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 조사

        정지수,이경선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recognition, terminal care stress,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other influencing fa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terminal care hospital nurses. Two hundred forty nurses working in 11 hospitals for the elderly located in G, N, C city were surveye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ree questionnaires: one on death recognition, one on terminal care stress, and a final one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AS 9.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rses' own mental and occupational stress was the cause of many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of end-of-life care, where the nurse will often experience the death patients, which results in increased dysentery stres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recognition and terminal care stress were correlated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er the clinical experience, the higher the qualit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rminal care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longevity of the careers career and their death tendency. Further to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o reduce stress and to evaluate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care of the patient.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를 파악하 고 이를 기반으로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라 남도 3개 도시에 위치한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수행하였으며,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ver. 을 사용하였다. 간호사 자신의 정신적, 업무적 스트레스가 임종간호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간호사는 임종환 자를 자주 경험하면서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상경력 이었다. 요양병원간호 사의 임상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임종간호수행도가 높았으므로 임상경력을 고려한 임종간호수행이 이루어져야 하 며,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 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수행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우영화,김경희,김기숙,Woo, Young Wha,Kim, Kyung Hee,Kim, Ki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1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간호현장에서 임종간호수행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종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의 차이는 근무부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및 호스피스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임종간호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호스피스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rse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ffect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the clinical setting. Methods: The study enrolled 180 registered nurses with experience of attending dying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8.0 for Windows. Results: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s well as terminal care performance by working division,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spice train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fforts to ease nurse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could improve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other factors that affect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develop a terminal care manual which can be used as guidance for nurses in charge of terminal patient care.

      • KCI등재후보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90 nurses. Instrument included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death attitude, burnout,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In addit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burnout.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 death attitude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32.7%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rminal Care.

      • KCI등재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김정희,이현경,Kim, Jung Hee,Lee, Hyeonkye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4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nurses who attend dying patients in the cancer care unit;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end-of-life care and related training need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51 nurses stationed at the cancer care units of fou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the response rate was 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Nurse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stress in the end-of-life care settings. Their understanding of end-of-life care was above the mid-point of the scale while their training needs for end-of-life care was relatively high. The more experienced the nurses were, the more stressed they were, particularly due to excessive workload. Nurses who served longer in the cancer unit tended to show greater needs for end-of-life care training. Conclusion: This study found nurses perform end-of-life care with a high level of stress but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thus, showed great needs for related training. Such findings can be useful to develop an end-of-life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순일,유혜숙,Ji, Soon Il,You, Hye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G 광역시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근무하는 2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태도, 영적건강, 결혼유무, 총 임상경력 순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5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임종간호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affect their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 filled by 238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G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spiritual health, marital status, and clinical experience largely affect their terminal care stres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y scored on terminal care attitudes, the lower they scored on terminal care stres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2.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erminal car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erminal care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s and spiritual health, which in turn would lower their terminal care stress or help them effectively cope with it.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영희,전경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Methods: For this study, 140 nurses were sampled among those that have over 6-month end of life care experience and were working at long 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A city and C city of Chungcheongnam-do. Using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8 through March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version 21.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Sché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 on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was above the normal level. The scores on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significantly varied by age, total career at hospitals, death/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and bereavement experience. The mean score of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score of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among the sub-items of the terminal care stress category (r=–0.260, P=0.002). Conclusion: To decrease the terminal care stress of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it is suggested to carry out end of life care education tailored to nurses’ characteristics. 목적: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서비스의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 A시, C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6개월이상 경력의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는 2018년 1월 17일부터 3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One way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5점 척도의 평균3.54±0.46점이며 임종간호스트레스는 평균 3.77±0.50점으로 보통수준 이상이었다. 연령, 총임상경력, 죽음교육 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직계가족의 임종경험 여부에 따라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에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평균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않았으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임종간호 스트레스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60, P=0.002).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으며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이 높을수록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므로 간호사의 특성에 맞춘 생애말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임희영,윤미진,권영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examines the level of terminal care nursing care and the effects on terminal nurs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beliefs of nurses in the nursing geriaic hospital.. The subjects consisted of 442 nurse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that used SPSS WIN 22.0, and AMOS 5.0 statistical program was hypothetical model and path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terminal car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was statininificant to the terminal care stress, fatigue and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and the higher the internal control belief, the less stress of the terminal care and the higher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rs a more terminal care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hospital nurses who develop strategic programs and terminal care nursing will need to provide quality nursing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 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원순,조헌하,권수혜,Kim, Won Soon,Cho, Hun Ha,Kwon, Suhy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 among geriatric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 nurses'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mpleted by 212 geriatric hospital nurses working in 10 hospitals in K city and B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factors were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 predictors for terminal care stress were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the heavier the stress was.) These factors explained 32.5%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str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an important factor of terminal care stress for geriatric nurses. Therefore,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to reduce their terminal care stress.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

        전민기,권명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임종간호수행 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간호사 200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면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8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 식, 사전의사결정 태도,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종간호수 행과 죽음인식(r=.22, p =.002), 임종간호수행과 사전의사결정 태도(r=.20, p =.004)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추가한 MODEL2에서 연령, 사전의사결정 태도, 죽음인식이 유의한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 력은 10.4%이었다(F=3.90, p <.001). 호스피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of nurses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have an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nurses working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9 to September 30, 2021, using two methods: written questionnaire and internet survey.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death awareness (r=.22, p =.002),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r=.20, p =.004).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increased,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reased, and end-of-life care stress did not appear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hospice nurses' ability to provide end-of-life car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fluencing factors is required.

      • KCI등재

        요양병원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귀연,최소영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dilemma, end-of-life care stress and burnout of the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descriptive correlation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The subjects of study were 143 nurses who are working in the seven long-term-care hospitals in G-do and had more than one experience of end-of-life nursing care, understood the research item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 this study, it was founded that end-of-life care stress, age, job position, and end-of-life care education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the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s a result, age and occupation, end - of - life nursing education, and end - of - life stres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nurses' burnou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alleviate burnout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 that manages stress related to end-of-life nursing care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와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7개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임종간호 경험이 한 번 이상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과 직위, 임종간호교육,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관련 교육과 함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