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48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노출과 폐렴 발생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지원준,박유랑,김혜령,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이 급성 호흡기 질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폐렴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노출 기간에 따른 폐렴 발생의 위험에 대하여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와 국립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 농도측정확정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폐렴 발생은 한국표준질병분류에서 폐렴에 해당하는 J100, J110, J2-18, J851 진단 코드가 2015년도에 새롭게 부여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최대 4주까지 지역별 미세먼지 측정 수치와 폐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전국 단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적: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폐렴 환자는 54,727명이였으며, 여성이 52.6%이였다. 폐렴 발생은 연령별로는 18세 이하에서 50.2%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경기도(21.1%)와 서울(16.7%)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미세먼지의 노출에 따른 폐렴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폐렴 발생 당일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폐렴 발생에 가장 영향이 컸으며(OR 1.05, 95% CI 1.02-1.07), 이러한 영향은 최대 2주 누적 노출까지 지속(OR 1.03, 95% CI 1.00-1.05)되었다. 반면, 미세먼지(PM10)는 폐렴 발생 당일에는 영향을 주었으나(OR 1.01, 95% CI 1.00-1.02) 이후의 노출은 폐렴 발생과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론: 미세먼지(PM10)보다는 초미세먼지(PM2.5)가 폐렴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초미세먼지(PM2.5)로 인한 폐렴 위험도의 증가는 최대 2주까지의 누적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호흡기 ; 약물 중독에서 경비위관 거치와 흡인성 폐렴의 연관성

        김병권 ( Byoung Kwon Ghim ),최성연 ( Sung Youn Choi ),강임주 ( Im Ju Kang ),강윤정 ( Yoon Jung Kang ),권봉석 ( Bong Seok Kwon ),이재은 ( Jae Eun Lee ),서미혜 ( Mi Hye Seo ),이태헌 ( Tae Houn Lee ),박성근 ( Sung Keu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1

        목적: 중독 환자에게 경비위관 거치의 임상적 유용성은 명확하지 않다. 저자들은 경비위관 거치와 흡인성 폐렴의 발생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약물 중독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비위관 거치 여부와 의식 수준, 다른 흡인성 폐렴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63명의 환자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경비위관이 거치된 군에서는 17명 중 10명(58.8%)에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여 경비위관에 거치되지 않은 17명 중 2명(11.8%)에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한 대조군에 비해 흡인성 폐렴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 value=0.010). 의식 수준이 불명료한 상태에서 활성탄 투여 시에도 경비위관이 거치된 18명 중에서 13명(72.2%)에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여 11명 중에서 3명(27.3%)에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한 대조군에 비해 흡인성 폐렴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 value=0.027). 활성탄 투여 시 경비위관을 거치하는 경우에 흡인성 폐렴 발생의 odds ratio는 3.54 (95% CI, 1.74~12.34)로 계산되었다. 결론: 약물 중독 환자에게 경비위관을 거치하였을 때 흡인성 폐렴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경비위관 거치가 폐렴 예방에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흡인성 폐렴을 일으키는 다른 원인에 대한 완벽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clinical usefulness of nasogastric tube insertion in poisoning patients is controversial. This study compared the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nasogastric tub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reports of poisoning patients seen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groups with and without nasogastric tube insertion and evalua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aspiration pneumonia. Results: Ultimately, 63 patients were included. The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nasogastric tube insertion than in patients without nasogastric tube insertion (conscious patients: 58.8% vs. 11.8%, p=0.010; unconscious patients: 72.2% vs. 27.3%, p=0.027). Nasogastric tube insertion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veloping aspiration pneumonia (odds ratio 3.54; 95% confidence interval 1.74~12.34). Conclusions: Nasogastric tube insertion did not prevent aspiration pneumonia, but was a risk factor.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hypothesis about why a nasogastric tube increases the risk of aspiration pneumonia. This study has important limitations stemming mostly from other compounding factors and its retrospective design. (Korean J Med 78:87-94, 2010)

      • KCI등재

        일차진료에서 폐렴 고위험군 환자들의 13가 단백접합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의사의 구두 권고 중요성

        김지한,이사미,김종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1 No.1

        Background: Streptococcus pneumoniae is the main bacterial pathoge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vaccination rate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methods of recommend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cal records of 143 patients with high risk of pneumonia among first-visit outpatients was conducted. High-risk patients for pneumonia are defined by the U.S.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One hundred and twenty-seven patients, excluding 16 with pneumococcal 13-valent conjugate vaccination (PCV13) history prior to the first visi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vaccination recommendation: banner (B) group; banner+brochure (B+Br) group; banner+ brochure+doctor's recommendation (B+Br+DR) group. The vaccination rates among patient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with high risk of pneumonia showed 11.2% rate for PCV13 vaccination upon their first visit; however, this rate increased to 39.2% following counseling (P<0.001). Variation among the three groups was as follows: 9.0% in the B group, 20.0% in the B+Br group, and 75.0% in the B+Br+DR group (P<0.001). After adjusting for age, sex, high-risk group, occupation, and residence,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odds ratio for the PCV13 vaccination rate compared to the B group was 2.49 (95% confidence interval [CI], 0.55-11.34) for the B+Br group and 43.72 (95% CI, 11.52-165.96) for the B+Br+DR group. Conclusions: Among the available methods, we are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o add doctor's verbal recommendation in a clinical setting. 연구배경: 한국에서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주요 세균성 원인균은 폐렴구균으로 알려져 있다.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렴구균 백신 예방접종이 중요한데, 본 연구는 폐렴 백신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의사의 권고 방법에 따른 예방접종률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1차 의료기관 외래에 내원한 초진 환자 중 폐렴 고위험군 환자 14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폐렴 고위험군은 미국 예방접종 자문위원회에서 제시한 내용에 따라 정의하였다. 초진 당시 이전에 13가 폐렴구균 백신(PCV13) 예방접종을 실시한 16명을 제외하고 127명에 대해 진료 중에 실시한 예방접종 권고 방법에 따라(배너군, 배너+브로셔군, 배너+브로셔+의사의 권고군) PCV13 예방접종률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진 당시 폐렴 고위험군 환자 중 권고 전 PCV13 접종률은 11.2%에 불과하였지만, 권고 후 예방접종률은39.2%까지 증가하였다(P<0.001). 그중 배너군(B)은 9.0%, 배너+브로셔군(B+Br)은 20.0%, 배너+브로셔+의사의 권고를 받은 군(B+Br+DR)은 75.0%로 접종률의 차이를 보였다(P<0.001). 나이, 성별, 고위험군, 직업, 거주지역을 보정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PCV13 예방접종률에 대한 오즈비(OR)는 B군과 비교하여 B+Br군은 2.49 (95% CI, 0.55-11.34), B+Br+DR군은 43.72 (95% CI, 11.52-165.96)로확인되었다. 결론: 폐렴 고위험군 환자에서 권고 방법에 따라 상이한예방접종률을 보였다.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본 연구를통해 실제 진료 상황에서 의사의 구두 권고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대상 임상 연구를 위한 온라인 등록 시스템 구축

        박지숙 ( Jisook Par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1

        지역사회획득폐렴은 만성폐쇄성페질환 환자 사망의 중요 원인 질환이며 폐렴구균은 폐렴의 중요 원인균이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폐렴구균백신과 독감백신의 접종을 들 수 있다. 국내 주요 7개 대학병원에서는 전향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구균예방접종과 독감예방접종여부에 따라 폐렴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기관 연구자들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는 온라인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임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과 편리한 데이터 완성,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관리 등의 세 가지 기본 전략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온라인 등록 시스템은 다기관 임상 연구에 활용되어 그 성능을 평가받았다.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a major risk factor of mortal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treptococcus pneumoniae (colloquially known as pneumococcus) is one of important pathogens of CAP in patients with COPD.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pneumonia include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A prospective, cohor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on the severit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requring hospital admission in patients with COPD. Seve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Korea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 online registration system for the multi-institutional researchers that facilitates effici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COPD patient data. This study has presented three basic strategies-accurate data input, convenient data completion, and real-time data management-to supplement the demerits of existing offline clinical study. The proposed online registration system has already been applied to a multi-institutional clinical study and was acknowledged for its high performance.

      • Isocyanate에 의한 과민성 폐렴 및 직업성 천식 동시 발생 1례

        임빈,강성욱,한승우,손경희,곽원건,조용숙,장복순,최혜숙,김이형,최천웅,박명재,유지홍,이승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배경: 과민성 폐렴은 주로 동물성 단백질 등 고분자량 유기물 항원에 의해 주로 발생하지만 무기 분진 등 저분자량 물질도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우레탄 폼 취급자에서 isocyanate에 의한 직업성 천식과 과민성 폐렴이 동시에 진단된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34세 남자가 3일 전부터 발생한 기침, 열감,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특이 병력은 없으나 3개월 전부터 우레탄 폼 작업장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진찰상 양폐야에서 쌕쌕거림이 들렸고 혈액검사상 C-반응단백이 상승되어 있었다. 가슴 X선에서 양폐야에 다발성 경화가 관찰되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양폐에 미만성 중심소엽성 결절 및 간유리 음영, 기관지주변 경화가 관찰되어 간질성 폐질환 또는 비전형 폐렴이 의심되었다. 폐기능검사에서 중증의 폐쇄성 환기장애 및 기관지 확장제 반응이 관찰되었다. 경험적으로 광범위 항생제와 전신 스테로이드를 시작하였고 비디오흉강경하 폐조직 생검을 시행하였다. 병리소견상 림프구와 호산구의 기관지 주변의 침윤 및 육아종이 함께 관찰되어 과민성 폐렴에 합당하였다. 노출력을 근거로 isocyanate에 의한 직업성 천식과 과민성 폐렴으로 진단하였다. 치료 6일째 호흡곤란 등 증상 및 영상의학적 호전을 보여 스테로이드 감량 후 퇴원하였다. 고찰: Isocyanate는 직업성 천식의 원인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나 isocyanate에 의한 과민성 폐렴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작업의 중단 또는 작업장의 환경 개선이 근본적인 치료이며 일반적으로 예후는 양호하나 지속적인 노출로 인한 사망 증례도 보고된 바 있다. 본 증례와 같이 우레탄 취급자에서 호흡곤란 및 발열 등의 증상과 함께 영상의학적 이상을 동반할 경우 과민성 폐렴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감별진단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획득 폐렴

        원장원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7

        Various bacteriae, viruses, fungi, parasites may cause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and out of them, S. pneumoniae is the most common cause. As finding out causative pathogen in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which is common in primary care is often difficult, empiric antibiotic therapy is initiated.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1) β-lactam alone; 2) combination of β-lactam and macrolides; or 3) respiratory quinolone are recommended. For inpatients without a risk of P. aeruginosa, β-lactam plus macrolide or respiratory fluoroquinolone are recommended. The successful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requires appropriate, empirical antimicrobial therapy 수많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이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이 중 4-5가지 미생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폐렴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호흡기 바이러스, 폐렴미코플라즈마, 레지오넬라, 클라미디아,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도 흔한 원인이다. 일차의료에서흔히 접하는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유발 병원체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기 항생제 치료는 흔히 시험적으로사용하게 된다. 동반질환과 약제 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위험인자가 없는 외래환자는 1) -lactam 단독 또는 2) -lactam과macrolide제제 병용, 또는 3) respiratory quinolone 사용이 권장된다. Macrolide 제제 중 erythromycin은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듣지 않으므로 새로운 macrolide 제제인 azithromycin이나clarithromycin을 추천한다. 일반병동으로 입원하는 폐렴 환자중 녹농균 감염의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lactam+macrolide 혹은 호흡기 uoroquinolone이 추천된다. 동반질환 또는 약제 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위험인자를 가진 외래 환자의 경우 betalactam 제제/macrolide 제제 복합요법이나 antipneumococcal uoroquinolone 제제 단독 요법이 추천된다.

      • KCI등재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방사선 폐렴

        김명세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factors of treatment-related pneumonit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Materials and Methods: One-hundred-five patients with NSCLC treated with IMRT between 1 August 2004 and 30 November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9 years, and squamous carcinomas were confirmed in 81 patients (77%). Sixty-six patients (62.9%) were classified as stage III, and 59 patients had lesions in the right lung. Twen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dose of 3,060 cGy preoperatively, and 10 patients were given a dose of 5,040 cGy postoperatively. Sixty-eight patients received a dose of 7,020 cGy for curative intent. Six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CORVUS planning system and 37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Results: Of 105 patients, 21 patients (20%) had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but only seven patients (6.7%) required treatment for radiation pneumonitis. Six of the seven patients had other serious lesions, including a bronchioesophageal fistula (one patient), recurrence in the treatment field (two patients), brain metastasis (one patient) and lung-to-lung metastasis (two patients); all of these patients died within 19 months after radiation treatment. Sixteen patients (23.5%) that received planning with the CORVUS system had abnormal lung findings. Five patients (13.5%) had abnormal lung findings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Other prognostic factors such as perioperative radiation therapy, a volume over 10% of the V20 volume in the right lung,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uggests that IMRT could be a beneficial treatment modality for the reduction of radiation pneumonitis in NSCLC patients. However, the higher incidence of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in perioperative patients treated with relatively lower doses (3,060∼5,040 cGy) suggest the need for judicious treatment planning in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treatment. 목 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폐렴의 발생률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 1일부터 2006년 11월 30일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확진되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 치 료한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62.9세였고 편평상피암이 81명(77%)이었고, III기 환자가 66명으 로(62.9%) 가장 많았으며 우측 폐에 병소를 가진 환자는 59명, 좌측 폐는 46명이었다. 수술 전 방사선 치료로 3,060 cGy를 조사받은 환자는 27명, 수술 후 방사선치료로 5,040 cGy를 조사받은 환자는10명이었고 7,020 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68명이었다. 치료계획은 CORVUS 시스템이 68명, ECLIPSE 시스템이 37명이었 다. 결 과: 방사선 폐렴 혹은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병리학적 이상 소견으로 본원 영상의학과에서 진단된 환자는 21명 (20%)이었으나, 증상이 있어 치료를 받은 사람은 7명(6.7%)이었다. 치료받은 환자는 기관식도누공(1명), 재발(2 명), 뇌전이(1명), 반대 측 폐전이(2명)를 동반한 환자였고, 항암제 치료중 원인 불명으로 화장실에서 사망한 1명을 포함 7명 모두가 사망하였으나 방사선 폐렴만이 사망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영상의학과에서 진단된 21 명중 CORVUS 시스템으로 치료 계획한 환자가 16명(23.5%), ECLIPSE로 계획한 환자는 5명(13.5%)이어서 CORVUS로 치료한 환자 군에서 폐렴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전 방사선 치료환자 27명중 5명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0명중 3명이 방사선폐렴을 보여 수술이 시행된 군이 수술이 시행되지 않은 군에 비해 상 대적으로 저 선량임에도 불구하고 폐렴 발생률이 높았다. V20은 우측에서 10% 이상인 환자, V10은 우측에서 20% 이상인 환자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영상의학과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는 21명이었으나 증상이 있어 치료를 받은 환자는 7명(6.7%)으로 세 기조절 방사선치료가 정상조직의 손상을 줄여 합병증을 줄이는 데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치료 전후의 수술, CORVUS 시스템으로의 치료계획, 우측, V20이 10% 이상, V10이 20% 이상인 경우 였고, 비교적 적은 방사선량을 조사받은 수술 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에서 높은 비율의 증상을 동반한 폐렴을 보인 것은 향후 세심한 치료계획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 SCOPUSKCI등재

        The Measurements of Plasma Cytokines in Radiation-induced Pneumonitis in Lung Cancer Patients

        허원주(Won Joo Hur),윤선민(Seon Min Youn),이형식(Hyung Sik Lee),양광모(Kwang Mo Yang),신건호(Geun Ho Sin),손춘희(Choon Hee Son),한진영(Jin Yeong Han),이기남(Ki Nam Lee),정민호(Min Ho Je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방사선폐렴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군을 사전에 예측해 보고자 혈장내 TGF-β1, TNF-α, IL-6의 농도를 측정하여 폐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1999년 7월까지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비소세포암 11명, 소세포암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주 5회 매일 1.8 Gy씩 실시하였고 비소세포암과 소세포암에서 각각 평균 60 Gy와 54 Gy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방사선치료 중 주 1회, 치료 후 추적관찰로 내원시마다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TGF-β1, TNF-α 및 IL-6의 양을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단순흉부촬영(치료중 주1회, 치료 후 추적관찰 시마다 촬영) 및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를 관찰하여 방사선 폐렴의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HRCT)를 촬영하여 방사선 폐렴 발생여부를 확진하고자 하였다. 결 과: 17명의 환자 중 13명에서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가 발현되었고 단순 흉부 촬영과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폐렴이 발생한 환자에서 측정한 TGF-β1의 경우 특징적인 수치 변화를 보여 치료 전 평균값은 38.45 ng/ml로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상승되어 나타났고(22.77 ng/ml) 방사선치료 중 13.66 ng/ml의 평균값을 보인 후 다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치료 2∼4주 후까지 평균 60.63 ng/ml로 상승되어 유지되었고 이 수치는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과 비교할 때(12.77 ng/ml)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changes in plasma concentrat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and interleukin- 6 (IL- 6)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induced pneumonitis in the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and Materials : Seventeen patients with lung cancer (11 NSCLC, 6 SCLC) were enrolled in a prospective study designed to evaluate clinical and molecular biologic correlation of radiation- induced pneumonitis. The study began in May 1998 and completed in July 1999.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with curative intent : 1.8 Gy per day, 5 fractions per week. Serial measurements of plasma TGF-β1, TNF-α and IL- 6 were obtained in all patients before, weekly during radiotherapy and at each follow- up visits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These measurements were quantified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ll patients were evaluated for signs and symptoms of pneumonitis at each follow- up visit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High resolution CT (HRCT) scans were obtained when signs and symptoms of pneumonitis were developed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Results :Thirteen patients eventually developed signs and symptoms of clinical pneumonitis while four patients did not. TGF-β1 levels were elevated in all 13 patients with pneumonitis, which showed characteristic pattern of elevation (38.45 ng/ml at pretreatment, 13.66 ng/ml during radiotherapy, then 60.63 ng/ml at 2- 4 weeks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The levels of TNF-α and IL- 6 were also elevat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developed pneumonitis but the pattern was not characteristic. Conclusions :Changes in plasma TGFβ- 1 levels before,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appears to be a useful means by which to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the development of symptomatic pneumonitis. Other cytokines like TNF- α and IL- 6 shows no meaningful changes in association with radiation pneumonitis.

      • KCI등재

        결체조직질환을 동반한 간질성 폐렴

        정만표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4

        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is the most common pulmonary manifestation of connective tissue disease (CTD). It may develop in the patients with preexisting connective tissue diseases or may be the initial lone manifestation of an underlying CTD. Since ILD causes a potentially substanti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patients with CTD, close collaboration among pulmonologists, rheumatologists, radiologists and pathologists is very essential to optimize the diagnostic evaluation and treatment.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pattern and extent of the ILD can be obtained by chest HRCT imaging. In general, surgical lung biopsy is not recommended for CTD-associated ILD. All patients with CTD-associated ILD do not require pharmacologic treatment. The decision to treat CTD-associated ILD often depends on 1) whether the patient is clinically impaired by the ILD, 2) whether the ILD is progressive, and 3) what contraindications exist. Differential diagnosis from superimposed pneumonia and drug-induced ILD is quite important. Immunosuppressive therapy is the mainstay of treatment. Recent success of cyclophosphamide in the clinical trials of systemic sclerosis-associated ILD is promising. 결체조직질환에 동반된 역류성 식도염이나 폐동맥고혈압이 환자의 증상 및 심폐기능에 영향을 주므로 이에 대한 치료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결체조직질환에 의한 간질성 폐렴은 특발성 간질성 폐렴과 임상적, 영상의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특발성 간질성 폐렴보다 예후가 좋으므로 감별이 꼭 필요하고, 간질성 폐렴은 기회감염성 폐렴, 약제 유발성 간질성 폐렴과 구분하여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호흡기 증상과 폐기능 저하가 있거나 진행성 간질성 폐렴 환자들에게만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 주로 스테로이드 및 cyclophosphamide, azathioprine과 같이 부작용이 많은 약물이 투여되므로 그 효과 및 부작용을 잘 관찰하면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 KCI등재

        조직학적 기질성 폐렴 형태인 치유되지 않는 폐렴의 임상적 고찰

        박성주 ( Seoung Ju Park ),백경현 ( Kyung Hyun Paeck ),최영훈 ( Yeong Hun Choe ),김소리 ( So Ri Kim ),이용철 ( Yong Chul Lee ),이양근 ( Yang Keun Rhee ),진공용 ( Gong Yong Jin ),이흥범 ( Heung Bum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2

        목적: 치유되지 않는 또는 느리게 치유되는 폐렴은 30일 이상이 지난 후에도 폐 침윤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중 조직검사를 통해 기질성 폐렴으로 확인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의 진단적, 치료적 접근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치유되지 않는 또는 느리게 치유되는 폐렴을 가지며 조직검사에서 기질성 폐렴으로 확인된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들을 흉부 CT 소견에 따라 양성 병변으로 생각되는 57명의 환자를 I군으로, 악성 병변이 의심되는 13명의 환자를 II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I군의 모든 환자와 II군의 8명의 환자가 방사선학적인 호전을 보였고, 평균 소요 시간은 81.70±45.36일이었다. 미생물학적 분석에서는 다양한 균의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었다. 전체 환자 중 방사선학적으로 악성이 의심되었던 II군의 3명이 수술적 방법으로 통해 폐암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치유되지 않는 또는 느리게 치유되는 폐렴 중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병변으로 생각되는 경우 약 3개월간 주의 깊은 경과관찰이 적절하다. 그러나 조직검사상 기질성 폐렴 형태를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방사선학적으로 악성 병변으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재조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Non-resolving or slow-resolving pneumonia refers to the persistence of pulmonary infiltrates for >30 days after an initial pneumonia-like illness. Organizing pneumonia (OP) can be found on a lung biopsy in association with a number of diseas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n-resolving pneumonia with the pathology of an OP and suggest the prop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procedur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70 patients diagnosed with an OP by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biopsy and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ir pulmonary lesions were reviewed for disease resolu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either a radiologically benign group (group I, n=57) or a malignancy group (group II, n=13) based on the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Results: All patients in group I and 8 patients in group II improved and had a complete resolution by 81.70±45.36 days. The microbiology findings showed that many infectious pathogens can lead to an OP despite antibiotic therapy. Three cases in group II were ultimately diagnosed as malignancies.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non-resolving or slow-resolving lesions were strongly suspicious for a malignancy on the CT scans, despite appearing to be benign OP pathologically; such cases should be considered for re-biopsy. In cased with pathology consistent with OP and benign CT findings, careful observation for 3 months is recommended to allow for the complete radiological resolution of the benign OP associated with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