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체 요구분석을 통한 신산업 융합기술교육의 방향

        진성희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operated by many engineering colleges, is mainly led by government-led projects. Convergence majors ar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rather than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related to new industry fields by analyzing industry needs. Participants were 299 industrial workers in various fields.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from industry perspective, and opinions about undergraduate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industry needs for fusion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IoT convergence, bio-health, advanced new material, and renewable energy fields among convergence technology fiel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ndustry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suggestions for expectations,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undergraduate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공과계열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융합교육은 대체로 정부주도의 사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해당 대학의 소속 교수진 전공 및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개설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신산업 분야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산업체에 근무하는 299명의 산업체 종사자들이다. 수요조사도구는 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 산업체 관점에서의 융합신기술교육에 대한 요구, 학부융합교육에 대한 의견으로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필요성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기술분야 중 IoT 융합분야, 바이오헬스, 첨단신소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산업체 분야별 융합신기술교육에 대한 요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부융합교육에 대한 기대, 문제,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이 제안되었고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중심 융합교육에 관한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6 No.46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questioning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Currently,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ir existing core liberal arts courses and creating convergence courses. Convergence is a phenomenon in which two or more existing academic bodies are combined to create novel value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covers diverse cultural arts, is also a major area of change. STEAM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used as integrated education, is actively utiliz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it is not yet recognized in college education. While STEAM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utilized within the limited influence of one teacher,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requires new and more specialized teaching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I proposed my convergence education in (cooperative lecture) course that opened in 2018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 convergence courses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higa and Music> course is a converged subject that combines music and poetry. Music, song and dance were originally a single entity and did not exist independently. The trinity of song, music, dance (Also known as ‘Ak-ka-mu’, which means musical instrument, song, and dance) is the derivative form of ancient art. As time goes by, the ancient integrated art ‘Akkamu’ divided and developed into dance, play (which derived from motion), music (derived from sound) and poem (which derived from song). Therefore, this course tries to comprehend the fundamentals of Shiga (which is the combined form of poetry and song). Furthermore, by discussing how change and convergence of music and song is related, this course gave opportunities, to develop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poetry and music. <Shiga and Music>, the convergence course opened as the form of combined lecture. The combined lecture operated with two or more professors lecturing together on the same topic, at the same time, but in different perspectives. That is, <Shiga and Music>, the encounter between classical music and classical literature, i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classical arts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Human-based convergence education, such as <Shiga and Music> is a convergence education that reflects current social demand. This could be an example of the type of education currently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course, convergence of Korean literature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Korean music, especially music history and its background. However, throughout the class, there were things to be supplemented such as music listening, discussion, history knowledge transfer, content discussion. Nonetheless,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art, philosophy, history, and dance, and it was shown that they have lots of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n area that contains many elements such as language,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dance, art, and theater. These characteristics can mak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main of convergence education. If combined lectures are opened in a multifaceted way,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more choices in a broadened are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실제 필자가 교육현장에서 수행하는 있는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대학교육은 현재 기존 핵심교양과목을 확대하고 융복합 과목을 신설하는 추세이다. 융복합이란 “기존의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학문적 지식과 기술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롭고 독특한 가치를 창출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문화예술을 함축하고 있는 국악교육 역시 변화의 주요한 영역이다. 하지만 현재 시행하고 있는 통합교육인 STEAM 교육은 초중등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고등교육에서는 아직 파악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한 교사에 의한 제한된 영향안에서 STEAM 교육이 초중등교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된 반면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은 보다 전문화된 새로운 교수법이 제안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2018년 설강된 필자의 융합교육(연합강의)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대학교양교육의 융합과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 본 <시가와 음악>교과목은 음악과 시가가 융합된 연합과목이다. 노래와 음악은 독립된 양식으로서가 아니라 무용과 함께 미분화 상태로 있었다. 노래·음악·무용(악가무)의 삼위일체, 그러한 미분화상태가 고대예술의 원천이다. 그리하여 악·가·무 원시종합예술은 분화, 발전하여 몸짓은 무용과 연극으로, 소리는 음악으로, 노래는 시로 나타났다. 이에 시가를 음악과 노래의 통합적 사고로서 좀 더 본질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음악과와 노래의 변화와 융합이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시와 음악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2. <시가와 음악>의 융합과목은 연합강의로 개설되었다. 연합강의란 두 명 이상의 교수가 하나의 본질을 동시에 고민하며 같은 시간에 같은 강의실에서 동일한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교습하는 형태를 띠면서 기초적인 융합역량을 극대화 시키는 형식의 강의이다. 즉 고전음악과 고전문학의 만남인 <시가와 음악>은 고전예술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내는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가와 음악>과 같은 인문기반융합은 현 사회 수요를 반영하는 융합교육으로 현 시대에서 요구되는 교육 형태의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교과를 수행한 결과 수강생들은 국악을 이해하는데 국문학의 융합은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음악의 역사 및 배경 그로 인한 콘텐츠 구상을 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전반에 음악 감상, 토론, 역사, 지식전달, 콘텐츠 논의 등 보완해야 할 점이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 철학, 역사, 무용, 등 인접 학문과의 융합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으며 융합과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은 언어, 역사, 철학, 문학, 무용, 미술, 연극 등 통합적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 영역이므로 이러한 특징은 국악을 융합교육의 중심에 두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게 한다. 다방면으로 연합된 강의가 설강된다면, 국악교육에 있어 보다 확대된 형태의 영역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김병만,윤정진,김성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lip learning based interdisciplinary fusion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using movie is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creativity and fusion talent literacy. To do this, we conducted a total of 15 sessions for a total of 89 students from 44 college students and 45 non - attendance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the "Creative Fusion Creative Encounters with Film" course at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ip learning based interdisciplinary fusion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movie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patience / attachment, humor, self - confidence, imagination, openness, independence, and curiosity in the creativity sub - domain of college students. Second, flip learning - bas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using mov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convergence, care,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in the sub - areas of university students' literacy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interdisciplinary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that was based on movie-assisted flipped learning,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education-bas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on that.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융합인재소양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의 ‘영화로 만나는 창의적 융합’ 교양강좌에 수강한 대학생 44명과 비수강 대학생 45명 총 89명을 대상으로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으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창의성 하위영역에서 인내/집착, 유머감, 자기확신, 상상, 개방성, 독립성, 호기심의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창의성 전체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융합인재소양의 하위영역에서 융합, 배려, 소통, 창의의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융합인재소양 전체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학을 기반으로 한 융합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방향설정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국가기술전략 관점에서의 기초 융합 연구개발(R&D) 기획 선진화 방안 연구 : EU, 일본, 미국사례 분석 기반

        안연식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 기초융합 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략 적 측면에서의 기획 과정을 선진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기술융합 연구의 출현과 해외동향에서는 기술융합 연구의 동향과 기초융합 연구의 중요성이 제시되었으며, 유럽연합 (EU), 미국, 그리고 일본 등 선진국에서의 융합연구 사례를 분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제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중점을 두는 영역을 다루었다. 통상적으로 기획과정은 연구개발 목표 및 방향의 설정, 조직의 핵심 역량 평가 및 측정, 기술 수요조사, 기획과제의 도출, 산업 및 특허표준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과제 기획 수행, 기획 과제의 심의 그리고 신 규지원 대상과제 및 예산(안)을 확정하는 연구개발 과제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데 핵심 프로세스를 포 함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의 기초 융합연구는 초기단계에 있으며 타분야에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국가 기술 전략적 위치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기술융합연구 현황과 한계를 논의한 이후, 특히 융합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과 제의 도출 및 선정평가 등을 다루는 기획과정에서의 프로세스의 전략화 및 인프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제안내용은 전략적 융합 연구개발 영역 선점과 과제 기획 과정 및 발굴 평가 방식의 개선을 위주로 하는 융합연구 관련 정책 프레임워크 구축 및 관리가 있으며, 연구 관련 조직, 연 구 기반, 그리고 학문 및 학제 기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융합연구 인프라의 개선으로 요약할 수 있 다. 마지막으로 토의 및 결론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기초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획과정의 선진화 방 안이 정리되었는데, 이러한 연구결과가 관련 정책 수립이나 검토에 참고가 되고,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 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dvanced strategy for planning stage of basic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side. At first,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t the developed country for example EU, US and Japan. In these leading countries, we can find that their various efforts are focusing to enlarge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nd to set themselves the leading and positioning commitment of global society. In this study, the achieved status and limit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is described, and then the advanced planning process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reconstruction are suggested for maximization for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ontains the key process which decides on the success or fail of them such as, strategic goal and direction setting of R&D, key competenc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organizations, investigation of technical demand, searching and induc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the initial planning including the industry and patent analysis, project screening, and, project decision and budgeting. Also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technology convergence is important which stage is sprouting phase globally and influence effects on the industry and application areas can be propagated on the various territories. The major suggestion items of policy framework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re the preemption of the strategic convergence research areas and the enhancement for planning and searching/evaluation of research program. And these of convergence research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consisted of research organization, research basement, and 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At the conclusion, these suggestions was summarized and discussed with expecting to adopt these results for policy making and consecutive study.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의 원류, 변천 및 그 정체성의 탐색

        강갑원(Kab Won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에서 실시하고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의 ‘융합’이 교육 상황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융합인재교육(STEAM)이 대두된 원류와 발생 배경이 무엇이고,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그 정체성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은 당초에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둘 이상의 학문을 섭렵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일종의 수학, 과학, 기술, 공학 등과 같은 국가 경쟁력과 관련이 있는 이공? 자연계 교과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일종의 통합 교육이다. 통합의 이유는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이고 융합 소양을 높이는 데에 있었다. 융합 소양으로는 창의성, 문제 해결력, 종합적 사고력 등을 강조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의 원류는 가장 가까이는 20세 기 초반 풍미한 진보주의의 생활중심 교육이며, 융합인재교육은 STS(수학, 기술, 사 회) 형태에서 MST(수학, 과학, 기술),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거쳐 최종적으 로 STEAM(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로 변천하여 왔다. 융합인재교육에서의 융합 소양은 창의성이나 발명 이상의 넓은 개념이지만 이 두 소양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이 창의성이나 발명 교육과 차별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해결책의 구안 과정인 창의적 설계 과정과 제작을 강조하는 일이다. 이것이 강조되지 않으면 일반적 교과 교육과 통합교육 또는 창의성 및 발명 교육과 그 정체성이 명확히 구분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융합인재교육의 유형은 연계형, 통합형, 융합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융합형이 융합인재교육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접근으로 보인다.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at does the ‘integration’ means in the STEAM education which have been used in Korea and America, what is the social or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STEAM in America, how does the STEAM education made a transition, and what is the identity of STREAM education. STEAM education is not education for those who are excellent in the more than two academy areas but a kind of integration education for those who are ordinary students to attend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among science, mathematics, technology, engineering more than two subjects are integrated or correlated to teach. The reason of integration is to uplift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tudent's convergence literacy. There many convergence literacy but important literacy are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so on. The origin of integrative STEAM may be American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20th century. STEAM education began with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at first in 1980th and thereafter MST(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were follow in sequence. The purpose of the STEAM education is as the same with creativity education and invention education in part. The best way to differentiate STEAM from creativity education and invention education is to focus on creative design process and manufacturing in STEAM educ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STEAM education which are type of connecting, integration, and fusion. The best type of STEAM education to reflect the identity of STEAM well is fusion type.

      • 정책의 융합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이혜진(Hey-jin Lee),조성민(Sung-min Cho),장희영(Hee-young Jang),박영수(Young Soo Park),문아향(A Hyang Mu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융합혁명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융합’이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부각되면서 우리나라 정부도 이에 맞춰 다양한 부처 및 산업이 상호 연계된 정책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법·규제는 물론 국내·외 시장환경 등 다각적 측면에서 효율적 상호 연계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정책평가와 다르게 정책이 융합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정책의 성과창출을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을 사전 탐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책 목표의 달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융합 저해 요인을 사전에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정책의 융합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융합저해요소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의 주요내용과 방향에 대한 정의, 둘째 다양한 환경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정책과 관련된 환경분석, 셋째 정책을 요소별로 분석하고 정책의 목적에 따라 정책요소에 대한 가중치 부여, 넷째 융합성평가 단계는 세 번째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정책요소별로 평가영역·지표 optimizing과 평가지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융합성을 평가, 마지막으로 융합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 저해요인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원활한 정책의 운용 및 목표 달성을 위한 관련 제도 정비 및 추가 정책 발굴을 지원하며, 융합정책의 효율적 운영 및 성과 극대화를 저해하는 규제, 상충적 요인, 중복된 정책·제도 발굴 등을 통해 ‘융합’을 촉진하여 융합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융합시대의 학습 생태와 융합 교육

        박인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corresponding to it. In particular, it is to discuss the value and ut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prepare preparations and alternatives for convergence education. Cultural convergence is a concept called for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vergence paradigm of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such as AI,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s affecting society and culture and calling for big changes in education. This paper explains an element that creates cultural convergence. Its communication of value, communic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communication of language meaning(semantic language), communication of art and communication of media. We looked at how they work in cultural convergence and how they are affected by cultural converge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the process of cultural convergence from daily cultural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self-directedness toward the experience and the desire to synthesize the experience approached cultural convergence.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the two directions of education are emphasized. One is to consider the power of language’s convergence more importantly. The other is to help the ecology of cultural convergence and the learner’s learning ecology to respond.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velop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the total language experiences experienced by learners must be linked to cultural experiences.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convergence of experience should be utilized to make meaningful us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논문은 문화융합시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호응하는 교육의 방향을 탐구하기 위한 글이다. 특히 융합 교육의 가치와 효용을 논하고, 융합 교육을 향한 준비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글이다. 문화융합은 제4차산업혁명 시대가 요청하는 개념이다. 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 혁명이 이룩한 융합의 패러다임이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주고, 교육에도 큰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이 논문은 문화융합을 생성하게 하는 요소로, 가치의 소통, 지식․기술의 소통, 언어 의미의 소통, 예술의 소통, 미디어의 소통 등을 들었다. 이들이 문화융합에 어떻게 작용하고, 문화융합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개인이 일상의 문화적 경험에서 문화융합의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경험을 향한 자기 주도성과 그 경험을 종합하여 쓰려는 의욕이 문화융합에 다가가게 함을 발견하였다. 문화융합 시대에 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는 두 가지를 강조하였다. 하나는 언어가 지닌 융합의 힘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융합의 생태와 학습자의 학습 생태가 호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국어교육이 문화융합 시대에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겪는 언어 경험의 총체를 문화 경험과 연결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체험이 가지는 융합의 기제를 잘 살려서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융합문명에 부유하는 헤테로토피아

        유승호(Seoungho Ryu)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현대사회를 구조사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김문조의 ‘융합문명론’은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가 물적, 정신적, 신체적인 전 분야를 아우르며 최종적으로 사회적 진화를 촉진시킨다는 융합적 테제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문명은 그 실현과정에서 기존 사회가 가지고 있던 분화적 특성의 개인주의가 각 영역의 집합체들과 충돌하게 되면서 개인의 자아정체성 상실, 아노미적 소외감과 같은 문제를 불러오고, 궁극적으로 현대사회의 합목적적, 합리적 이성의 문제를 급진적으로 탈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융합문명’ 개념을 중심으로 그 과정에서 발현되는 혼란과 갈등의 근원, 그리고 융합문명의 파고 속에서 인간의 융합적 삶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융합문명의 세계에 존재하는 개인들에게서 어떻게 상호적 이타성이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또한 개인 차원의 각종 혼돈, 불화와 같은 불안의 문제들을 ‘의미화’와 ‘인정론’을 기반으로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호혜적 인간에서 증여적 인간으로의 진화를 포괄하여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은 타인과의 상호성에 따라 공진화하는 사회적 인간으로 격상되어야 하며, 그리고 유동성의 융합문명이 개인의 정체성과 결합되어야 사회와 개인의 지속성이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헤테로토피아와 연계하여 탐색해보았다. The convergence civilization theory that views the modern society in structural viewpoint is a These of convergence that argues new technology and media comprehends the material, spiritual, and physical fields while promoting social evolution. In this kind of convergence process, the individualism in differentiation collides with assemblies of each fiel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oblems such as the loss of self-identity, anomic alienation, and ultimately discloses dislocation with flexible and floating capitalism. In this paper,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convergent life proposed by Mun-jo Kim will be examined that should spread in this "convergence civilization". Also, this paper focuses on apprehending the nature of the reciprocal altruism and empathy of the communication which are a new standard of individuals" life in the convergence civilization. Subsequently, the advance of the giver beyond the reciprocal human is reviewed based on "recognition" by Honnett around the "meaning of life" in response to catch the elusive problems such as all kinds of disparities and inequality. Finally, the connectivity with heterotopia will be emphasized based on the co-evolutionary relationship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identity.

      • 성을 주제로 한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용성, 현장 적용성에 관한 고찰

        김예진(Yejin Kim),이상휘(Sanghui Lee),노준호(Junho Rho),장세윤(Seyun Jang)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7 융합교육연구 Vol.3 No.1

        이 글은 성으로 본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가치와 그 한계를 다루고 앞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SPECIAL‘ 팀이 만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으로 본 융합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다루고 있다. 현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성‘을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성교육에서는 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이해시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AM 모델을 바탕으로 ’성‘을 주제로 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에 다양한 과목 을 적용하여, 과학과 공학 중심의 프로그램이 아닌 인문 예술 계열로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성을 바라봄으로서 성의 본질적 고찰을 통한 다양한 견문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융합교육의 중심인 ’창의성‘에 의의를 두어 인지편향의 타파를 통한 창의성 계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values and limitation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hich deals with the concept of sex. The program is developed by a group named SPECIA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hich connotes Sexuality Philosophical Essential Cultural Inquiring And Love. Currently, the Korean Convergence Education does not have a program baesd on the subject of sex . By applying the diverse curriculums of different subjects to the topic of sex , we are expecting to expand the value of sex which is not only bas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but also the art and humanities. Furthermore, this program aims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the breakthrough of cognitive bias with the significance of creativity which plays pivotal role in converg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introducing about a syllabus of the convergence program on the theme of sex based on the STEAM model.

      •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우정희,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3 과학영재교육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EAM programs by considering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ype for the gifted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uccessful elements of STEAM. For this purpose, the STEAM programs of Gyeonggi D elementary school(one of STEAM leader schools) were chosen and analyzed. 9 STEAM education experts agreed analysis criteria. and they analyzed the programs according to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disciplinary types in the elementary STEAM program were integrated in various forms as like sharing-type, web-type, connection type, etc. Integration was not an end in itself but the programs was developed to elevate thinking and creativity of students. Second, the elementary STEAM programs were effective and adequate to achieve the goals of STEAM education, but it proved that learners did not recognize the problem as a selfinstruction issue, they did not engage positively and STEAM evaluation was not clea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존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융∙통합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공적인 융합인재교육이 갖추어야 할 융합 요소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융합인재교육 리더스쿨 경기도 D 초등학교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융합인재교육 전문가 9명이 분석틀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과 간 통합은 공유형, 거미줄형, 연계형등 다양한 형태로 통합되고 있으며, 융합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학생의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신장 시킬 수있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었다. 둘째, 초등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융합 요소는 융합인재교육목표, 융합적 사고력 신장, 학습자의 자발적 사고와 동기 부여, 창의력, 도전 정신, 실제 수업의 적절성 등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나, 학습자가 수업 상황을 자기 문제로 인식하고 열정적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부분과 융합인재교육의 평가 기준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