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Ⅱ)

        박효종(Park Hyo-Chong),손경원(kyungwon Son),김항인(Hang-In Kim),서은숙(Seo Eun-So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시민참여는 책임있는 민주시민의 중요한 자질이다. 시민참여는 실천적 참여경험을 통해 학습되기에 청소년들의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와 경험여부는 성인기의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한국의 14세 학생들의 시민윤리적 참여와 행동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학교, 시민윤리적 단체의 참여기회에 대한 학생의 견해를 조사하고, 시민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조사 결과 향후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개선의 요구가 동시에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14세 한국 학생들은 사회운동참여에 적극적이며, 학교참여효과에 대해 긍정적이며, 시민윤리학습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낮은 정치적 관심을 보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역 전반에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 더욱이 시민윤리적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방된 교실분위기에서의 토론의 경험이 적은 것으로, 학생회조직 및 각종단체의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민윤리 교육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더 많은 시민윤리와 연관된 참여 기회를 확대하며 동시에 참여의 종류와 참여들간의 연계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관습적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을 높일 대응책이 요구된다. 둘째, 시민참여에 긍적적 영향을 주는 토론을 위한 개방적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토론의 참여를 권장하는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견해가 다른 타인의 이해 및 선거참여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student's views of opportunities for civic engagement in classrooms, schools and civic related organizations as well as student's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activities at age fourteen. It also looks into implication of civic education We found the negative aspects as well as optimistic for the future civic education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t of all, the result indicats the optimistic aspect. Korean youth at age fourteen appear to have positive view of social movement and the value of participation in organized school groups, and they respond to have the opportunity of civic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egative implication in civc Education. They represent to have low political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of politics. They respond to have scarcely had the chance of discussion with open classroom climate, and had relatively low in civic participation. This study points out improvement to be made in future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have to try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concerned to civic Education for student. Also, they need make an effort to connect youth's interest of social- movement related engagement with convention engagement. Second, they must Foster an open climate classroom for discussion, and encourage student to participate. It require to strengthen Civc Curriclum that prescrive for youth to learn to another with different view, and the importance of voting.

      • KCI등재

        윤리적 소비 실천은 시민참여의 확장을 의미하는가? 한국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경험 간의 관계성과개인의 선택적 지향성 조절효과

        이혜미 ( Hyemi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1

        윤리적 소비는 생태학적 지속가능성 및 사회 정의 관점에서 사회 전반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소비하는 대안적 소비양식으로서, 전 지구적인 위기를 개인적 차원에서부터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에 기초한다. 윤리적 소비의 사회 참여적 가치에 주목하는 연구들은 윤리적 소비를 일상적인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하는 비제도적 시민참여방식이라 주장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소비의 사회 참여적 가치에 주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는데, 대안적 시민참여방식으로서의 윤리적 소비와 전통적 방식의 시민참여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그 중 하나다. 그러나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는 비일관적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서구 사회에서 진행되었고, 그 관계성이 상황적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삶과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person orientation)과 사물(thing orientation)에 대한 선택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와 전통적 시민참여 간의 관계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인 공적 시민참여와 사적 시민참여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개인의 선택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관계의 정도는 사람지향성과 사물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윤리적 소비를 많이 할수록 공적 또는 사적 시민참여 경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람지향성과 사물지향성은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람지향성이 낮은 경우, 윤리적 소비와 공적 시민참여의 관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행동의 동력으로서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가능성을 밝히고, 윤리적 소비 촉진을 위하여 어떻게 개인의 선택적 지향성이 활용될 수 있을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onventional civic engagement has been underexamined in term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factors. In fact, existing work in this area has been conducted in Western societies, even though the use of ethical consumption as a civic practice is not a phenomenon limited to certain areas. To set out to address the gap in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ink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ivic engagemen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focused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which have been known to stimulate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is goal, an extensive online survey (n = 500) was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that ethical consump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which echoed the results of several previous studies.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were moderated by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such that ethical consumers higher in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were likely to be more engaged in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However, a simple slop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public eng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consumers lower in Person Orientation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 (Ⅰ) : 14세 학생의 시민윤리적 지식과 개념을 중심으로

        박효종,손경원 한국국민윤리학회 2003 倫理硏究 Vol.54 No.1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는 시대정신으로 부각되고, 한국 역시 민주주의의 공고화 단계에 진입한 이시기에, 민주주의 확립과 발전을 위한 민주적 시민의 자질과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의 교육방향을 설정하는데 좌표가 될 수 있는 한국의 14세 학생이 갖는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관한 지식과 개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8개국의 IEA 시민윤리교육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분명하게 한국 학생이 갖는 지식과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14세 학생들의 시민윤리적 지식과 개념에 관한 조사결과,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개선의 요구들이 동시에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한국의 14세 학생들은 개략적이지만 민주주의의 기본제도와 원리를 알고 좋은 시민의 개념을 파악하고 있으며, 선거나 환경, 공동체 돕기와 같은 활동에의 참여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공고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감안한다면 학생들의 지식과 개념의 이해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에 시민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해 세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14세 학생들의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대한 지식과 정보해석능력은 국제평균에 비해 상당히 낮기에,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관한 지식과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피상적이고 권리 중심적이어서 민주주의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권리에 수반되는 책임의 인식이 요구된다. 셋째, 준법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요구되며,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알고 긍정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As interactive toward democratic reform took place across world, Korea, entered the phase of consolidating democrac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relationship and civic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preparing young people for democratic citizenship, this actually attempted to examine civic knowledge and civic concept of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It's approach is comparative in the sense that civic attitude of Korean young people is compared to that of young people in 28 countries that IEA civic education investigated. This actually dealt with civic knowledge and civic concept with regard to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The scales of civic knowledge and concepts included student's knowledge test of civic content and the skills of interpreting information, civic concepts such as democracy and citizenship, government responsi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young people demonstrated a satisfactory level of basic civic knowledge and concept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although their understanding sometimes appear superficial. This actually concludes that revival of civic engagement needs to develop any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Moreover, with regard to civic Knowledge and concept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they need to be encouraged to fully understand and to be inculcated. We should improve their conception of obeying the law as well.

      • 조직의 윤리풍토가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상억(Sang-eog Na),장동운(Dong-woon Chang) 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 2009 조직경영개발연구 Vol.2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lose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ethical clim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iable), and how the collectivism orientation of members works between the climate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hen the author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ethical clim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aff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s minus(-), but the influ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the ethical climate of principle aff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significantly as plu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recognized the ethical climate of their company as benevolence and principl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increased Eventually, it will be needed that policies and plans to make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principle established should be prepared and driven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f officers and staff Secondly, when the author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ethical clim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as minus(-)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the ethical climate of principle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as plu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recognized the ethical climate of their company as benevolence and principl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e should pay attention in order that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does not appear, and make efforts in order that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principle will be established Thirdly, the author analyzed the effect of moderating variable of collectivism in order to closely examine whether the collectivism orientation of the members works between the ethical clim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and organizational closely examine whether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except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if the collectivism orientation were low,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would be low And in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only in the ethical climate of principle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hat and he collectivism orientation was high,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This study raised several sugg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ethical clim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author could confirm the moderation effect that the collectivism orientation of the members had between the ethical climate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level of practice, this study shows that the management should intensify the efforts in order to make up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principle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is like that an organization send the members a signal that the organization supports and approve the behaviour of only searching for their own interests at the cost of others becaus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be hampered in the ethical climate of egoism, one should make efforts to make the ethical climate of benevolence and principle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it was demonstrated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죅의 윤리풍토와 조직효과성(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 변수) 사이의 관계, 그리고 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이 양자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풍토 유형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 중심중의 윤리풍토 유형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공리주의 윤리풍토 유형과 원칙주의 윤리풍토 유형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원이 자기 회사의 윤리풍토를 공리주의와 원칙주의로 인식할수록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임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공리주의와 원칙주의 윤리풍토가 자리잡을 수 있는 정책과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풍토 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중심주의 윤리풍토 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공리주의 윤리풍토 유형과 원칙주의 윤리풍토 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원이 자기회사의 윤리풍토를 공리주의와 원칙주의로 인식할수록 조직몰입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중심주의 윤리풍토가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공리주의와 원칙주의 윤리풍토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풍토 유형과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 이 양자 사이에서 조직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절작용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집단주의의 조절변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중심주의 윤리풍토를 제외하고, 집단주의 성향이 높으면 조직시민행동 수준은 높고 집단주의 성향이 낮으면 조직시민행동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의 경우는, 원칙주의 풍토에서만 조직몰입에 대한 집단주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는데,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풍토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아울러 이 양자 사이에서 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천적 수준에서 이번 연구는, 경영층 및 관리층에서 공리주의와 원칙주의 윤리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자기중심주의 윤리풍토는 구성원들에게 다른 사람을 희생해서라도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을 하도록 조직이 지원하며 그러한 행동을 승인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과 같다. 자기중심주의 풍토에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은 저해될 것이기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리주의/원칙주의 윤리풍토 조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윤리풍토를 공리주의와 원칙주의로 지각할 때는 집단주의 성향이 윤리풍토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 사이에서 유의미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공리주의와 원칙주의 윤리풍토를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한편, 집단주의성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경영관리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교사상을 통한 청소년의 시민윤리의식 실증조사연구

        문기영 ( Ki-young Moon ),이인영 ( In-young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유교적 가치관과 시민윤리의식의 관계를 분석하고, 인성론에 입각한 시민윤리의식을 전망함으로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증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에 의하여 통계분석 및 논의를 거쳐 연구목적을 달성하였다. 실증연구 부분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유교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시민윤리의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유교사상의 가치관이 시민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청소년들의 유교사상에 대한 수용성과 시민윤리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11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유교적가치관 및 시민윤리의식의 수준과 응답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유교적가치관에서 세계관 M=3.54, 인간관계관 M=3.66, 도덕함양 M=3.76, 사회질서 M=3.45로 모두 3.0점 이상의 긍정적인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도덕함양에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나타내었고, 유교적 가치를 사회질서의 기준으로 생각하는 사회질서 요인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청소년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유교적가치관 하위변인 및 전체 지각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도덕함양에서 여학생(M=3.85)이 남학생(M=3.6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세계관에서 상위층(M=3.98)이 중하위층(M=3.25), 하위층(M=3.22)보다 높게, 인간관계관에서 중상위층(M=3.79)이 하위층(M=3.46)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도덕함양에서 확대가족(M=3.83)이 핵가족(M=3.62)보다 높게, 사회질서에서 확대가족(M=3.54)이 핵가족(M=3.36)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유교적가치관이 시민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의 다층모형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교적 가치관은 인간관계관(β=.499), 세계관(β=.412), 사회질서(β=.341), 도덕함양(β=.241) 순으로 시민윤리의식 전체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교적 가치관은 도덕함양(β=.458), 인간관계관(β=.454), 사회질서(β=.362), 세계관(β=.158) 순으로 자율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교적 가치관은 인간관계관(β=.295), 사회질서(β=.281), 도덕함양(β=.232) 순으로 공동체의식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소년의 유교적 가치관은 시민윤리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교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시민윤리의식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어, 결국 유교적 가치관이 현대사회 시민윤리의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인성론에 입각한 시민윤리의식 교육의 필요성 및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이를 위해 인(仁)의 인간존중 사상, 이상적 인간상으로서 군자, 바람직한 사회이상 대동사회를 통한 유교윤리와 현대사회 시민윤리의식의 접점을 찾아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youths` Confucian values and sense of citizen ethics while presenting outlook on the sense of citizen ethics based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doing so, is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For this purpose, empir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in this study. In the empirical study, youths were surveyed and the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discussed with a view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 the empirical research part of the study, Korean youths` awareness on Confucian values was examined along with its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itizen ethics. The effect of Confucian values on sense of citizen ethics and their relationship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receptivity of youths on Confucian ideas and usefulness of sense of citizen ethics.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final 311 sets of data from male and female students at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South Korea. First, to identify the youths` Confucian values and level of sense of citizen ethic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survey subjects were found to have, concerning the Confucian values, world view M=3.54, human relations view M=3.66, morality cultivation M=3.76, and social order M=3.45, higher than 3.0 to represent positive levels. The morality cultivation, in particular, was recorded the highest among all whereas the social order was relatively lower, which represents the degree of relying on Confucian values to establish social order. Second, the sub-variables of Confucian value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youths and differences in their entire percep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according to gender, morality cultivation was found higher in female students (M=3.85) than in male students (M=3.64).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of their household, world view was found higher in upper class (M=3.98) than middle-low class (M=3.25) and low class (M=3.22) while human relations view was found higher in middle-upper class (M=3.79) than low class (M=3.46). As for the family type, morality cultivation was found higher in extended family (M=3.83) than nuclear family (M=3.62); and social order was higher in extended family (M=3.54) than nuclear family (M=3.36). Third, to verify the study theme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youths` Confucian values on sense of citizen morali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in this study, which used the multi-level model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Confucian valu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ith the entire sense of citizen ethics in order of human relations view(β=.499), world view(β=.412), social order(β=.341), and morality cultivation(β=.241). Confucian valu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ith autonomy in order of morality cultivation(β=.458), human relations view(β=.454), social order(β =.362), and world view(β=.158). Confucian valu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ith community spirit in order of human relations view(β =.295), social order(β=.281), and morality cultivation(β=.232). As shown in the findings above, youths` Confucian valu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sense of citizen ethics. It is noted that the higher the Confucian values, the more positive the sense of citizen ethics would be. Consequentially, the Confucian values was identifi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nse of citizen ethics in the modern societ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measures -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ducation on sense of citizen ethics under the theory of human nature.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o find an optimal interface between the contemporary sense of citizen ethics and Confucian ethics through the respect for human life and nature, man of virtue as the ideal human model, and united society as a desirable society model.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연구

        곽종국,김학수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4

        In recent years, regular restructuring, ability and performance-based personnel systems, and individualistic culture are spreading in companies. Accordingly, the loyalty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decreasing and acting as an obstacle to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rganization is in a situation that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organization are emphasized again. If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factors that improv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we paid attention to the leadership of our bosses related to ethics in that ESG is in the spotlight as a corporate effort for sustainable growth.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whethe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ll be effective, we paid attention to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can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in that organizational identity is in the spotlight as a cognitive process factor that conn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i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667 organizational member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thical leader- 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individual-oriented organi- 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thical leader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also indirectly affects individual- oriented(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individual-oriented or- 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presented. 최근 기업에서는 상시 구조조정, 능력 및 성과주의 인사제도, 개인주의 문화 등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의 충성심은 낮아지고 있으면서 조직 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정체성과 조직 정체성의 동일시를 다시금 강조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렇다면 조직동일시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으로서 ESG가 각광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조직동일시가 과연 효과가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조직의 효과성,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조직동일시가 인지적 평가 개념을 포함한 프로세스 요인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윤리적리더십과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구성원 66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동일시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동일시는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과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윤리적 리더십은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윤리적 리더십은조직동일시를 거쳐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윤리적 리더십, 조직동일시가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계윤리와 명상의 맥락화용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세계윤리교육에서 도덕적 특수맥락에 기울게 되면 이기주의, 분파주의, 구획주의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보편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윤리적 사고의 획일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맥락화용의 방법으로 보편과 특수의 긴장관계를 상통시켜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면서 생명존엄을 살려낼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세계시민성에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들은 이러한 긴장관계를 간과한 채 보편성 논증과 특수성 논증 가운데 특정 관점에 경도되어 이루어진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세계시민성의 토대와 방향에 있어서 보편성, 또는 특수성에 사로잡혀 지역 간 국가 간 세계 간의 사이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세계윤리의 보편성과 명상의 특수성을 횡단매개하는 가운데 맥락화용의 ``공공 시민성``(public common citizenship)과 ``깊은 시민성``(deep citizenship) 함양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지구촌의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하여 ``줄탁동시``(쵀啄同時)의 교육방법을 통한 세계윤리와 명상문화의 맥락화용이 요청된다. 윤리교육에서 명상문화의 특수맥락을 세계윤리와 화용함으로써 자아, 타자, 그리고 세계의 상호 연계성과 상호 의존성을 깨닫는 가운데 타자와의 공감능력을 확충할 수 있다. 이처럼 특수성에서 출발하여 요가명상을 통한 연대성과 화두참선을 통한 관용성의 함양으로 세계시민성과 화용하는 가운데 국가시민성을 초월하여 세계시민으로서 자각하고 책임지는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다. 이처럼 세계윤리와 명상의 맥락화용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구촌의 세계시민성으로서 공공 시민성과 깊은 시민성을 일깨우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공공 시민성과 깊은 시민성이 확보하게 되면, 개별 국가내의 시민 사회와 이들 사이의 국제적 연대를 보다 활성화시키면서 국가사이를 능동적으로 횡단매개하는 가운데 의식공간을 세계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명상문화와 화용을 통해 구성주의 관점에서 세계시민성에 접근하여 인류의 자유와 소망, 그리고 공공가치에 접근하는 방안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implications of the contextual pragmatics between global ethics and meditation. Meditation practice has a long history of healing spirituality of human being. In inner yoga meditation practice, it focuses on more subtle and minute mutual communication. In this solidarity samadhi state, the meditator can cultivate public common citizenship through meditation.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ation of meditation as a trans-versal mediation toward solidarity and awareness of consciousness. It can fulfill not mystical vision and super power but awareness of world citizenship and freedom from national citizenship. It would cultivate solidarity value of global ethics to live on desirable life as world citizenship free from karmic force. It focuses on the deep interconne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which can be experienced directly by disciplined attention to the communicative sensations, and that continuously interconnect condition the life of the other mind. The question for meditation can be divided into Invocation of dharma topic and Inquiry mutual insight. It is a way of self-awareness through self-observation and introspection. The aim of dharma topic invocation is the abolition of past karmic force and rediscovery of world citizenship as intermediatory subjectivity. It could help to reach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to practice the tolerance toward the others. It can contribute desirable life as world citizenship to practice tolerance to be free from agnosic circulation life. In meditation practice, intermediatory consciousness practice can calm the mind, awareness can reveal how the mind was disturbed to start with, which leads to prajna(Pali). Regarding this fact, it is essentially non-sectarian in character and has universal application toward world citizenship. We can conclude it is possible to make a contributing life of world citizenship through public communication and tolerance to contribute human freedom, hope and conviviality.

      • KCI등재

        윤리풍토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승일,이영균 한국공공관리학회 202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6 No.1

        The various immoral behaviors that occur in an organization adversely affect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self-esteem of its member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ethical climate of organizations related to this. An ethical climate based on an organization's ethical policies and norms will clear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ork attitudes of its members. In this context, the study begins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empirical studies of how the ethical climate perceived by employees at public enterprise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s a result of analyz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450 employees working at R public enterprise, this study was able to discover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cumbents of R public enterprise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is study were highly positive cognizance about the questionnaire questions about ethical clim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thical climate and ocb,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It was confirme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has a mutua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ocb.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had a very high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n ethical climate that considers organizational members and actively supports ethical decisions and actions that emphasize moral belief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attitud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organization, pride linked to the organiza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as memb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thic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had a very high positive effect on the members’ ocb.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would motivate voluntary and innovative actions beyond role regulations as well as role behaviors prescribed by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ethic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had a very high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which are the job attitudes of memb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thical climate clearly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the formation of ethical valu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조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도덕한 행동은 조직의 이미지와 조직구성원의 자긍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하여 조직의 윤리풍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조직의 윤리적 정책과 강령에 토대를 둔 윤리풍토는 분명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재직자들이 인식하는 윤리풍토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출발했다. 본 연구는 R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450명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R 공공기관 재직자들은 윤리풍토,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설문문항에 대해 다소 높게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윤리풍토와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윤리풍토는 구성원의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 상호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직의 윤리풍토는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매우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 조직이 조직구성원을 배려하고, 도덕적 신념을 강조하는 윤리적 의사결정과 행동을 적극 지원하는 윤리풍토라면 조직에 대한 헌신하려는 자세, 조직과 연계되는 자부심과 조직구성원으로 지속하려는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윤리풍토는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매우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 조직의 윤리풍토가 정착될수록 조직이 규정한 역할행동뿐만 아니라 역할규정을 뛰어넘는 자발적이고 혁신적인 행동에도 동기를 부여할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분석결과에서 조직의 윤리풍토는 구성원의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매우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윤리풍토는 분명 조직구성원의 윤리적 가치관 형성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 -

        안장수,정원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4

        급변하는 조직환경 속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리더의 특성과 행동은 조직연구에서 오랜 관심사였다. 오늘날 조직연구에서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1세기 들어서면서 조직의 규모나 성격을 막론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리더의 윤리성이 조직의 성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어 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가설을 분석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리더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직무환경에 대해서 깨어있음을 느끼게 하고,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이 높아지면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도덕적 강도에 의해서 정(+)적으로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보다 중요하게도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마음챙김과 도덕적 강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조직의 관점에서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 하여금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In spite of the increasing studies on the ethical leadership in organizations, there are many questions to be explored. In particular,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studies should examine the influential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doing so, we introduced mindfulness of followers as a potential mediator. Moreover, we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followers through their mindfulness would be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indfulness, and moral intensity, and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s among above-mentioned constructs and empirically examined aforementioned relationships.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Air Force. The results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at is, followers working with leaders who exert high ethical behaviors are more likely to show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s mediated by mindful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Ethical leadership enhances the level of mindful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n, enhanced level of mindful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mindfulness is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such that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s on mindfulness i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moral intensity than those with lower moral intensity.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mindfulness is also moderated by moral intensity,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i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moral intens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attitudes and behaviors.

      • KCI등재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현재 세계는 지구적, 민족-국가적, 지방적 힘과 자원이 급속히 합류되고 있다. 세계화의 심화는 민족-국가적 시민성과는 다른 세계시민성 윤리를 대두시킨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윤리교육에서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위상의 정립이 절실해졌다. 이는 곧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 개념과 스트로슨의 ``맥락``개념을 횡단 매개한 개념이다. 다시 말하면 세계의 생활세계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구조계기와 전개과정을 설명하려는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과 스트로슨(Strawson, P.F.)의 특수문화의 다양함과 특수성을 화용하기 위한 맥락보편화용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다중정체성과 세계시민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구성함에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의 관건이 있다. 세계시민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다중 정체성을 가지고 평화로운 공존의 문화와 다른 세대들에 대한 책임윤리를 촉진할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세계시민성 교육을 받은 세계시민은 자신의 다중 정체성을 확신하고 지역공동체, 민족-국가, 지구적 차원에서 평화, 연대성, 관용, 사랑, 인권,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민을 말하며, 이는 곧 제 8차 도덕교육과정 개편에 반영될 과제이다. 역사적으로 근대 시민성교육에서는 개체존엄성이 부각되고, 탈근대 시민성 교육에서는 다원유기성이 강조된 반면에, 세계윤리에서는 공공양심에 토대를 둔 공공적 문제와 지구공동체 문제들에 대해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통합적 관점과 자세를 절실히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8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세계윤리교육을 위한 내용과 방법의 개발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개편에 즈음하여, 개체존엄성, 다원유기성, 세계시민성을 함께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윤리 교육내용의 여러 영역 가운데 본고에서는 맥락보편화용방법의 접근의 범례로서 세계윤리의 출발점이 되는 종교윤리와 생명윤리의 화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