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 지각 특징

        정동영,김성락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his study was ‘Survey for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on 109 general education teachers of element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 management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respect diversity were at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Second,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urban than rural rat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s a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class were at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hird, beliefs of respect for diversity and working area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their perceptions about differentia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 management i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class and working areas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초등학교의 일반교육 교사 109명을 표집해 ‘차별화 교수 지각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교육 교사의 개인 특성에서 교사자격과 교육경력보다 통합학급 운영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다양성 존중 신념이 강할수록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특성에서 학교규모와 학급규모 및 특수학급 유무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일반교육 교사들이 농·산·어촌의 교사들보다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더 높고, 학급에 특수교육 학생이 있는 경우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교육 교사의 다양성 존중 신념과 근무지역이 이들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 지각은 통합학급 운영경력이라는 개인 특성 및 근무 지역과 학급의 특수교육 학생 수라는 환경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 및 지원요구

        이현지,태진미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3

        This study was aimed at researching the current condi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 on gifted infants and a demand for support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gifted infa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principals i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kindergartens, day care centers and other institutions(English kindergartens and playing school)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otal 3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 first,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like kindergartens, day care centers and others lacked infra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gifted infants. Especially in ‘the experience of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gifted infants, the three institutions showed a lower level than the normal level. Second, the teacher’s demand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gifted infant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markably lower than the required level in all three institutions. The study expects that it could be used as the basic standard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realization of customized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that mee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demands for gifted infants in regular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와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 ,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기타(영어유치원 및 놀이학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총309부였다. 연구 결과 첫째 , 유치원, 어린이집 , 기타기관 등의 유아교육기관에는 유아영재 대상의 차별화 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유아영재를 위한 ‘차별화 교육 경험 ’이 세 기관 모두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대상 차별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는 세 기관 모두 필요수준에 비해 현재 수준이 현저히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영재 대상으로 교육적요구와 발달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 교육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수월성 교육 체제비교 연구

        신문승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학업성취를 이룬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수월성 교육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공교육과 영재교육에의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와 핀란드 수월성 교육의 성공 지표, 교육 체제,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교육과정으로서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 수월성 교육 특징, 교사 자격 등의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핀란드의 경우 선별하지 않은 통합교육(integrated education)으로 수월성 교육을 추구하고 있고, 싱가포르의 경우는 철저한 능력별 선별을 기초로 선발한 영재 학생을 별도의 영재학교에 모아 능력별 수월성 교육을 실시하는 등 수월성 교육 접근 방법에서의 차이점이 있었다. 싱가포르와 핀란드 수월성 교육 체제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와 핀란드 모두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모든 학생의 자아실현을 위한 차별화 교육(differentiated education)을 실시한다. 둘째,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차별화된 교육과정(차별화된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셋째, 교육의 결과로는 교육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수월성 교육을 강조하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는 형평성과 다양성을 추구한다. 넷째, 국가 수준에서 모든 학생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정해진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의 질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 교육과정을 개정하였고 맞춤식 교육을 위한 물리적 여건과 환경을 정비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교육 전문가로서의 자격으로 교육학 석사 학위 이상을 요구하며, 교사의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다.

      • KCI등재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문대영(MOON DAE YO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3

        이 연구는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방안으로서 교육 내용 요소와 과정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교육과 발명영재교육 분야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 비율을 산정하는 조사 연구가 적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와 심화 과정에서 발명교육 내용표준 하위요소 67개 중에서 63개 요소가 타당하다고 판정되었다. 즉, 발명교육 내용표준 하위요소 대부분이 발명영재교육의 ‘내용’ 요소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명교육의 기초와 심화 과정에서 발명품과 STEAM 이해, STEAM 통합 프로젝트, 발명과 사업화, 발명과 창업, 발명 마케팅, 기술 경영, 지식재산 보호, 특허 분쟁과 같은 8개 내용 요소는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러한 8개의 내용 요소는 발명교육과 차별화 된 발명영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와 심화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해결의 사고과정 요소 27개가 모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Halfin(1973)과 Wicklein & Rojewski(1999)가 제시한 기술적 문제해결의 사고과정 요소가 발명영재교육의 ‘과정’ 요소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발명교육의 기초와 심화 과정에서 맥락, 소비자 분석, 실험, 자료해석, 관리, 모델링, 자료모니터링, 예측, 질문/가설, 기술 리뷰, 전이/변형, 가치와 같은 12개 과정 요소는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러한 12개의 과정 요소는 발명교육과 차별화 된 발명영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nt and process element as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inven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15 experts in invention education and the inventively gifted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e foundation and intensive course of the inventively gifted education 63 content elements among 67 content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Almost content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appropriate to content elements of the inventively gifted education. Secondly, in the foundation and intensive course of the invention education 8 content elements such as ‘invention and STEAM’, ‘STEAM integrated project’, ‘invention and business’, ‘invention and establishment’, ‘management of technology’,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war’ were not valid. These 8 content elements could be utilized in the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invention. Thirdly, in the foundation and intensive course of the inventively gifted education the whole-27 process elements of thinking proces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were valid. The thinking process element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of Halfin(1973) and Wicklein & Rojewski(1999) were appropriate to process elements of the inventively gifted education. Fourthly, in the foundation and intensive course of the invention education 12 process elements such as ‘context’, ‘customer analysis’, ‘experimenting’, ‘interpreting data’, ‘managing’, ‘modeling’, ‘monitoring data’, ‘predicting’, ‘questioning/hypothesizing’, ‘technology review’, ‘transfer/ transformation’, and ‘values’ were not valid. These 12 process elements could be utilized in the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invention.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차별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해란 ( Lee Hae-ran ),박창언 ( Park Chang-un ),양진숙 ( Yang Jin-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장애 특성과 학습 수준의 격차로 인해 교육과정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특수교사들의 경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와 관련한 연구문제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차별화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실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특수교사들의 수학과 교육과정 차별화의 경험을 내러티브(narrative inquiry)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들의교육적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집단을 재구조화하였다. 둘째, 학습 집단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조화하고 차별적으로 적용하였지만, 중도·중복 장애학생에 대한 수학 수업의 어려움을 제기하며 기본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수학 교과와 수학능력발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느껴 교사공동체를 통해 수학 교과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결론]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수학교육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및 학습 환경의 재구조화, 중도·중복 장애학생에 대한 수학 교과의 의미 제고,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차별화에 관한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any feasibility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t special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which are currently facing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due to variou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level gaps of students. [Method] In this regard,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that what differentiation of learning and its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elementary class teacher of special-education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ally is. To this end, this study has been exploring the experience of differentiating the learning and its curriculum of elementary special teachers by so-called “narrative inquiry method”, who are working in the elementary special-education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nstructed learning group in the light of education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econd, despite of reconstruction and differentiated application of curriculum according to learning group, difficulties of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re raised, so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lized the need of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curriculum. Third, for the shortage of knowledge of math course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s ability was found, the research participants tried to develop the professionality of math course through the teacher community.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usses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environment, enhancement of the math course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way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 course of teachers. Based on the discussions, it suggests the need of follow-up study about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 KCI등재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학습설계로의 전환을 위한 통합교육 교육과정의 검토

        신현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3

        More than 70%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enrolled either in regular or special classrooms in Korea. Therefore, even though the practices of inclusive education in reality are just partial inclusion, it can be said that we must make efforts to find ways for high-quality instructional inclusion. For this purpose, we have to build up ‘Education or Curriculum for All Students', a kind of program or process for preparing all students for their future lives, at the beginning stage beyond just instructional adaptat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r modification of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access order so far to academic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special education curriculum→instructional modification or adaptation)should be changed to the following order: Curriculum development for all by ‘Universal Design'→instruction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differential instruction. 학령기 장애학생의 70퍼센트가 일반학교의 일반학급 또는 특수학급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의 특수교육 현실은 일반학교 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개선을 넘어 상호간의 협력관계 속에서 학습활동의 통합으로 나타나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 내에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은 마련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국가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목표가 장애와 비장애로 양분된 제반 관련 당사자 상호간의 인식개선에 두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는 학교생활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교과활동에서 장애학생들이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노력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장애학생을 위한 일반교육 교육과정을 마련한 후 이를 장애학생에게 수정하여 적용하려는 노력인 ‘교육과정 수정(curriculum adaptation)’의 수준으로는 장애학생의 일반학교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터하여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가 접근 가능한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교육과정(universally designed curriculum)이 필요함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고체계로서 통합교육 프로그램,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수정, 그리고 궁극적으로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예시를 통하여 볼 때 결국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교육과정의 개발은 통합된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내용에 대한 차별화된 교수방법(differentiated instruction)의 개발에 기초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교육과정의 개발 당위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차별화된 교수법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시키고 이를 실천하도록 하기위한 사고 기반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현행의 지적 장애와 중증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은 물론 공통 교육과정까지도 차별화된 교수법에 근거한 보완 교육과정의 성격으로 발전시키는 전환의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송승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underachieving student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meanings and history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strategie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lassroom setting, in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are educat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models are suggested as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effectively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with diverse students needs. Teacher training methods a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success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학습부진아의 정의 및 특성을 기술하고, 개별화 교육 방법의 의미와 역사, 개별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학습부진아가 속해있는 현실적 학교 교육 현장과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방법의 요소를 실제 수업 계획과 적용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별화 교육방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차별화된 교육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조건으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반응모델 (Response toIntervention)을 통해 학습부진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학습에 실패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방안

        태진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3

        Gifted education can have a greater efficacy and a wider scope of application when gifts in various types of gifted students, born with excellent potentials, are discovered through differential instructions in classrooms and when the cooperation systems are established to enable their gifts to be expressed through proper education. Hence,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16 experts from relevant areas in order to seek differential instructions in regular classrooms and strategies for cooperating with offici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We contacted a panel, who were believed to be capable of presenting credible ideas, through the recommendations of experts from relevant area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among them three times in total. As for the study results, first, we described the results focusing on the needs for leaners, teachers, curriculum, education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Second, we derived a method to determine offici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make its effective connection to education, and further proposed a gradual procedure for implementation required for a general application. 우수한 잠재력을 타고난 다양한 유형의 영재들이 차별화 교수를 통해 정규교실에서 그 재능이 발견되고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영재성을 발현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영재교육의 기회 확장 및 효과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공식 영재교육기관 간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16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신뢰할만한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패널을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추천을 통해 섭외하였고 총3차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차별화 교수 시행을 위한 준비로 학습자, 교수자, 교육과정, 교육환경 및 정책적 지원 측면에서의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공식 영재교육기관의 판별 및 교육과의 효과적 연계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고 보편적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단계별 시행 절차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재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모형 개발

        태진미(Tae, Jin-Mi)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mplementation model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young gifted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order to meet the research goal, the objectives of the implementation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were clearly spelt out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model were drawn through theoretical inquiry, focus group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he model’s draft was reviewed by a specialized advisory board for its goodness of fit and was finalized after amendments. The finalized institution-wide inclusive education model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preparation,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intervention, and termination. The stage of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proposed strategies for selecting gifted children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se learners’ interests and capabilities for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al requests. Regarding specific inclusiv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e ‘intervention’ stage provided modified strategies for amended curriculum,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environmental outcomes and evaluations to administer child oriented instructions. In the materials stage and operational method of inclusive educational support, the composition of supporting data to strengthen competency whe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proposed.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r experience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is study was found to be meaningful and useful as it proposed a macroscopic system for mutual cooperation and connection among various parties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t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재 통합교육의 구체적 지원 방향 모색을 위해 기관 전체 통합교육 지원의 실행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통합교육지원 실행모형의 목적을 설정하였고 모형의 내용 및 운영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사례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모형의 시안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완성된 기관 전체 통합교육 실행모형은 준비,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개입, 종결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한편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단계에서는 유아영재의 선별 전략과 교육적 요구확인을 위한 학습자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개입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통합수업 설계원리로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 삽입교수, 유아중심 직접교수 시행을 위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산출물 및 평가의 수정전략을 제안하였다. 통합교육 지원의 단계별 내용 및 운영방법에서는 각 단계별 세부 활동과 더불어 통합교육 실행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자료의 구성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영재 통합교육 관련 정보나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규 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통합교육 실행에 관한 다양한 관계자들의 상호협력과 연계를 위한 거시적 체제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경영전략에 따른 제조업체의 교육훈련 특성 비교

        이성,황승록,박주완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원가우위 전략과 차별화 전략을 경영전략으로 하고 있는 제조업체의 경영전략에 따른 교육훈련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2009년에 실시한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에 응답한 473개 기업 중, 제조업이면서 자료가 유효한 314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도구로는 SAS Ver 9.1을 이용하였고, 기초분석, 교차분석 및 χ2검정, t검정, 분산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전략별로 1)교육훈련전담조직 유무, HRD계획수립 여부, 자체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여부, 2)인터넷학습 인원 및 비용, 우편통신훈련 교육인원, 3)학원수강료 지원, 국내 대학원 등록금 지원, 4)경력개발제도, 학습조직, OJT 활용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경영전략에 따른 기업의 교육훈련비는 기업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education and training by its management strategy. For this study,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HCCP, 2009) data collected by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314 cases out of total 473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SAS Ver 9.1 was utilized and Descriptive analysis, Crosstab analysis, χ2 tes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existence of education division, HRD planning, and in-house program development.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number of employees who took e-learning and postal long distance education program. The level of financial support for education in private education institute and graduate schools were also shown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earch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level of career development system, community of practice, and OJ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