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화된 나이듦과 생의 남은 시간에 대한 관점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목표 추구와 메시지 유형의 효과를 중심으로

        안아림,민동원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2

        Carstensen(1992)이 제시한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에 의하면, 노년층은 생의 남은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고 인지하는 반면, 청년층은 이 시간이 확장되어 있다고 인지한다. 이러한 차이는 정보 처리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노년층은 정서적(vs. 사실적) 메시지를 더 선호하는 반면, 청년층은 정서적 메시지보다 사실적 메시지에 대해 더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본 연구는 체화된 나이듦과 생의 남은 시간에 대한 관점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 추구와 메시지 유형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는 체화된 나이듦, 목표 추구, 그리고 메시지 유형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피험자는 목표를 추구하든지 그렇지 않든지에 관계없이 노년층에 대해 프라이밍 되었을 때든 그렇지 않았을 때든 모두 정서적 메시지보다 사실적 메시지에 대해 더 설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생의 남은 시간 관점(제한 vs. 확장)을 프라이밍 하였고, 여기서 목표 추구와 메시지 유형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목표를 추구하는 경우, 생의 남은 시간 관점과 상관없이 피험자는 정서적 메시지보다 사실적 메시지에 더 설득되었다. 하지만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 경우, 제한된 관점을 가진 피험자는 정서적(vs. 사실적) 메시지를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확장된 관점을 가진 피험자는 정서적 메시지보다 사실적 메시지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According to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Carstensen, 1992), older adults perceive that time is limited so that they are persuaded more by emotional (vs. factual) message, whereas younger adults show the opposite pattern because they feel that time is expansive. This research explores whether the embodied aging and time horizon perspective (THP; limited vs. expansive) influence on persuasion depends on goal pursuit and type of message (emotional vs. factual). Experiment 1 focuses on the effect of embodied aging on persuasion. Different from embodied aging literature demonstrates that young people primed with an elderly state actually act more like the elderly, priming embodied aging does not generate THP of the elderly. In detail, participants primed with embodied aging show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factual (vs. emotional) message as well as control condition. In the Experiment 2 where different THP is primed, participants who have limited THP evaluate factual (vs. emotional) message more favorably in the goal pursuit condition, whereas they are persuaded more by emotional (vs. factual) message in the control condition. In contrast, participants who are primed with expansive THP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factual (vs. emotional) message in the both goal pursuit and control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ropose idea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김미란(Kim Mi-R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한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읽기를 통한 쓰기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중 쓰기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기 교육의 모형 개발이 시급했던 터라 읽기 교육 모형까지 고민할 수가 없었던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글쓰기 수업에서 선택되는 읽기 교육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 글쓰기 교수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텍스트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방법은 10여 년 전의 교육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영역은 여전히 미답 상태에 놓여 있다. 그 점에서 읽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의 대학 글쓰기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읽기 교육 모형은 읽기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목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읽기를 통한 쓰기’ 혹은 ‘쓰기를 위한 읽기’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최종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전제가 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론 없는 방법론은 토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척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모색 과정과 그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글을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을 위해서는 존 피터스가 개발한 텍스트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서적 관점, 윤리적 관점, 수사학적 관점, 논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한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읽기 교육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기는 하되 읽기-쓰기 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Korean academic writing, reading to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ethod. But concrete models for it are not developed sufficiently. Especially,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re not tried to develop so far. This is caused b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models for writing education. The matter must have been settled without delay. But that is why the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not high. Although the level of reading texts which are offered by professors is high,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are not changed for about 10 years. It means this area has been stalled for a long time. In that respect,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is a most urgent task. Even if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solv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we can t delay no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I place great importance on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for growth Korean academic writing through it. For this purpose, I offered theories which are the premises of it. Methodology without no theory is very fragile. However in Korea, the study and research are not accumulated enough, inevitably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for reading and writing by American scholars. Especially, to offer a concrete reading education, I used John peters’method. His method for reading educa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includes emotional, ethical, rhetorical, 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ut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common to adopt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to write, I proposed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with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역할명확성이 절차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 리더 OCB의 조절효과

        김보영,최동원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 절차공정성 인식의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통제이론의 관점과 사회정서적 관점을 통해 규명하였다. 통제이론의 관점에서 역할명확성은 구성원의 역할 수행 과정에 있어 이들의 통제감과 예측가능성을 높여 절차공정성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사회정서적 관점에서 리더의 OCB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으로부터 자신이 가치 있게 존중받고 있으며 후원받고 있다는 인식을 형성하여 역할명 확성이 절차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가진다. 중국에 위치한 병원, 사기업, 학교, 공기업 종사자 273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역할명확성이 절차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또한 리더의 OCBI가 높을 때 역할명확성이 절차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력이 유의하였으나, 리더 OCBI가 낮을 때에는 역할명확성이 절차공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아, 리더 OCB가 역할명확성과 절차공정성 간의 관계를 조절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 인식을 설명함 에 있어 조직의 통제시스템으로서 직무설계에 대한 인식인 역할명확성과 조직의 대리자인 리더의 행동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불어 직무설계와 리더십 측면에서 조직구 성원의 절차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ntecedent factors influencing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rocedural justice through control theory and socio-emotional perspectives. From the control theory perspective, role c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ees' sense of control and predictabilit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roles. From the socio-emotional perspective, the leader's OCB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positive influence of role clarity o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by forming the perception that employees are valued and supported by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is based on the data of 273 employees of hospital, school, private company and public company in China, role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cedural justice. When the leader's OCBI was high, the positive effect of role clarity on procedural justice was significant, but when the leader's OCBI was low, the effect of role clarity on procedural justic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verifi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ole clarity, which is the perception about role system as an organizational control system, and the behavior of the leader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organization, in explaining the procedural justice. In addition,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ocedural justice of employees in terms of job design and leadership.

      • KCI등재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영향요인 -여성한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현숙 ( Hyeon Suk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 부모, 또래, 학업, 매체, 지역사회요인이 여성한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년 대상자 중 초등4(2,244명), 중등1(2,177) 총 4,421명(여성한부모 282명, 양부모 4,139)을 조사하였다.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영향요인은 여성한부모와 양부모 자녀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신체적 발달에서 차이는 매체요인(컴퓨터사용)이 여성한부모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다. 둘째, 사회정서적 발달에서 차이는 양부모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큰 영향을 미친 부모양육태도, 지역사회요인이 여성한부모 자녀에게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다. 삶의 만족도의 차이는 부모양육태도(애정 제외), 학업요인이 여성한부모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다. 셋째, 인지적 발달에서 차이는 개인요인, 부모양육태도(과잉기대 제외), 또래요인, 매체요인, 지역사회요인이 여성한부모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children`s physical, social-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from single female parent and two-parent were affected by the individual related factors, parent related factors, friend related factors, educational related factors, media related factors and community related factors. The study data based on 4,421(elementary 2,244, middle school 2,177, single female parent 282, two-parent 4,139) of the survey o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etween single female parent and two-parent in the influencing on the children`s physical, social-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First, In physical development, the difference was that the media related factors(computer time) did not affect single female parent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Second,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difference was that the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community related factors seriously affected two-parent children`s ego-resilien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single female parent children`s ego-resilience. The parental disciplinary styles(except affection) and educational related factors did not affect single female parent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ird, In cognitive development, the difference was that the individual related factors, parental disciplinary styles(except overprotection), friend related factors, media related factors and community related factors did not affect single female paren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관점수용 향상을 위한 학습분석 기반 수업설계 모형의 효과 연구: 사회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허선영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arning analytics-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nhancing perspective-taking and examines the effect of perspective-taking and learning achievement. To achieve this, a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a model comprising stages of lesson preparation, lesson implementation, and lesson evaluation. Procedures and guidelines necessary for each stage were derived. Subsequently, the model was applied to conduct four sessions of instruction for 53 first-year mal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Surveys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terviews, and learning achievement test(content knowledge assessm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scores, along with an enhancement in individual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perspective-tak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analytics-based learning support, and the need to avoid excessive learning support.

      • KCI등재

        간화선 집중수행 체험의 질적 분석

        성승연,박성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retreat of Ganhwa Seon(GS), one of Korean Buddhist traditional practices, leading changes in psychotherapeutic mechanism. Twelve individuals participating the retreat of GS were interviewed on their internal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e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QR. The internal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6 domains: A motive of GS performance, Taking the Huotou, Critical Experience, Phenomena after Critical Experience, Interpretation of functions of the Huotou and Changes after Experience of GS. These categories were again divided to 9 sub-domains and 34 categories. Results show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GS, specifically a positive physical change, emotional stability, changes in attitude, epistemological changes and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 The application of GS to psychotherapy and the mechanism of GS are also discussed. 최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동양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 중의 하나인 간화선 집중수행 체험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고 그 심리 치료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국선원에서 집중적인 간화선 체험을 한 1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간화선 체험 중의 내적 경험들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의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화선 수행 중의 경험들은 간화선 수행 동기, 화두를 드는 과정, 결정적 체험, 결정적 체험 직후 현상, 화두의 기능에 대한 해석 및 간화선 체험 후 변화의 여섯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여섯 개의 주요 영역에 걸쳐 9개의 하위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범주가 형성되었다.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효과는 긍정적인 신체적 변화, 안정적인 정서 체험, 관점/태도의 변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 대인관계의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적용 가능성과 치료적 기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감하고 실천하는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수업 - ‘정서적 감정이입(affective empathy)’을 적용한 수업 방안 모색 -

        임지현 ( Lim Ji-hyun ) 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논집 Vol.76 No.-

        Recently, the newly perceived historical consciousness is related to the students' proper awareness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nd their interest in the historical issues that have led to the present, and to foster the power to make the better future history on their own. Also, it is to have a citizen's consciousness to make a right decision on a given problem and to practice it at the same time, and to cultivate such a democratic citizen's historical consciousness may be a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volves students' interest in the historical issues that have led to the present, while fully aware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nd furthermore, I will develop the power to make the better future history on their own. Meanwhile, Barton and Levstik, who emphasiz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promoting common good and participatory democracy, insisted that historical empathy is a useful principle of instruction for cultivating citizenship. In particular, criticizing the emphasis on only cognitive inquiry, they suggested that affective factors such as empathy and identification should be actively combined into historical empathy. Barton and Levstik's views have been developed by researchers at local and abroad into the discussion of the re-conceptualization to properly combine historical empathy with the cognitive inquiry processes and affective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se discussions are possible logic when integrating concepts based on the studies of scholars and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historical empathy and analysis of class cases using sympathy and emotion, this study specifically designed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historical empathy applying affective dimension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growth of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and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lass, this study tried finding that Barton and Levstik's ‘affective empathy’ called ‘caring’ embodies the driving force that students lead the knowledge and consciousness of history learned in classes to the practice of action as the core of the civic competency. In conclusion, historical empathy should be conceptualized as the principle of instruction that combines both tools of cognitive inquiry and affective elements.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affective empathy’ called ‘caring’ is a factor that exerts more aggressive sympathy among students, and it could be used as a key teaching principl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at it plays a role in promoting interest in the ‘common good’ such as human rights, peace, and coexistence.

      • KCI등재

        The Effects of Time Monitoring and Goal Orientation on Persuasion

        민동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8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w individuals monitor the time in their life on persuas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goal orientation and types of persuasive mess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onitoring and persuasion. By controlling participants’ time horizon perspectives (THPs), an experiment using a 2 (THP: limited vs. expansive) × 3 (goal orientation: approach vs. avoidance vs. control) × 2 (message type: emotional vs. knowledge-related) between-subjects design was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when participants with limited THP, those who oriented avoidance goals were more favorable to knowledge-related messages, whereas those who oriented approach goals preferred emotional messages. Participants with expansive THP were more persuaded by knowledge-related messages, regardless of pursuing goal types.

      • KCI등재

        住居環境의 經驗的 側面에 대한 調査硏究 : 大學生의 住居經驗 事例를 中心으로

        이연숙,장윤정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3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view of hous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residents' experiences in the housing environment through the stimuli of housing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response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103 essays of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ypical stimuli of hosing environment were housing type, arrangement of house, and structure of indoors. Cognitive responses, followed by emotional responses, were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nd outdoors were positive, while those in arrangement of house, arrangement of rooms, and structure of indoors were negative. It was also noteworthy that social housing environment in neighbors and family, and emotional influence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 residents wer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김해 여성과 이학규의 시 세계

        이강옥(Lee Kang 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이학규는 본처 나주 정씨와 후처 진양 강씨, 금기 옥섬섬을 매개자로 삼아 김해 여성의 삶을 시 세계 속에 적극 담았다. 김해 여성들은 다채로운 풍속 구성의 주체가 되면서도 수탈의 희생자가 되었다. 두 형상은 부자연스럽게 연결되었는데 거기서 이학규의 시적 타자 정약용을 발견할 수 있다. 김해 여인들은 힘든 노동을 감당했으면서도 수탈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었다. 김해 여인들은 한탄하고 울부짖는 소극적 존재였지만 수탈을 직접 문제 삼으면서 수탈자에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이학규의 시는 '풍인지지'의 전통을 계승하여 최고수준의 사실주의를 성취하였다. 그는 정약용의 인식적 동선을 따라서 민중의 현실을 목격하고 민중 생활의 폐단을 직시하여 고발했지만, 더 나아가 민중과 여인의 현실 속으로 들어갔다. 그래서 절실한 동정과 연민을 이루었다. 이학규의 시에서는 청각적 상상력이 다른 요소들을 압도하였다. 그리고 이런 특징이 자연스럽게 여성 취향으로 연결되었다. 공간 경험이 제한되었던 여성들은 청각적 상상력을 확장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학규도 이런 김해 여성들과 비슷한 처지에서 살아가면서 소리에 더 민감해졌고 소리를 문학적으로 승화시켰다. 이학규의 많은 시들이 밤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 것은 시각적 영역을 차단하고 청각적 상상력을 발현시키기 위한 시적 포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를 향한 강한 지향성은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한 강렬한 관심은 여인이 부르는 노래 소리에 대한 관심으로 귀결되었다. 이학규는 어두운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여인의 노래를 듣고서 거기에 자기의 심정을 가탁하였다. 나아가 노래를 좀 더 적극적으로 듣는 단계에 이르렀다. 여인의 노래를 둘러싼 상황을 상상하고 그 노래의 가사를 그대로 옮겼다. 그래서 시적 대상이나 시적 화자를 여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지배적인 정조는 일상의 힘겨움과 슬픔, 그리고 한이다. 시적 자아가 시적 대상 인물들이 가진 슬픔이나 한에 대하여 공감하고 또 일체감을 형성할 때 명실상부한 '우수시(憂愁詩)'가 된다. 이학규는 마음의 슬픔이야말로 우수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생각했다. 시인이 진정한 우수시를 지어 남을 울릴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시인 자신의 마음이 슬퍼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학규가 여성의 처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또 여성 화자를 등장시키며 마침내 여성들의 노래를 한시로 옮기기에 이른 것도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여인들의 정조를 번역하지 않고 여인 자신의 목소리를 그대로 전하려 한 것이다. 여인의 슬픔에 다가간 시인은 그 슬픔이 깃든 그들의 노래를 듣고 그대로 옮겨서 진정한 '우수시(憂愁詩)'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노래는 자세한 사연을 진술하지 않고 서러운 감정만을 일방적으로 토해내었다. 시적 자아와 대상 인물인 여인 사이에 정서적 연대가 이루어져 일체가 되었다. 둘 사이에 타자가 개입할 수 없을 정도로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인물 사이의 간극은 좁아졌다. 이학규는 이방인의 눈으로 김해 여성의 일상을 관찰하며 시비를 따지기보다는 귀를 열어놓고 소리로 들려오는 김해 여인들의 서러운 넋두리와 노래를 들었다. 이학규의 김해 시들은 청각에 의한 연대와 공감이 그 어떤 지각 작용에 의한 것보다 근원적이고 강력한 것이라는 진실을 보여준다. In this article, I analysed Lee, Hakgu's Kimhae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In his poems, Lee, Hakgu represented the lives of Kimhae women. Kimhae women were portrayed as active participants of various kinds of folk culture. They also became the victims of labor exploitation by the oppressing rulers of the region. Facing these exploitations, Kimhae women only lamented and cried passively. But in some cases, for example at <Seoksinmakjibuhaeng (析薪莫持斧行)>, they attempted to resist against the exploiter. His poems achieved the highest level of realism by accepting the tradition of 'Punginzizi(風人之旨)' Following the worldview of Jeong, Yakyong, Lee, Hakgu paid greate attention to the harsh reality of common people, which were actively incorporated in his poems. In addition to eyewitness account of common people and women of Kimhae, he identified himself with people and women of Kimhae. The distance between poetic subject and object disappeared and the sympathy and pity between them were established. The auditory imagination wa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n his poems. And this tendency betrayed feminine inclination of his poems. His status in Kimhae was very similar to that of women, in that he had to live in the restricted region and was not allowed to go out of Kimhae. As the confinement of space in the life of most women led them to the expansion of their auditory imagination, Lee's confinement to Kimhae area made him extremely sensitive to sound. His particular interest in natural sound made him acutely respond to the sound of women's everyday lives and then to the songs of women. Listening to women's songs from unseen dark places, he wrote his poems to express his feelings triggered by those songs. He then advanced to make efforts to listen to women's songs more actively. He imagined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particular songs and created lyrics best suited to the situation. Therefore women always became both object and subject of his poems. In these poems, the dominant mood was hardship of everyday life, grief, and sorrow. When the poetic subject sympathizes with the sorrow of poetic object, the poet can write the sincere 'Usoosi(憂愁詩)' Lee, Hakgu insist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Usoosi' was the sorrow of mind. He also stressed that the poet should have sorrow in his mind first in order to make the reader weep. So the poet has to not only sympathize with the poetic object, but also identify with poetic object. Instead of translating the sensibility of women, Lee, Hakgu's poems tried to incorporate the voice of women directly. Delivering the sad songs of Kimhae women, he made excellent ''Usoosi(憂愁詩)' Lee, Hakgu did not observe everyday lives of Kimhae women with a stranger's eyes, but heard the songs of sorrowful women with sympathizer's open ears. Lee, Hakgu's Kimhae poems attest that the bond and sympathy created by auditory imagination is more fundamental and powerful than those created by any other sensory imag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