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행복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홍병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시민인문학 Vol.21 No.-

        ‘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에서 시작하여 공리주의, 실존주의에 이르기 까지 항상 인간 존재의 근본적 질문과 연관되어 왔다. 하지만 일관된 행복에 관한 개념을 제시하고 정리하기란 인간 존재 자체를 정 의하는 것만큼이나 방대하고 체계화하기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여타의 인 간 감정과 관련된 개념들과는 달리 ‘행복’은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와 관련되 어 있기에 철학자들의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인류가 존속하는 한, 행복에 대한 논의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어찌 보면 행복이란 인간이 절대 달 성할 수 없는 완전한 상태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실현 불가능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말대로 행복이란 부를 소유한 상태도, 권 력을 소유한 상태도, 건강한 상태도, 비록 그것들이 행복을 위한 외적인 조건 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자체로 행복은 아닌 것이다. 행복은 인간이 자 신의 본성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신의 활동성인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그 이론 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따라서 그동안 사회과학적 혹은 경제적 통계에만 의존해 온 행복에 대한 연구의 한계를 넘어 우리 현실에 맞는 행복의 인문학 적 모델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행복에 대한 개념 분석과 인문 학적 담론을 토대로 하여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중 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preparing the theoretical ground through humanities approach about happiness of human being. This study presents the new humanities model which is appropriate to our actuality presents over the limit of the research of happiness that depends on sociological studies or economic statistics so far. For this, I want to scrutinize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based upo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humanities discourse on that. The main debate in this thesis is about Aristotle's theory of happiness as continuous spiritual activity for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human being itself.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교육의 현실과 사회적 요구

        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firs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social demand to the elastic confrontation of college. What do we expect and demand for the college including enterprises? The CEO’s ask to the college program reflecting on the competitive power of business to complete at the moment. Contemporary is, we can say, as knowledge-based society. In knowledge-based society its effective value is for the ability of knowledge adaptation or knowledge creation not for the knowledge itself. Because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adaptation is to decid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nation and enterpris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process of producing new knowledge is the course of indicating and practicing the new solution for the present task we are facing. What we are adapting to a new knowledge is to understand the problem situation which we confront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Consequently, the following three abilities mean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First, the ability to arrange and analyze rationally the problem itself. Second, the ability to systematize the idea for solving the problem. Third, the ability to get the agreement from related group delivering correctly this idea to others. We must understand that in the aspect of enterprise they demand for the education of the fundamental knowledge based on these three abilities to the college. It is true that this fundamental knowledge should be accomplished by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end. 이 글의 목적은 대학 입장에서는 교양기초교육 및 전공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및 직업기초능력 함양은 결국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이어야만 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대학교육을 통한 숙련을 직업과 일치시킬 수 내적 기반을 확보하려는데 있다. 시대적, 사회적 측면을 염두에 두었을 때, 대학 본연의 임무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再考)가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전공 간 그리고 전공 내 숙련 수준의 상대적 격차보다는 모든 전공(계열)에 거쳐 졸업 시 숙련 수준과 질이 하락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교육프로그램 실시 이외에 가능한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핵심역량 및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교과 내 및 교과 외 교육 등 별도의 자구적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에서는 학력 또는 출신 대학 등 인적자본의 가치 및 생산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채용기준을 뒤로 하고 일을 잘 수행하는 능력, 즉 관련 지식, 핵심역량과 직업기초능력의 숙련 개념을 기준으로 삼아 이를 전격 도입할 필요가 있다. 즉, 업무(일)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복합적인 능력의 기준이 되는 축적된 숙련과 생산능력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 및 경험을 통해 함양된 지식, 역량, 능력의 개념을 통한 선별이 요구될 것이다.대학교육의 승패여부는 교육의 이념이나 목적만이 아니라, 교육방법과 교육환경에 의해서도 좌우된다는 점에서, 전공교육은 물론 교양기초교육에서부터 이들의 주체적이고도 적극적인 방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 확보가 절실하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식적 내·외재론 논쟁과 규범성의 문제 : 골드만(Alvin I. Goldman)을 중심으로

        홍병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4 철학탐구 Vol.16 No.-

        이 논문이 목적은 인식적 비난과 관련하여 인식적 내·외재론이 서로 견해를 달리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재론에서는 적용되는 반면 외재론에서 그렇지 않은것이 결국 규범성과 관련이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외재론은 일반적으로 인식적 판단에서 규범성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내재론과 구분된다. 인식적 평가는 평가의 대상이 되는 믿음이 인식론적으로 합리적인가 혹은 비합리적인가와 관련된다. 그런데 실제로 믿음에 대해 그 어떠한 접근도 허용하지 않는 신빙성 여부를 가지고서 그 믿음이 합리적인지 비합리적인지를 가릴 수는 없다. 이러한 외재론의 기본적인 입장을 추종하는 골드만의 신빙론에서 한 믿음의 정당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사실과의 연관성이 인식 정당화를 위한 인식적 규범성의 조건으로 제시될 수 없다는 점이다. 비합리적이라는 이유로 비난하는 것은 규범적인 판단에 해당하며 사실적인 기술과는 구분된다. 내재론의 관점에서는 어떤 인식 주체를 비합리적이라고 비난할 여지는 분명히 있다. 그러나 규범성과 관련하여 골드만의 경우 그가 설정하고 있는 '인식적 개념기 분석은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식적 개념에 대한 그의 외재론적 분석은 인식적 비난의 본성에 관련하여 분명히 오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식적으로 비합리적이라는 비판은 '인식적 평가'와 관련되기 때문에 사실과 관련해서는 결코 적용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골드만은 그와 반대로 생각하고 있다. 골드만이 후기에 제시하고 있는 인식 정당화에 관한 테제에서도 일종에 '규칙'과 같은 개념을 끌어들이고 있는데,그의 규칙 개념이 인식적 규범성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thesis, even though epistemic internalism and externalismdo not differ from their opinion each other about a epistemic blame, does it show to be related normativity ultimately as what is applied to intemalism but is not at externalism. One of the more nebulou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intemalist and externalist analyses involves the suggestion that externalists ignore the normativity of epistemic judgement. And, certainty, like many of the objections levelled at Alvin I. Goldman's realism, for example, makes the claim that unreliability to which one has no actual or potential access cannot decide questions about the rationality or irrationality of beliefs because charges of irrationality are relevant to evaluations of epistemic praise and blame. If my beliefs is produced by unreliable processes when there is in no possible way for me to find the fact out, in what sense am I to be blamed for having the belief? The inhabitants of demon worlds are no more blameworthy for their demon induced false beliefs than are the inhabitants of demon no non-demon worlds. Surely both internalists and externalism will agree that in some sense, charges of irrationality can be construed as criticism. Bu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is virtual truism, a truism that is not going to differentiate the two views, from so-called deontic analyses of epistemic terms, where a deontic analyses of epistemic analyzes into the epistemic concepts using value terms. The deontic analyses of epistemic terms may well be incompatible with at least paradigm out of externalist views, but as an internalist, I certainly do not want to be struck with defending the deontic analyses of episternic concerts. I do not think it is useful to try to understand the intemalism. externalism debate as one over the nonnativity of epistemic judgements. In fact, I would argue that pure denotic analyses of epistemic terns involve a mistake very much like the mistake of externalism.

      • KCI등재

        CNN을 이용한 Quad Tree 기반 2D Smoke Super-resolution

        홍병선,박지혁,최명진,김창헌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9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5 No.3

        Physically-based fluid simulation takes a lot of time for high re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studies that make up the limitation of low resolution fluid simulation by using deep running. Among them, Super-re solution, which converts low-resolution simulation data to high resolution is under way. However, traditional techniques require to the entire space where there are no density data, so there are problems that are inefficient in terms of the full simulation speed and that cannot be computed with the lack of GPU memory as input resolution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divides and classifies 2D smoke simulation data into the space using the quad tree, one of the spatial partitioning methods, and performs Super-resolution only required space. This technique accelerates the simulation speed by computing only necessary space. It also processes the divided input data, which can solve GPU memory problems. 물리 기반 유체 시뮬레이션은 고해상도 연산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해상도 유체 시뮬레이션의 한계를 딤 러닝으로 보완하는 연구들이 있으며, 그중에서는 저해상도의 시뮬레이션 데이터 를 고해상도로 변환해주는 Super-resolution 분야가 있다. 하지만 기존 기법들은 전체 데이터 공간에서 밀도 데이터가 없는 부분까지 연산하므로 전체 시뮬레이션 속도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입력 해상도가 큰 경우 에는 GPU 메모리가 부족해 연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분할 법 중 하나인 쿼 드 트리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공간을 분할 및 분류하여 Super-resolution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필요 공간만 Super-resolution 하므로 전체 시뮬레이션 가속화가 가능하고, 입력 데이터를 분할 연산하므로 GPU 메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general reasons for wh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ecause the effective period of knowledge is too short, we can not solve complex problems with expertise in a specific field alone. Secondly, in response to sudden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e not only demand a new talent fitted here, but also from the standpoint of a company, the reason is that the burden of reeducation is large. Nevertheless, most domestic universities are dea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ubjects for the convergence capacity development. However, here are the following two problems. One is a real proble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nsuring core competence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other is a question about whether such ability can be actually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here is that if there is n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re will only be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oncern about the discussion over convergence education by establishing a basis on which convergence 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at it simply follows the trend of education by establishing grounds as to whether or not core competence can actually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Ultimate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grounds, prepare a direction and a detailed practical strategy for enlightenment of convergence abil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each university try to. If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revitalized, such ability is not a capacity born with congenital nature, and it can not be acquired mentally It means that you can do it. On the contrary, if the convergence ability is a capability that can not be acquired at an acquired time, the education itself will be meaningless. In that respect, secur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i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is is because the grounds are the grounds for judg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n site. Of course, obeying any definition for education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ed. Ultimately, education is the ability to be acquired afterwards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apable of congenitally giving convergence ability in the dimension to cultivate specific abilities. 융합교육을 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회 및 지식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느 한 분야의 전문지식만으로는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재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교육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 등을 들고 있다. 이에 국내 대부분의 대학들이 융합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과목을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융합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의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가 그 하나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융합교육을 통해 그러한 역량이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변이 마련되지 못할 경우, 융합교육의 실효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융합교육을 통해 융합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만 융합교육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우려의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바로 융합교육이 단순히 교육트렌드에 따른다는 비판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융합역량 계발에 위한 방향과 세부적인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여 각 대학의 특수성에 따른 차별화된 적용의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융합역량의 실현 가능성 여부와 관련하여 융합역량이 교육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면, 그러한 역량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한 역량이 아니라고 한다면, 교육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에 대한 철학적 근거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그 근거는 융합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의 판단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에 대한 그 어떠한 정의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후천적 습득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 결국 교육은 경험적으로 특정한 역량을 기른다는 차원에서 융합역량 역시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역량이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역량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