 정도에도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변인 통제 하에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지원이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가진다는 사실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Sobel Test 와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은 진로교육 지원을 통해서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완전 매개효과)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에서 학교관리자가 진로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교사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수록, 진로전담교사들은 원활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In this current study, we used the data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2020’ which is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0 career teachers of high schoo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career educa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Second,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career educ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Finally, based on the Sobel Test, this study showed that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plays a complete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icates that the more school administrators put importance into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it, the better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is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