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언어학 연구 방법론

        김동환 우리말학회 2010 우리말연구 Vol.27 No.-

        이 글은 인지언어학의 개요를 살펴보면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 을 제시하고, 향후 인지언어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인지언어학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출현했으며, 두 가지 면에서 형식언어학이나 기능언어학과 구분된다. 첫째, 인지언어학은 언어의 인지적 토대인 인지적 신념을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즉, 인지언어 학은 인지과학과 뇌과학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언어를 기술하고자 한다. 둘째, 인지언어학자들은 일반화 신념을 고수한다. 일반화 신념이란 언어 지식을 구성하는 본질과 원리를 인지 능력의 결과로 기술하려는 신념이 다. 이런 독특한 신념을 가진 인지언어학의 연구 방법론은, 크게 인지모 형과 인지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지모형 중에 서 시나리오와 프레임을 검토하며, 인지과정으로서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 적 혼성을 검토한다. 특히 개념적 혼성의 설명력을 부각하면서, 향후 개 념적 혼성 이론의 발전 가능성을 많이 암시했다.

      • KCI등재

        분별(vikalpa)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이 글에서는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의미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불교와 인지과학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이다.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본문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불교의 ‘무아’설과 ‘체화된 인지’ 이론을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인지언어학이 주장하는 추상적 개념의 신체적 뿌리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중관학파가 바라보는 중생의 괴로움의 원인으로서 ‘분별’의 양상과 이를 의미만들기로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괴로움의 주된 원인을 무명 ? 번뇌로 특징짓는 불교 교리의 특성 상 번뇌의 내용과 구조를 성찰하였다. 또한 인간 사고의 기반인 언어의 가상성에 대해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 역시 번뇌에 대한 현대적 이해로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하지만 불교는 번뇌를 제거하여 해탈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간 사고의 본질로서 언어를 탐구하는 인지언어학과 다른 종착역을 노정한다. 다시 말해 중관학파는 분별을 번뇌의 특징으로 규정하며, 분별이 갖는 부정성에 주목한다. 반면 인지언어학은 분별을 인간 종(種)의 개성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인지언어학은 분별이 의미화의 ‘차이’이며, ‘의미만들기’라는 시각에서 진화와 사회화의 과정에서 발달하고 획득한 특수한 신경기능으로 받아들인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different manifestations” (vikalp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man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is lead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uddhism and cognitive science. In my discussion, I will deal with the following issues. In Chapter Ⅱ I will compare the Buddhist idea of “denying a self” (an?tman) with the embodied cognitive theories. In Chapter Ⅲ I will explore the physical roots of the abstract concepts that are the main claim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hapter Ⅳ I will explore what the Madhyamaka regards a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cause of suffering,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meaning-making. Because Buddhism characterizes the main cause of suffering as the delusion (avidy?) and affliction (kle?a), I will reflect 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affliction. It seems that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is a modern understanding of affliction in that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hypothetical language is the basis of human thought. Buddhists pursue liberation by removing affliction, while cognitive linguistics explores language as the essence of human thought. As a result, Buddhism and cognitive linguistics have their ways. In other words, the Madhyamaka defines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characteristic of affliction, and pays attention to the negativity of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However, cognitive linguistics accept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part of the personality of the human species, treating them as the “differentiation” of the signification and studies the specific aspects of the neural function obtain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 KCI등재

        한국어 색채 표현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구본관(Koo, Bon-Kwan) 형태론 2008 형태론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Korean color terms from a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The basic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color terms show various cognitive properties. Chapter 2 deals with diachronic changes of Korean color terms. Chapter 3 deals with relations between cognitive linguistics and word-formation of Korean color terms. Chapter 4 deals specially with differences of native words and borrowed words. Chapter 5 deals with Korean color terms as symbolic system. As a consequence, we can confirm that Korean color terms are studied from a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is very important. 한국어는 색채어가 다양하게 발달한 언어이다. 색채에 대한 인식이 인간의 인지작용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므로 색채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인 고찰은 매우 의미 있는 논의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색채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인 고찰을 통해 다음 몇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기본 색채어인 ‘푸르다, 누르다, 붉다, 희다, 검다’는 언어 보편적인 오색 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오색이 ‘청’이 아니라 ‘초록’이라는 점에서 한국어는 다소 특수하지만 이는 ‘푸르다’와 ‘파랗다’의 통시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접두사나 접미사, 자음교체, 모음교체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한 색채어의 확장을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의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고유어 색채어와 차용어 색채어의 차이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과학적인 색채 분류와 언어적 색채 분류가 차이 나는 점은 언어가 인지 작용에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교육 내용의 인지언어학적 제안

        김억조(Kim, Eok-Jo)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동서인문학 Vol.0 No.53

        이 글은 중학교 『국어』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반영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 ‘문법’ 영역이 등장하는 것은 4차 교육과정부터인데 5차와 6차 교육과정까지는 ‘언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7차에서는 ‘국어 지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중학교 국어과 ‘문법’ 영역의 교육 내용이 ‘형태·구조 중심’이었다는 지적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그 결과 7차 ‘문법’ 교과서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성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태 중심’ 언어 연구의 결과나 ‘의미 중심’ 언어 연구의 결과나 모두 암기의 대상임은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인지언어학적인 연구성과가 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으로 편성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인지언어학은 1987년 본격적으로 언어학계에 등장하여 지난 35년간 수많은 검증 과정을 거치면서 주류 언어이론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르렀다. 인지언어학은 언어를 인간 마음의 반영이라고 보며, 인간의 마음 또는 마음과 연관된 언어는 인간, 특히 인간의 신체적 체험과 분리하여 연구할 수 없다고 본다. 인지언어학에서는 언어적 지식과 세상사 지식의 뚜렷한 구분을 부정하며, 단어의 의미를 본질상 백과사전적 지식으로 본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의 본질, 음운, 단어와 품사, 어휘의 유형, 의미 관계, 문장, 담화’의 층위에서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의 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형태·구조’ 중심인 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에 인지언어학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반영함으로서 학습자가 문법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criteria of ‘grammar’ area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xamine its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it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Grammar’ area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n subject in the fourth curriculum. While the term ‘language’ was used in the fifth and sixth curriculums,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started to be used in the seventh.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middle school Korean subject ‘grammar’ area would be too ‘form/structure-centered’ has been pointed out for long. As a result, the outcomes of text language research came to be reflected in the seventh ‘grammar’ textbook in earnest. Nevertheless, both the ‘form-centered’ and ‘meaning-centered’ research outcomes commonly focused on memoriza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linguistics research outcom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language ‘grammar’. Cognitive linguistics first appeared in the academic world of language in 1987, went through a large number of verification processes for 35 years, and came to settle down as the mainstream language theory. Cognitive linguistics assumes that language would be a reflection of human mind and could not be separated from human beings, especially from their bodily experiences. Cognitive linguistics denies a clear differentiation between linguistic knowledge and worldly knowledge,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words as encyclopedic knowledge. Based on ‘essence of language, phoneme, words and parts of speech, types of vocabulary, semantic relations, sentence, and discourse’,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s the study results accept and reflect cognitive linguistics research outcomes to the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language grammar considering ‘form/structure’, they are expected to help learners to be interested in grammar.

      • KCI등재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현황

        진영하 ( Chen Yongxia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의 현황을 살피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인지언어학은 제2언어 교육에서 높은 설명력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를 시작한 것은 2004년부터였으나,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검색 DB를 활용하여 2020년 12월 말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71편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수집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후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주제들의 연구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먼저, 인지언어학 이론을 한국어 교육 내용이나 교육 방안 연구에 적용할 때 분석 대상을 어휘에서 문법으로 확장해야 한다. 또한, 말뭉치를 통한 계량적인 분포에 근거하여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교육 내용의 실제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 내용이나 방안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지언어학 이론을 기능 교육, 교재 제작과 연계하는 실용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ngoing research trends pertaining to the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applies cognitive linguistics. Cognitive linguistics is recognized for its excellence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its high-level explanation. The research endeavor to apply the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in the year 2004. There was no research that analyzed the research that had already been carried out in this regard.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first of all drew a list of 71 articles by carrying out a search in the literature database. Following this, we viewed the trend of research and analyzed the detailed aspects of several subjects that show high centrality in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that applies the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o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content or teaching method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rom vocabulary to grammar. Second, the objectivity of the analysis and the practical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ecured based o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carried out via corpu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effectiveness verification studies pertaining to the teaching methods. Fourth, a practical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by link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o the skills education textbook production.

      • KCI등재

        문법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 Ji Ryong L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문법 교육의 적용 가능성, 과제, 효용에 대해서 살펴본 것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언어학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개념화 방식에 기초하여 언어, 마음-몸, 문화의 상관성을 밝히는 언어 이론으로서, 언어 현상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데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인지언어학은 국내외적으로 (제2) 언어 교육에 응용됨으로써 그 가능성과 효용이 주목되며, 문법 교육에 적용 가능한 전형적 기제로 범주화·다의관계·비유·동기화·해석 등이 있다. 셋째, 인지언어 학적 관점에서 문법 교육의 내용요소와 효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가 있다. (1)원형이론은 말소리, 형태, 어휘, 문장 및 텍스트 차원에서 범주 구성원의 비대칭성, 범주 경계의 불명확성을 유연하게 처리해 준다. (2) 인지언어학은 다의어의 정의, 형태-의미의 복합성에 따른 동음이의어와의 경계, 중심의미와 주변의미의 비대칭성, 의미 확장의 경향성을 합리적으로 설명해 준다. (3) 인지언어학에서 비유는 개념적 현상이며 인간의 신체적 경험에 기초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서, 개념적 은유와 환유 그리고 그 상관성이 문법 교육을 심화시킨다. (4) 인지언어학에서 동기화는 단어 형성법을 비롯하여, 언어 표현의 ``구조-기능``에 나타나는 광범위한 도상성을 통해 흥미로운 탐구과제를 제공한다. (5) 해석은 동의성, 중의성, 이동 시점, 대우법 등에서 의미의 본질 및 문법성에 새로운 이해를 제공해 준다. 요컨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문법교육의 남은 과제로는 내용 요소에 대한 폭과 깊이를 구체화하며,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교재 작성과 교수법을 마련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는 일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materials, and usefulness of gramma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linguistics as a theory reveal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body-mind and culture, based on our experiences about the world and our ways of conceptualizing them, and it has great potential in explaining and interpreting linguistic phenomena. Second, cognitive linguistics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second language education, home and abroad. Typical mechanisms applicable to grammar education are categorization, synonymy, figures of speech, motivation, construal, and so forth. Third, the content elements and usefulness of grammar education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are as follows: (1) Prototype theories successfully treat the asymmetry of category members in the levels of sound, form, vocabulary, sentence, and text, as well as the fuzziness of category boundaries. (2) Cognitive linguistics explains rationally the definition of a polysemous word, the boundary between the polysemous word and a homonym caused by the complexity of form-meaning, the asymmetry of a central meaning and a peripheral one, and the tendency of semantic expansion. (3) A figure of speech in cognitive linguistics is a conceptual and natural phenomenon based on bodily experiences, conceptual metaphor and metonymy, and the correlation of these deepens grammar education. (4)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provides the possibility for interesting exploration tasks through the wide range of iconicity appearing in the ``structure-form`` of a linguistic expression, as well as word formation. (5) Finally, construal allows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eaning and grammaticality in synonymy, ambiguity, motion, honor-ification, and so forth. To sum up, the remaining tasks of gramma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re to materialize the breadth and depth of content elements, to prepare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and to measure their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중국의 인지언어학 연구 동향 분석(1)

        백종이 중국인문학회 2023 中國人文科學 Vol.- No.85

        본고는 최근 10년간(2013∼2022) 古代漢語 관련 인지언어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인 고대한어 인지언어학의 연구성과는 최근 10년간 中國知網(CNKI)에 탑재된 학술지 논문과 중국교육부(MOE)의 국가연구지원사업에서 선정된 연구과제를 포함한다. CNKI를 활용하여 중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인지언어학 관련 학술지 논문 5,396편 중 본고와 관련된 항목 178편을 추출하였다. 연도별, 시기별, 키워드에 따른 기초분석과 세부 연구분야에 따른 다층분석을 진행하였다. 세부 연구분야는 ‘문법’, ‘漢語史’, ‘의미 및 어휘’, ‘화용’, ‘한자’, ‘대조언어’, ‘번역 및 사회언어학’의 7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의미 및 어휘’에 대한 누적 연구성과의 비중이 제일 높았다. 또한, 중국교육부에서 선정한 연구과제는 총 5건이며 ‘의미’ 분야와 ‘대조’, ‘화용’, ‘문법’ 분야를 함께 접목한 주제였다. 문헌을 지정한 연구 중,『說文解字』와 『黄帝内经』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ognitive linguistics research related to Ancient Chinese over the past ten years (2013–2022).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ancient Chinese cognitive linguistics analyzed here include academic journal articles uploaded to CNKI and research projects selected by the MOE's national research support program in the last decade. Using CNKI, 178 articl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5,396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cognitive linguistics focusing on the Chinese language. Basic analyses by year, period, and keywords were conducted, along with multi-layered analyses according to specific research areas. The detailed research fields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Grammar', 'History of Chinese Language', 'Semantics and Lexicon', 'Pragmatics', 'Chinese Characters',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ranslation and Sociolinguistics', with 'Semantics and Lexicon' having the highest proportion of cumulative research achievements. Additionally, there were a total of five research projects selected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vering topics that combined 'Semantics' with 'Contrast', 'Pragmatics', and 'Grammar'. Among the designated literature studies, the works titled Shuowen Jiezi and Huangdi Neijing held the highest significance.

      • KCI등재

        한국어의미론과 인지심리학의 접점 및 전망

        임지룡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이 글은 인지언어학에 바탕을 둔 '한국어의미론'과 '인지심리학'의 접점 및 전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인접 학문 분야 간의 상관성을 탐색함으로써 제 홀로서 보기 어려운 점을 찾아내고, 우리가 본유적으로 발 딛고 있는 분야에 이 대해 창발적인 인식에 이르기 위함이다. 이 글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영역의 전형적인 여섯 가지 접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1) 범주화의 원형이론과 기본층위 (2) 머릿속 사전의 작용방식·실체·단어의 이해 (3) 비유의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 (4) 주관적 이동의 상대적 이동과 심리적 이동 (5) 해석의 범위·시점·전경과 배경 (6) 언어·사고·심상의 영향 관계와 작용 양상 둘째, 두 영역의 두 가지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1) 장차 한국어의미론은 인지언어학의 방법론과 호흡을 같이할 것이다. 또한 인지과학의 일환으로서 인지심리학의 유용한 기법인 실험 기법의 실증적 연구와 신경과학을 수용함으로써 한국어의미론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이제까지 언어의 의미에 대한 인지적 논의는 인지심리학에 기반을 두거나 영향을 받아온 사례가 흔하다. 이러한 일방향성은 장차 언어 연구의 결과가 심리 연구와 쌍방향성으로 발전되거나 심리 연구로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interfaces between Korean seman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their prospects. Such an attempt aims to identify what is hard to discover in one field of scholarship by explor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lated academic areas and so to reach a creative understanding of what is being inherently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ypical interfaces of the two fields of study are discussed: (1) the prototype theory and basic level of categorization, (2) the working ways, substance of the mental lexicon, and the understanding of words, (3) conceptual metaphor and metonymy of figures of speech, (4) relative motion and psychological motion of subjective motion, (5) the scope, time, and figure and ground of construal, (6) the cor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thought, and imagery, and their working aspects. Second, their prospects are discussed: (1) It is suggested that Korean semantics will make use of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make up for its vulnerabilities by receiving the empirical research of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2) So far, the cognitive study on linguistic semantics has usually been based on or affected by cognitive psychology. Such unilateral research is likely to develop into the bilateral study of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research, or to be changed into psychological research.

      • KCI등재

        『중론』 「시간에 관한 고찰」의 철학적 확장성에 대한 탐구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8

        필자는 이 글에서 『중론』에 나타난 형이상학 비판에 대한 웨스터호프의 해석을 그의 세 가지 키워드 ‘인과적 관계’, ‘변화’, 그리고 ‘실체와 그 속성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를 인지언어학의 은유적 분석과 연결하여 『중론』 제19품 「시간에 관한 고찰」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존재화된 모든 것은 이미 우리의 경험 또는 우리의 삶으로 넘어온 순간 인과적 사고의 그물 안에서 사유된 결과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수의 시간 분석은 다른 형이상학적 독단들에 대한 비판처럼 실체성을 배제하도록 우리를 독려했고, 그 결과 우리는 시간의 실효적 특징을 파악하는 새로운 모델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웨스터호프의 분석만으로는 용수의 시간의 확장 가능성과 대안적 철학의 기틀에 대한 탐구가 미진하다. 사실 『중론』의 사상적 특징은 우리가 안주할 존재론적 기반을 붕괴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이런 까닭에 해체철학으로서 그 위용은 가공할만하다. 하지만 아주 강한 어조로 실체성 비판이 이루어지는 까닭에 우리는 이 비판이 지향하는 목적지를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용수는 우리의 언어 사유의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내려고 하는 것이지 우리의 언어적 사고활동을 봉쇄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재해석 가능한 시간 개념으로서 인지언어학이 수행한 시간에 관한 열린 해석들을 용수의 시간 비판에 가져와 『중론』에 담긴 사상의 철학적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왜냐하면 『중론』의 경우 관습적 규범의 지위를 언어에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간에 관한 재규정의 가능성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에 관한 언어 사유의 실질적인 과정을 들여다보았는데, 이러한 접근은 근대적 시간의 탄생이 산업사회 이후 ‘노동의 자원화’에 따른 결과물이라는 인지언어학자들의 지적과 인지언어학의 은유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국 재해석과 재규정이 가능한 시간은 용수가 제시한 것처럼 오직 시간 개념에서 실체성을 배제한 이후에만 열리는 것이다. 이는 인지언어학자들이 보여주고 있는데, 그들의 주장은 서구 존재론에서 다루던 시간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 반영된 시간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중관사상의 시간 개념과 인지언어학이 수행한 시간에 관한 열린 해석들과 많은 접점들이 있다. 이미 용수에 의해서 형이상학적 가공물에 대한 종합적 비판이 이루어졌듯이, 인지언어학 역시 형이상학적 전제 없이도 존재 일반의 문제를 해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는 『중론』에 근거한 중관사상이 철학의 일반 문제를 해명하거나 다룰 수 있고, 다른 학문영역과 학제적 교류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This paper serves two purposes. First I explore the idea that there is a denial of any kind of substance in the “analysis of time” of Mūlamadhyamakakārikās (henceforth MMK)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J. Westerhoff, who suggests the three keywords of “causation”, “change”, and “substance and their properties” for unpacking of Nāgārjuna’s central metaphysical thesis. Second I link MMK’s “analysis of time” with metaphorical analyse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ilosophical consensus between Nāgārjuna’s view and modern philosophies. The reason for so doing is that, despite Westerhoff’s investigation, it is still necessary to approach the reinterpretation of time and explicate the alternative philosophical crux of Nāgārjuna’s view. Consequently, by these means, I confirm that the “analysis of time” appeals to us to exclude the substance of time, just as the core of Nāgārjuna’s rejection of substance comprised an analysis that set out to demonstrate a variety of problems with the notion of substance. Thus, we ascertain the efficient functional feathers of time and conclude by ascertaining how does time describe in modern life. In fact, not only is MMK’s intellectual character effective in disintegrating our ontological foundation, but it also has a dignified appearance, in fact, for example, the deconstruction is fairly powerful. However, because criticism of substance is made in a very strong tone, we tend to forget the destination at which this criticism is directed. Nāgārjuna would like to try to expos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our activities of thinking, not to block them. Ultimately, in the case of MMK, the possibilities of the redefining time are opened in that the customary norm is given to the language; thus, I look here at the reinterpretation of time through the lens of cognitive linguistics, which has already explored the expanding interpretation of time. We now face the actual process of thought about time in relation to language, which is a metaphorical analysis of cognitive linguistics as applied to the concept of time. In particular, cognitive linguistics points out that the birth of modern concept ‘time’ is the result of “the recycling of labor” emerging from industrial societies. This function of the concept of ‘time’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not an ontology dealing with time but a time of reflection and engagement in our lives. These reinterpretations and redefinable concepts of time are only given to us after the substance has been ruled out, as suggested by Nāgārjuna.

      • KCI등재후보

        텍스트언어학의 방법과 과제

        이성만(Lee Seong-m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본고는 텍스트언어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위하여 다음의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현황과 방법 그리고 과제를 조명하였다: (1) 텍스트는 어떤 방법으로 연구되었는가? (2) 텍스트는 무엇인가? (3) 텍스트는 어떻게 연구될 수 있는가? (4) 텍스트언어학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텍스트언어학은 1970년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초창기 텍스트언어학에서도 분석대상을 언어체계의 단위들로만 잡지 않고 거시단위인 ‘텍스트’와 그 구성성분들에 따라 행위참여자들의 사회적인 행위로 넓혀나갔다: 문법적-구조주의적 텍스트이해 → 의사소통-기능적 텍스트이해 → 다층모델(하이네만과 피베거 1991). 이런 생각이 현대 텍스트 연구의 출발점이자 목적지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텍스트는 이제 더 이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고립적인 표현형태가 아닌, 복잡한 상호작용에서 도구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래서 텍스트는 자체에 의미와 기능은 없고 언제나 상호작용 맥락에서 텍스트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행위 참여자와 관련해서만 의미와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게 되었다. 텍스트언어학의 전망을 4가지로 요약하였다. (1) 텍스트는 문법의 단위이자 화용의 단위이기도 하다. 텍스트구성과 텍스트처리의 절차적 국면들도 텍스트의 개념정립과 텍스트성의 자질연구에서 중요하다, (2) 텍스트유형화의 문제이다. 텍스트종류는 세계(또는 그 일부)가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인 공동체에서 다양하게 파악되고 다양하게 ‘습득’되는 의사소통 모형이자 판박이다. (3) 텍스트생산과 텍스트처리의 과정연구이다. 텍스트언어학의 시각에서 지식표상으로서의 텍스트, 여러 텍스트종류들의 텍스트범례들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전략, 텍스트이해의 문제, 텍스트모형 활성화 훈련, 언어습득에서의 텍스트종류 습득, 정보를 기억하고 보존하는 문제 등이 집중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4) 텍스트연구의 응용분야이다. 특히 모국어와 외국어 수업에서 텍스트언어학의 적용과 응용 가능성은 무한하다. Die Arbeit beschaftigt sich fur die Interessierten an der Textlinguistik mit Tendenzen, Methoden und Aufgaben der textlinguistischen Untersuchungen, indem die folgenden Fragen beantwortet werden: (1) Wie wurde der Text bisher aus methodischer Sicht untersucht? (2) Was ist die Grosse 'Text' eigentlich? (3) Wie ist der Text zu analysieren? (4) Worauf kann man die textlinguistischen Methoden anwenden? Seit den 70er Jahren des 20. Jahrhunderts betrachtet man in Deutschland die Textlinguistik als ein neues Paradigma. Die Textlinguistik hat von Anfang an ihre Fragestellungen immer mehr ausgeweitet: ein grammatisch-strukturalistisches Textverstehen → ein kommunikativ-funktionales Textverstehen → Mehr-Ebenen-Modell(Heinemann/Wiehweger 1991). Das letzte besagt, dass fur die Textkonstituierung das Zusammenspiel von Parametem auf unterschiedlichen Ebenen wichtig ist. Demnach betrachtet man den Text nicht als eine isolierte Form der kommunikativen Handlung, sondem als ein Instrument in der komplexen Interaktion. Daraus folgt, dass der Text selbst keine Bedeutungen und Funktionen hat, sondem dass er sie nur bezogen auf die Handlungsbeteiligten erhalt, die ihn immer im interaktiven Kontext herstellen und rezipieren. Die Perspektiven der Textlinguistik lauten: (1) Der Text als die Einheit von Grammatik und Pragmatik. Wichtig sind die prozeduralen Aspekte der Textkonstitution und -verarbeitung, urn den Text konzeptuell zu bestimmen und die Merkmale der Textualitat zu untersuchen. (2) Die Textklassifikation gehort zu den Hauptfragen der Textlinguistik. Textsorten sind heterogene, prototypisch strukturierte Kategorien mit vagen Grenzen. Sie sind als kulturell gepragte Grossen zu verstehen. Damit wird die Welt in verschiedenen sozio-kulturellen Gemeinschaften unterschiedlich erfasst. (3) Die Textproduktion und -verarbeitung. (4) Anwendungebereiche der Textanalyse, vor allem im Unterricht der Mutter- und Fremdspra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