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간호조무사 양성소 교육과정 전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

        최석민,장경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이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변화가 적절한 교육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정신질환자 치료에 일익을 담당하게 정신간호조무사를 양성하는 국립서울정신병원 부설 정신 간호조무사 양성소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조사를 하여, 정신과 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연구 방법은 1993년과 1994년에 양성소 교육을 받고 전과정을 수료한 3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신과 교육전, 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성소 교육이 정신질한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신병 환자에 대한 개념 및 태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였다(p<0.05). 2)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치료 전망, 개방병동에 대한 태도의 변화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p<0.05). 3) 나머지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입원치료와 가정내 보호에 대한 태도, 정신병동의 기능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설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일반인 군, 의과 대학생 군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연구의 교육전 대상군은 정신과 실습을 받지 않은 의과대학생군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전체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이 연구의 교육적 대상군은 일반인보다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의 치료전망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에서 일반인보다 부정적으로 대답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done at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on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 graduates from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during 1993- 1994. They were assessed during pre- and post-education periods with Scale for Mental Health Attitude(Star 1952). Chi-square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1)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shown in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herapeutic prospect to inpatient, and attitude toward open ward (p<0.0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hown in concepts of neurosis, negativistic bias toward mental illness, therapeutic prognosi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inpatient treatment and care in home, and attitude toward function of psychiatric war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needs further improvement.

      • KCI등재

        광주지역 일반인들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이은희,김경자,이신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방 법 : 1999년 1월말부터 2월초까지 광주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 70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주관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심한 스트레스나 정신적인 충격, 마음에 상처를 받아서 마음의 병에 걸린 불쌍하고 약한 사람으로 기술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생물학적이나 유전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 대해 더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 일반인의 76.4%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결혼 가능성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더불어 사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질환은 치료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정신병원에서 치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이며 특히 정신병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이었다. 집단별로 살펴보면, 본인이 직접 정신질환을 경험했던 집단에 비해 주변인 중에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경험하지 않았던 집단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3)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1970년대보다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자신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키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오해나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있는 대중교육이나 사실에 기반을 둔 대중매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만나서 직접 경험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ttitudes of laypersons towards the mentally ill. Methods : From the end of January to the beginning of February of 1999, the 709 subjects who lived in Kwangju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s mental illness. Results : 1) On the question requiring the subjective definitions of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the subjects described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is pitiful and weak person who became mentally ill due to severe stress, mental shock, or hurts in mind. And they respond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move than biological or genetic ones to the question asking the causes of mental illness. 2)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76.4% of the subjects on the question of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mentally ill, while about the possibility of their marriage and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 quite negative attitude was shown,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ubjects considered that mental illness could be cured, they had quite negative thoughts on the treatment effects in psychiatric hospitals, especially, the attitude towards the psychiatric hospitals was very negative. On the examination by groups,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ntal illness replied more negatively in almost all items than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direct experiences. 3)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mentally ill was changed in a quite positive direction than the 1970s'. Conclusion : Even though the attitude towards the mentally ill has changed in a positive direction, many people still have negative attitudes if it is related to and affect their lives directly. To change the attitudes and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it may be helpful to let people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as well as to make efforts with systematic public education or with the media based upon the facts.

      • KCI등재

        경찰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업무경험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식 및 편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경채,최은정,이준호,조지현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6

        본 연구는 경찰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업무경험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식과 편견의 이중매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경찰관309명을 편의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질환자 대상 업무경험, 지식, 편견, 태도는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정신질환자에 대한 업무경험이 증가할수록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식은 감소하고, 편견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편견은 낮아졌지만,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업무경험의 증가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경찰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업무경험이 그들의 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지만, 지식과 편견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경찰의 정신질환자에대한 교육체계 마련 및 정부 차원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간호 대학생의 공감 능력이 정신 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18 산업융합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공감이 정신질환자에 대 한 태도의 하위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에 재학중 인 4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6월에 자료 수집하였으며 SPSS.19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의 공감능력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척도에 미치는 공감능력의 설명력은 자비심에 18%, 권위주의에 16%, 사회생활제한 영역에 9%, 지역정신보건개념에 4%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감능력이 높아질수록 정신질환자에 대한 권위주의가 낮아지고 자비심은 증가되며 사회생활지원에 대해 긍정적이며 지역정신보건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이 같은 노력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and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June, 2017 for the 4th grade students attending the nursing department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PSS.19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empathy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empathy ability on each subscale was 18% for benevolence, 16% for authoritarianism, 9 % for social restrictiveness, and 4% for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In conclusion, the empathy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As the empathy increased, the authoritarianism of the mentally ill was lowered, the benevolence was increased, the social life support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was positive, so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as increased over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train and education nurs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empathy needed for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wareness of the mentally ill.

      • 의과대학생, 전공의, 수련의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조사

        성수정(Su-Jeong Seong),손지훈(Jee-Hoon Sohn),이해우(Hae-Woo Lee),신서연(Seo-Yeon Shin),조맹제(Maeng-Je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0 사회정신의학 Vol.15 No.1

        목 적: 이 연구는 대학 병원에 근무 중인 인턴, 레지던트, 동 대학의 의과대학생, 그리고 해당 대학의 인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 인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레지던트(n=99), 인턴(n=28), 동 의과대학 본과에 재학 중인 의과대학생(n=193), 그리고 해당 병원의 인근에 거주하는 일반인 중 20세에서 40세까지(n=388)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변인, 정신질환자와의 접촉 경험 등이 포함된 설문지를 사용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Community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Inventory(CAMI)를 사용해 평가하였다. 결 과: 정신과 실습을 경험한 의대생 군이 정신과 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의대생 군이나, 일반인,레지던트와 인턴 군에 비해 정신질환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신질환자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상위 20%에 포함될 위험도를 산출해보았을 때, 의대생, 레지던트나 인턴, 미혼, 현재 우울증상이 없을 경우 더 권위주의적인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현재, 혹은 자주 정신질환자와 접촉할 경우, 현재 우울증상이 없을 경우 자비심을 적게 갖는 그룹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았고, 레지던트와 인턴 군, 의대생 군, 자신이나 가족이 정신과 치료력이 있는 경우, 지역보건개념과 거리가 먼 그룹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았다. 레지던트와 인턴, 의대생, 가족의 정신과 치료력이 있는 경우 사회적으로 제한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컸다. 결 론: 의대생, 레지던트, 인턴 군이 일반인보다 정신질환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신질환에 대한 지식의 증가가 정신질 환에 대한 편견의 해소로 이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in medical students, residents, interns in a university hospital, and the lay persons in the vicinity of the hospital. Methods:Residents (n=99), interns (n=28)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medical students (n=193) from the same university and lay persons of 20 to 40 years old (n=388) in the community nearby the hospital and medical college completed various questionnaire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were assessed with Community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Inventory (CAMI). Results:Medical students who experienced psychiatric clerkship showed the most negative attitude. The associated factors with being the most prejudiced group was calculated. With authoritarianism, the associated factors include being resident & intern, medical student without psychiatric clerkship, medical student with psychiatric clerkship, never being married, and not being depressive at present. With less benevolence, present or frequent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not being depressive at present. With less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resident & intern, medical student without psychiatric clerkship, medical student with psychiatric,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of self,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of family. With social restrictiveness, resident & intern, medical student without psychiatric clerkship, medical student with psychiatric clerkship,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of family. Conclusion: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interns were more prejudiced than community population. It seems that more knowledge or more experience with the mentally ill doesn’t warrant more positive attitude.

      • KCI등재

        일개 도시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이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하태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empathy ability on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256 nursing students who recruited from one college. Data collected from August 29 to September 9,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5.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according to grade, satisfaction for major and mental health volunteer experiences. 2)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cognitive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mpathy ability. 3)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ere grade and cognitive empathy ability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3% of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Through this study, cognitive empathy ability was confirmed as a factor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56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8월 29일부터 9월 9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학년, 전공만족도, 정신건강시설 봉사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자아존중감, 인지공감능력, 정서공감능력과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과 인지공감능력으로 이들 요인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23%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인지적 공감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과의 관계

        송정희 대한산업경영학회 2019 산업융합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 련성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에 위치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281명이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은 편견 및 차별행동과 음의 상관관계, 편견과 차별행동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봉사활동 경험 유무 등에 따라 공감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 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은 대상자의 연령,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들의 차별행동 및 편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대상자의 특성 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미래의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mpathy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the mentally il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tudy included 281 nursing college students located on K province. Studies show that the empath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s positive fo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ehavior, negative correlation,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mpathy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in volunteer activities. Discriminatory behavior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and grade of the subjects. In order to reduce discriminatory behavior and prejudic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pportunities to improve empathy and also to require systematic education and practical cour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 future professional nurses.

      • KCI등재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정신의학적 약물치료 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이안나,김성완,강영신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정신의학적 약물치료 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 광역시에 위치한 관내 주민센터를 이용한 일반 지역주민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총 705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정신의학적 약물치료 태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은 정신의학적 약물치료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으로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정신의학적 약물치료 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부분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은희,양승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한 달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병원 10곳에서 시행하였고, 190부를 배부하고 이 중 회수된1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도구를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test와 Pearson’s correlation,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나이, 경력, 최종학력, 직위 등에 따라 환자중심간호에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그릿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adj R2 =.260, F=17.041, p<.001), 전문직자아개념(B=.251, p<.001), 그릿(B=.201,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문직자아개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통제력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정신간호사의 그릿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신질환교육이 고등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금희,심대섭,이정숙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1999 정신간호학회지 Vol.8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 of mental illness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of high school students. 198 students, both male and femane, at S High School located in K City were sampled for this study from 2nd February 1998 until 20th February 1998. Documents were compiled through questionaire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f 4 classes after visiting to the school to explain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aire developed by S. Martim Taylor and Michael J. Dear in 1981 and translated by Lee, Joo-Hoon, et al. which was verified its reliance and validity. CAMI is consists of 40 question with 4 subordinate factors i.e.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ncept of community mental health. The mental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with the subject of the concept of mental illness, causes and types of mental illness, characteristics of behaviour, treatment, prognosis, prevention etc. for 50 minutes for two times each class.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as follows :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hown in 3 factors among 4 in a test carried out after an education on mental illness.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educated on mental illness shows lover points in authoritarianism (t=4.81, p=.01) and social restrictiveness(t=5.25, p=.010 and higher points in concept of community mental health(t=7.50, p=.01)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ints of benevolence, by the way. At it is shown above, the mental illness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can change the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Their attitudes on mental illness was quite positive and favorable after having an education. This shows that, in order to change the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 systematic and specified on-going preventive education on mental illness reponding to the needs of adolescent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