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및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가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민지 ( Jung Minji ),정재은 ( Chung Jae-eun ),양희순 ( Yang Hees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1

        한국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 및 한·중 간의 외교적 마찰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내 역직구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 ‘Kmall24’ 웹사이트의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편리성을 측정하여 한국 화장품에 대한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의 남·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는 주로 중국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제품 중 화장품 및 뷰티제품, 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결과 한류는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와 한국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는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및 제품이미지는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된 이용편리성 및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유용성이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한국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해외소비자의 한국제품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시장에 중소기업의 소비재 수출 판로 확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기대된다. Cross-border shopping is defined as domestic consumers’ direct purchase of foreign products via online platforms, Korean cross-border shopping market exhibited extraordinary growth. According to the Korean Customs Service Office(2017), Korean e-commerce exports reached 2.3 trillion won in 2016 and increased by 84 percent year-on-year, and China is Korea’s largest e-commerce export market. Furthermore, due to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he demand for Korean consumer-goods among foreign consumer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wave, product imag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Chinese consumers’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consumers older than 20 years of age and who live in China using a quota sampling method. An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 ‘Kmall24’ website, was utilized to evaluate how participants perceive usefulness, ease of use and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and AMOS 21.0 was used to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wav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duct image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roduct imag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ease of use. Third, Korean wave and product image had indirect effects on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Forth,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hich, in turn, was positively related to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The results help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cross-border e-commerce and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Korean cosmetics firms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emphasizing Korean wave and product image of Korean cosmetics to enhance export performances.

      • KCI등재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도연 ( Kim¸ Doyeon ),송찬기 ( Song¸ Changi ),강정석 ( Kang¸ Jungsuk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감정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할 만하고 타당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3개의 하위 연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Maio와 Esses(2001)의 감정욕구 척도에 대한 한국인 대상의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1개 문항의 3요인 구조 (감정회피, 감정이해, 감정체험)로 구성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 확정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기반으로 연구 2에서 9개 문항의 3요인 구조로 구성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국내용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두 하위 연구(연구 1과 연구 2) 결과에 의하면,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가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보다 심리측정학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인(만 20-29세 집단 vs. 만 60세 이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 3에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교차 타당도와 준거 타당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to measure Koreans’ need for affect reliably and validly. To obtain the goal, three sub-studies were conducted online. In Study 1, the need for affect scale developed by Maio and Esses(2001) was validated for a Korean sample. As a result, a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21 items, three-factor structure (emotional avoidance,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experie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9 items, three-factor structur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same Korean sample in Study 2. The results of the two sub-studies (Study 1 and Study 2) confirm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is psychometrically and economically superior to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In Study 3 with other Korean sample (Koreans aged 20 - 29 years vs. Koreans over 60 years), the cross validity and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ere found to be high.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주혁균 ( Yi Jun Zhou ),류미현 ( Mi Hyun Ryu ),이승신 ( Seung Si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시장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문제들이 발 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커머스 이용시 가장 불만족한 유형을 비교하고, 불만 경험 시 불평행동의 유형별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 중국소비 자들이 각각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재구매의 의도가 어느 정도 있는지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 엇인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소비자 측에서는 양국 소비자들의 불만을 최 소화하고, 만일 소비자들이 불만족이 있다면 적극적인 불평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할 것이며, 소비자들의 무분별한 재구매를 감소시키고 정확한 판단 아래 재구매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아 울러 기업 측에서는 소비자들의 불만족 및 불평행동을 파악하여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 히 중국 진출 기업에게는 유용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커머스 소비자불만족은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인 사전 기대불일치불만, 모바일 및 결제서비스불만, 사후서비스불만의 세 영역 모두 중국소비자의 불만이 더 높게 나타났 다. 둘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소비자불평행동은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이 사적, 공적불평행동 모두 더 많 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가 한국 소비자보다 소비자불만족과 소비자불평행동이 높은 것은 아직까지 중국에서 소셜커머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나 법률의 부재로 인한 결과라 생각된다. 셋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 커머스 재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가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에 비해 소셜커머스 재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중국소비자 모두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소셜커머스 이용 관련 소비자교육시에는 소비자들의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제품 구매시 습관적인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매 의사결정관련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소비자들의 경우 사적대응행동을 많이 할수록 오히려 재구매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행동으로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기업에 반영되기 어려우므로 기업에서 소비자들의 잠재 불만을 파악하기 전에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결국은 재구매 의도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므로 기업은 향후 공적행동과 함께 사적 불평행동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파악 이 요구된다. Social Commerce market already has rapid grown and got strong spread for consumers` behavior in South Korea for consumption behavior. Aslo many consumers in China has almost same phenomenon in using social commerce near from big city. However, more problems such as service quality decline and consumers` complaints occurred as commerce market grows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related consumers` behavior using social commerce market. It reviews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current social commerce market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Consumers` dissatisfaction, complaints, re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conducted in October 6th -25th, 2011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delivered to 20s` and 30s`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rough Internet. The total number of 382 consumer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Beijing, Xinjiang, Hebei and Shanghai in China. In South Korea, quesionnaire were delivered in districts Seoul, Inechon, Kangwan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have more frequently visit, more purchasing behavior, more diverse items purchased were shown in social commerce than South Korean consumers.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for social commerce was found higher in Chinese consumers. This result is supposed to be caused by larger rapid growth in internet shopping, home shopping. Second, Chinese consumers were reported to be more satisfied with social commerce than S. Korean ones, and this disparity is significant. Third, Chinese consumers committed more complaining behaviors than consumers in South Korea. This difference was verified to be significant. It is supposed that is caused lack of legal regulation on social commerce market in China, compared to South Korea. Fourth, Social Commerce consumer repurchase intentions were higher for consumers in China compare to South Korea. The number of purchases, number of visits per month were affect repurchase behavior in social commerce both in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propose some suggestions on improving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First, because South Korean electronic trade is comparatively more developed and more policy-ruled than China, Related legal laws and regulations for consumer protection are insufficient in China, yet. As the market rapidly develop, more diverse, severe problems will arise. I is necessary for formulating related policies and laws especially in social commere market for protecting consumers. Second, it is necessary giving consumer education for consumers related electroing transaction because of rapid growth and professional knowledge for using social commerc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xpress complaints through several channels such as company, non-government organization, gover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consumers for dealing with dissatisfaction and resolve the problems.

      • KCI등재

        가계의 은퇴자금으로서 퇴직연금의 자산배분에 대한 한미간 비교연구: OECD 패널자료 및 근로자심층면접 분석

        최신애 ( Shinae Choi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가계 은퇴자금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퇴직연금의 자산배분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OECD 패널자료를 실증분석하였고, 퇴직연금에 가입한 가계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되, 퇴직연금제도가 발달된 유럽 선진국도 함께 포함하여 퇴직연금의 자산배분현황 및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은 퇴직연금의 투자상품으로 예적금과 같은 원리금보장상품을 강하게 선호한 반면, 미국은 주식과 같은 고위험자산에 편중된 자산배분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근로자들은 안전한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안정자산을 포함한 리밸런싱이 요구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원리금보장상품 위주의 자산배분에서 탈피하여 수익성 자산에 장기투자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인 리밸런싱이 요구된다. 더불어 퇴직연금의 자산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 여성평균수명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예적금과 채권에, 남성평균수명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주식과 기타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가계순저축율이 높아지면 가계의 은퇴자산 마련을 위한 퇴직연금 투자시에는 상대적으로 고위험자산에 해당하는 주식과 기타자산의 비중을 높여 안정성보다는 수익성을 추구하는 성향을 보였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주식에 대한 투자비중이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퇴직연금에 가입한 우리나라와 미국 가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대일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첫째, 미국 가계의 경우 생애주기별로 퇴직연금의 자산배분행동이 상이하게 나타난 반면, 한국의 경우 근로자의 연령이나 직업, 퇴직연금 가입년수, 성별의 차이와 상관없이 모두 현금성 자산인 예적금에 투자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둘째, 미국 근로자의 경우 퇴직연금의 자산배분 리밸런싱을 보다 적극적으로 자주 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퇴직연금 도입초기에 선정한 상품을 그대로 유지하는 등 리밸런싱에 대한 노력과 인식이 상당히 저조한 타성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미국에서 401(k)와 IRA가 가계의 은퇴자금이라는 목적은 동일하나 퇴직연금 유형별로 자산배분에 대한인식과 행동이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에서 IRP는 다른 퇴직연금과 서로 연동되기 보다는 추가적인 연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한국에서는 퇴직연금의 자산배분에관한 의사결정시 직장동료나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미국에서는 준거집단보다 퇴직연금운용사의 정보공시자료가 큰 영향을 미쳐 금융소비자정보의 중요성을 확인할수 있었다. 근로자들의 은퇴자금 마련을 통해 가계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된 지 8년이 된이 시점에서 우리나라보다 수십 년 앞서서 도입되어 정착된 미국 퇴직연금의 자산배분과 비교분석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개인 금융소비자뿐만 아니라 가계, 나아가 정책입안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The shift in age structure associated with aging populations has a profound impact on a broad range of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United Nations 2002). Specifically, increasing longevity can result in growing demands for retirement funds and rising risks for lack of money earmarked for retirement years. Longevity risk, the risk of outliving retirement savings, is a real concern for retirees. In general, social security, employer-provided pensions, and annuities purchased from personal savings are sources of income that can help retirees to manage their longevity risk (Society of Actuaries 2006) because the benefits extend until death. A key challenge for consumers is to accumulate sufficient savings to finance the kind of lifestyle that is desired in retirement (Kerr 2008). The role of private retirement fund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consumers may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regarding allocation of financial assets.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trends of retirement funds asset allocation among OECD countries between 2001 and 2010, (2) to examine current retirement assets and se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ife expectancy at birth, household net saving rates, and education attainment, and (3)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compared the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using mixed methodology approach. The study us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irst,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in six developed countries; each representing a very different retirement allocation strategy. Comparis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Metadata in 2011 (http://stats.oecd.org). This study focused the analysis on comparisons of allocations to retirement plans, such as 401(k) and IRA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one-on-one in-depth interview with 14 respondents who had retirement plan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The 7 interviewees were the residents who were living in Iowa State and Illinois State in the U.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March 2, 2012 and April 6, 2012 for residents in Iowa and between May 2, 2012 and June 5, 2012 for residents in Illinois. In addition to the U.S. resident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7 respondents in South Korea in August 2012. The interviewees were the residents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as follows. The OECD member nations this study included were the Czech Republic, Denmark, Germany, Italy, Korea, and the U.S.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s follows: first, having a three pillar retirement system; second, a geographic balance among OECD countries [America, Europe (West, North, South, and East), and Asia-Pacific]; and third, data availability. Thre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for managing the portfolio of retirement funds are life expectancy, education attainment, and household net saving rates. Longer life expectancy needs more sufficient accumulation of assets. Retirement tends to be the most important saving motive, making a change in pensions and expected length of the retirement period important demographic variables in saving decisions (IMF 2010). This study examined life expectancy at birth, education attainment, and household net saving rates as social and financial factors in the description of retirement asset allocation. The descriptive analysis of life expectancy at birth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pensionable years. The average level of pensionable years for women was five years longer than men. The result implies that women need more retirement funding than men. The pensionable years of Italy, Korea, and Czech Republic were longer than average of OECD while Germany, U.S., and Denmark were shorter than the average of OECD. The countries with relatively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were more likely to invest in equities. German household net saving rates as a percentage of household disposable income were the highest while Danish that have the shortest pensionable years were the lowest in selected OECD countries. The household net saving rates in countries such as the U.S. have been steadily low while it has fluctuated in Korea. The existing retirement programs may need to be recalibrated because Korean household net saving rates were very low even though Korean pensionable years were long.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trends of retirement funds’ asset allocation. Since the onset of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the percentages for equities in total investment of retirement funds were decreased in selected OECD countries except in Germany which had the highest household net saving rate (11.1%).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set allocations in the U.S. were concentrated in equities such as stocks and mutual funds. In general, the expected return of equities is higher than other asset classes but expected volatility is also highest among equities. Therefore, the assets of U.S. retirement plans have been most strongly impacted by recessionary stock market conditions. As a consequence,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may have hurt retirement prospects for U.S. citizens more than citizens in other countries. Current U.S. retirement assets may need to be rebalanced to increase financial security of retirees. On the other hand, the Czech Republic and Denmark had retirement assets concentrated in bills and bonds, and Korea had retirement assets concentrated in cash and deposits. In good economic times, those countries did not benefit as much by investing in lower-yield funds. These countries might need to gradually rebalance the funds for long-term investment with higher returns.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respondents who had 401(k) or IRA in South Korea and the U.S. a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ategies on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among U.S. household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 of life cycle. In Korea, however, it had a very high percentage of GICs (Guaranteed Interest Contracts) regardless age, gender, job, and the number of years having retirement plans. Second, U.S. households often rebalanced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but most of Korean households had kept the initial asset allocation when they opened the retirement plans. Third, the investment goals of 401(k) and IRA were the same but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asset allocation were different in the U.S., while the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was the additional retirement plans and was separated from employer-provided pensions in Korea. Fourth, the decision making on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were highly influenced by reference groups such as work colleagues, friends, and family members among Korean but were affected by information disclosure such as flyer, reports, and websites information among U.S. households. The asset allocation of retirement plan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dividual, household, and aggregate social financial welfare.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on the asset allocation of the retirement plans in households’ retirement funds between selected OECD countries, I hope that this contribution will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retirement policies that could ultimately benefit individual consumers, families, and policymakers.

      • KCI등재

        한국형 물질주의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강아롱,윤성욱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2

        지금까지 물질주의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용되는 물질주의 척도는 30~40년 전 개발된 척도로 너무 오래 되었으며, 미국에서 개발되어 한국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척도는 전무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마다 물질주의 하위구성개념이 다르게 사용되어 왔기에 오래전 측정되었던 요인이 지금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주의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한국인의 물질주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개방형 설문지, 심층면접을 통한 98개 예비문항에서 전문가의 내용타당성 조사를 거쳐 최종 45개 문항을 도출하는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이후, 총 747명의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본 연구가 진행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판별 타당성 진행과 함께 1,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그리고 물질주의와 유사개념과의 판별 타당성 및 과시소비, 충동구매, 삶의 만족도 등의 변수들과의 법칙타당성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11개 문항 3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3차례 진행된 본 연구로 개발된 척도의 3개 요인은 각각 물질의존형, 돈만능형, 과시지향형 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물질의존형 4문항, 돈만능형 3문항, 과시지향형 4문항으로 총 11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시대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가치관, 인식을 반영한 물질주의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둘째, 한국의 문화와 정서 및 특성이 반영되었기에 한국인의 물질주의 가치관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된 물질주의 척도와는 다른 새로운 요인이 도출 되었다. 이 요인들은 현대 사람들의 물질에 대한 사고와 인식이 변했음을 예상할 수 있는 결과이다. 물질주의 척도가 변화된 소비자들을 이해하는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등 학문적 연구에 높은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식품안전인식과 위험지각 및 안전식품 추가지불의도

        김경자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자국의 식품안전 수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식품안전과 관련된 위해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의 위험을 지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안전한 식품을 위한 소비자들의 추가지불의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여성 소비자 267명과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보완설명을 위해 면접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자국의 식품안전수준 평가점수는 100점 만점에 70점을 밑도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생산에서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는 각 단계별 식품안전수준에 대한 평가는 한국과 중국이 달랐다.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15개 위해요소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소비자들보다 위험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위해요소로부터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기 위한 추가지불의도는 한국소비자보다 중국소비자 집단에서 더 높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지각한 식품위험을 감소시킬 식품안전정책과 수출입 교역시 상대국 소비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방안과 시장 개척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