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 가능성 탐색

        양병찬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3

        최근 지방 정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은 기존 지역 개발 사업의 성과주의와 하향식 추진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위해 마을학교 등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평생교육법 제정과 평생교육 전담 조직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평생교육의 공적 기반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시민들의 학습 요구나 참여율도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각 지자체의 평생교육 공공 시설과 공적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평생교육 실천은 마을 단위의 주체 역량 강화와 같은 근본적인 변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시흥시 학습마을 사례를 통해서 마을공동체 사업의 추진과 주민의 평생학습의 관련성읕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민의 사회참여형 학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실천 사례에서 발견한 마을만들기와 평생학습의 협동 가능성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의 평생학습은 실천과 학습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개인 욕구 기반의 학습보다는 사회적·공동체적 실천의 과정으로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마을 활동과 관련해서 마을학교는 마을의 사회적 경제와 강한 결합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이에 기존의 행정 체제와 주민의 참여를 매개하는 평생교육 영역의 역할에 주목해야 함을 밝히고 싶다. Recently, Korean municipalities have been leading a boom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arguing its performance based principle on exis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and top-down approach. On the other hand,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and alignment of its exclusive organization. Also, the municipal public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its public spending on lifelong learning are rising sharply to fulfill diverse people's needs for learning and increased participation rates. Nevertheless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not been could not contributing to fundamental changes as reinforcement of subject capacity for community units. With having a sen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affinity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project municipalities have been recently promoting, focusing on a example of Siheung City lifelong learning villages project. A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Building’ and lifelong education from the example can be defined as three findings. There are three findings as follow. First of all, community activities in lifelong learning emphasize the learning as a process of social and collective practices, social practice learning, taking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learning rather than learning based on personal needs. The second is that community learning shows prospect of a strong bond with local social economy, related with community activities. Lastly, collaborative public-private governance is emerging as important task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urges to pay attention for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that mediates existing administrative framework and new who form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KCI등재

        평생교육활동가의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지희숙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사업에 참여한 주민이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떤 학습에 참여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이들의 일상적 학습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평범한 주민에서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학습경험의 실제를 기술하고, 그러한 학습 활동 의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해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마을매니저 12명에 대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자신의 ‘일’과 마을 내·외부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마을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학습하였다. 그 결과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개인 차원에서 주체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고, 조직 차원에서 주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교육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차원에서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지역 참여의 수준을 높 여가는 시민의 정체성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일상적 학습에서 나타난 특성은 일상성, 공공성, 운동성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there have not been enough discussions on the daily takeaways of a manager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even though they have grown to be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ity's lifelong learning project. So, this research describes the takeaways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who have transformed from normal residents to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have been done to 12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Their learning activities have occurred during their work and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community, and the aspects have appeared differently in the complex context of community. As a resul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grew up as independent learners individually and acquired own his or her identity as a citizen who participated more in the community around lifelong leaning. The daily takeaway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are characterized by dailiness, publicness, and motility of learning.

      • KCI등재

        주민학습문화센터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에 나타난 학습 특성 분석: 평생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지희숙(Hiesuk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이 연구는 동 주민학습문화센터에서 평생교육 전담 인력으로 활동하며,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 과정에 나타난 학습의 특성을 질적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자료 수집은 문헌 조사, 평생학습매니저 12명의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활용하였다. 주민학습문화센터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일상적 주민학습상담, 주민학습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마을 공동체사업 기획 및 운영, 마을 평생학습축제 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평생학습매니저의 학습 활동은 기존의 공공의 지원에서 빠진 주민교육의 틈새를 발견하고 메워가는 공공적 학습이며, 마을 주체들과의 만남과 대화로 구성되는 일상적 방식이며, 평생교육의 가치를 자신의 삶에서 전유하고 마을로 확산하는 학습의 운동성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at appear in the role fulfillment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that act as personnel responsible for lifelong education in local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and construct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literary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12 lifelong learning manager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s. Lifelong learning managers of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fulfill the roles of daily resident learning counseling, resident learning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community group project planning and operation, and community lifelong learning festival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are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that fill gaps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resident education left by existing public support and they are daily methods constructed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e main agents of community and they are using as their strategy the motility of learning in which the values of lifelong education are possessed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then spread out to communities

      • KCI등재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 탐색 : G 광역자치단체의 평생학습마을학교 운영위원을 중심으로

        은주희(Eun Ju Hui),정홍인(Jeong Hong In),이 성(Lee S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민평생학습활동가는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자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역공동체 내 평생학습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활동을 펼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의 참여동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현재 평생학습마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학교 위원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참여동기는 거주지역에 대한 문제인식, 마을리더의 필요성 인식, 마을이 가진 문제해결에 대한 의지표출, 주변의 기대와 요구충족이 참여동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한 주민들의 변화, 학습마을 공동체의식 강화, 마을의 가치를 통한 내적 동기 강화가 참여의 지속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을 하나의 조직으로 이해하고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를 도출하였다는 점과 그것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in G-local governmen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are engaged in active and pioneering activiti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within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live by choosing to perform the lifelong educator’s role. To investigate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chools located in G-local government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 recognition of the local problem, awareness of the need for community leaders, and desire to meet the expectation of community and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ir continuous motivation for activity includ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enti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cohesion among c ommunity members, and strength of participation’s intrinsic motivation.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derived, and strategies for how local authorities can suppor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농·어촌 지역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디딤돌지역을 중심으로

        지희숙(Hiesuk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이 연구는 농·어촌 지역에서 일하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충남 디딤돌지역을 사례지로 선정하였다. 문헌 조사와 평생학습매니저 심층 면담, 평생학습매니저 활동 현장에 대한 참여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농촌의 맥락’에서 구성되는 세부 역할을 도출하였다. 디딤돌지역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 자원 조사 및 활용, 마을 평생교육실태 조사, 주민학습장 발굴, 마을로 찾아가는 학습상담, 주민 교육요구 조사, 주민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평가, 마을 학습동아리 조직과 지원, 읍·면 평생교육협력체계 구축, 마을 교육활동가 발굴과 활용, 돌봄의 마을 평생학습문화 조성, 지역 평생교육현장 문제 발굴과 개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학습자 비율이 높은 농·어촌 평생교육에서는 주민들의 ‘일상 공간’과 ‘삶의 필요’, ‘마을의 학습 수준과 정서’를 고려해야 하며, ‘이웃공동체 회복’을 위한 ‘삶의 평생교육’으로 전환해가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selected the Didimdol Region in Chungnam as a case area to explore the role performance experiences of lifelong managers that work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areas.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ry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ith lifelong learning manager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 activity sites and detailed roles that are composed in the context of rural communities were deduced. Lifelong learning managers in the Didimdol area perform the roles of regional resource research and application,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dition surveys, resident learning center excavation, learning counseling through community visitations, resident education demand research, resid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management·evaluation, community learning club organization and support, eup·myeon lifelong education cooperation system establishment, community education activist discovery and utilization, care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ulture creation, and regional lifelong education site problem discovery and improvement.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rural and fishing community areas with high ratios of elderly learners must consider the everyday spaces , life needs , and community learning levels and emotions of residents and demand policy efforts that can make transitions into lifelong learning for life for the restoration of neighbor communities .

      • KCI등재후보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배영주 경인행정학회 2014 한국정책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some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2000, lo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sh ahead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as part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But Most studies on it have been conducted only in lifelong learning/education area and there were no sufficient checks or studies in the areas of community building. So, we can not know whether or no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s a kind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is study, I carried out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exploring and checking the orientation, key factor and, in particular, some practical problems in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Through this work, I could figure out tha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has not realized fully it's orientation and goals as a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I could also find that the features of lifelong learning, which has two aspects, namely, pers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collective expectation of community all at once, were served as a limit to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project. By paying attention to the breaking points, I was able to present four tasks for successful projects, and also point out a new possibilit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00년, 교육부가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착수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지자체들이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관심이 대체로 ‘평생교육’ 활성화와 복잡하게 겹쳐져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서의 점검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의 의미와 지향점, 발전 과정과 성공 요인 등을 정리하여 마을 만들기가 단순히 마을 단위 잘살기 운동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아니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마을을 자치 공동체로 재구조화하려는 공동체 조직화 사업임을 확인하고, 그것을 준거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의 특징 및 한계점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 사업 내용으로서 평생학습이 다른 사업 내용들과는 다른 한계점과 동시에 가능성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촌지역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한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분석

        지희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ol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who are active in rural areas of Eup and Myeon units and for this, it selected the Didimdol area of Choongnam as its research subject area and analyzed data collected through literary analysis, personal interview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Lifelong learning managers in the Didimdol area were shown to survey and utilize area resources, survey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ditions, discover resident learning centers, provide learning counseling in communities, survey resident education demands, develop, manage, and evaluate resident education programs, organize and support community learning clubs, establish Eup and Myeon lifelong learning cooperation systems, discover and utilize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create a culture of care in community lifelong learning, and improve problems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sites. These signify roles of community unit lifelong learning educators as educational mediators who connect area-based lifelong learning centers, Eup and Myeon community residents, and community- based lifelong learning manager support policies are needed for the vit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in rural areas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농촌 읍・면 단위에서 활동하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충남 디딤돌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분석, 개인 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딤돌지역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 자원 조사 및 활용, 마을 평생교육실태 조사, 주민학습장 발굴, 마을로 찾아가는 학습상담, 주민 교육요구 조사, 주민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평가, 마을 학습동아리 조직과 지원, ・면 평생교육협력체계 구축, 마을 교육활동가 발굴과 활용, 돌봄의 마을 평생학습문화 조성, 지역 평생교육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역 거점 평생교육센터와 읍・면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교육매개자로서 마을 단위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의미하며, 고령농촌지역의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 기반의 평생학습매니저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성숙 한국공공사회학회 2021 공공사회연구 Vol.11 No.2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research to delve deeper into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A Learning Village Activists is selected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Activity records and in-depth consultations from September 2020 to March 2021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ory of the experience in the work of the learning village Activists showed 'Starting with the bridge between the world and the inhabitants', 'the burden and sense of achievement of the first village', 'the outside of the village that cannot be crossed', and 'giving back by sharing learning'.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was analyzed as 'desire for hot-hearted work', 'growing with continuous learning', and ‘Representing the Voice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the work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has been expanded as a self-involved actor with personal growth and thi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differences in career periods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rganizational careers were proposed as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에 경험과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A학습마을 활동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9월부터 2021년 3월까지 활동일지 및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에 경험 이야기는 ‘세상과 주민을 잇는 가교역할로 출발’, ‘첫 번째 마을이라는 부담감과 성취감’, ‘넘어설 수 없는 마을의 외지인’, ‘배움을 나눔으로 환원하기’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의 경험의 의미는 ‘마음이 뜨거워지는 일에 대한 열망’, ‘지속적인 학습으로 성장하기’, ‘학습마을활동가의 목소리 대변하기’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에 경험은 개인의 성장과 더불어 주체적인 실천가로 의미가 확장되었으며, 이는 학습마을활동가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학습마을활동가의 경력기간의 차이, 조직 경력의 유무 등에 대한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The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ment Tasks for Policie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in Korea

        Kwon, Intak 한국성인교육학회 2005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8 No.3

        본 연구는 한국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모형과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방향을 탐색하고 있다. 평생학습도시 정책 모형은 비전, 기본관점, 목표와 방침, 추진체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지방자치단체는 2001년 광명시, 진안군, 유성구 등 3곳, 2002년 제주시, 부천시, 부산 해운대구 등 3곳, 2003년 서귀포시, 순천시, 안동시, 연수구, 거창군 5곳, 2004년 전주시, 관악구, 목포시, 칠곡군, 금산군등 8곳으로 현재까지 19개 도시가 지정되어 어느 정도 정착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 방향은 평생학습 지원체제와 추진체제 구축 및 강화, 평생교육기관간의 네트워킹 활성화, 시·군·구 중심 평생교육네트워크 구축, 학교교육과 연계에 의한 지역평생교육활성화,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도자 양성체제 구축, 행정기관, 평생학습센터 및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사 배치, 평생학습도시 촉진자의 발굴 및 양성, 학습동아리 조직화 및 활성화, 지역 평생학습문화 조성, 지역 평생학습축제 개최 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our country's model and operation condi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plan of local lifelong education.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operated as an example in Jinan County, Gwang Myeond City, and Yuseong-Gu in 2001, and presently in 2004, 19 cities have been designated and are settling to a certain extent. For the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there is the establishment and strengthening of the lifelong learning support system and promotion system, the network activation between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network focused on the city ? county ? district, activation of local lifelong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chool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leader fostering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human resources, placement of a lifelong educator in administrative institutes,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inding and fostering of lifelong learning city facilitators, organization and activation of study circles, promotion of the local lifelong learning culture, and holding local lifelong learning festivals.

      • KCI등재

        평생학습마을 컨설팅 과정과 그 교육적 가능성 탐색에 관한 실천연구

        지희숙,이유진,김미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8 평생학습사회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realit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consulting to improve on the problem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ites and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that appear in the process. For this,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consulting develops in the three stages of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 application stage and consulting harvest work in which consulting results are shared with the region and identified the change of sites in the application stage, is positively necessary.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consulting form a ‘communal study of community life by subject’, ‘public community sphere to find solution for community life’ and ‘cooperative planning for a leap forward.’ These study are meaningful in serving consulting basic data for the community based lifelong education design to create a lifelong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는 평생학습마을 현장의 문제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평생학습마 을 컨설팅의 실제를 보여 주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가능성을 탐 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천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한 결과, 평생학습마을 컨설팅은 진단, 실행, 적용의 3단계로 전개되며, 적용 단계에서 컨설팅 결과를 지역과 공유하고, 현장의 변화를 확인하는 컨설팅 추수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평생학습마을 컨설팅의 교육적 가능성은 ‘마을살이에 대한 주체별 공동학습’, ‘마을살이의 해법을 모색하는 마을공론장 형성’, ‘한 단계 도약을 위한 마을살이의 공동기획’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민 주도의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마을 기반의 평생교육설계에 요청되는 컨설팅 기초 자료를 생성했다 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