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대학 졸업생의 지방중소기업 취업과 이직결정요인 분석

        양정승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7 No.2

        This study analyzes the job choices of provincial college graduates and theirdecisions to leave jobs. The analysis on job choices reveals that the high schoolregion of graduates is very important. Many graduates from high schools near Seoulgo back to Seoul after completing college. Next, we studied their decisions to leavejobs by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One was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than three years, and the other was those who worked less than three years. There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mong college graduates. However, forvocational college, the former group’s adherence to current jobs is stronger. Inaddition, the level of job content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ir decision toleave jobs, even after controlling for wages and working hours. This means thatimproving job quality, not just wages and working hours, is good way to increasetheir job retention. 본 연구에서는 지방 4년제 대학 졸업자들과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지방중소기업취업 결정요인과 이직결정요인을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지방중소기업 취업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방 4년제 대학 졸업자들과 전문대학 졸업자들 모두 지방중소기업 취업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출신 고등학교의 지역이었다. 즉 수도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지방대학으로 진학한 경우 졸업 이후 대부분이 수도권으로돌아간다고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방대학 졸업자들의 첫 직장에서의 이직결정요인을 분석하였는데, 분석대상을 재직기간 3년 이상과 3년 미만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의 경우 두 집단 간에 노동시장 정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지방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경우 재직기간이 3년을 초과한 이들의 경우 대부분 변수에 대해 3년 미만 재직자들보다 직장에 정착하려는 더 높은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이직결정에서 임금과 근로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중요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직장 정착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임금과 근로시간 외에도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방면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몰입 양태와 대학기관 예측요인 분석

        서경화,이상향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3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types of institutional commitment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redictors in order to verify the investment and support for the student’s learning, which is the essence of education needed to be actively discussed at the local university lev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analyzed the latent clas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pattern and was conducted by using the 10th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indings/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types of institutional commitment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showed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but the majority of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during college life. Valu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that the local university has the shrinking school-age population and recruiting of students.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10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몰입 유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은 무엇인지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몰입 양태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석한 결과, 총 6개 잠재집단이 추출되었으며 각각의 특징을 바탕으로 최저몰입형, 저몰입수업중심형, 학업교류형, 교우관계형, 개인학습형, 고몰입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몰입 양태에 따라 구분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은 대학 풍토, 교수와 학생과의 교류 요인, 대학생활에서의 직업탐색 요인이었고, 각각의 요인이 준거 집단인 최저몰입형과 다른 잠재집단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몰입 유형은 소속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대다수의 학생이 대학생활 중 수업 및 진로계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방대학이 학령인구 감소 및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가진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본질인 수업에의 투자와 지원이 지방대학 수준에서 활발히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방대학교 대학생으로 살아가기

        양민옥,김혜선,이지하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

        The authors thoroughly examined the campus life experience of 8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Overall, the campus life experience was grouped into three themes as follows:‘campus life with inferiority as a local university student,’‘conflicts between inferiority and adaptation,’ and ‘support from others being helpful to adaptation.’ Given the fact that local university students illustrated their unmet needs from their cultural and leisure life, constant efforts on the spatial arrangement and/or the after-school program might be helpful. In addition, the university programs to improve positive campus life experiences are also imperative. All eight-study participants highlighted the interaction between a professor and a student suggesting the role of a professor as a teacher as well as a mentor.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을 깊이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8명의 전국 각지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였다. 지방대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은 크게 ‘지방대학생 이라는 열등감을 안고 대학생활을 시작함’, ‘지방대학생이라는 열등감과 지방대학생으로의 적응 사이에서 갈등’, ‘외적인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 내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 확충과 대학생활에 관련된 다양한 교양 및 문화 강좌나 모임 등을 상시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경험을 확장하고 자기성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지방대학교의 교수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고등교육에 대한 자율과 책무: 일본의 공립대학 법인화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주휘정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2

        This study seeks the policy implications of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n Korea by taking as the research object the incorporation of public universities in Japan, which has a similar demographic, social structure, an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bu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s more emphasized than one of Korea. The content of the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policy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Japanese local governments promoting the incorporation of public universities and to understand the role division structure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centr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laws, systems, governance, and financial structures of public university incorporation. This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some cases in which a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was incorporated by a private university corporation in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method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in the p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ocal governments' autonomy and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for higher education, preparation of a cooperative financial structure for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restore financial soundness, improvement of efficiency through appropriate sizing of local universities, and improvement of local higher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구·사회 구조 및 고등교육 환경이 유사하나 지방정부의 역할 비중이 높으며 단방제 국가인 일본의 공립대학 법인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우리나라 지방대학 육성의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내용은 일본의 지방정부가 공립대학 법인화를 추진한 정책 배경 및 현황을 조사하고 공립대학 법인화의 법·제도, 거버넌스, 재정구조를 분석하여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대학 간의 역할 분담 구조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였다. 동일한 일본의 정책 맥락 속에서 시행되었음에도 지방자치단체가 선택적으로 취한 공립대학 법인화 확산 양상은 국립대 법인화와는 달랐다. 또, 기존의 공립대학만을 대상으로 법인화 한 것이 아니라 과거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고등교육 수요에 대응하며 설립한 공사협력방식의 사립대학 법인을 공립대학 법인화한 사례도 일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재정자원을 추가 투입한 사립대학 법인의 공립대학 법인화 사례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에 대한 지방정부의 자율과 책무 분담, 재정 건정성 회복을 위한 중앙과 지방정부 협력적 재정구조 마련, 지역 내 대학의 적정규모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 지역의 고등교육 전문성 강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방 디자인 대학 특성화 융합교과과정 및 확산 전략에 관한 연구 - 부산 D 대학교를 중심으로 -

        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이미 상수가 되어버린 지방대학의 위기를 진단하고 해법으로써 지방대학의 특성화의 방향과 확산 전략을 통해 디지털시대에 경쟁력 있는 지방대학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또한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지방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모든 지방대학에서 달성된 지표는 현실에 나타나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의 차이는 줄어들지 않고 2022학년도 수시지원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그 차이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지방대학은 “기울어진 운동장”었단 말인가?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생각의 차이를 제안하였다. 그 차이는 부산의 D대학의 〈히어로프로그램〉 등 국제화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의 특성화와 소셜네트워크로써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다. 즉 선발된 인재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로 만들어 글로벌적 동시성과 확장성을 얻는 방법이다. 즉 EBS와 코세라 등 기존의 교육 플랫폼 기업과 연계되어 세계적인 전문가를 디지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과 지방자치 단체 혹은 대학에서 교육 플랫폼을 공유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지역혁신 공익교육플랫폼에 교육 콘텐츠와 성과를 공개하고 지역산업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새로운 산업환경을 열어 널리 알리고 나아간다면 지방대학의 위기는 기회가 되어 선호도와 성취도가 높은 특성화된 대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제안하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that have already become constants and to examine what is needed to become a competitive local university in the digital age through the direction and diffusion strategy of local universities. Thus, it was found that the local university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was continuously carried out to overcome the crisis of avoiding school due to the insatisfaction of school and employment. However, the indicators achieved in all local universities must appear in reality. Never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has not decreased, and as can be seen from the occasional support for the 2022 school year, the difference is increasing. So the local university was a “tilted playground”? Therefore,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thoughts were proposed. The difference is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 by internationalization programs such as 〈Hero Program〉 of D University in Busan and the use of digital platforms as a socialnetwork. In other words, by using digital media to obtain global simultaneity and scalability, global experts ar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platform companies such as Cocera, and an education platform form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or universities. Thus, it was suggested that if educational content and achievements are disclosed and local industries and ideas are shared to open a new industrial environment and promot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itself as a specialized school with higher preference and achievement.

      • KCI등재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과 지역내 정착의도의 이중매개효과

        노윤진,박희현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소멸 시대에 지역경제의 주축인 지방대학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방대학생의 지역내 정착 의도를 증진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가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수도권 소재 대학생 43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 장벽, 진로 장벽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다른 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역내 정착 의도는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내 정착 의도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지방대학생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의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local universities, which are the main axis of the local economy,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era of regional extinction, to enhance the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settle in the reg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test whether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43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non-metropolitan areas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career barriers and life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 variables. Second,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Third, 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Fourth,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ere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basic data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vention measure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scene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생의 진로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지애,이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2

        Our society is faced with uncertainty changes that no one can predict due to the 4th industry, aging, low growth, and low fertility. This social chan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 in individual life, and career preparation and selection has expanded to the whole life perspective, not just one time. Especially,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before social debut is extended to career education subject to college student, and emphasizes career education at univers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reform, which is an existing university diagnosis evaluation, focused 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b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employment rate and faile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local universities due to the university ranking. These problems acted as career barriers, which are external and social constraints for local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concentrated on local college students by credentialism, university ranking, and labor market discrimination practices. The negative perception of local universities suggests that they have various career problems because they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of local college students by studying research trends of career problem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50 domestic researches published from 2000 to 2017 were analyzed based on the major factors (year, subject, method), career problems, regional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lated papers increased year by year, which was composed of the journa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students (73%), graduates (13%), and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quantitative studies (62%). The subject of career problems were educational problem(34.4%), and career developmental problem(30%). By regional groups, Chungnam (14.0%), Jeonbuk (10.4%), Chungbuk(9.4%), Busan (8.4%) and Gyeongnam (8.3%). It is classified five career problems by Anderson and Niles (1995). Finally, researches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re composed of result variable (35.2%), contextual variables (34.6%), individual variables (22.1%) and cognitive variables (8.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ain conclus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areer problems of local college students. 우리 사회는 4차 산업, 고령화, 저성장,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의 변화 속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개인의 생애에서 ‘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진로준비와 선택이 일회적이 아닌 전생애 관점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사회 진출 전 진로교육 필요성은 진로교육 대상을 대학생까지 확대하여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대학진단평가인 구조개혁 평가는 취업률에 의한 양적평가로 정원감축에만 초점화되어 대학 서열화로 인한 지역 대학의 문제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방대학생에게 외적·사회적 제약인 진로장벽으로 작용하여 학력주의, 대학서열화, 노동시장 차별 관행 등에 의하여 지방대학생에게 집중되었다. 지방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지방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양한 진로문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방대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과 지도를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50편의 국내 연구물을 대상으로 기초현황(연도, 대상, 방법), 진로문제, 지역,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련 논문은 해마다 증가하였으나 학술지 논문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재학생(73%)에 집중되어 졸업생(13%) 연구가 소수로 이루어졌고, 연구방법도 양적연구(62%)로 주로 이루어졌다. 진로문제 주제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34.4%), 진로발달 관련 진로문제(30.0%)로 이루어졌고, 지역별로 충남(14.0%), 전북(10.4%), 충북(9.4%), 부산(8.4%), 경남(8.3%)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Anderson과 Niles(1995)의 5가지 진로문제로 분류되어졌다. 마지막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구인 연구현황은 결과변인(35.3%), 맥락변인(34.6%), 개인변인(22.1%), 인지변인(8.1%)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방대학생 진로문제에 관련하여 주요 결론 및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지방대학 육성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종세(Kim, Jong-Se)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논문은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주요 정책과제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많은 지방대학들이 신입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공무원 시험 응시자의 73%는 지방대학 졸업자였다.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방대학생들은 인지도가 낮은 지위에 있다. 입법안은 지방대학 출신자를 일정비율을 반영하여 채용할 방침이다. 물론 공무원 채용에서 지방대학생들에게 호의적인 처우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안에 대하여 비난도 있을 수 있다. 지방대학육성정책에 관한 본 연구논문은 지방대학 육성정책의 변천과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연구자료의 일반적인 방안은 지방대학육성 마스터플랜 수립 및 추진, 정부 차원에서 대학 구조조정의 지속적 추진, 지방대학 특성화 연계 재정지원 사업의 추진, 지방대학 산학협력 재정지원 사업 확대, 지방대학 졸업생의 진로 활성화 대책 강구, 영세 사학의 퇴출 경로 마련 등의 과제로 제시되었다. 아마도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수도권 대학으로 지나친 유입을 막을 방법은 지방소재 대학의 교육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일 것이다. 지방대학은 적립금에 대한 제한없이 추가의 재정지원을 필요로 한다. 법안은 어떻게 대학이 운영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서, 대학들이 선택하여 자율에 맡겨서 운영하는 것을 허락하면서, 과감하게 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방대학의 특성화 및 산학협력 재정지원사업 확대, 졸업생의 취업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마스터플랜의 개발 등이 우선적 과제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에서는 정책과제들을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 재정지원의 당위성, 지방대학 간 차등적 재정지원에 따른 격차 심화, 지방대학의 경쟁력과 다양화 등의 쟁점 차원에서 검토하고 발전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bstract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iorities. Many regional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attracting new enrollments. Statistics reveal that over the past three years, 73% of the applicants for civil service jobs were graduates of provincial universities. In addition to the lack of jobs, many students from rural areas have degrees from less-respected provincial schools. The legislation bill plans to hire a certain percentage of new employees who are graduates of regional universities. A government plan to offer graduates of provincial universities and colleges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recruitment of high-ranking civil servants has been heavily criticized. To abstract political tasks, this study have analyzed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 policies for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and were examined to analyze main assertions about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was generalized into 6 tasks;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master plan, persistent promotion of university reconstruction on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promotion of the financial-aid project related to specializing local universities, expansion of financial-aid project for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in local universities, consideration of revitalizing employment for the local university graduates, arrangement for the liquidation of small-scale private universities. Maybe the best way to end the dominance of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those in the provinces. The legislation bill refers to drastically changing how colleges operate by allowing select them with autonomy. Finally, local colleges need additional financial support and without limitation about the accumulated money. Findings showed that specialization of local universities and expansion of the financial-aid project, arrangement of systematical provisions to ensure graduates’ 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master plan, etc are the prior tasks. These policy recommendations were examined and expansively discussed from the several perspectives; government’s role in local university development, the validity of government’s financial aid, the growing disparity of discriminated financial aid to local universities, financial aids based on both organization and individual base.

      • KCI등재

        지방대학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재정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변기용(Byun Ki Yong),이석열(Suk-Yeol Lee),변수연(Byoun, Su-Youn),송경오(Song Kyoung-Oh),서경화(Suh, Kyoungwha)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3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대학재정지원사 업은 지방대학의 재정상황과 자생적 혁신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우려가 크다. 이 연구는 지방 대학의 관점에서 느끼는 현행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구조, 운영방식 및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28개 지방대학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사립, 규모별, 권역별로 4개 사례대학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 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취지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 으나, 사업의 설계 및 시행방식에 대해서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잦은 평가로 인한 피로감과 교수 본연 업무의 상실, 취업률 및 교수충원율과 같은 평가지표의 타당성 문제 등을 지적하 였다. 특히,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역균형발전 기여 면에서 매우 부정적이었고, 오히려 수도권-지역 간의 격차를 심화시켰다는 입장이었다.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지역 여건 이 다른 수도권 대학과의 별도 경쟁, 대학의 특성(설립유형, 규모, 역량, 권역 등)을 고려한 보 다 정교한 평가 시행방식과 지표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universities, the problems of structure, operation method,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In so doing,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professors and staffs from 228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a case study based on four universities representing typical types of local universities of Korea (e.g., national/private, by scale, and by reg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local universities generally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but they responded negatively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Firs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administrative overload caused by the preparation of the frequent evaluation contributes to faculty fatigue,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teaching and research. Local universities also expressed doubts about the feasibility of some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employment rate and professor recruitment rate. In particular, local universities expressed very negative views on the idea that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contributes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n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region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방대학 위기의 원인과 대안

        권오혁(Ohyeok Kwon),김종호(Jong-Ho Kim),서석흥(Seok-heung Sur),이지웅(Jiwoong Lee)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지난 반세기 동안 지방대학과 서울·수도권 대학 간의 격차가 심화된데 이어 근래에는 지방대학의 무더기 폐교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서울·수도권과 지방간의 불균형 문제와 함께 중앙정부의 대학정책 실패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지방대학의 위기와 급속한 붕괴를 완화 혹은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적 차원의 정책적 결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 직접적인 정책 대안과 구조적인 대응 방안으로 구분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혀 해결이 불가능한 난제만도 아니다. 지방대학의 문제는 지방의 장래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지방의 위기와 붕괴를 막기 위해서라도 지방대학의 위기를 방치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지방대학의 연쇄적 폐교 등 위기 사태가 발생하게 된 과정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ap between local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has been widening for the past half century, and in recent years a lot of local universities are being closed. This situation is judged to be due to the failure of the central government"s university policy along with the problem of imbalance betwee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provinces. The government has neglected to adjust the university admission quota, and policies such as out-of-study admissions, half-price tui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tuition, and university subsidies focused on public offerings also accelerated the crisis in local universities. In order to alleviate or prevent the crisis and rapid collapse of local universities, a policy decision at the government level is required. It"s by no means a simple problem, but it"s not an intractable one either. Since the problems of local univers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ture of local universities,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should not be neglected even to prevent future local crises and collap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auses of crisis, such as the chain closure of local universities,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to deal with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