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이병호 ( Byoung H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과 토대를 설정·제시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최종실행자인 교원들의 교육과정적 전문성과 자율성, 그리고 책무성을 향상시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개발자, 관리자 중심으로 개발되어 대부분의 교원들이 읽지 않고, 활용도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들이 쉽게 읽고 자주 활용할 수 있는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둘째, 좋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주요특성을 설정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문서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관련문서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 개선방안을 탐색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개발 등,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presents or establishes not only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platforms, but also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elevating the curricula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teachers who are the last executives of the education. However, the said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only for the use of developers and managers. Thus, most Korean teachers neither read nor use them.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o that Korean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econd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important traits of the goo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irdly, this study review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Lastly,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of improvement of a manual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the guidelines for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must reduces the volume and kind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must develop the system of documents that all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for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curriculum literacy.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in developing the system of 2009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 KCI등재

        교육과정 문서체제 비교

        임현정(Lim Hyun Jung),정광순(Jeong Kwang soon),정진영(Jeong Jin 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5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를 사용 주체인 교사가 읽기 쉽도록 돕기 위한 우리나라 문서체제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서 교사수권형 교육과정 문화를 가진 미국, 영국, 캐나다, 핀란드의 국가교육과정 문서의 체제 및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다음 세 가지 특성을 찾았고, 이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문서의 형태는 교과별로 별책문서였다. 우리나라는 총론과 각론의 형태로 교과를 모두 넣은 통권인데 비해, 미국, 캐나다, 핀란드, 영국의 교육과정은 교과별 별권이면서 총론과 교과각론을 통합 제시하고 있었다. 교사에게 교육과정 총론은 운영방식을 안내하고, 각론은 각 교과에서 가르칠 것을 안내한다는 것을 고려 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문서 활용의 편의성을 위해서 운영방식과 내용을 분리하고 있는 현재의 형태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각론의 문서 체제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본 사항을 제시하고 있었다. 문서 항목이나 순서는 조금씩 차이기 있지만, 교과 교육의 중요성이나 지향점에 대한 설명, 내용 및 성취기준 제시, 사례나 시나리오 형태로 교수학습과 평가를 안내하고 있었다. 특히 성취기준, 교수학습, 평가는 교수ㆍ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 교과교육과정도 성격, 목표, 내용은 요목화 된 대강화를 추구하되, 교수ㆍ학습, 평가는 구체적인 상황이 그려질 정도로 상세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에서 가르쳐야 할 것을 제시하는 방식이 목표수준이나 성취기준 형태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학교나 교사에게 교수ㆍ학습 내용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내용제시 방식을 취하는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교사의 내용 선정권을 보장해 주는 교육과정 진술 형태로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National Subject Matters Curriculum Documents. To this aim, National or Stats Curriculum Documents of USA(California),UK, Filander, and Canada (Ontario)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s: First, Our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need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tegration form for teacher. Second, Our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need more practical and 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part. Third, it need curriculum developing based Standards not contents for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and legal functions selecting contents.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비교 연구

        이주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각 나라의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살펴보는 일은 각국이 무엇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정을 설계, 실시, 운영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및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을 선정,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비교하였다. 강력한 국가 주도의 교유고가정이 실시되는 우리나라 및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준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이 기술되어 있으며, 제시 형태도 유사하였다. 미국, 호주의 경우 각 주별로 교육과정이 독립적으로 개발, 운영되기 때문에 총론 및 각론의 문서 체제는 관련성이 적으며, 국가 단위의 교육과정이 존재하나 지역 교육청과 학교에 자율권이 많이 부여되는 영국의 경우 단계별로 성취수준에 따라 미술과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새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하여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대한 연구는 각 교과별 교육과정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curriculum framework(or the structure) of the 7th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set out 5 categories,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as a subject, subject objectives, art contents(attainment targets and level description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and assessment. This curriculum framework has been applied to the curriculums in every subjects since the 1st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promulgated. Now it is time to think about a new N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Art Curriculum. However a general framework for the new one is not yet discussed, whether it is necessary or unnecessary for each subject including art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ent National Art Curriculum of 5 different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ustralia, and Japan, and 2) to consider whether we should maintain the curriculum framework which applied to every subjects so fa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Art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were same, and 2) those of the two curriculum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Australia were not same. In the latter three countries, curriculum frameworks were not easy to be found. It is expected that it is time to consider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art subject itself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총론 항목의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동향 분석

        김진숙 ( Jin Sook Kim ),최정아 ( Jeong Ah Choi ),지혜영 ( Hye Yeong Ji ),김주현 ( Joo Hy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3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총론``은 1945년 해방 이후 현재까지 문서의 명칭이 아니라 교육과정 중 총론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지칭해 온 비공식용어이다. 총론은 국가 교육과정을 주기적 전면적으로 개정하는 근간이 되고 있으면서도, 교과와의 연계 강화 및 교육과정 문서 개념의 확장 등 교육계 내외의 시대적 요구에 직면해변화가 도모되고 있다. 본고는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 대한 국내외 동향 분석을 통해 교과 공통의 일반지침으로서 총론의 정체성(identity)과 그 필요성을 규명하고, 향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해방 이후 총론 문서를 분석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요소와 국가 교육과정정보 센터의 표준인벤토리를 기초로 구성한 "1. 교육과정의 특징, 2. 교육적 인간상, 3. 교육목표,..."등 총 18개의 ``총론 항목``을 분석 기준으로 도출하여 세계 12개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관련 문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 각국은 교육과정, 체계(framework), 총강 명칭의 총론 문서를 갖고 있거나, 서론(introduction), 성격(characteristics) 등 명칭으로 교과 교육과정과 통합된 문서의 일부로, 또 교육법 및 교육부 웹사이트를 통해 총론 항목을 상세하게 제시하는 등 다기한 형식의 ``총론`` 관련 문서를 갖고 있다. 그러나 각국은 . ``총론 항목``에 해당되는 대부분의 내용을 국가 수준 문서를 통해 제시하고 있어, ``총론 항목``은 존재론적으로 존재하는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실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 항목``을 교육법, 총론 교과, 웹사이트 등 어디에 진술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학생,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총론 항목``의 내용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교육과정 정보의 표준화 및 우선순위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총론 항목``의 형식적인 배치 외에 ``교과``, ``비교과`` 등 교육과정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무엇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 ``총론``에 담는 내용 중 교과 공통의 ``총론으로 추정되는 것``은 교과 공통 지침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re has been curriculum revisions on a periodic basis in Korea in spite of declaring occasional revision system since 2003.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revising curriculum framework and identifies what is curriculum framework and enhancement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Since 1945, the ``curriculum framework`` was used for the unofficial word and the constructs of it has been varied. In this paper the synonyms of curriculum framework were defined as ``curriculum framework``, ``curriculum framework constructs``, and ``what is assumed as curriculum frameworks``. Accordingly, curriculum-related documents of seven countries were analyzed. In summary, ``what is assumed as curriculum frameworks`` were found in curriculum framework, subject curriculum, educational code and Ministry of Education websites.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urriculum framework constructs`` in any countries that have schools an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user- friendly format should be considered for determining what format of the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 KCI등재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유정애,김주완,황용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2007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실태에 대한 파악도 없이 다시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될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 연구의 성격으로,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문서 체제를 평가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제1차 체육과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까지 8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해 오면서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주어진 문서 체제에 입각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이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면서 각 교과에서도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문서 분석, 심층 면담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성격 항 하위 구조의 구체화, 목표 항 체제의 재구조화, 내용 항 하위 요소의 다원화, 교수학습방법 항 하위 구조의 대강화, 평가 항 하위 구조의 명료화가 논의되었다. 이 결과는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보다 발전적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published in 2009, each subject matter has faced a difficult situation that should revis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7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 implement it in all school levels and doing previous research o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1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be published in the end of year 2011. In order to provide an essential and informative 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5 parts (introduction, objective, content,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improving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o date, few attention was given to research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 document was being decided by a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s, not a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mmittees. Recently, as the national policy in curriculum revision is changed, we can face flexible environment in order to seek various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depending on each subject matter. For this, multiple methods were used such as a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s analysis. Thus, it is discussed specifying introduction, restructuring objectives, being iverse of content elements, simplifying teaching-learning, and clarifying evaluation.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curriculum content as well as the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ork.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비판적 양상과 그들이 생성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비판‘을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으로 보고, 텍스트학으로부터 교육과정 비판 범주를 추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비판 행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비판 범주인 미시구조적 차원, 거시구조적 차원, 초구조적 차원, 즉 모든 차원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이 처한 교육과정 외적 세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판적 읽기의 결과물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항하여 자신만의 문서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oth teacher's critical reading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documents that teachers create. To this end, ‘criticism’ was assumed as a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the category of curriculum criticism were extracted from textwissenschaf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read the curriculum documents critically at all levels of criticism categories: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eachers criticized the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external world of curriculum, and created their own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itical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includes creating their own documents agains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탐색 : 기준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이림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which is a separately provided standards documents that can be referenced by the school besides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6th curriculum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scentered education reform movement’ which was promoted to create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 the 1980s. I analyzed the problem of the document format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se change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confusion due to the multiple document types provided at the school; Second, the ambiguity of the items in the curriculum docume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terms such as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 inability to differentiate the subordinate cont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unify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tandardsrelated documents through sufficient manpower, finance and develop period. Second, there is a nee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terms such as goal,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new terms such as achievement standards, evaluation standards, achievement levels. Third, there is a need to clarify differentiation of the subcontents based on the clear items setting in curriculum documents. It is time to think deeply about the semantic inaccuracy of the term like as achievement standards, the nonsystematic nature of the overdeveloped documents related to curriculum, and uselessness that is not utilized at the school. 이 연구의 논의대상은 1980년대 영미권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의 교육 기준을 만들고자 추진되었던 ‘기준 중심 교육개혁 운동’의 영향을 받아, 제6차 교육과정부터 국가 교육과정 문서 외에 학교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 문서가 별도로 제공되기 시작한 ‘교육과정적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재가 어떤 문제점을 갖게 되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학교현장에 제공되는 문서 종류의 다중화에 따른 혼란, 둘째, 성취기준이라는 새로운 용어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문서 내 항목의 차이 불분명성, 셋째, 교육과정 문서 내 항목 차이의 불분명성에 따른 하위내용의 차별화 불가 등이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충분한 인력 및 재정, 개발기간 확보를 통한 국가 교과 교육과정 문서와 기준 관련 문서의 단일화, 둘째, 기존 문서에 사용된 용어인 목표, 내용, 방법, 평가와 새로운 용어인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간의 명확한 관계 및 차이 정립, 셋째, 교육과정 문서 내의 명확한 항목 정립을 바탕으로 한 하위내용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성취기준이라는 용어의 의미 부정확성, 중첩되어 개발된 교육과정 관련 문서의 비체계성, 학교현장에 형식적으로 보급되어 정작 활용되지 않는 문서들의 무용성 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할 때이다.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성 체제의 개선

        임유나 ( Yoo Na Lim ),홍후조 ( Hoo Jo H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국가교육과정 총론은 우리나라 학교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청 사진을 보여주고 길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교육과정을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하는가는 학생들이 받게 되는 “교육 경험의 질” 과 밀접하므로, “양질의 교육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구성 체제나 하위 내용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제공 및 안내로서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사용 측면에서 문제점이 많아 개선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체제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들로부터 시사점을 얻고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뉴질랜드, 핀란드, 영국, 싱가포르 국가교육 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4개국의 교육과정 총론 문서들은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공히 구성 체제의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문서 궁성의 축(대영역)이 “도입, 기본 방향, 각론 구성의 틀, 실행 지침과 지원, 부록”의 5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을 개선하기 위한 관점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종합성·체계성”으로, “기능적 측면”에서는 “기준성·혁신성”으로, “사용적 측면”에서는 “가독성·편의성”으로 보고,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고, 보고 싶고 읽고 싶은 교육과정 문서로의 변화를 전제하여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 개선안을 주요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how a blueprint of what direction Korean school education should take as a guiding role. Since the constructional forms and contents of curriculum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al experience” received by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and sub-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providing “high-quality educational standards” is very huge. However, the current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 shows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roles, functions and its use. In order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also to suggest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rom foreign cas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structional forma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f New Zealand, Finland, England and Singapore. As a result,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ose four countries are comprised of five areas which are the basic fram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including introduction, curriculum platforms, curriculum frameworks, curriculum guidelines, and appendix. As measures to improve Curriculum Standards, “comprehensiveness and systematization” were viewed in the “aspect of contents”, “standardization and innovation” in the “functional aspect”, and “read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aspect of use”. And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of constructional format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 KCI등재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기준"이란 용어의 용례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이림 ( Rim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기준``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제1차부터 2009 개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다. 특히 영미권의 기준 중심 교육과정 운동의 영향을 받아 (성취)기준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제6차 시기부터 2009 개정 시기까지는 집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기준``이라는 용어는 시간(단위) 배당이나 평가 관련해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고 구체적으로 평가적 맥락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라는 의미를 바탕으로 ``기준``이란 용어가 사용되어 오다가 학생의 실제 수행 중심 평가라는 의미가 추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으로 학생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교육내용의 적정화라는 의미가 ``핵심``과 ``기준``의 합성어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기준``이라는 용어의 의미 변화 방향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상에서 ``기준``이란 용어의 의미를 확대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공교육을 위한 기준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 그 자체로서 교육과정의 함의가 넓은 만큼 국가 교육과정 문서 역시 공교육이라는 활동을 위한 기준으로서 담아야 할 것들은 무궁무진하다. 둘째, 학교교육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는 교육과정 문서의 확장적 의미에 따른 현행 국가 교육과정 문서 및 관련 문서 개발 관행의 변화이다. 독자인 교사, 학부모, 학생이 여러 문서를 찾아봐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활용성의 저하를 줄여야만 한다. 셋째, ``기준``의 작용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억압할 수 있다는 논란에 대한 것이다. 국가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 공통성과 개별성 사이의 절충점과 조화(기준성과 자율성의 조화)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how the term ``standards`` started to be used and are being used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rom 1th to 2009 revised version in Korea. As a result, the meaning of the ``standards`` began with fair evaluation, no sooner than actu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he adequac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as attached in Korea. In addition, to create a separate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s became a custom. Based on this diachronic analysis, the change direction of the term ``standards`` was derived as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we should expand the meaning of the term ``standards`` on th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tself is the basis for Public education. As the term ``curriculum`` has wide implica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an include endless things as a reference for the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 The second perspective is the change of the development practices of curren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related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mea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at acts as the overall standards of school education. We have to reduce the discomfort and the following deterioration in availability b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s readers of curriculum documents. The third thing is about the controversy, the suppression of the autonomy of schools due to the effect of ``standards``. But it will be important to find harmony between national values and personal values, publicity and individuality, standards and autonomy.

      • KCI등재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정책 탐색

        김세영 ( Kim¸ Se-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정책을 위해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모델이라는 구체적인 상을 탐색 및 제안하였다. 이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에 있어 교사가 제한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능동적일 수 없었다는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먼저 이를 증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사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상향식 경로가 필요함을 언급하며, 그 구체적인 모습으로 NCTT(National Curriculum Tool for Teacher)를 제안하였다. NCTT는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과 평가를 통합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크게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자료 사용, 국가 교육과정 평가를 지원한다. NCTT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의 새로운 축이 됨과 동시에 교사 역할에 있어 국가 교육과정을 사용하며 평가한다는 교육과정의 능동적 사용자 및 비판적 평가자로서 교사 모습을 촉진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and proposed a teacher-centered evaluation model of national curriculum as part of a teacher-centered evaluation policy of national curriculum. This came from criticism that teachers were passive in evalua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o prove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role of teachers focusing on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tudy noted that teachers need a route to evaluate the national curriculum: NCTT(National Curriculum Tool for Teacher). NCTT is an online platform that supports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using,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 NCTT will be a new way of assessing the national curriculum. It will also promote teacher as active users and critical evaluators of the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