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의 건물 에너지효율성 향상에 관한 지침에 관한 연구

        이종영 ( Jong Yeong Yi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1

        유럽연합은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정책으로 생활 활동과 교통에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유럽연합과 같은 산업국가에서 상업용과 거주용 건물로 대변되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 또한 전체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에너지소비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40%에 이르고 있다. 유럽연합의 산업구조는 결과적으로 제조부문과 에너지산업부문에서 에너지효율성 향상보다 서비스산업의 기반이 되는 건물의 냉난방과 온수사용을 위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성 향상으로 정책방향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이에 유럽연합은 "2002년 건물 에너지효율성 지침"을 제정하여 회원국의 자국법률로 건물 에너지효율성 향상을 위한 제도를 이행하도록 요구하게 되었다. 동지침 제3조는 건물의 전체 에너지효율성 산정방법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동지침에 따른 건물 에너지효율성 산정방법은 회원국이 건물 에너지효율성의 산정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일정한 원칙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동지침 제4조는 건물의 에너지효율성 산정방법에 따라 건물 전체의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최소요구사항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건물의 에너지효율성 최소요구사항은 건물의 환기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능한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내부온도조건을 고려하고, 건축연한, 장소적 조건 및 이용형태를 고려하여 정하고 있다. 동지침 제7조는 에너지효율증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동지침에 의하면 유럽연합 회원국은 건물의 신축, 판매 및 임대를 할 때에는 건물의 구매자, 임차인에게 해당 건물의 에너지효율증서를 보여야 한다. 에너지효율증서는 건물구매자나 임차인이 건물의 에너지효율성을 비교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에너지효율성 비교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동지침 제8조는 난방시설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건물의 소유자는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감축하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된 난방시설의 연한에 따라 전문가로부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난방장치의 교체하거나 대체난방기 사용 등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2010년 건물 에너지효율성 지침"은 유럽연합의 제2차 전략적 에너지리뷰의 일환으로 유럽연합위원회에 의한 "2002년 건물 에너지효율성 지침"의 개정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동지침은 온실가스감축을 강력하게 지향하고 있고, 감축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수단을 강화하는데 개정목적을 두고 있다. 동지침의 목적조문은 목적달성을 위한 요건으로 "에너지제로 건물을 보급하기 위한 국가의 계획수립", "에너지효율 증명서 및 검사보고서의 독립된 관리제도"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동지침 제1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물에너지효율증서"의 기본적인 요건은 건물 에너지효율성의 비교·평가가 가능하도록 판단기준이 되는 참고치의 부가, 에너지효율성 개선을 위한 권고의 명기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우리나라도 건물의 에너지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모든 건물에 대하여 에너지효율등급에 대한 인증을 받고, 그 결과 에너지효율등급이 낮은 건물에 대하여 의무적 조치를 하도록 하거나 시장친화적인 제도로서 건물의 매매와 임대차를 체결할 때에 건물의 가치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럽연합의 에너지효율증명서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우리나라도 건물의 에너지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모든 건물에 대하여 에너지효율등급에 대한 인증을 받고, 그 결과 에너지효율등급이 낮은 건물에 대하여 의무적 조치를 하도록 하거나 시장친화적인 제도로서 건물의 매매와 임대차를 체결할 때에 건물의 가치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럽연합의 에너지효율증명서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Die Richtlinie 2002/91/EG uber die Gesamtenergieeffizienz von Gebauden verfolgt ein intergriertes Konzept zur Minderung des Energieverbrauchs im Gebaudesektor. Das Ziel der Richtlinie besteht darin, die Verbesserung der Gesamtenergieeffizienz von Gebauden in der Gemeinschaft unter Berucksichtigung der jeweiligen auBeren klimatischen und lokalen Bedingungen sowie der Anforderungen an das Innenraumklima und der Kostenwirksamkeit zu unterstutzen. Die Gesamtenergieeffiezenz eines Gebaudes ist hierbei die Energiemenge, die tatsachlich verbraucht oder veranschlagt wird, um den unterschiedlichen Erfordernissen im Rahmen der Standardnutzung des Gebaudes Rechnung zu tragen. Art.3 der Richtlinie legt zunachst eine Methode zur Berechnung der Gesamtenergieeffizienz von Gebauden fest. Hierauf aufbauend verlangt Art.4 der Richtlinie seitens der Mitgliedstaaten die Festlegung von Mindestanforderungen an die Gesamtenergieeffizienz von Gebauden, wobei zwischen neuen und bestehenden sowie unterschiedlichen Gebaudekategorien differenziert werden kann. Die Richtlinie stellt ein wichtiges Element zur Reduzierung des Energieverbrauchs im Gebaudesektor dar. Die intergrierte, ganzheitliche Betrachtung der Energieeffizienz eines Gebaudes erfordert die Berucksichtigung moglicher Einsparpotentiale auch auBerhalb der klassischen Warmedammung, so z.B im Bereich Kuhlung und Beleuchtung. Diese Aspekte sind vor allem bei Nicht-Wohngebauden relevant und konnen dort hohe Einsparpotentiale eroffnen. Von groBer okologischer Bedeutung ist ferner die verbindliche Einfuhrung des Energieausweises fur alle Gebaude. Dieser fordert durch die damit verbundene Transparenz ein erhohtes Verbraucherbewusstsein hinsichtlich der Energieeffizienz eines Gebaudes und verleiht so dem Aspekt des Energieverbrauchs ein starkes Gewicht im Immobilienwettbewerb. Gerade Mietern, die in der Regel keinen Einfluss auf die Energietechnik einer Wohnung/eines Hauses haben, werden auf diese Weise Moglichkeiten der indirekten Einflussnahme gegeben. Hinsichtlich der Pflicht zur Durchfuhrung von MaBnahmen zur Minderung des Energieverbrauchs bei groBeren Renovierungen bestehender Gebaude ist ferner zu bemangeln, dass diese erst bei einer GebaudegroBe von minderstens 1000㎡ greift. Auch bei kleineren Gebauden ist es sinnvoll, bei bestimmten ohnehin anfallenden Renovierungen z.B. gleich WarmedammungsmaBnahmen mit durchzufuhren. Festzuhalten bleibt damit, dass die Richtlinie zwar in vielen Punkten kritikwurdig ist, letzlich aber einem bedeutsamen Beitrag zur Energieeinsparung leisten kann, indem die Mitgliedstaaten verpflichtet werden, Mindestandforderungen an die Energieeffizienz neuer und bestehender Gebaude zu stellen sowie bestehende groBerer Gebaude bei Renovierungen den Mindestnormen genugen mussen.

      • 신재생융복합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운영장치 개발

        공민석(Min Suk Kong),임흥빈(Heung Bin Lim),이경호(Kyoung Ho Lee)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11

        건물에서의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으로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이용 확대 및 건물에너지 최적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융복합건물 에너지 최적운영을 위한 운영장치 개발 및 이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환경 구축에 대하여 소개한다. 태양열집열기, 태양광모듈, 지열원히트펌프, 온수저장조 및 전력저장장치가 설치되어 냉난방, 급탕 및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로에너지주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건물 에너지의 최적 운영을 위해 건물시스템 물리모델을 개발하고 모델학습 및 최적화기법을 연계하여 최적운전을 위한 제어변수를 도출하는 에너지운영최적화 기법이 탑재된 운영장치가 설계 및 제작 되었다. 운영장치 프로그램은 데이터수집모듈, 기상예측모듈, 사용자입력모듈, 학습모듈, 운영계획 모듈, 출력정보관리모듈로 구성하였다. 운영장치는 수집된 입력정보를 이용한 시스템모델의 학습, 학습결과를 이용한 시스템 운전변수의 최적 제어값 도출, 이를 통한 설비제어기들의 운전 등의 과정을 통해 건물에너지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운영장치는 신재생융복합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에너지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시험주택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운영 상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후 운영장치의 에너지운영 최적화기법의 성능검증 및 개선에 활용할 예정이다.

      • KCI등재

        독일의 건물 에너지 법제에 관한 연구: 건물에너지절약법과 난방재생에너지법을 중심으로

        정호수 ( Ho-soo Jeong ),정해조 ( Hae-jo Chu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2

        본 논문은 독일의 건물에너지에 관련된 법의 제정과 건설산업현장에서의 실천에 대한 노력을 규명하고, 한국의 에너지법제 정비 방향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독일은 1973년 1차 석유파동 이후 건물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1976년 건물에너지 절약법을 제정하였고, 건물에너지절약법 및 건물에너지절약규칙은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을 위해 단열 및 단열 성능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 왔다. 또한 유럽연합은 2010년 EU건물에너지지침을 통해 모든 신축 건물을 에너지 소비량이 극히 적은 ‘제로에너지건물’(zero-energy building)로 건축하기 위해 회원국에 법규의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독일 건물에너지법제는 건물의 에너지 사용에 있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CO<sub>2</sub>의 배출을 감소시켜 기후협정을 준수하는 것이다. 또한 건물에 대한 단열조치 등에 의해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 또한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의 이용을 늘리는 것이다. 또한 독일은 건물의 에너지 절약과 관련하여 2008년 건물의 난방에너지원을 재생에너지로 이용할 것을 의무화하는 난방재생에너지법을 제정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건물에너지 관련 법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및 ‘신재생에너지법’ 등에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물에너지 관련 법규는 각각의 법령에 산재해 있고, 그 내용 또한 의무규정으로 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총 소비량에서 가정 및 상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16.8%임을 감안해 볼 때, 건물에너지와 관련된 위의 4개 법뿐만 아니라 ‘건축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에너지 성능 향상 및 재생에너지의 의무 사용을 위한 종합적인 법안의 재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regulations concerning energy uses for buildings and explores their implement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s in Germany. Built upon the case research on Germany, it also aims to suggest useful policy guidelines for reforming energy-related laws in South Korea. Having undergone the first oil crisis in 1973, Germany passed the laws, “Gesetz zur Einsparung von Energie in Gebauden (1976)” and “Verordnung uber einen energiesparenden Warmeschutz bei Gebauden (1977)”, in order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evel in buildings. Such a legal reform was designed, primarily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by applying insulation technologies in existing buildings. At the EU level, the EU Directive 2010/31/EU (regulating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was adopted which encouraged member states to impose stricter regulations on all newly constructed buildings in view of realizing the stage of “zero-energy building”. The German energy laws regulating buildings have contributed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by reducing fossil fuel energy sources and subsequently cutting CO<sub>2</sub> emission. Such laws also aim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raising energy efficiency, and concurrently, leading the society to use more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building. In addition, “Gesetz zur Forderung Erneuerbarer Energien im Warmebereich” which was enacted in 2008 stipulates the mandatory clauses of heating buildings with renewable energy mix. In the case of South Korea, relevant existing energy laws include “Low Carbon Green Growth Act”, ‘the Green Buildings Construction Support Act”, “Rational Energy Utilization Act”, and “Renewable Energy Law”. There is a tendency that energy laws regulating buildings are scattered around several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esides, they do not include any mandatory clauses focusing on buildings. Considering the fact that energy consumption in household and commercial sectors account 16.8%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apart from the above-mentioned four major Acts, a comprehensive legal reform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coherent legal approach to regulate energy use in construction sector. This will contribute to raising overall energy capacity and encouraging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KCI우수등재

        건물 열적 성능 수준별 실내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열적 쾌적성의 변화를 고려한 건물에너지 소비량 산출

        박소현,송두삼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물 열적 성능수준별 외주부의 복사환경 및 온열 쾌적감의 차이, 그리고 재실자가 열적 쾌적감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적응행동(실내 설정온도 조절)을 반영하는 시뮬레이션과 종래의 시뮬레이션과 같이 일정 설정온도만을 기준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 열적 성능이 취약할 경우에는 공기(건구)온도만으로 실내 온열환경을 제어하는 기존의 제어방법은 재실자의 온열쾌적감을 대변할 수 없다. 즉, 건구온도가 내주부, 외부주 모두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건물 열적 성능 수준에 따라 외주부의 복사환경이 달라 외주부의 재실자는 열적으로 불쾌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2)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시, 외주부의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 차이를 반영하여 이를 보상하는 작용온도제어(OT control)를 실시한다면 건물 준공연도별 건물 열적 성능수준에 따라 건물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은 기존 대비 최소 6%에서 최대 30%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즉, 건물 열적 성능이 취약한 경우, 기존의 시뮬레이션 방법인 설정(건구)온도제어(DBT control)를 실시하는 경우, 실제 이러한 건물에서 발생하는 외주부의 열악한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행동적 적응) 및 그에 따른 추가적인 냉난방에너지 소비의 결과를 잘 묘사하지 못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설정온도(건구온도)제어는 건물 열적성능에 따른 외주부 복사환경의 차이 및 그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며, 이는 실제 건물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의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추후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시, 실제 건물 내 사람들의 열적 적응행동을 고려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In Korea, the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such as thermal insulation and airtightness has been enhanc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enhanced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reduces cooling and heating load as well as improves indoor radiant temperature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The radiant temperature between the perimeter zone and the interior zone in buildings can differ depending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The radiant temperature of the perimeter zone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interior zone if the building insulation and air-tightness level is low. In this case, the occupants in the perimeter zone will adjust the indoor set-point temperature or use personal fans to preserve their thermal comfort. These behavioral adaptations are related to building energy consumption. However, when predict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rough simulation,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reflect the occupants’ behavioral adaptations because of poor radiant environment in actu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door radiant temperature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on cooling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was analyzed.

      • KCI등재

        GCAM-EML을 이용한 대형상업용 건물에너지 효율변화의 장기영향 분석

        백민호,ZULFIKAR YURNAIDI,오재익,김수덕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에너지경제연구 Vol.14 No.3

        While various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s with specific energy saving targets are being proposed by governments, the feasibility of those programs and targets are properly assessed in quantitative manne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nhanced building shell efficiency, efficiency improvement of lighting appliances to reduce cooling energy demand via 9 scenarios discussed in this article using GCAM-EML. Provided in this process of research are quantification of such policy impacts on energy system through scenario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is energy efficiency of large buildings are evaluated to be improved at maximum of 4.1% and 8.5% by 2030 and 2055 compared to the reference case. Although this improvement does not seem be large enough,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umulative energy savings up to 2030 is estimated to be 2.36MTOE and it is 1.16 times of large commerci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of 2010 reported by energy survey conducted on 2011. A further detailed research with a more realistic scenarios would better describe how various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s currently deployed affect the overall building’s energy efficiency in the future, 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better utilized for the detailed design of various ongoing energy efficiency programs. 건물에너지소비절약을 위한 정책들이 구체적인 소비저감목표를 제시하지만 저감목표달성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정량분석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GCAM-EML모형을 이용하여, 대형상업용건물에 적용될 수 있는 건물외피 효율강화 및 조명기기의 효율개선 등 두 개의 요인에 대해 각각 세부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이들 두 개 요인이 대형 상업용건물에너지 효율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봄으로써 건물에너지의 효율개선 잠재력을 평가해 본다. 두 개의 에너지효율개선 관련 요인을 근거로, 시나리오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기준안 대비 효율개선은 2030년에 최대 4.1%, 2055년에 8.5%로 나타닜다. 이를 누적 에너지저감량으로 환산하면, 2030년 최대 2.36MTOE에 달하여 이는 2010년 대형건물의 총 에너지소비량의 1.16배에 해당한다여러가지 에너지효율개선 정책 중 대형상업용 건물에너지 소비의 극히 일부 * 이 논문은 2015년 자원경제학회 하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 본 논문의 개선을 위해서 많은 조언을 하여 주신 에너지경제연구원 오경수 박사님, 그리고 익명의 심사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박사과정(주저자). minhobaek83@gmail.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 viczhoel@yahoo.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교수. jaickoh@gmail.com *****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교신저자). suduk@ajou.ac.kr 분을 차지하는 두 개의 요인만의 효과가 이러하다면, 다양한 에너지효율개선 정책이 향후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개선에 줄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은 개별정책의 효과를 통합평가 함으로써, 정책목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럽연합 건물 분야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정책 시행상의 과제와 개선 방향

        정혁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3

        This paper is purposed to present the status quo, the challeng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s after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Nearly Zero Energy Building stressed in the EU’s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Directive (Directive 2018/844). Dealing with the varied definitions regarding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 incurred from differentiated costs for energy efficiency and climatic conditions among the Member States of the EU, the European Commission needs to regroup the Member States of the EU by climatic conditions and to reset the definitions on criteria of the value for the minimum amount of consumed energy of buildings, and to add the new relevant provision into the Directive. As for the weak legal basis of the generated power from renewable energy resources put into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the European Commission should give priority to the generated power by laying out the additional provision into the Directive. And concerning the ambiguity of definition with regard to the renewable energy, the Commission can consider setting the criteria on the kind of the generated power from allow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he amount of the power used in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for the solution. The European Commission can take into consideration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and the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experts that member states produce to tackle the lack of experts in the process of issuing the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of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And As the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for the buildings collected by the EU Building Stock Observatory is poor in substance and is confined to a certain block of buildings, it needs to get applied to all blocks of buildings of the EU and the Observatory’s role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it shares and disseminates the aforementioned information to the Member States of the EU. But above all, the European Commiss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synergy effects by establishing the registration organization for registering the Certificates in parallel in terms of keeping the Certificates on track.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parallel approach to encourage the zero energy policy that it is currently implementing and expand the zero energy buildings in number for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의 건물에너지 성능 지침에서 강조하는 유럽연합 역내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정책상의 시행 현황, 도출 과제, 그리고 그 개선안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회원국 별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비용 차이, 기후적인 요건에서 기인한 회원국 별 다양한 거의 제로에너지 빌딩에 관한 정의에 있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기후 조건을 기준으로 하는 회원국들의 그룹 조성 후 그룹 별 건물 내 최소한의 사용 에너지 수치를 기준으로 정의를 재설정하고 관련 조항을 지침 내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집행위는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투입되는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들의 약한 법적 지위를 위해서는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투입되는 신재생에너지원들의 발전량에 대한 법적 우선권 부여와 관련한 추가적인 조항 마련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정의 관련 모호성은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의 종류와 관련한 허용 가능 에너지원과 그 에너지량에 대한 수치화 기준 마련으로 그 해결을 위한 접근이 될 수 있다. 또한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검사와 그 절차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가 부족은 회원국들이 양성하는 전문가 수에 비례한 집행위원회의 재정 지원의 시행, 그리고 그 확대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의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는 그 내용이 단순하고 특정 건물군들의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만 유럽연합 건물군 관측소에 의해서 수집되고 있어 모든 건물군들을 포함하면서 회원국들에 그 정보들을 공유, 배포할 수 있도록 유럽연합 건물군 관측소의 기능상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유럽연합 집행위는 병행적으로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등록을 주무로 하는 등록소의 설립를 통해 유럽연합 역내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관리 차원에서의 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정부도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제로 에너지 빌딩의 확대를 위해서는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발급을 장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의 건물군 관측소의 기능적인 역할 강화와 제로 에너지 빌딩만을 위한 전문 등록소의 설립과 운영이라는 병행적인 측면의 접근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택 건물에너지 분석 연구: 에너지 소비특성과 소비절감 행위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이소라 (재) 인천연구원 2018 도시연구 Vol.- No.14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and energy depletion, Korea has been striving to strengthen its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and minimize national energy consumption. Concerning the construction sector, improvements in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have been promo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Energy Use Rate Restriction for Buildings’ in 2011, the ‘Obligation for Meeting Passive House Standards’ in 2017, as well as the upcoming ‘Obligation for Realizing Zero-energy Housing’ in 2025. The consecutive implementation of new regulations necessitates a review of how these regulations and system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o realize the goal of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especi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Korea’s goal is to achieve a 33%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30 through improvements in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and the construction sector. In this study, we propose a system utility plan and policy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residential buildings for a sustainable city based on a survey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use in building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individuals via the interne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alysis results show that improvement in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is heavily influenced by home ownership. Among the factors for minimizing energy use in buildings, ‘energy saving practice’ was highligh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effective energy policy’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PB analysis, improvements in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are affected at similar levels by three factors: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awareness. The intention to use high-efficiency products and adopt energy-saving practices were most impacted by individual attitud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es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system, such as implementing a policy that provides different levels of support depending on home ownership, providing incentive and support to the efforts for improvement of building efficiency, and establishing specific programs for promoting the use of high-efficiency products and energy-saving practices.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강화하고 에너지 이용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1년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를 시행하였고 2017년 ‘패시브 주택 의무화’를 시작으로 2025년 ‘제로에너지 주택 의무화’ 등을 목표로 하여 건축부문 에너지 효율 개선을 촉진하고 있다. 이에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해서는 제도와 설비 시스템을 어떻게 활용해야 효과적인지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건물부문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률 목표가 약 33%에 이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화 유도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택 부분 건물에너지 소비특성을 분석하고, 도시 내에서 지속가능한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을 통해 전국적으로 500명을 선정하여 진행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EM)과 계획행위이론(TPB)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물부문 효율 개선은 주택 소유 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요소의 중요도 조사 결과, ‘에너지 절약 실천’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영향계수는 ‘효율적인 에너지 정책’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행위이론에 의한 분석 결과, 건물부문 효율 개선은 ‘태도’, ‘주관적 규범’, ‘행위에 대한 인식’의 3가지 요소가 비슷한 영향을 보이며, 고효율 제품 사용과 에너지 절약 실천과 관련해서는 본인의 ‘태도’가 ‘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차등적 지원 정책, 건물부문 효율 개선 촉구를 위한 인센티브 및 지원 제도, 고효율 제품 보급 및 사용, 에너지 절약 실천을 위한 구체적 홍보 등이 있다.

      • KCI등재

        건물 리모델링에 의한 국가 전력에너지 사용량절감 효용에 대한 검토 연구 - 화력발전 건설 · 운전 및 건물 리모델링 비용을 중심으로 -

        송영학,김환용,박성철,이건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4

        최근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한 건물의 리모델링으로 전력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도입 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리모델링 지원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는 전력예비율 저하 등에 의한 블랙아웃 위기 개선 및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29,570MW의 신규 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본 논문은 리모델링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절감효과와 신규 발전소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초기투자비 및 에너지 생산비용을 포함할 경우 화력발전과 건물 리모델링의 효율은 거의 동일하였으나, 이산화탄소 감축비용을 고려하면 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가 37%P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Recently, many cases have been reported that how to reduce electricity energy consumption with building retrofit. However, it is only the introduction stage and in order of activation, building retrofit support policy needs more aggressive stance. And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new thermal power plants of 29,570MW by 2027 to come in order to cope with increasing demand and solution of the blackout crisis due to decrease in the power reserve margin. In this paper, it has been written to analyze the cost of construction of new thermal power plants and energy-saving effec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retrofit. Including the cost of energy production and initial investment, the effectiveness of thermal power plants and building retrofit was almost same. Furthermore, in view of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cost, the effect of energy saving with building retrofit was better than thermal power plans as 37%.

      • KCI등재

        생체모방기술에 의한 건물외피 에너지 저감 연구동향 및 제언

        정수연,한소원,황지영,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에너지 사용량 급증 문제는 지속적으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던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그 심각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은 건물 부분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뽑을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건물 에너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물 부분의 에너지 사용량은 건물 외피의 성능과 비례하는 만큼 건물 외피의 성능개선은 건물 에너지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생체모방기술을 적용한 건물 외피에 대한 연구의 경향과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수행된 생체모방기술 적용 건물 외피에 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선행 연구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며 추후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 관련 연구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체모방, 건축 및 건물 외피를 주요 키워드로 하는 선행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생체모방기술 적용 건물 외피 관련 선행연구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기에 생체모방기술의 적용 범위, 적용 요인, 가동 유무, 심미적 요인, 에너지 저감 및 경제성을 분석하는 내용을 주요하게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건축 및 건물외피 분야에서의 생체모방기술 연구는 의료 및 로봇 첨단 분야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생체모방기술은 건물 외피에 적용하기에 있어서 비용적 문제가 크다는 것도 간접적인 원인이다. 2) 선행연구는 자연현상을 모방한 건물 외피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가동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외피는 건물 외피의 행태와 가동을 접목하여 심미적인 효과가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의 선행연구는 전체적으로 에너지 부문의 검토가 부재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경제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많은 연구 수행 이후 그 경향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creasing energy demands are becoming a serious problem as we continue to rely on fossil fuels as our primary energy source. One of the main causes of this problem is the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and many studies are being pursued to address this issue. In particular, as the energy used in buildings is proportional to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s, research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s is significant in saving building energy. Therefore,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trends and level of research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a field that has seen significant growth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revious studies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The purpose was to construct basic data and provide direc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on similar technologies. Previous studies using keywords such as biomimetics, architecture, and building envelopes was sele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It also covers the scope of application, application factors, operation, aesthetic factors, energy savings, and economics of biomimetic technolog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biomimetics i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velopes compared to high-tech fields such as medical care and robotics. One indirect reason is the significant cost-related issues of biomimetics when applied to building envelopes. 2)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building envelopes that mimic natural phenomena and integrating operational technologies to implement them. Building envelopes integrating such biomimetic technologies realize aesthetic effects by combining the behavior and operation of building envelopes. 3) Most previous studies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did not review energy consumption. They also did not cover the economic aspects related to maintenance and management, which future studies should review.

      • KCI등재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상황인지 기반 건물 관리 기술

        이현정,한진수,정연쾌,이일우,이상호 중소기업정보기술융합학회 2012 융합정보논문지 Vol.2 No.1

        지구온난화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재난, 이상기온, 질병 등 각종 사회 문제들이 대두됨에 따라, 에너지 절감및 효율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주택, 상업건물, 공공 건물 분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우리나라 전체에너지 사용의 22%를 차지함에 따라, 건물에너지 절감은 전체 에너지 절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한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기존의 건물에서는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열 손실에 대한 대책 마련 및 에너지 저소비형 장비사용 등의 수동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ICT 기술과 융합하여 에너지 사용의 측정, 모니터링, 통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에너지 낭비 요소를 감지 및 제거하는 방식의 건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능동적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에너지 효율화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낭비 상황을 제어하지 않으면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외 건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능동적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이슈를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