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지역사회에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수원시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가 설립되어 지역내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의해서 많은 정신보건센터가 설치되어 이제 전국에 44개소를 헤아리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인구수가 적거나, 예산배정이 어렵거나, 전문인력이 부족해 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방문보건 요원들에 의해 정신보건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고, 사회복귀시설 또한 설치되어 많은 정신장애인들에게 사회복귀와 지지를 제공하여 입원을 줄이고, 기능을 호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간 갑자기 많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재원이 분배되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견해를 가진 전문가 측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을 강조하는 전문가 측에서는 민간참여형 센터를 중심으로, 또 기존 자원의 이용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복지관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자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자는 의견과 환자들과 가족이 요구하는 정신보건 서비스는 현실과 거리감이 있으므로 더욱 새로운 재원과 인력을 투자하자는 의견 또한 대립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다양한 모델들을 검토하고, 향후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ope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in the community, now there are 44 CMHCs nationwide established by the joint effort between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Because of small population, lack of budget, and lack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any public health offices(PHO) are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 primarily by the home visiting nurs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vocational workshops are established to reduce recidivism and improve functioning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Rapid growing of thes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rograms called debate in the issues of financial resources distrib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Professionals who emphasized public aspect of these services advocate PHO-centered delivery of services.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s who thought consumer-oriented mental health services accompanied with quality of care and easy accessibility urged CMHCs should be the center for community services for the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Other professionals started services based on welfare facility to stress existing resource utilization in the community. Among these debates, an opinion that said utilization of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is opposed to another that said new investment and reimbursement should be done. The author reviewed various models of community mental health delivery and suggest new model for the future.
이정태(Chung Tai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사회정신의학(social psychiatry)은 정신질환과 인간의 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정신의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적 결속(social cohesion), 공유되는 가치들(shared values), 경제적 상태, 적에 의한 위협, 생존에 대한 기대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효과들에 관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또한 개개인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들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작용하여 결국 정신질환의 발생에 기여하거나 경과에 영향을 끼치는 힘들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사회정신의학의 영역에는 정신의학적 역학, 지역사회정신의학, 사법정신의학, 문화정신의학, 횡문화 정신의학 등이 포함된다. 본 고에서는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을 역학적 연구조사의 결과들을 함께 고찰하였다. 연령, 성별, 혼인상태 등이 질병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계층에 따른 질병 분포, 도시화, 지역에 따른 영향, 세대의 변화에 따른 영향, 거시사회적 요인들, 그리고 전쟁이나 급속한 현대화 등의 영향을 고찰하였고, 이어서 부정적 생활사건들이나 가혹한 경험들, 실직 등이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적 지지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추정해 보았다. 동시에 최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였던 대형 사고나 재해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을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문헌이 우리 나라의 처지를 반영한 것은 아니어서 괴리감이 없지 않으나, 우리가 아직 깊이 연구해 보지 못했던 분야에 대하여 하나의 자극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Social psychiatry is a component of psychiatry, and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the human environment. It includes the concepts abou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cohesion, shared values, economic stutus, threat from the enemies, and expect for survivor. Also it is defined as the science studying the forces which affect the interface between individuals and those around them, and which may act on the onset, or influence the course of mental illnesses. There are psychiatric epidemiology, community psychiatry, forensic psychiatry, cultural psychiatry, and cross-cultural psychiatry, in the realm of social psychiatry. Author reviewed various social factors affecting mental disorders, with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Those reviewed were the effects of age, sex, marital status, and social class in the distribution of mental illnesses,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regional variation, and secular change, and the macrosocial factors including war and rapid modernization, which succeeded to the review of adverse life events, extreme experiences, and unemployment affecting mental illnesses, as well as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elements of the huma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uthor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researches approaching psychological effects of one of the human disasters, named “Sampoong Accident”, and economic crisis, so called “IMF crisis”, both which recently impacted upon our society and resulted in adverse consequences.
장안기(An Kee Ch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사회정신의학의 역사는 기초 사회과학및 행동과학이 정신의학에 끼친 영향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정신의 학의 근본적인 믿음은 환경적 요소가 질병의 발병, 인지, 치료는 물론 재활에 있어 주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의사-환자 모델뿐만아니라 전체적 관점에서 의료체계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사회정신의학의 다양한 관심분야 중에 정신과 치료와 정신질환에 대한 미국의 공공정책이 어떻게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관리방식으로 변화되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신질환의 관리는 1) 개인과 가족의 책임으로 보는가, 아니면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보는가, 2) 또는 정신질환을 질병으로 보아서 치료의 대상으로 보는가, 아니면 사회적 일탈자로 보아서 통제하기 위하여 격리 수용해야 하는가, 3)정신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생물학적 방법인가, 심리적 방법인가, 사회적 방법인가 4) 정신질환자들의 삶의 질을 사회에서 어느 정도까지 보장해 주는가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반영으로 보인다. History of social psychiatry is to review the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of the basic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to the field of psychiatry. The basic belief of social psychiatry is that environmental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recogni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isease. The view of social psychiatry recognizes health care systems not only by doctor-patient relationship model but also by macro-society model. In this review, I briefly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American psychiatric services. Over the last hundred years the management of mental patients in U.S.A. has changed. Treatment has shifted from mental hospital towards community care in U.S.A.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the mental health policy is determined by the result of social consensus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patients.
황태연(Tae-Yeon Hwang),이주훈(Joo-Hoon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1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과 함께 시작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은 공공부문의 취약한 정신보건체계로 인하여 민관협력으로 설립된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지난 6년간 정신보건센터는 1개소에서 46개소로 증가되었으나, 이중 서울 경기지역에 26개가 편중되어 지역간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정신보건사업 예산은 전국적으로 1997년 12억에서 2001년 50억으로 증액되었고, 센터의 인력은 간호사가 55%, 사회복지사가 4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의 업무중 사례관리가 27%, 주간재활이 22%, 행정 21%를 차지하여 행정업무가 과다하였다. 센터의 프로그램은 환자의 재입원을 줄이고, 증상 및 기능의 호전을 가져왔고, 직업재활 및 거주프로그램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같은 기간 사회복귀시설은 센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 97년 6개소 였던 것이 2001년에는 60개소였고 종합훈련시설이 52%, 주거시설이 25%, 생활훈련시설이 20% 순이었다.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신보건법을 개정하여 정신보건센터를 명문화하고,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인력 및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보건의료와 복지부문의 역할의 정립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were provided mainly throug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MHC) by the collaboration and contract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fter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Law in 1995. During past 6 years, the number of CMHCs has increased from one in 1995 to 46 in 2001. Among them, 26 CMHCs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compared with 1 in Cheju and 2 in Chungcheong Province. The budget for the CMHC were 1.2 billion won in 1997 and increased to 5 billion won in 2001. Mental health workers in CMHCs are mainly composed of psychiatric nurses(55%) and social workers(40%). They spent their time on case management(27%), rehabilitation program in CMHC(22%), and administration(21%) Most of the mental health workers complained of over-loaded administrative job and wanted to spend their time on direct services and community resources development. CMHC’s programs reduced rehospitalization rates and effected positively on the symptoms and functions of the members. Among the rehabilitation program, vocational and residential programs contributed to the better outcomes of the members. Rehabilitation facilities increased rapidly from six in 1997 to 60 in early 2001.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the government should do amendment of Mental Health Law to define CMHC’s role and function. Also the government must allocate more budgets for the provision of better services and recruitment of qualified mental health workers. Better outcom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private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mandatory.
신만식(Man Sik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우리의 정신과 서비스는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이 제정되고 시작된 변화에 도전을 받고 있다. 도전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소 선택적이지만 영국과 아일랜드의 지역사회 정신의학의 역사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 정신과 서비스의 윤곽을 세우고 미래계획과 발달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개인적인 소견이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재고해 본다:구역화와 지역사회 의료, 수용과 도덕치료, 외래진료, 입원치료, 일차보건의료, 낮 진료, 포괄적 서비스, 가정방문과 위기중재, 지역사회 정신과 간호사, 다학제적 팀, 기부로 운영되는 조직과 지역사회 정신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견해. 지역사회의료는 선상으로 진행하는 것보다는 돌고 도는 사회 역사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 같다. 비록 지역사회 정신의학에 풀리지 않는 많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지역사회 정신의학의 원칙에 관한 긍정적인 주요한 흐름에 초점을 맞추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수용에서 지역사회에로의 정신보건의료 형태의 변화는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정신보건서비스 뿐만 아니라 가령일차보건의료 제공자, 지역사회 복지 기관 및 주거 서비스와 같은 다른 지역사회 서비스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 국가의 정책은 정신건강서비스가 주요한 보건체계의 부분이 되어야 하고 급성 입원 서비스는 일반병원의 환경에서 제공되도록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서비스의 질과 다른 보건 서비스를 개선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낙인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가족, 지역사회, 문화적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포괄적인 정신보건 서비스와 통합적인 정신보건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효과적인 정신건강 증진 및 예방과 조기 개입 전략의 발달과 일차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훈련과 지지의 제공은 지역사회의 료를 성취하는데 기본이다. 양질의 정신보건 담당자들의 충분한 확보가 좋은 의료와 서비스 수준을 확실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우리 지역사회 정신과 서비스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필요하다: 1) 우리 정신보건 서비스의 미래 발달을 위한 확실한 방향과 장기 계획의 설정 2)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각 분할된 지역마다 서비스의 체계를 계획하고 모든 공공자금을 조절하는데 책임 있는 하나의 중심 기관이 있어야 한다. 3) 모든 정신보건 담당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지지, 훈련, 계속되는 교육이 필요하다. 훈련 프로그램은 지어지고 있는 건물보다도 먼저 제공되어야 한다. Since the enactment of Mental Health Law in December 1995 the psychiatric services in Korea have been challenged by the changes which it initiat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llenges a review of the British and Irish community psychiatry while selective is undertaken. It is a personal view which aims to help in the drawing up of a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psychiatric service and guiding future planning and development. The components of such a review include:sectorisation and community care, institutions and moral treatment, out-patient care, in-patient care, primary health care, day care, comprehensive services, domiciliary visits and crisis intervention, community psychiatric nurses, multidisciplinary teams and voluntary orgnisation and views of users of community psychiatric services. It seems to be characteristic of some social history that community care follow not a linear, but a circular trajectory. This review focuses on positive mainstreaming of community psychiatry principles, although there are unresolved issues of community psychiatry. In Britain & Ireland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mental health care from an institutional to a community oriented approach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ot only the specialist mental health services, but also other community services, such as primary health care providers, community welfare agencies and housing agencies. The national policy advances the position that m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part of the mainstream health system and the provision of acute inpatient care within general hospital settings. It is argued that this strategy will result in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services and other health services and help to reduce the stigma. A comprehensive range of mental health services & integrated mental health programs closer to family, community and cultural networks are operating.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he enhancement of training and support for primary care service providers, is fundamental to the achievement of the community care. Retaining sufficient numbers of high quality mental health staff are the best ways of ensuring good practice and services standards. For community psychiatric services the following undertakings are needed: 1) To set a clear direction & long-term planning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within Korea 2) To bring together servic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o meet their needs. For every catchment area there must be one central authority that is responsible for planing the service system and have control of all the public funds. 3) Professional support,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 to be available for all mental health staff. Thi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n the advanc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which are being built.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병원-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용진(Yong-Jin Seo),고정아(Jung-A Ko),황태연(Tae-Yeon Hwang),오정하(Jeong-Ha Oh),염호양(Ho-Yang Youm),박혜진(Hye-Jin Park),이명수(Myung-Soo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1
목 적: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시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개선하여 연계를 보다 활성화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병·의원 중 입원병상이 있는 44개 기관의 정신과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258명을 대상으로 연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연계의 장애요인 등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병원의 유형이나 직종과 관계없이 병원 종사자들은 대부분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 사이의 연계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하며 지역사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지역사회기관으로 연계를 시켜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61.6%였고, 평균 연계횟수는 8.17회(SD=10.266)이었다. 연계를 하면서 고려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주간재활과 사례관리가 가장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위해 정신보건센터에 가장 많은 대상자를 연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하는데 있어 장애의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 방법의 미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은 대부분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경로가 갖추어지지 않아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수요에 따른 공급의 확대를 통한 지역별 균형적이고 충분한 인프라구축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의 개발, 특성화된 개별 서비스 제공, 홍보를 위한 노력을, 정신의료기관에서는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고, 환자와 가족의 재활에 대한 동기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다양한 연계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해 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We investigated attitudes of professionals working in hospital toward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y for mentally ill people who are discharged from hospital, and also their experiences of referral to community facilities. So that we want to explore the obstacles against effective linkage, and consider how to manage those problems and make linkage system more active. Methods:Total 258 psychiatrists, nurses and social workers, working in mental hospital which had inpatient unit and are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fulfil our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s toward linkage, their experience, obstacles against linkage. Results:Mos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system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essential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mong the responders, 159(61.6%) staffs have referred clients to community facilities, and mean number of referral during last 1 year is 8.17 times(SD=10.266). They consider day care program, and case management service when they refer the patients to the community and for this purpose, they refer their patients t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most. They consider lack of information on community services, and poorly organized referral system as two most serious obstacles against linkage.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so important and essential for continuing mental health services, but they have less information and their is no formal pathway and system of referral, so they have lots of difficulties when they perform and the linkage is not done effectively now. For making linkage system more effectively, most of all, sufficient and balanced infra-structure have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needs. And also, community staffs have to make efforts to develope education program, individual service plan, and public awareness. Staffs in hospital have to make effort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related facilities, and find ways to how exaggerate the motivation of patients and care-givers fo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Lastly, various linkage system models have to be suggested and examined, and we have to improve and modify those models.
기독교 교역자, 정신장애인 가족 및 지역사회지도자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
서국희(Guk-Hee Suh),신형주(Hyongju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연구목적: 남양주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집단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와 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 이들의 태도변화를 정신보건사업 시행전과 일정기간후에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 법: 본 조사는 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남양주시 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를 OMI(Opinion about Mental Illness)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편설문을 실시한 지역사회지도자의 경우 697명중 120명이 회신하여 18%의 조사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 세미나에 참석한 기독교 교역자 75명중 57명이 조사완료하여 76%의 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한 정신장애인 가족은 50명중 47명이 완성하여 94%의 응답율을 보였다. 결 과: 1) 전체군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는‘자비심’ 척도가 가장 높아 인도주의에 입각한 온정적이고 관대한 태도를 엿볼 수 있지만 ‘정신건강개념’ 척도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서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혼란스럽고 애매한 상태에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2) 정신장애인 가족의 태도를 보면 ‘권위의식’ 척도와 ‘대인관계 원인’ 척도가 세 군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환자에 대한 죄책감과 분노가 뒤섞인 양가적인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지역사회지도자의 견해에서 NIMBY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기독교 교역자들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가장 높으면서 ‘자비심’ 척도는 세 군중에서 가장 낮고 ‘정신건강 개념’ 척도는 딴군들과 비슷하였다. 정신장애의 원인을‘귀신들림’으로 해석하고 신앙치료에 의존하며 환자를 사회와 격리시키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지역사회지도자나 기독교 교역자를 대상으로 정신병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과학적이고 인도적인 태도를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들을 모아서 홍보하고, 가족들과 지역사회지도자에게는‘정신건강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신장애의 증상과 대처방법,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와 긴급후송체계에 대한 홍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Objectives:To identify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factors critical to them among the key-persons in the community, who may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of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nd to obtain the initial data for the further evaluation to assess the interval changes in attitudes of them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Method: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997 and December, 1997 as a part of the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using the OMI scale to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120 questionnaires out of 697 were collected(response rate:18%), that were posted to the community opinion leaders. 57 out of 75 were collected(response rate:76%), that were passed out to the Christian priest at the mental health seminar. 47 out of 50 were collected(response rate:94%), that were filled up at the time of patient registration by the family members of them. Result:1) Highest ‘Benevolence’ score in whole subjects may be a evidence of cordial and generou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from the standpoint of humanity, but small gap between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and ‘social restrictiveness’ score suggested the confused and vagu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2) ‘Authoritatianism’ score and ‘interpersonal etiology’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family group than in other two, that suggested the ambivalent emotion intermingled with guilt and anger. 3) NIMBY phenomenon was observed in the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 opinion leader group. 4) ‘Benevolence’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st and ‘social restrictiveness’ was lowest in Christian priest group. However,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i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t suggested that more Christian priests had higher tendency to comprehend the mental illness as ‘Satan possession’, to treat it by faith healing, and to put th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way from the society. Conclusion:It is expected that the Christian priest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need to have new knowledge about the etiologies of mental illness, and see the typical cases with scientific and humanistic attitudes. For the family member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to improve ‘mental hygiene ideology’, public information about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tal illness and emergency, and how to transfer them to the hospital have to be given.
장홍석(Hong-Suk Jang),김선욱(Sun-Uk Kim),장성만(Sung-Man Jang),성영훈(Young-Hoon Sung),서동우(Tong-Woo Suh),조맹제(Maeng-Je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천시 정신보건센터가 개설된 지 3년이 되는 해에 지역주민과 지역 공무원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신질환의 지역주민의 이해에 대한 측면에서 그간의 사업에 대해 평가하고 향후 사업방향에 대한 지침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1년 6월 현재 부천시 원미구에 거주하는 시민 중 20~59세 사이의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는 지역사회표본과 부천시에 근무 하는 공무원을 모집단으로 하는 공무원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지역주민 474명, 공무원 100명이었다. 조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부천시 지역 주민은 대체로 모든 CAMI 하위척도에서 동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여성, 고연령, 저학력, 기혼, 자가, 정신과 치료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남성, 20대 연령, 고학력, 미혼, 월수입 100 만원 미만, 가족 중 정신과 치료 경험이 있는 집단, 정신보건센터를 인지하고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 다. 여성, 중년 연령 이상, 기혼, 자가 집단에서 정신보건시설 설치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무원의 경우도 대체적으로 긍정 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지역 주민에 비해 정신질환자의 사회생활이 제한적이야 한다는 태도가 시사되었다. 결 론: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반응, 정신보건센터 인지여부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고, 정신질환/정신질환자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보급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관련이 있으므로, 지역주민에 대한 홍보와 계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공무원의 경우 정신보건사업의 추진과 지역주민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보다 더 특화된 정신보건 교육이 요망된다. Objectives: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in a community and among public officers and to evaluate two-year outcomes of mental health 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a Korean city in the aspect of community residents’ understanding the mentally ill/mental illness. Methods:During two week period of June of 2000, a total 574 persons(474 randomly selected community residents, 100 randomly public officers) who reside in one Korean community, Puchon city, were interviewed with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CAMI). Results:The randomly selected residents of this city showed generally sympathetic and positive attitudes in all CAMI subscales. But, females, the aged, the lower educated, the married, home-owners or persons who had no experience for psychiatric treatment ha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Males, the young, the higher educated, the unmarried,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below one million won, persons who had experience for psychiatric treatment to family or persons who knew the existence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Females, the aged above their 30th, the married or home-owners are opposed to the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their community. Public officers showed relatively negative attitudes in social restrictiveness subscale in comparison to community residents. Conclusion:More they know about mental health,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y have. So community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needs to be delivered to females, the people of their mid to old ages, the married, the undereducated, persons who lack in experience of contacting the mentally ill and home-owners. Negative reaction to mental health facilitie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Furthermore, public officers also should be the specific target of mental health education because of their influence on the community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조현병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창우(Changwoo Han),신경민(Kyoung Min Shin),손상준(Sang Joon Son),국소담(Sodahm Kook),배활립(Hwallip Bae),정경희(Kyung Hi Jung),김현수(Hyun Soo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2
목 적 : 조현병은 다양한 정신병적 증상과 함께 인지능력 감소와 사회적 기능저하 등을 초래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킨다. 조현병 환자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한데, 그 중 환자들이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서 갖는 태도는 조현병 환자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들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서 갖고 있는 주관적 태도를 확인하고, 이것이 환자들의 삶에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보건 센터에 등록된 조현병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 기입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우선, 참가자들의 동반된 비정신과적 신체질환을 조사하였다. 신체질환이 있는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약물태도 검사(Korean version of Drug Attitude Inventory-10)을 사용하여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였으며, 이것을 신체질환 약물에 대한 태도와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조현병 환자들의 약물에 대한 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시행하고,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조현병 환자들 중 신체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43.9%에 해당하는 107명 이었다. 신체질환이 있는 조현병 환자들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태도 및 반응과 신체질환 약물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태도 점수 및 전체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정적 태도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과 약물 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주관적인 긍정적 태도는 삶의 질 척도의 심리건강, 환경, 전체 평균 영역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삶의 질 척도의 모든 영역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조현병 환자들은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서 신체질환 약물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조현병 환자들의 이러한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태도는 다양한 영역에서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긍정적인 태도에 비해 다양한 영역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들은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러한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태도는 조현병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rug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248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tending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Gangdong-gu. This study protocol includ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formation about physical health, Korean version of Drug Attitude Inventory-10 (KDAI-10),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BREF).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χ 2 -test,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17.0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than somatic medicines.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was correlated with all domain of quality of life and the positive drug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was correlated with some domain of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And the subjective attitude toward antipsychotics seems to be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c patients.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황태연(Tae-Yeon Hwang),박찬일(Chan-Il Park),이종국(Jong-Gook Lee),고영(Young Ko),이명수(Myung-Soo Lee),이우경(Woo-Kyung Lee),이원혜(Won-Hye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2
서울, 경기 지역에서 1995년도부터 시행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은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들과 그 가족에게 포괄적인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왔고, 많은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왔으나, 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를 평가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3년간의 추적 조사를 통하여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성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6개 정신보건센터와 재활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1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한국판 정신사회재활성과 측정도구’와‘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척도’를 적용하였고, 2001년 5월부터 7월까지 대상환자를 추적하여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69명의 대상자 중 128명이 추적 조사되었다. 이중 남자 78명, 여자 50명이었고 대부분의 회원은 정신분열병과 정동장애 환자였다. 평균 나이는 38.4세, 첫 발병은 24세, 첫 입원연령은 26세였다. 추적조사 기간 중 평균 입원은 0.35회, 입원일은 1.9개월, 총 지역사회 경과일은 27.8개월이었다. 조사기간 중 주거형태가 다양해지고 독립주거가 증가했고, 다양한 형태의 직업을 가지면서 독립적, 경쟁적 고용 등 경제 활동과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한달 평균 임금을 비롯하여 전체 수입 및 생활비가 증가했고, 문화비 지출은 감소하였다. 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와 자긍심이 증가하였고 정신사회적 증상과 기능 평가에서는 이전에 비해 더 많은 우울 및 정신병적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일상생활 기능은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신사회재활적 성과를 고려할 때 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기능, 자율성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기에,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확충시키는 정신보건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포함하는 정신사회재활 성과의 지속적인 추적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CMHCs) have provided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with comprehensiv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contributed to community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and patients’ satisfaction to the progra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outcome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CMHCs through 3 year’s follow-up. At the baseline, The Korean version of Toolkit for measur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utcomes and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BASIS-32) were administered to 169 subjects who were members of 6 CMHCs and 1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City and Kyonggi province. 128 subjects were followed out of 169 subjects. Authors re-evaluated the same subjects 29 months after the baseline study using same measures. Male members were 78(60.9%) and females were 50(39.1%). Most of them are under diagnosis of schizophrenia( 82.8%) or schizoaffective disorder(7.9%). The mean age was 38.4yr., mean age of onset was 24yr., mean age of first hospitalization was 26yr. Number of hospitalization was 0.35, length of stay at the inpatient unit was 1.9 months, and community tenure was 27.8 months during the 29 months’ period of study. Residences were diversified and independent living was increased. Jobs were also diversified and independent competitive employment wes increased. Total monthly income including labor income and total monthly expenditure were increased. Member survey showed improvement of program satisfaction and improved self-esteem. BASIS-32 showed that the members had more difficulties in the areas of symptoms but reported improvement of daily functioning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se outcomes tell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CMHCs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functioning, and autonomy of the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in the community that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should be directed to establishment of more CMHCs. In the future, there must be periodic monitoring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comprehensive outcom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