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윤미 ( Sung Yun-mi ),김정희 ( Kim Jung-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장애통합교사와 일반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의사소통능력,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장애통합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 - 영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장애통합교사 150명과 일반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50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인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교사 - 영유아상호작용은 일반교사가 장애통합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장애통합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각각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장애통합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통합교사의 자기정서인식과 정서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분석과 평가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 - 영유아 간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애통합교사의 정서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분석과 평가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 - 영유아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장애통합교사의 자기정서인식 능력과 분석과 평가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 - 영유아 간의 행동적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통합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장애통합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influence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inclusive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inclusive teachers and 150 general teacher on child care center in Seoul. In this research, three tools were us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tools made by Bora Yeon(2014). And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tools made by translation of Ilsun Choi and Woonju Cho(2010). To measure the interaction level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ools developed by Jeong sook Lee(2003). For the data processing, the analysis of frequency,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was higher in general teachers compared to inclusive teachers. Overall interaction level was higher in general teachers compared to inclusive teach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inclusive teacher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clusive teacher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Third, for inclusive teachers, as the self-emotion acknowledge and emotional utilization are higher, they have more positive predict on teacher-children emotional interactions as main predictable factor. Lastly, as the self-emotion acknowledge and analyzing, evaluating competence of the inclusive teachers are higher, they have more positive predict on teacher-children behavioral interactions as main predictable factor.

      • KCI등재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 및 운동기술 능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의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정도에 따른 조기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 유아특수학교, 장애전담 어린이집, 일반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주양육자(N=179)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장애 조기 선별척도와 K-SIB-R의 운동기술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은 전반적으로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특히 고유-전정감각과 청각-시각의 능력이 낮았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전반적으로 `정상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감각통합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촉각 영역에서만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장애유무와 성별 간, 장애유무와 연령 간, 성과 연령 간, 그리고 장애유무와 성 및 연령 간에는 감각통합 능력에 있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은 성이나 연령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둘째, 장애유아의 운동기술 능력은 전반적으로 `낮음`에 속하였으며, 특히 대근육운동은 `평균 이하`, 소근육운동은 `매우 낮음`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대근육운동과 소근육운동 모두 `평균 이상`의 수준이었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운동기술 능력이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장애유무를 제외한 성, 연령,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운동기술 능력은 유아의 성이나 연령의 영향보다 장애의 유무가 주된 영향 요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감각통합 능력과 운동기술 능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감각통합장애의 위험이 높을수록 운동기술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소근육운동 영역과의 상호 관련성이 매우 높았다. 한편 하위 영역들과의 상관에서는, 운동기술 영역들은 감각통합의 하위 영역들 중 고유-전정감각, 청각-시각, 회전-전정감각과의 관련성이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이 운동기술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유아에게 필요한 학습관련 기술들, 즉 필기도구 조작하기. 글씨쓰기 등과 같은 운동기술들 및 일상생활 기술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에 감각통합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the study analyzed the co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hat of movement skills. Thus,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provide resources to develop and apply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79 main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special schools, special daycares, integrated daycares and kindergarten in Busan and KyungNam. The study used the early screening scale of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and the movement skill scale from K-SIB-R.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danger group. In particular, the abilities of proprioceptive sensibility and vision-hearing showed low. Howeve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normal group. This result showed that the ability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ability of the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low level. In special, gross-motor movement showed below average,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showed very low. However, gross-motor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over average. This result meant that the ability of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showed more difficult sensory integration and more difficult movement skills. Especially, the correlation with fine-motor skills was very high.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사회과 통합형 문항 분석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화순,송성민,김재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by analyzing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early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ing relevant questions and evaluations in the future. Social studies questions of the NAEA conducted from 2004 to 2018 for middle-school third-grad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integrated questions of the CSA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questions annually account for approximately 20% of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in the NAEA,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early CSAT integrated questions. Second, among different types of integrated questions, integrative topic questions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NAEA, as opposed to the CSAT, which shows the lowest frequency of integrative topic questions. Third, an analysis of the level of integrated questions in the NAEA shows that high-level questions make up the largest part of the integrated questions, and this result was similar in the CSAT.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ajor content of the integrated questions show that general social studies account for the largest part of the integrated questions in both the NAEA and CSAT. Lastly, the major and minor content of integrated question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 social studies exhibit the most frequent integration compared to geography and history, in both the NAEA and CSA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develop questions, and makes suggestions for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and enhancing discussion on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통합형 문항 분석을 바탕으로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과 영역 출제 문항과 비교함으로써 사회과 통합형 문항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 문항 개발 및 평가 방향 구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된 중학교 3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을 분석하고 이를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체 문항 대비 통합형 문항의 비율은 연도별로 약 20% 내외 수준이며, 이는 초기 수능 문항의 통합형 문항 비율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난다. 둘째,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통합 유형은 통합소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통합소재형 문항의 빈도가 가장 낮은 수능과 대비되는 결과이다. 셋째,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통합 정도 분석의 결과 ‘상’ 수준의 문항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수능 문항에서도 유사한 결과로 나타난다. 넷째, 통합형 문항의 주요 내용 요소 분석 결과는 학업성취도 평가와 수능 모두 일반사회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형 문항의 주요 내용 요소와 보조 내용 요소의 분석 결과는 학업성취도 평가와 수능 모두 일반사회가 지리, 역사에 비하여 영역 내 통합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과 통합형 문항의 특성 및 출제 방향, 문항 개발의 전략 등을 도출하였으며, 사회과 통합형 문항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 및 후속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영미 ( Young Mi Kim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감각통합능력 및 일상생활능력이 지체된 것으로 진단된 뇌성마비 유아 1명을 대상으로 대상유아의 장애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한 감각통합프로그램(촉각, 전정각, 고유수용각 훈련을 중심으로 구성)을 구안,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아동용 감1)각반응검사(SSP)와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DARBAS의 하위 영역)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프로그램은 2004년 1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총 72회기(주 3회, 회기당 40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능력의 변화 수준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상유아의 감각통합능력은 사전 점수 89점보다 56점 향상된 145점으로 나타나 감각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에서 대상유아의 신변처리능력은 사전 7.3개월 수준에서 사후 30개월 수준으로 평균 22.7개월 수준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구안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추론하였다.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was applied to improve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ffectively. Pre- and post- test designs were applied for one child with celebral palsy who showed the delayed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The main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ub-tests of DARBAS and SSP(Short Sensory Profile) Test.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hild from November 2005 to April 2006 and the total attempts were 72 times (40min. per time and 3 times per week). The followings are what w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1)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was investigated by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 and post- tests;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y was improved by 56 poin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89 for pretest to 145 from post-test), showing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2) The self help ability of the child was improved by 22.7 months (from 7.3 months before the test to 30 months after the test) These suggest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is very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

        통합사회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 분석-

        김재근 ( Kim Jaegeun ),배화순 ( Bae Hwasoon ),송성민 ( Song Seong-m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사회 과목의 평가 및 문항 개발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기출된 통합형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고 통합사회 문항 개발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1994학년도부터 2004학년도까지 11개 학년도 12회에 걸친 수능시험의 사회탐구 문항 564개를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형 문항의 비율은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로 5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가 6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통합형 문항의 유형은 자료통합형, 답지통합형, 통합소재형, 자료답지통합형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형 문항의 통합 정도와 난이도는 상, 중, 하 수준의 문항 수가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연도별로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문항의 내용 요소를 살펴본 결과 일반사회 과목군이 주요 내용 요소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과목군 별로 이웃 과목군과의 친밀도 및 통합가능성을 고려한 문항 개발의 가능성, 통합형 문항 출제에 있어 각 유형의 특성에 유의하여 문항을 개발할 필요성, 향후 통합형 문항 개발 및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tegrated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564 questions from 11 years of CSAT (1994~2004)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atio of integrated questions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5<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exhibited higher ratio than 6<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type of integrated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passage-integrated question’, ‘answers-integrated question’, ‘integrative topic question’, and ‘passage-answers-integrated question’ types in order of large numbers. The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the difficulty of question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the number of ‘high’, ‘middle’, ‘low’ questions distributed evenly.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questions were analyzed to exhibit the largest number of general social studies materials to be employed.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the possibility to consider the affinity with the neighboring subject matters, the necessity to take heed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question types, the need for more related researches regard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

        최성규,이정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3 No.2

        특수교육에 있어서 통합교육의 중요성은 궁극적으로 특수교육의 지향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물리적 통합보다는 기능적 정서적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16명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15문항과 장애아동 지도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성과 관련한 15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는 통합교육 장에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지도와 관련된 수행능력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있으나, 태도에 비해 수행능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곧 특수교육의 효율성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장애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요구되는 수행능력신장을 위한 방안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The efficiency of inclusion is not decided, more determined by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setting but by their competency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ttitude and competency regards inclusion and to present our basic finding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clusion. Three hundred sixteen teachers participated in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a) The teachers attitude was positive to inclusion. And there was marginal difference regarding sex, career, experience but those teacher have more experience did develop a higher level of concerning; (b) The competency level the of inclusive class teacher was low regarding efficient teaching methods with special needs children. The competency level of the teaches was much higher in direct proportion to their degree of experience with special needs children; (c) There was a little 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ttitude and competency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al significance regarding positive attitude and competency teacher attitude and competency and the level of classroom efficiency. The prince factor in improving education for special needs children is a well organized, professionally planned program.

      • KCI우수등재

        통합사회 과목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 지정에 따른 지리교과 영역 중심의 사회과 통합 평가 문항 연구

        김기남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2

        본 연구는 2028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에 통합사회 과목이 수능 공통 과목으로 지정된 것에 따라 지리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 통합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가 수능 과목으로 지정됨에 따라, 세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첫째는 사회과 통합 논의를 지지하는 입장과 반대의 입장 사이에서 통합적 평가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다. 둘째는 학습자의 실생활 이슈를 중심으로 한 통합사회의 통합적 과목 성격과 수능 선택형 평가 문항 체제하에서 각 분과 학문의 기반 사이에 발생하는 충돌과 불일치의 문제이다. 셋째는 사회과 통합형 문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지리교과 문항의 출제와 지속 가능성 문제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사회의 성격과 수능 평가 체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지리교과 중심의 사회과 통합 문항과 소재를 제시하였다. 수능은 중등 교육에서 각 교과의 위치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평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수능 개편안 체제하에서 지리교과 영역의 확립을 위한 지리교육 평가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integrated evaluation plan for social studies focusing on the subject area of geography, as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was designated as a common subject for the CSAT in the 202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reform. With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designated as the CSAT subject, several issues have arisen. The first i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ach an agreement on integrated evaluation between those who support and oppose the discussion of social studies integration. The second is the problem of conflict and inconsistency that arises between the nature of integrated subjects in an integrated society centered on learners' real-life issues and the foundation of each discipline under the CSAT optional evaluation question system. Lastly,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geography subject questions that align with integrated social studies poses a challenge.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presents integrated questions and materials focused on the geography subject, designed to align with the nature of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the CSAT evaluation system. Given the critical role of the CSAT in determining the status of each subject in secondary education, Therefore,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geography education assement to establish the geography subject area under the CSAT reform system.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인식과 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 및 교직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

        이수연,최성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teachers’ perceptions on incllusive education, self-efficacy on their performance, and job stress. [Metho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of 80 items; 20 items on the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20 items on self-efficacy, 20 items on competencies to perform inclusive education, and 20 items on teacher job stress. Of the total 300 copies (85%) collected from the total 350 copies, 294 copies (84%) were process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inclusive education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of inclusive class teachers had statistical explanatory power of necessary conditions. Teachers' self-efficacy in the inclusive class did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eaching stress.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the ability to perform inclusive education, but they did not have statistical explanations about teaching stres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positive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and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are nee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inclusive class teachers to perform inclusive education. [목적] 이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인식과 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 및 교직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방법] 설문지는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20문항, 자기효능감에 대한 20문항,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대한 20문항, 그리고 교직스트레스에 대한 20문항으로 총 8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통합학급이 운영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유·초등학교 25개교와 중학교 및 고등학교 10개교를 선정하였다. 전체 350부 설문지 중에서 회수한 300부(85%)를 회수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94부(84%)를 자료처리 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인식과 자기효능감은 필요조건의 통계적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다. 통합학급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직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에서 통계적으로 부적관계를 확보하였고,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대해서는 필요조건의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다.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인식은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필요조건의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교직스트레스에 대해서는 통계적 설명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높은 자기효능감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희,배율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hrough applying th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in K-do were grouped into and an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provided the activity of integrated art appreciati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was assessed by performance test of Chi, Sung-Aeʼs (2001) drawing representational skill scale, while language ability was revised by Seoul Community Ehabilitation Center (2004). A pre-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perimental groupʼs homogeneity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o examinethe differ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to promote childrenʼ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and should be implemented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K도에 위치한 S 유치원의 만 5세 두 학급을 각 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선정하고, 이 중에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을 적용하였다.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01)가 개발한 그리기표상능력 평가척도를 사용하였고유아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2004)에서 제작한 구문 의미 이해력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료수집은 7월 18일에서 8월 26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수집된연구자료의 효과분석을 위해 t-검증을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의 효과 분석 결과,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는 보다 효과적인 통합적 미술감상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맹희주,손연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수업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과학교사들의 수업능력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통합과학교육은 과학지식과 학생들의 일상 경험을 연결시켜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태도를 함양시키는 것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이 교육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체 응답자의 43.5% 정도가 통합과학 수업을 적용해 본 경험 있으며, 대부분 생물영역 중심의 통합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에 따라 통합이 취약한 과학영역과 접근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수업컨설팅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 전영역이 통합 중심영역으로 고르게 적용되고, 수업의 전 과정에서 통합과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컨설팅이 요구되어졌다. 셋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지율(52.1%)에 비해 대부분(83.0%)의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 개발을 위해 지식습득 보다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교사모임을 통한 수업자료의 공유가 필요하며,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통합과학 수업내용 선정에 대해 수업컨설팅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물리영역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지식 확보가 컨설팅을 통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수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수업목표에 따라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설계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방안이 수업컨설팅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학교급의 특성에 맞는 수업컨설팅을 수행함으로 편중된 통합과학교육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능력의 함양을 위해 차별화된 연수 프로그램과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o consult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SE),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Integrate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ppl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ince ISE is recognised to be more focused on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so that they can scientifically solve phenomenon in their daily life through connecting Science knowledge to their daily experiences as students, the direction of ISE will be consulted with respect to its agreement with the objects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application of ISE comprised about 43.5 percent and that applied to the integration of the main ideas of the biological sciences. Third, most teachers (83.0%) had not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class consulting although the rate of awareness (52.1%) about class consulting was significant. The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eed to share class materials through teacher meetings or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rather than simply acquire knowledge to develop professionalism for IS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needed for class improv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for the physical realm need consulting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rning earth science as well.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level, the class consultations should not put too much emphasis on ISE.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and develop differentiated training and class consult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bilities relating to ISE. (273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