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접근법 실현을 위한 ODA 정책과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기반으로

        김대용,이소희,우혜영 국제개발협력학회 2024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적 접근법(integrated approach) 실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접근의 정의와 유형의 재정립, 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개발협력의 방법론 변화, 그리고 방법론으로서의 주류화 가능성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다루는 한편,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최근 ODA 사업이 패키지화 또는 대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합적 접근법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사업은 단편적인 접근에 치중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 통합적 접근에 대한 담론 형성과 함께 사회적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개념이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방법론: 이에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ODA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한편, 각 정책과제별 중요도, 시급성, 실현가능성을 평가한다. 조사대상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다년 간의 연구 및 사업 경험을 보유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저명한 전문가 중 30명을 비확률적 표본추출을 통해 정부⋅공공기관, 학계, 연구계, 민간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평가 결과, 내부 요인은 시급한 편이었으나, 실현가능성은 낮은 편이었다. 외부 요인은 시급한 반면, 중요도나 실현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즉, 내부 요인들에 비해 외부 요인들이 시급한 반면, 중요하거나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았다. 중요도가 높은 정책과제로는 공여국-협력국(수원국)간의 공급/수요에 대한 충분한 논의, 협력국(수원국) 관련 부처/기관과의 협조 강화, 한국 전문 기관의 사업관리 역량 강화가 선정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동 연구결과는 ODA의 통합적 접근법에 의거한 정책 수립 및 개발협력 사업 기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국제개발협력의 통합적 접근법에 의거한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면서 관련 국가 정책 수립 및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policy task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DA) projects in order to implement an integrated approach and evaluate them. In this context, the paper redefines th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f integrated approaches, explores methodological changes, and evaluates the potential for mainstreaming. Originality: An integrated approach has been emerging at a time when ODA projects have been packaged or enlarged, emphasizing a holistic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derive practical concepts shaped by discourse and consensus among experts in the field. Methodology: The policy agenda for integrating ODA projects is ident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involving 30 distinguished expert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survey assesses the importance, urgency, and feasibility of each agenda item. Result: External factors are more urgent compared to internal factors, but they are not considered more important or highly feasible. The high-priority policy tasks include facilitating adequate discussions on supply and demand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partner countries), enhancing cooperation with relevant departments/agencies in recipient countries, and improving the project management capacity of Korean specialized institutions.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 design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Furthermore,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relevant national policies and enhance the national brand.

      • KCI등재후보

        초등교실에서 놀이수업의 접근 방안

        유승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놀이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하나의 매체가 됨을 탐색하여, 초등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적 접근방안을 6영역으로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놀이 수업의 접근방안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놀이수업의 6접근 영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접근 1은 비놀이 접근으로 지식중심의 암기가 목표이고 놀이는 때대로 삼으로 주어진다. 접근 2는 자유놀이 접근으로 놀이 자체가 목적이며 정신건강 증진 등이 목표이다. 접근 3은 작은놀이 접근으로 주의집중과 동기유발을 목표로한다. 접근 4는 교과목표놀이 접근으로 본시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 매체를 활용한다. 접근 5는 발달적 놀이 접근으로 목표는 지적, 정서적 , 사회성, 도덕성 발달 등의 개발이다. 접근 6은 통합적 성장 놀이 접근으로, 그 목표는 통합적, 전인적 인간성장발달에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 educational meaning of play, explore a possibilities of play appliable to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develop a play approach model for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by presenting six domains of play approach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he followings are important elements of educational meaning of play. First, play enables children to make sense of their world. Second, play develops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s. Third, play allows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orth, play fosters flexible and divergent thinking. Fifth, play provides opportunities to meet and solve real problems. Sixth, play develops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and concepts. The followings are six domains of play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Approach 1 aims memory knowledge with non-play approach based on behaviorism. Approach 2 aims stable emotion, happiness, and play therapy with free-play approach based on psychoanalysis. Approach 3 aims a attention during class and motivation with small-play approach based on child-centered education. Approach 4 utilize play medium with play approach for subject matter based on constructivism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pproach 5 aims the advancement of human knowledge, sociality, cooperative spirit, thinking power, and human relationship skill with development play approach based on humanism and DAP. Approach 6 aims development of integrated whole human with integrated growth play approach based on hollistic education, DAP, humanistic education, constructivism,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 KCI등재후보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의 통합적 접근

        이은희(Eun-Hee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2009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 교과 가정생활영역에서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교육적  의도가 내재되어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해  보는 것은, 교육현장에 보다 구체적이고 적용 가능한 다문화교육과정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문화다양성은 교육적으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에서 가정과교 육 관련 연구를 분석한 뒤,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을 어떻게 통합적으로 접근해서 교육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모색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외 관련 문헌연구와 교육과정 등 내용분석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교사 3인을 포함한 가정과교육 전문가 5인의 검토 및 자문과정을 수행 하였고, 타당성 조사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4.11로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사회에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 하여, 문화적 차이를 동화의 대상이 아닌 그 자체를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적극적 다문화교육의 관점  즉, 문화다양성 측면으로의 교육적 통합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른 교과와는 달리 다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가정과교육은 다문화사회에서 개인, 가족, 사회생활을 통한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문제들을 주요 학습내용으로 다루도록 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교육내용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문화적 구조인 가족이 구성원인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실 천이 가능한 보다 직접적인 학습내용 등을 제시되어져야 하고 이는 통합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셋째, 이와 같은 교육 적 요구와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교육현장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자료로 Drake와 Burns (2004)의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에서 제시한 다학문(multidisciplinary),  간학문(interdisciplinary), 범학문(transdisciplinary)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 육의 통합적 접근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색된 통합적 접근 방식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에 의해 실현될 수 있 도록 앞으로 교수·학습 과정안, 활용 가능한 교수매체 등이 다양하게 개발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필요도가 높은 가정과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하기 위 해서는 전국적으로 체계적인 교사양성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재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사연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Recently, emphasizes the cultural value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ulticultural curriculum materials,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 concerning cultural diversit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framework was used was used to analyze the Drake & Burns (200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for an integrated approach. And the review and consultation process conducte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professionals of five people, including three teacher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is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lso, cultural diversity emphasizes an integrated curriculum in educational terms. Analysis of the 2009 curriculum result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present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e cultural values​​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by utilizing a multidisciplinary, a interdisciplinary, and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ystematic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achieve an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양육시설아동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성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ADHD 아동들을 위한 사회사업실천이론을 적용한 접근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HD 개념과 기본특성,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해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ADHD 아동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으로서 사회사업실천이론을 검토하며 실천이론에 기반한 다양한 접근, 인지행동주의 접근, PMT중심의 체계론적 접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접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사업실천이론에 기반한 각각의 접근방법들이 ADHD 아동의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정서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에서의 ADHD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시 각각의 접근방법들을 병합하고 가족, 학교체계를 활용하는 통합적인 접근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체육교과에서 지식과 인성교육의 통합적 개념 탐색

        전세명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에서는 지식교육과 인성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통합적 전통을 문헌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을 통합하는 교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교과를 통한 지식과 인성교육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식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는 Aristoteles의 실천적 지혜(phronēsis), Polayni의 인격적 앎(personal knowledge), MacIntyre의 실천전통(a practice)의 개념을 통해 체육교과에서는 운동 기능과 지식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속에 담긴 전통으로서의 역사, 과학적 원리, 심미성 등을 통합하여 실천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격교육의 측면에서는 도덕적 추론을 강조한 인지적 접근과 도덕적 행위의 실천에 초점을 맞춘 덕윤리학적 접근의 통합이 요구되며, 배려 덕목이 강조되는 인격교육의 공동체적 접근이 실천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육교과는 신체활동에 참여하면서 지식과 인성교육에서 강조되는 실천성과 공동체성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통합적 교과임을 인식하고 전인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통합적 교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arch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Recent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has gained much attention as an objective for education. Consequently, awareness is sought on integr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and clarify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for knowledge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findings shows that physical education i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through practice can teach sport skills and knowledge and further develop the affective domai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Aristotle’s practical wisdom, phronesis, Polanyi’s personal knowledge and MacIntyre’s a practice. The core of character education must be on virtue ethics and community building approach as a practice.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is seen to provide whole education by providing knowledge through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놀이치료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치료적 영역에서 치료자의 역할

        김유선,김영희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5 No.2

        최근 놀이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임상현장에서 치료의 효과성을 위해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놀이치료의 통합적 접근을 위해 치료자가 각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적 접근 모델 및 놀이치료 이론들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놀이치료 전 과정에서 치료적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문헌을 분석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치료자가 다루어야 할 주요한 영역들은 ‘아동과 합류, 놀이반응, 저항, 전이와 역전이, 아동의 적응’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영역들에 대한 이론적 가설을 세워 각 영역에서 치료자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이론들의 강점을 활용한 통합적 접근에서 놀이치료자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놀이치료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놀이치료자의 치료 역량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함의가 있다.

      • 초등학교 5학년 도덕교과서의 발문 분석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8 公州敎大論叢 Vol.45 No.1

        It is aery important to develop a good moral textbook, because the moral textbook is a critica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lead a moral class. Textbook is a first source in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s that was presented on moral textbook is a key that lead teachers to operate the moral class. 7th moral curriculum was based on integrat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The moral textbook was consisted of 3 periods every lesson. First period takes an cognitive approach. Second period takes an affective approach. Third period takes on a behavioral approach. As a result of analysis of questions on maral textbook of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as not so appropriate somewhat that teachers can not operate a moral class efficiently. So we should try to develop good textbook at 2007 revised moral curriculum. 도덕교과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통합적 접근을 기조로 하여 도덕교과서의 한 제재를 3차시에 걸쳐 지도하도록 구성하였다. 1차시는 인지적 접근 중심, 2차시는 정의적 접근 중심, 3차시는 행동적 접근 중심을 하도록 도덕교과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에 적합한 도덕과 교수-학습모형으로 1차시는 인지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를, 2차시는 정의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를, 3차시는 행동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덕교과서에 제시된 핵심적 발문이 각각의 도덕과 교수-절차에 따라 도덕과 수업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도덕과 수업을 운용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교사의 발문이기 때문이다. 분석결과는 1차시 인지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를 운영하기 위한 발문으로 부적절 한 것이 다소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차시도 역시 정의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를 운용하기에 부적절한 발문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발문은 바로 3차시 행동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에 따른 발문이다. 다수의 발문이 행동적 접근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나 있어 200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해 도덕교과서를 개발할 때 꼭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의복관리』와『섬유(재료)』주제를 중심으로 -

        김남은,이혜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3

        이 연구는 일상의 문제를 통합적인 사고능력으로 풀 수 있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주제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주제를 선정하였고,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을 시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부산광역시 소재 B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총 28시간의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 단계에서 다른 교과의 통합적 접근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탐색한 후, 설계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유형을 파악하고, 개발 단계에서는 주제선정 기준에 따라 주제를 선정을 하였다. 주제선정을 위해 선행연구와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고, 학생들과의 메신저,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거쳐서 2개의 "의복관리"와 "섬유(재료)"를 선정하였다. 평가는 1차 전문가평가, 2차 예비 수업 평가, 3차 현장수업 평가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2개의 주제에 대해 주제중심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의복관리”편의 학습 자료는 총 49가지, “섬유(재료)”편의 학습 자료는 총 32가지이며, 주제의 성격에 맞게 실험과 실습 등으로 구성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표․학습내용․내용구조도․학습활동․평가로 이루어져 있고, 학습활동은 체험․ 실습 및 실험활동․자기 주도적 활동․문제해결과정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가는 자기평가․교사평가․동료평가․포트폴리오․실험보고서 등이 포함되었다. 1, 2차 평가에서 본 프로그램이 현 시점의 요구와 잘 부합되며, 타 교과와의 융합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고, 학습자의 흥미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다만 프로그램의 내용 각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3차 학생 현장 수업평가에서 약 60%의 학생들이 개발된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내용을 이해하기 쉬우며, 한 가지 주제가 여러 과목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주제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은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접근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은 지식을 통합적으로 모으는 일 뿐 아니라 이를 창조적으로 변화시켜 실제 생활에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응용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많은 교사들이 활용하여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접하는 문제를 통합적으로 사고하여 해결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d evaluate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of Home Economics through the theme-based integrated approach develop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for solving everyday problems. For those purposes, it selected a couple of themes in the area of Clothing Life toward which the theme-based integrated approach could be develop and evaluate an educational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and assessed in total 28 hours of field lessons given to eighth graders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stage involved an exploration into programs related to an integrated approach to other subjects; the design stage identification of program types; and the development stage theme sele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o select a theme. two themes "Clothing Management" and "Fabrics(Materials)" were selected after discussing with the students on the Messenger and with a group of experts. Then content was organized and composed around the themes by discussing connections with other subjects. There were three evaluation; one by experts, another through preliminary lessons, and the other through field lessons. Following the research procedure, a theme-based integrated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two selected themes. It contained total 49 and 32 learning materials for "Clothing Management" and "Fabrics(Materials)," respectively. Those learning materials were comprised of experiments and practic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themes. Each program consisted of the goals, learning content, content organization chart,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s, practice and experiment activities, self-directed activities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evaluations self-evaluation,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portfolio, and experiment reports. The program was assessed three times. The first and second evaluation results found that the program was well compatible with the current needs, was properly organized to give lessons through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continuously maintained the students' interest. They, however, requested that there should be detailed explanations about each part of the program content. In the third evaluation done by the students during field lessons, 60% of them said that the program was fun and its content was easy to understand, that they realized a theme could be connected to several other subjects, and that the program could be applied to actual life. The educational program through the theme-based integrated approach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area of Clothing Life and tries an integrated approach. It helped the students not only gather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ut put it to practical uses to solve various problems they faced in actual life by creatively changing integrated knowledge. The study will be hopefully used by many teachers so that the students solve problems based on the ability of integrating various knowledges organically

      • KCI등재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

        김수진 ( Suji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한국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데 반해, 그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는 무엇보다 그동안 인성교육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담론과 실제를 체계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으로 미국 인성교육협회의 국가인성교육위원회 보고서에 제시된 전통적 관점, 아동 발달적 관점, 배려 공동체 접근, 구성주의적 접근, 절충적 관점을 살펴보았고, 인성교육의 최근 동향으로서 배려윤리 접근과 사회정서학습 접근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을 덕목 중심 접근, 인지 능력 발달 접근, 배려 중심 접근, 통합적 접근, 사회정서적 접근으로 재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이 한국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를(1) 관점과 철학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인성교육 실시, (2) 인성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중시, (3) 단위학교 중심의 인성교육 방향 수립 및 운영으로 논의하였다. Although character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implemented in Korean schools. Studies have shown that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sporadic.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haracter education. Toward that end, major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included in a report by the Washington D.C.-based non-profit organization,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were studied.Those approaches include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 the community of car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sociomoral development, and the eclectic perspective. Additionally, two other approaches-the ethics of care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were studied because they represent the most recent 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Moreover, the following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were reorganized from the cognitive,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virtue oriented approac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the caring oriented approach, the integrative approach,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There are three implica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1) develop a coherent and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rspective and philosophy; (2) utiliz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reate an inclusive character education; (3) ensure school-bas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과 정책방안의 전략적 탐색

        신현석,가신현,이경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reducing teachers’ workload through an integrative model of school work based on ecological, strategic and communication approaches we construct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teacher workload among key stakeholders from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new approaches – ecological, strategic and communicative approach – for reducing teachers’ workload in schools. We also suggested basic directions for policy interventions and priorities of specific strategies for reducing heavy workload of teachers. We evaluated them and determined the order of priority based on the ecological cycles of school work – that is, occurrence of tasks, transmitting, and processing. We extracted specific strategies for reducing teacher workloa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rearranged them intentionally in a certain stage of ecological cycles of school work for a policy intervention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for all teachers. 교원의 업무과다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및 교육청 차원의 대책 그리고 대책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들이 최근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지만 교원업무 경감을 바라보는데 있어 정부, 교원단체, 학계의 다양한 시각차이가 존재함으로 인해 선행 접근들은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원업무 경감에 대한 이러한 선행 접근들의 한계에 착안하여 정책의 생태적 접근과 전략적 접근 그리고 소통적 접근을 토대로 교원업무 경감의 방향과 과제를 교원업무의 생태적 순환단계별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원업무 경감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분석하고, 업무경감을 위한 새로운 접근 모형으로서 생태적, 전략적, 소통적 접근 모형을 통합적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근거하여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교원업무의 발생, 전달, 처리 단계별로 업무경감 방안 추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전략적, 소통적 접근의 모형을 바탕으로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을 대안적 틀로서 제시하고 교원업무 과다로 인한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