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교실에서 놀이수업의 접근 방안

        유승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놀이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하나의 매체가 됨을 탐색하여, 초등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적 접근방안을 6영역으로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놀이 수업의 접근방안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놀이수업의 6접근 영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접근 1은 비놀이 접근으로 지식중심의 암기가 목표이고 놀이는 때대로 삼으로 주어진다. 접근 2는 자유놀이 접근으로 놀이 자체가 목적이며 정신건강 증진 등이 목표이다. 접근 3은 작은놀이 접근으로 주의집중과 동기유발을 목표로한다. 접근 4는 교과목표놀이 접근으로 본시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 매체를 활용한다. 접근 5는 발달적 놀이 접근으로 목표는 지적, 정서적 , 사회성, 도덕성 발달 등의 개발이다. 접근 6은 통합적 성장 놀이 접근으로, 그 목표는 통합적, 전인적 인간성장발달에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 educational meaning of play, explore a possibilities of play appliable to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develop a play approach model for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by presenting six domains of play approach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he followings are important elements of educational meaning of play. First, play enables children to make sense of their world. Second, play develops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s. Third, play allows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orth, play fosters flexible and divergent thinking. Fifth, play provides opportunities to meet and solve real problems. Sixth, play develops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and concepts. The followings are six domains of play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Approach 1 aims memory knowledge with non-play approach based on behaviorism. Approach 2 aims stable emotion, happiness, and play therapy with free-play approach based on psychoanalysis. Approach 3 aims a attention during class and motivation with small-play approach based on child-centered education. Approach 4 utilize play medium with play approach for subject matter based on constructivism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pproach 5 aims the advancement of human knowledge, sociality, cooperative spirit, thinking power, and human relationship skill with development play approach based on humanism and DAP. Approach 6 aims development of integrated whole human with integrated growth play approach based on hollistic education, DAP, humanistic education, constructivism,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 교정복지 수퍼비전의 발달적 접근에 대한 고찰

        김인숙(Kim Insook),조성민(Cho Sungmi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교정복지 실천현장에서 교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커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퍼비전에 대해 발달모델에 입각하여 고찰하였다. 워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으나, 사회복지 실천 또는 교정상담과 같이 사람을 다루는 원조전문직의 업무현장에서 워커의 계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데는 수퍼비전이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다양한 수퍼비전 모델 중 발달모델은 워커가 초보수준에서 숙련 내지 마스터 수준으로 이르는 일련의 발달단계를 거쳐나간다는 가정하에 워커의 경험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Stoltenberg와 Delworth의 통합발달모델과 더불어 이를 더욱 발전시킨 Hawkins와 Shohet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정복지 수퍼비전에 대한 4단계적 발달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발달적 접근은 수퍼비전의 구조와 내용을 형성하고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사회복지실천 또는 교정상담 현장의 직원수퍼비전에서 전문성 발달수준이 낮은 워커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뿐 아니라 수퍼바이저의 발달수준 향상을 위해서도 유용한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발달모델을 교정복지 실천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수퍼비전 체계구축을 위한 정책과 수퍼비전 프로그램의 구조화에 대해 고찰하면서 개별수퍼비전과 집단수퍼비전의 구조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발달수준에 따른 적절한 수퍼비전 실행을 위해 워커와 수퍼바이저를 어떻게 적절하게 배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 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velopment model for the supervision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to clients and job satisfaction levels of worker to provide correctional welfare services in the correctional welfare. There can be a variety of way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But supervision is very important in promoting the continued growth of workers in the workplace of professional helpers to deal with such people as clients of social welfare or correctional counselling. And among various supervion models, development model provides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experience with the assumption that works proceed through a series of stages of development, ranging from beginner to experienced or master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four phased developmental approach of correctional welfare supervision centering on the integrated development model of Delworth and Stoltenberg and the further developed theory of Hawkins and Shohet. Developmental approach provide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upervision and can increase levels of supervisors as well as boost the low worke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o a high level. And while considering the policy for supervision system building and structuring supervision progra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individual supervision and group supervision is suggested. Finally, proper matching of worker and supervisor is considered to ensure proper supervision depending on their developmental levels.

      • KCI등재

        L. Kohlberg의 발달적 사회화 접근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콜버그의 도덕 교육 연구에 관한 포괄적 이해에 있다. 초기 콜버그의 도덕 교육에 관한 연구는 발달적 관점에서 가설적 딜레마 토론을 통한 개인의 도덕적 추론 능력의 함양에 있었다. 그러나 가설적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 교육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그의 발달적 관점의 도덕 교육 연구는 발달적 사회화 관점으로 전환한다. 초기 연구에서 뒤르케임을 비판했지만 후기연구에서는 그의 사상을 수용하면서 개인의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적 분위기에도 관심을 갖고 정의 공동체 접근을 모색한다. 그의 발달적 사회적 관점은 개인의 도덕적 추론과 학교 공동체 유대감, 개인의 권리와 책임감, 정의와 배려가 조화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으로서 오늘날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는 도덕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hlberg`s ideas about moral education. In Early study, Kohlberg was closely identified with the cognitive developmental perspective. He carried over many of the structural assumptions and criteria that characterized Piaget`s stag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So he was interested in cultivating ability of individual`s reasoning through the discussion of hypothetical moral dilemmas. But he revises his developmental perspective about moral education because of limits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e discussion of hypothetical moral dilemmas. Drawing from the ideas of Durkheim, Kohlberg came to believe that unit of education was the group. And moral education should change the school`s moral culture, not just develop the person`s moral reasoning. In this context, his approach about moral education involves both the collective socialization of mor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al promotion of moral reasoning. Thus his developmental-socialization Approach is full of suggestion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because his approach incorporates both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오헌석,김정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pproaches and critical issues in expertise research, explore new approach,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Expertise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traditional approach and expert performance approach. Critical research issues in expertise are identified as definition of expertise, componential elements of expertise, measurement of expertise, transferability of expertise, and time length to develop expertise. New approach to expertise research was suggested as expertise development approach. New research agenda in expertise development research include integrative framework to analysis expertise, life-long perspetive to expertise development, learning mechanism of expertise development, developmental strategies to accelerate expertise development.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문성 연구를 크게 전통적 접근법과 전문가 수행 접근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으로는 전문성의 정의(definition), 전문성의 구성요소(Component), 전문성의 측정(measurement), 전문성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전문성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time) 등 5가지 주요 이슈로 분류하여 각각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전문성 연구의 방향으로 전문성 개발 접근(Expertise Developmental Approach)을 제시하였다. 전문성 개발 접근의 연구과제로서 전문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연구방법의 도입, 전 생애적 관점의 전문성 연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학 습 메커니즘 분석 연구, 전문성 습득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발달 전략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도덕 발달과 문화의 교차점 탐색

        송애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8

        This study introduces A. L. Jensen's cultural-developmental approach as a useful perspective to study the mor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This approach presents the development path of autonomy, community, and divinity ethics suggested by Schweder based on the existing moral development theory and related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we examine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various cultures using a cultural-developmental approach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for setting go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moral education. This study raise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daily experiences,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around them,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communication with key people around them in moral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goals of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coexistence model'. Finally, as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culture,' a meaningful unit of analysis, the importance of research to reveal cultural processes, considerations in designing research, and the importance of capturing indigenous people's perspectives and concep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도덕 발달을 연구하는데 유익한 관점으로서 젠슨(A. L. Jensen)의 문화-발달적 접근을 소개한다. 이 접근은 기존의 도덕 발달 이론과 관련 경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슈웨더가 제시한 자율성, 공동체, 신성 윤리의 발달 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발달적 접근을 취한 다양한 문화권의 경험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도덕과 교육의 목표 설정 및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갖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공존 모델의 관점에서 도덕과 교육의 목표를 제언하고, 아동의 일상생활 속 경험과 아동을 둘러싼 사회적·물리적 환경, 그리고 사회적 의사소통의 도덕 교육적 중요성을 논의한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문화’에 대한 조작적 정의의 필요성, 의미있는 분석의 단위, 문화적 과정을 밝히는 연구의 중요성, 연구 디자인 설계 시 고려할 점, 원주민의 관점 및 개념 포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유학의 경권론과 현대 도덕교육의 방향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09 道德敎育硏究 Vol.20 No.2

        Since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and the so called 'integrative approach' as the alternative to it, modern moral education has been in the stalemate between 'development of form' and 'discipline of virtues', in the same line, the dilemma between the university of moral principle and the particularity of actual moral situation. In Jing-Quan Lun (經權論) of Confucianists, the contradiction between Han scholars and Ch'eng I on the relation of Jing and Quan shows clearly the dilemma between the request for establishment of absolute priniciple and the need for flexible judgement in actual situation, and Chu Hsi tried to eliminate that dilemma. According to Jing-Quan Lun in the light of the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Jing is not confined to manifestation of Tao(道) in normal situation but identical with Tao itself as the unmanifested moral standard, and Quan is considered as its practical manifestation in actual situation. Thus, Neo-Confucian moral education aims at the cultivation of the unmanifested mind and natural manifestation of Jing in every actual situation. Here, the two poles of above dilemma are placed in the two fold structure of mind and this provides an example of true integration of form and content of morality. The right path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is. 콜버그의 인지발달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적 접근’이 등장하였지만, 현대의 도덕교육은 도덕적 원리의 보편성과 현실적 상황의 특수성, 또는 자율적 판단력의 발달과 관례적 덕목의 실천 사이의 딜레마를 해결하지 못한 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유학의 경권론에서 경과 권의 관계에 관한 한유와 정이 사이의 상반된 견해는 도덕적 표준의 절대성을 확립하는 것과 현실의 도덕생활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 사이의 딜레마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주희의 경권론은 그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희의 그 방법이 진정한 해결이 되기 위해서는 성리학의 이론체계와 일관된 방향으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재해석에 따르면, ‘경’은 도의 정상적 표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그 자체, 즉 현실의 사태로 표현되기 이전의 도덕의 표준이며, ‘권’은 현실의 사태에서의 경의 실천적 표현이다. 성리학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은 미발의 표준으로서의 심성을 함양함으로써 ‘경’과 일관된 ‘권’이 자연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심성의 함양과 경권의 실천을 위한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원리와 현실적 상황은 딜레마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미발의 표준과 그 실천적 표현이라는 ‘중층’의 방식으로 ‘통합’을 이룬다. 현대 도덕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 또한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 학교폭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김순혜(Soon-Hye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발달적맥락적 분석을 시도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생태학적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하여 공간적인 규모를 기준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기 위한 것이다. 발달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맥락적 분석을 하기 위해 개인적 특성을 비롯해 폭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으로서 가정, 학교, 사회요인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4개 예측 요인 안에는 14개의 세부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성남시에 위치한 초중고 27개교 835명이었다. 연구결과, 학교폭력의 실태는 가해경험이 27.5%, 피해경험이 37.4% 로 피해경험이 더 많았으며, 학교별로는 초등학생의 폭력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해경험 유무별 예측요인 점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해경험 집단은 모든 예측요인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을 예언할 수 있는 요인들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학교요인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친구관계 관련요인이 가장 높은 예언력을 보였다. 다만 초등학생의 경우는 가해경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 폭력매체의 접촉정도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의 예방과 개입이 초등학교때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접근 방법 역시 초중고별로 다르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학교폭력에 미치는 친구관계의 높은 영향력으로 비추어볼 때, 학교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상담활동은 개별상담보다는 집단상담의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violence. For the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analysi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various environments.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dividual/ familial/school/ social characteristic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2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Sungnam city, where 835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wo-way ANOVA, zero-orde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shows that 37.4%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victim and 27.5% of them had bullied other students. Second, students who had bullying experiences perceived their environment negatively. Third, the powerful predictors of school violence were friend factors. but in elementary school, violent media were most powerful predi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violence was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t seems important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involving all students, parents, school staffs and community staff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