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

        지산 배종호의 한국유학관 연구(Ⅰ) — 전기 저술을 중심으로 —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0

        이 논문은 전통 유학을 근·현대적 학문 방식으로 전환시켜 놓은 역할을 한 지산智山 배종호(裵宗鎬, 1919~1990)의 유학관,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위한 글이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그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는 그의 한국유학사 (1974)를 중심으로 수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현대 한국유학 연구의 전환점이 된 한국유학사 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와 그 중요성에 대해서 학계의 이견은 없다. 그러나 배종호의 학문적 배경과 정립과정 및 한국유학사 집필 등 전반적인 고찰 없이 그의 한국유학사 에 근거한 그의 한국유학관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에 학문,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하기 위해 그의 삶과 학문의 여정을 살펴보는 한편, 그의 전반 저술 분석을 통시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그의 한국유학관 전모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필자는 그의 유학관 이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서양철학도에서 동양철학 전공자로, 그리고 한국유학사 를 집필한 한국유학의 대표적 학자로 변신하게 된 그의 학문적 여정과 그의 저작들, 초기 저작들과 한국유학사 와 한국유학자료집성 의 간행을 거쳐 만년의 저작까지 통괄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를 이를 위하여 한국유학사 간행을 기점으로 이전까지를 그의 학문 여정 전기로, 이후를 후기로 구분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의 전기 저작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유학관을 고찰하였다. 후기 저작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은 다음 연구를 통해 밝힐 것이다. 이 고찰을 통하여 그의 생애와 학문을 살펴보면서 첫째 철학에 대한 이해와 철학적 방법론, 둘째 서양철학 전공자가 동양철학, 특히 한국유학 연구에 착수하게 된 이유, 셋째 한국유학의 초기 저작부터 한국유학사 정립까지의 학문적 여정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그의 한국유학사 가 다루지 못한 시기와 다루지 않은 주제들에 대해서 그 여백을 채워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한국유학사 가 갖는 지성사적 의미와 학술사적 의의도 재평가해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re-evaluate the views of Jisan智山 Bae Jong-Ho(裵宗鎬, 1919~1990),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marking a milestone in modern Korean Neo-Confucianism and transforming traditional Confucianism into a modern academic method, especially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in Korea In order to re-evaluate his philosophy, I divided his works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focusing on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Korea(1974).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his work in the first half, and the analysis of his work in the second half is left as a follow-up study. His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focuses only on the theory of LiQi理氣, XingQing性情 among Neo-Confucianism in Choseon. Therefore, There are inevitably many blanks in each period and subject. In this paper, I can fill in the blanks by referring to the views that appeared in his first half works.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an he design the full extent of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he thought, but I can also examine his views on it.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 Hwang Kwang-oo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 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si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search Society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was published from the 1st edition in 1991 to the 55th edition until November, 2017, and introduced a total of 582 papers. In the meantime,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became a registered place after being nomina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 582 chapters, 297 papers deal directly with Korean philosophy, and 174 papers on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Korean philosophical theses, the most popular one was the 198th issue, and the Chinese philosophical thesis wa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of theology. Among the Korean philosophers, Chung Yak - Yong and Chinese philosophers Chu Shi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203 were all of them. Among them, Lee Sang Ik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28, and Choi Young Sung was the second with 23. Based on Lee Sang Ik 's thesis 28, Lee Sang Ik is a well - known neo - Confucianism scholar. 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y of neo -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secularism. On the one hand, he establishes his own moral theories and criticizes other moral theories.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s his own governing theory and criticizes other governing theories. And theoretical proposals on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Based on Choi Young Sung 's thesis, 23, Choi Young Sung is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eld of studying in Korea. His research focuses on correcting mistaken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history of study abroad in Korea, and developing the undeveloped part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he has been study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hoi Chih Won in order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pproaching the history of thought rather than jus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has been advanced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italization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Philosophy Department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Korean Philosophy History Study Society' and to create excellent scholars.

      • KCI등재
      • KCI등재

        지산 배종호의 한국유학관 연구(Ⅱ) ― 한국유학사 (1974)를 중심으로 ―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1

        이 논문은 전통 유학 연구에 철학적 입장과 방법론을 도입하여 유학(성리학) 연구를 근⋅현대적 학문 방식으로 정립시킨 지산智山 배종호(裵宗鎬, 1919~1990)의 한국유학사 와 한국유학자료집성 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의 이 두 저작의 집필 의도와 구상, 그리고 그 전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그의 한국유학 이해의 체계와 내용 및 그 전개가 갖는 학술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한국유학사 정주성리학 개관에서 보여준 조선 성리학의 주요 개념의 연원, 그리고 한국유학자료집성 하권의 송명 리학 관련 자료를 통해서 복선으로 전제한 리학과 심학의 대립, 그리고 절충파의 전개 구도가 한국유학사 의 주리⋅주기⋅절충이라는 큰 도식을 복선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유학사 에 첨부된 부록, 한국유학자료집성 상권과 하권에 수록된 유학자 50명 문집의 해제, 정은채 편 성적도후학록 에서 발췌한 도통원류도와 동방성학원류도, 그리고 동방유림연원록 분석을 통해서 주리파와 주기파 그리고 무사승을 포함한 절충파 구도 등을 종합해 볼 때 그의 한국유학사 의 주리⋅주기⋅절충이라는 전개 구도의 원형은 조선 후기 이미 윤곽이 잡혀 있었던 것이었다. 셋째, 주리⋅주기⋅절충의 분류는 배종호가 독일 바덴학파 W. 빈델반트의 철학사 서술 체계와 방식에 기초하여 조선조 유학사 전개를 위하여 한국유학사 서술에 사용한 것이다. 이후 그의 논저에서 이 분류 기준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는 학파, 지역, 당파 및 독자적 견해 등 어느 것도 철학사 전개에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주리⋅주기⋅절충의 분류를 편의상 사용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한국유학을 분류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대안 모색은 그의 남은 과제였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배종호의 연구 성과가 일제 강점기의 한 관변학자가 조선성리학사를 정리한 분류 체계를 참조하였다는 것에 대한 오해는 종식되어야 마땅하다. 타카하시의 「조선유학사에 있어서 주리파⋅주기파의 발달李朝儒學史に於げる主理派主氣派の發展」이라는 논문은 제목에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실제 목차는 영남학파과 기호학파의 지역대립 및 당쟁으로 엮여있는 노론 내 분파처럼 노론계열의 농암학파를 분리하여 절충파로 분류시킴으로써, 지역 대립과 갈등 및 당쟁을 중심으로 한 조선중후기 혼란과 몰락, 그리고 망국으로 이어지는 책임의 전가를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주리⋅주기의 대립적 분류는 타카하시의 분류체계를 배종호의 한국유학사가 따른 것이 아니라 타카하시가 동경제대에서 학습한 사상사 분류 체계의 도식을 조선조 유학사의 연원록 분류 체계에 적용시켜 전개한 것이었을 뿐이며, 배종호의 분류는 타카하시의 분류가 아닌 조선 후기 전통적 연원록의 분류에 근거하되 철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와 쟁점에 대한 견해를 중심으로 이 분류 원칙에 근거하여 조선 유학의 전개 체계를 정립시켜 놓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nalyzes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Compilation of data of Korean Neo-Confucianism, which can represent Jisan Bae Jong-Ho(裵宗鎬, 1919-1990) as the culmination of his study on confucian history, while looking at his Korean neo-confucianism established through this. In this paper, by discussing the inten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his two representative works, the academic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ystem and content development of his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as examined as follows. First, by presenting the main concepts and ideological development - the school of li (lixue), the school of mind (xinxue), and the eclectic tendency of Chinese neo-confucianism, he flexibly presented the scheme of the confrontation among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Li[理],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Chi[氣], and the school of eclecticis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genealogy among those schools of Korean neo-confucianism were already outlined in the late Choseon. Third, he used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frontational development of those three schools in the Choseon based on the system and method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philosophy by the W. Windelvant of the Baden School of Germany. Since then, he has used this classification standard in his thesis, but he has made it clear that it was used for convenience because none of the schools, regions, or partisans could be used to develop the history of philosophy. His remaining task was to find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alternative to classifying Korean studies. Finally, the misunderstanding that his research achievements referred to the achievements that an official scholar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already classified Choseon neo-confucianism should be ended. In the title of Takahashi Toru's thesis, ‘The confrontational development of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Li[理],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Chi[氣] in Choseon dynasty’ contrary to what was advocated, the actual content was a regional confrontation between Ye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And just as a faction within Noron(old doctron), which was woven into a partisan struggle, was formed, the Noron-based Nongam school was separated and classified as a the school of eclecticism. Through this, he passed on the responsibility that regional confrontation and conflict led to party strife and eventually caused the chaos and collapse of Choseon dynasty. In this way, Bae Jong-ho's classification of schools did not follow Takahashi's classification, but Choseon confucianism's classification. Takahashi's classification also followed the classification, but contained errors. His error was due to his lack of understanding of Choseon neo-confucianism, and at the same time, his political purpose preceded it.

      • KCI등재

        한국고유사상과 유교(儒敎)의 습합(習合) -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

        이상성 ( Lee Sang-s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한국은 한국고유의 사상을 가진 나라이다. 역사가 시작된 이래 한국이라는 지형 안에서 한국인에 의해 형성되어온 고유한 사상이 바로 한국고유사상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인의 삶의 원천으로서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작용하여 왔다. 한국고유사상의 특질로는 첫째, 신이한 영묘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민족의 시원인 단군신화에서부터 비롯되어 한국고대사회와 당시 사람들에게 깊이 스며들었다. 신이함은 비합리적 요소가 아니다. 하늘로부터 비롯된 높고 고귀한 정신이며, 이성만으로 설명 안되는 정신적 특성이다. 고대로부터 내려온 신시적 영명함은 한국적 고유 정신의 핵심이다. 다음으로, 일체적 공존성을 들 수 있다.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한민족’이라는 일체감 속에서 한마음으로 살아왔다. 고대부터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 속에서 공동체를 가꾸며 삶을 영위해 왔다. 이러한 한국고유사상은 외래사상을 수용하는 바탕이 되었다. 그것은 특히 유교사상을 수용하여 생활 속에 녹여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대 한국인들은 고유한 사상적 특징을 바탕으로 외래사상인 유교를 수용했다. 그런 과정에서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을 보였다. 첫째, 유교를 자기 자신의 신념에 의해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생활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유교를 현실에 맞게 변용하고 실정에 맞도록 적용하거나 실천하였다. 셋째, 유교를 수용하되 다른 외래사상과의 공존과 조화를 도모하는 형식을 띠었다. 그리하여 한국인들은 한국고유사상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유교라는 보편성을 띤 외래사상을 원만하게 수용하였으며, 한국적 특색을 지닌 한국유교로 발전시키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모든 과정을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Korea is a country which has its own indigenous thought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there have been some indigenous thoughts developed by Koreans within the terrain of Korea, which can be defined as indigenous Korean thoughts. They have been diversely affecting Korean’s daily life, as the essence of their liv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indigenous Korean thoughts is their mysterious and marvelous mysticalness. This characteristic started from the Dangun mythology, the origin of Korean people, and has been deeply infused into the ancient Korean society and people around that time. Mysticalness is not an irrational element. It is a high and sublime belief derived from the Sky and a spiritual trait that cannot be explained only through rationality. The theocratic mysticality or clarity which has been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times is the essence of the indigenous Korean thought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ir compatibility that allows coexistence. Since early times, Koreans have been living their lives together within the sense of unity that they are ‘the Korean race.’ That is, they have been lead a communal life with the sense of one race, while cultivating their communities. These indigenous Korean thoughts have become a foundation to accept the foreign thoughts. Particularly,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and making them infused into the daily life. Ancient Koreans have accepted Confucianism, the foreign though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digenous thoughts. During this process, there have been three major characteristics as well. Firstly, they intended to independently adopt Confucianism based according to their own faith and belief, and then to implement it in their lives. Secondly, they adapted and transformed Confucianism to be true to reality and applied them or put them into action in a practical way. Thirdly, they had a format of accepting Confucianism yet promoting coexistence and harmony with other foreign thoughts as well. Accordingly, Koreans have smoothly accepted the foreign thoughts called Confucianism which possessed universality within the frame of particularity of indigenous Korean thoughts, establish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them into Korean Confucianism with unique Korean characteristics.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se whole process with the focus on Samguk Yusa: Herit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

      • KCI등재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의 한국유학 연구의 회고 -중국 ·일본의 퇴계학 연구를 중심으로 -

        김향화 ( Xiang Hua J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고에서는 먼저 넓은 시야에서 한국유학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한국유학에 대한 연구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퇴계학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과 대만, 일본에서의 한국유학 연구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중국 대륙 학자들의 한국철학 연구는 의리에 대한 해설을 중요시하며 중정평화적인 연구 태도를 갖고 있는 데 비하면, 대만 학자들의 연구는 방법론상에서 서양의 분석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 학자들은 엄격한 문헌분석을 중요시하며, 사상의 역사적 객관성을 드러내는 데 힘을 쓰고 있다. 근래의 퇴계학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풍성한 성과를 거두었다. 근래 일본, 한국과 대만학계에서 등장한 퇴계 심학과 양명학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도 심사숙고할 문제이다. 어떤 연구든지 모두 자신의 나라와 지역, 지식축적과 사상인식에서 출발하는바 그 배후에는 반드시 주체적인 감정과 현실적 문제의식이 존재한다. 방법상의 겸채중장(兼采衆長)과 문제의식의 서로 어울림은 퇴계학 연구와 한국철학 연구가 더 깊이 있는 발전과 넓은 영향을 갖는 데 유리할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ce the status and research overview of Korean Confucianism in Eastern Asia with the macroscopic view. Mainly making Tuixi as an example on this basis, respectively make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overview among the modern Chinese mainland, Taiwan and Japan towards Korean Confucianism. The scholars who are from Chinese mainland think highly of the expression on meaning and principle in the research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shown the fair and peace; The scholars who come from Taiwan are obviously impacted by the western world(Taiwan uses the means influenced by the western thinking method) in the means of researching the Korean Confucianism; Japanese persistently rely on the literature and try to reproduce the objectivity of historicism. For decades, the research of Tuixi had made great achievements in Eastern Asia. It had understood the allover content of its thought, It is also worth thinking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uixi psychology and Yinyang study in Japan, Japan and Taiwan in recent years. Any research is unavoidable to start from own countries , areas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but there is a question idea behind the back that comes from emotion and fact. Making the advantage in study meanings and communication in question consciousness will be beneficial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study of Tuixi in depth and expand its influence.

      • KCI등재

        한국학의 기원으로서 조선서학의 의의

        이향만 ( Hyang Ma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한국학의 세계화는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북돋워주는 한국학의 핵심 아젠다를 개발하고, 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새로운 한국학 분야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학의 세계화란 한국학을 중국학이나 일본학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문화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학문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90년대에 이르러 한국학의 세계화에 대하여 여러 분과에서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을 갖고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세계화를 크게 외치는 것만큼 민족적이고, 지역적인 면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본래 이러한 한국학의 세계화를 향한 움직임은 이미 “조선학” 개념에 내재되어 있었다. 조선학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 주권을 강탈당한 민족으로서 3?1운동을 통한 정치적 저항이 실패로 끝나면서 그 문화적 역량이 조선학 학술운동으로 전개되면서 나타났다. 조선학 운동은 민족학의 범주에서 머물지 않고 조선학에서 보편학문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학자들은 보편학으로서 조선학의 뿌리를 학문의 보편적 성격과 실증성을 지향하는 다산학에 두게 되었다. 실로 서학의 유입을 통하여 조선유학에 형이상학과 형이하학의 두 측면에 도전과 응전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조선의 심학전통은 서학의 형이상학을 해석하는 고유한 학적 바탕이 되었다. 본고는 근대 조선학문의 성격을 밝히고 조선서학이 문화학으로서 조선학으로 나아가는 유동적인 과정학으로서 보편적 요소를 갖추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한국학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고 있다. The Aims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s to develop Korean Studies abroad and to encourage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pride, and to define the sphere of Korean Studies. In addition,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tends to improve Korean Studies` international status as an independent Culturology like Sinology and Japanology. In 1990`s many scholars put a lot of efforts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and critical approaches, but the results were not up to par. In many ways the movement toward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was already inherent in the concept, namely Chosun Studies. The interest towards Chosun Studies appeared in 1930`s which wa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cultural competency as the people raised their voice against colonial rule, though the March First mass political resistance movement ended in failure. Chosun Studies` movement unfolded with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 science without confining only in the category of Ethnology. In this process the Korean scholars found the root of Chosun Studies in Dasanhak (茶山學) to re-orient the universal nature of the study. Indeed, through the influx of Western Learning Chosun Confucianism had to accep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tudying metaphysics and natural sciences. The tradition of Chosun philosophy of mind underlays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wo aspect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nature of modern Chosun Studies, and considers Chosun`s Western Learning not only as a Culturology but as a liberal Process Studies. Also, from this point of view point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future prospects, possibilities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한국철학 : 한국(韓國) 지성(知性)의 전통(傳統)과 율곡(栗谷) 이이(李珥) -도원(道原) 선생(先生)의 율곡관(栗谷觀)

        김문준 ( Moon Joon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4

        율곡 이이는 한국 지성사를 대표하는 지성인이다. 한국의 사상가들은 儒佛道 사상들의 본령을 꿰뚫어 그것을 自己化하여 자기 인격과 한국 문화의 主體性을 확립했다. 이러한 한국 학술사와 정신사는 성리학에서 훨씬 강화되어 內面的 主體性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 인류가 공감할 수 있는 普遍性을 추구했다. 한국 학술사의 특징은 진리에 관한 이해의 多樣性을 하나로 會通하고 人間 自我의 完成을 지향하여 인간의 主體性을 세우는데 집중되었다. 인간의 마음 속에 내재한 天理를 규명하여 인간의 感性과 理性, 그리고 神明性을 綜合的이고 全人的으로 탐구했다. 이러한 지적 전통에 입각하여 한국인의 知的 傳統은 眞理愛와 人間愛의 양자가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진리의 깨달음과 인간애를 결합하는 지성사를 이루어 왔다. 율곡의 학술 태도는 그러한 전통을 가장 확실하게 계승하였다. 율곡은 聖俗의 일치, 眞理를 추구하는 學術 정신과 人間을 사랑하는 愛民 정신, 理想과 現實의 調和 문제에 있어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지성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율곡의 구체적인 정치실천론은 유교의 民本主義와 憂患意識을 계승하여 ``先養民後敎化``로 집약되었다. 율곡은 성리학도 正德 차원에 그치는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참다운 의미에 있어서 實學이 되는 근거라고 주장했으며, 인간 사회에 있어서 윤리 가치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客觀的 事理를 밝히며 매사를 처리함에 합리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율곡의 개혁 정신은 愛國 愛族하는 지극한 정성에서 나온 것이다. 율곡은 事實에 입각하여 至高한 가치를 추구하며, 理想을 추구하면서도 現實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자신만의 孤高한 精神的 自由를 자득하고 추구하면서도 民衆의 아픔을 자기 삶의 문제로 삼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를 犧牲하며 그들과 더불어 살고자 했다. 율곡에게서 배우는 가장 큰 본령은 바로 이러한 지성인이 지향하는 삶의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Yulkok Lee-Yi(李珥; 1536-1584) was one of the best intellectual in Korea. The intellectual of Korea had penetrated the cor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y established subjecthood of their own personality and korean cultur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scholarship history was to collect the understanding diversity on truth. and, for the perfection of self, was to concentrate on establishing subjecthood. The tradition of academic and human spirit was enriched in the neo-confucianism. Confucianism was the ruling principle in the Joseon dynasty. The natural principle in human beings was synthetically studied to be a holistic approach to sensibility and reason, and godhood of human beings. On the basis of The long-standing intellectual tradition of Korea. Koreans combined the truth with love of human beings. Scholarship of Yulkok let us teach certainly the traditional heritage of intellectual. Yulkok was one of the best intellectual about the problem of the harmony of secularity and sanctity, And he was a representative of the spirit of scholarship and love of people, harmony of ideals and reality. Yulkok insisted that neo-confucianism not only learning of personal virtue(正德) but also Silhak(實學; Realist science of Confucianism). He strongly asserted that all of the society problem is to be reformed essentialy and reasonably. Youlkok`s strict insistence on reformation came out from devotion to his country and to the people. Youlkok didn`t escaped from reality despite pursuing sublime value and ideal. Also, he regarded the pain of people as his pain while pursuing lofty spiritual freedom. He sacrificed himself to solve the problem and to settle down their pain. What is the most important of learning from Yulkok`s life is the way of life as he endeavored to live stated the above.

      • KCI등재후보

        한국 유학의 리더십과 그 현대적 특징 - 持敬에서 至治로, 지혜의 리더십 -

        김동민 한국철학사연구회 2008 한국 철학논집 Vol.0 No.23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for modern usage. The essay uses two analysis models. The tools used for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s one axis and ruling out the roles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as the other axis. First axis is the process of the leader setting the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successfully deploy his/her leadership. The second axis is comprised of four specific fields where the leadership is deployed. The four sectors are Self Sector, Relationship Sector, Team Sector and Community Sector. Core values of each sector have been set up and specific competenc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Self Sector, zhìxīn(治心) and chíjìng(持敬) have been set as core values and lìzhì(立志) and shíxīn(實心) as their competences. In the Relationship Sector and Team Sector, circumstances(時宜) and shíshìgēngzhāng(實事更張) were set as core values, accordingly. Lastly for the Community sector, the core value, 'Ideal Leader and the Visions of and Ideal Community', was conceptualized as ‘mùmínzhìzhì(牧民至治)’. The leadership is then expanded from the Self Sector to the final stage through its processe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Korean Leadership Model is not rigid to just cover a specific point in time or situation, but embraces many contemporary leadership concepts, thu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leadership theory. 본 논문은 최근 동양철학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더십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현대 리더십이론을 조선시대 유학에 접목시켜 우리 고유의 한국형 리더십의 원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분석모델, 즉 리더의 개인적 특성과 역할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과 리더십이 발휘되는 구체적 현장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을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축은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모습, 즉 리더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이며, 두 번째 축은 개인영역(Self) - 관계영역(Relationship) - 조직영역(Team) - 사회영역(Community) 등 리더십이 발휘되는 4개의 구체적인 현장이다. 각 영역별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핵심가치를 설정했으며, 그 핵심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개인영역에서는 治心과 持敬을 핵심가치로, 그리고 立志와 實心을 그 역량으로 한 셀프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관계영역과 조직영역에서는 각각 時宜와 實事更張이라는 핵심가치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영역에서는 ‘이상적 리더상과 이상사회의 비전’이라는 핵심가치를 ‘牧民至治’라는 개념으로 정의함으로써, 개인영역에서 점차 확대되어 리더십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한국 유학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리더십은 어느 한 시점이나 특정의 상황에서만 유용한 단발적인 리더십이 아니라 현대의 다양한 리더십이론을 포괄하는 종합적 리더십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