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박재국(Park, Jae Kook),김동문(Kim, Dong M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위급상황 발생시 국민의 안전을 위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전국에 약 2만 5,724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약 3,870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에 설치된 대피소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주변 반경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대피소 수용능력은 서울인구의 285%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보행자의 나이, 신장, 건강상태, 신체조건 등과 같은 개인차에 의한 보행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대피소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대피소의 공간적 배분 및 분포에 따라 수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취약지가 발생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보행자의 유형별 보행속도를 1m/s, 1.3m/s, 2m/s 정의하였고, 서울시에 지정된 대피소와 도로망을 이용하여 입지할 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행정구역별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의 서비스 지역과 취약 지역을 알 수 있었으며, 노약자의 경우 대피소에 도달할 수 없는 취약 지역이 빠른 걸음의 성인남녀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e are approximately 25,724 shelters to which people can be quickly evacuated for safety in case of emergency across the nation, and Seoul has about 3,870 shelters. Those nationwide shelters are located at a point within a five-minute radius for quick evacuation. Seoul"s shelter capacity can hold 285% of its population. The problem is, however, that there is no knowing how many shelters are reachable within five minutes when considering walking speed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age, height, health state, and physical condition. In addition, available service areas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atial allocation and distribution of shelters with possible vulnerable points. This study thus defined the pedestrian walking speed at 1m/s, 1.3m/s, and 2m/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network analysis of the Location Allocation Model with the designated shelters and road networks in Seoul. The results identified the shelter service and vulnerable area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according to walking speeds. It was analyzed that the vulnerable areas in which the elderly could not reach a shelter were more than twice as big as those of adult men and women with a fast walking speed.
토지의 감정평가를 위한 GIS 공간분석 활용에 관한 연구
박재국(Park Jae Kook),이인엽(Lee In Youp),오이균(Oh Yi Kyun) 한국지적학회 2006 한국지적학회지 Vol.22 No.2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는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정평사사의 지식ㆍ경험ㆍ판단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평가관련 자료의 효율적인 수집과 감정평가의 과학화 및 정보화를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신뢰성 향상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여구에서는 평가관련 자료를 GIS 기능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자료 수집을 최소화 하였으며, 감정평가 지원을 위한 GIS 공간분석 적용에 대한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공간정보와 공간분석을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난해하고 복잡한 공간문제를 해결하고 감정평가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land valuation is done b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and is too much dependent on the appraiser"s knowledge, experience and judg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valuation works through the effective collection of evaluation data and with high levels of scientific methods an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minimized the field survey by collecting the valuation data with means of GIS functions and by storing the database in the computer. And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GIS-based spatial analysis to support the valuation work. Especially,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nalysis, we provided the appraisers with options to solve the difficult and complicated spatial problems in valuation works and for their rapid and clear decision-making of valuation.
ICF-CY를 활용한 지체장애학생의 활동과 참여 기능 및 수준 분석
박재국 ( Jae Kook Par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Recently the problems of applying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of planning IEP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come to the fore as condition of their disabilities become severe and multip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major education and support areas such as application of learning and knowledge, communication, self-help skill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daily routine by employing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formed considering activity and participation domain of WHO’s ICF-C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 youth version) that was developed to evaluate major func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appropriate supports as a conceptual framework. A total of 112 subjects who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variable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esent function levels and relations on 4 area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At the same time, validity of applying ICF-CY to IEP and issues on IEP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discussed. The results which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 the more diversified and systematic supports for basic learning functions in the area of the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Second, the results is suggested that ICF-CY plays an important role of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Third, ICF-CY is the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self-care. Forth, in the result of evaluating FPQ,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very low, especially outdoor activities. Fif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iversified to the disabilities level. Sixth, three sub-element of th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ICF-CY was high corelation to the frequency of the living participation level.
일반학교에 있어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박재국 ( Jae Kook Park ),김혜리 ( Hye Ri Kim ),서보순 ( Bo Soon Seo ),김진주 ( Jin Joo Kim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spect of how to create an independent, highly qualified, and proficient n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of general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is efficiently,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of general schools is considered; creating a basic data for future groundwork. The conclusion for this study was prudently reached by distributing and collecting surveys from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in four disparate metropolitan cities and five ordinary ones. First, the instructers claimed the importance and demand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which mainly consists of five major areas: the content, management and means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sufficient support, medical alliance, and handbook for teachers. Secondly, the work experience, type of class, and time of career on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had a minimum effect on the perception, which was verified by statistical data. Nevertheless, distinctive gaps were displayed by the teacher’s gender and experience on related training. Therefore, this thesis implies the importance for various developments on curriculum, management on appropriate course related to health and academic skill, and adequate role for the teachers.
박재국(Park Jae Kook),이상윤(Lee Sang Yun),양인태(Yang In Tae),김동문(Kim Dong Moo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2D
사면의 변위는 산사태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사면의 변위는 지속적인 관측과 높은 정밀도의 관측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사면관측을 위해서 광섬유센서, GPS, Total Station, 계측기 등의 침단장비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측 장비는 경제성, 환경성, 편리성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장비의 제약으로 인해 실제 현장적용이 부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사면관측과 현장적용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관측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의 사면 모니터링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사면조사와 사면유지관리를 위한 정보획득 기술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의 모니터링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변위 발생 지역의 육안판독을 위한 그리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면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displacement of slope is a key factor in predicting the risk of a landslide. Therefore, the slope displacement should be continuously observed with high accuracy. Recently, high-tech equipment such as optical fiber sensor, GPS, total station and measuring instrument have been used. However, such equipment is poorly used in fields due to economics, environment, convenience and management. Because of this, development of substantial observational techniques for varied slope observation and field applications is needed.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errestrial LiDAR for slope monitoring and suggested it as information-obtaining technique for slop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For that, this study evaluated the monitoring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and performed GRID analysis to read the displacement area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it suggested a methodology for slope monitoring.
박재국(Park Jae Kook),김성훈(Kim Seong Hoon),김동문(Kim Dong Moon),이시형(Lee Si Hyoung),오홍석(oh hong seo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지속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물은 매우 중요한 필수 요소이며, 도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도시용수가 충분히 공급되어져야 한다. 특히 도시화 및 공업화 등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더 많은 물이 수급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급격한 산업화, 도심의 콘크리트화된 구조물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 등으로 물 부족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도시용수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따른 용수 부족을 해결하고자 물순환 건전화와 도시용수의 합리적 배분 및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도시 물순환시스템이 유기적인 형태로 통합관리 및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시용수의 효율적 관리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과 GIS 기술을 활용한 도시용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박재국(Park, Jae-Ko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소진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소진, 직무만족도, 수업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SEM 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소진, 직무만족도, 수업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소진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도는 수업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의 소진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소진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한 가지 실질적, 그리고 효과적 전략으로서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burnout on teaching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explored. Method: 28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burnout,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Results: First, the level of burnout,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positiv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ing compete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burnout on teaching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useful strategies to facilitat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means of improving the teaching competenc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