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경화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그 제도의 원리만 따져보았을 때는 매우 이상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그 이론이 현실을 구동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현실을 겉도는 또 다른 방향으로의 해석을 가능케 한다. 그래서 오적용의 실천적 사례를 양산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적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제7차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천에서 파생되는 문제저은 첫째, 대단원 체계의 적용에서 비롯되는 현상, 둘째, 수준별 학습 적용에서 비롯되는 현상, 셋째, 평가 학습에서 비롯되는 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적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교사는 국어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둘째,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지원부서'와 같은 기구를 만들어 상설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 수준별 학습 방안을 비롯하여 다양한 보충 자료와 심화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제7차 국어교육과정과 교과서와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대폭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심화 보충 교육과정의 이해에 대한 학부모 연수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국어과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자체가 의도한 바가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되어 단위 교수 학습의 장에서 제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하여 교사가 충분히 이해하여 이를 교수 학습에서 제대로 실천할 수 있어야 교육과정이 제대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eventh national Korean curriculum is very ideal in principles. But if the theory cannot reflect or influence the reality there is a possibility of miniterpretation which is directed to the wrong direction that is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it will produce many cases of misapplication in actual teaching. This thesis focused on finding the problems that can be caused while practicing the seventh national Korean curriculum and suggested improments. The problems which can be produced in practicing the seventh national Korean curriculum are originated in many areas such as application of the great unit system level instruction and the assessment of learning. The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bellows. First, the teacher must have the ability to reconstruct the national Korean textbook. Second, permanent service branch office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pplication of national Korean curriculum. Third, Various supplementary and deeping materials including Instruction textbook for the teachers and level instruction method should be offered. Forth, teacher training program about the seventh national Korean curriculum, textbook, and the level instruction should be widely operated. Fifth, we should develop training textbook for the parents to help to underst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order to settle down the national Korean curriculum into the classroom properly the curriculum should be so constructed as it is possible what the curriculum itself intended can be melt down into the textbook actualized in real teaching process. And it is also essential that the teachers fully understand these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 and can practice them properly in the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육의 철학과 정책

        민현식 ( Hyunsik Mi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2

        국어교육철학은 국어교육의 여러 문제를 언어교육철학의 관점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여러 쟁점을 다룬다. 국어의 기본 문제에서는 국어관, 국어 위상론, 남북언어 통일관, 국어 정체성관이 쟁점이다. 국어교육 문제로는 국어교과의 성격론,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론,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론,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발달론이 쟁점이다. 국어철학 차원에서는 학습자의 세계관 형성을 위한 문제, 국가와 민족의 문제가 쟁점이다. 사회, 도덕과는 초등학교부터 통일교육을 하고 국제화 시대를 다루는데 국어과는 통일교육이나 국어 위상교육이 중학교부터 하여 늦으므로 초등학교부터 시작해야 한다. 국어교육정책도 국어교육학의 하위학문으로 여러 쟁점이 있다. 대체로 언어정책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며, 국어 교과서 정책, 입시정책 등에 영향을 끼치며 국어정책과도 밀접하다. 국어정책의 쟁점으로는 통합의 언어정책, 남북언어통일 대비정책, 세계표준국어문법 수립, 4대 표기법의 실용화, 한국어 정보화와 세종 2단계 말뭉치 구축과 국어사전 신정책 수립, 신문맹 퇴치의 국어능력 증진 정책이 필요하다. 한글전용과 별도로 체계적 초등학교 한자교육도 필요하다. 한국어는 인구 자본, 정치 자본, 경제 자본, 문화 자본이 풍부하여 언어 활력이 매우 높다. 국어교육철학의 이론적 기초가 튼튼하면 좋은 국어교육정책도 나오고 효과도 크므로 두 분야는 긴밀히 심화 연구되어야 한다. Philosoph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is a research area that investigates various issues of KLE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al philosophy. Th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KL) are values, status, language unification, and identity of KL. Several teaching issues of KL are the features and domains of the subject and curriculum of KL and contents structures and teaching orders in the curriculum. KLE should attach great importance to learners` development of world view through KL text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cludes the issues of KLE and Korean language policy which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policy of textbooks and entrance examination. We need to establish the communicative integration of KL, as well as to prepare for the language unification, to build grammar standardization, to revise orthographies, to compile a mega-corpus, and to improve the literacy of KL. Systematic Hanja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is also necessary aside from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Korea has high linguistic vitality in terms of demographic capital, politic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 strong theoretical foundation of philosophy of KLE produces good KLE policy that will make an effective influence on KLE.

      • KCI등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태도' -'태도'가 국어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띠는 관점 확충하기-

        박인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0 No.-

        The content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as revised in 2009is set into three areas of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The attitud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as 1) attitude education separated from knowledge and functions 2) attitude education fused with knowledge and functions 3) attitude education in meta-cognitive dimension on knowledge and func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primarily teach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and try to cultivate attitudes to learn Korean language phenomenon based on this. And the education to raise the awareness about Korean language should be eventually done. The attitude could be the inner mechanism to lead the learn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The attitude factors always intervene and act in the aspects of cognitive development, definition development and sociality development when we recognize and learn a language. Especially, the attitud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se the language recognition is combined with some consciousness-raising proc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ttitude education to the more in-depth level by confusion with neighboring disciplines. For example, it can explain the various phenomena that “defense mechanism” of motivational psychology is shown in the linguistic aspects. And it also can create a program which “language development” and “positive attitude” are highly connected in. It is difficult to get help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we try to understand “attitude” by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too much. “Theoretical orient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olars have is a kind of “attitude”, which is “attitude to pursue the worth of value.” This attitude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cholars. 2009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내용 영역을 지식, 기능, 태도의 세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국어교육에서 태도 교육은 1) 지식 ․ 기능과 분리되는태도교육 2) 지식 ․ 기능에 융합되는 태도교육 3) 지식 ․ 기능에 대한 메타인지 차원의 태도교육 등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국어현상에 대한 태도를 가지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현상을 학습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궁극에는 국어에 대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태도는 국어 지식이나 국어 기능을배우는 방향을 이끌어가는 내적 기제가 되기도 한다. 언어를 인식하고 습득할 때 인지 발달의 측면, 정의 발달의 측면, 사회성 발달의 측면에 태도 요인은 늘 개입하고작용한다. 특히 언어 인식이 어떤 의식화 과정과 결부될 때 태도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국어과 교육은 인접 학문들과 융합하여 태도 교육의 내용을 더 심도 있게 개발할수 있다. 예컨대 동기 심리학의 ‘방어기제’가 언어적 양태로 발화되는 다양한 현상을설명할 수 있다. 또 ‘언어발달’과 ‘긍정의 태도’가 상관성 높게 연결되는 프로그램을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태도’를 지나치게 발달 심리학의 내용으로만 이해하려 하면,국어교육학의 발전에 도움을 얻기 어렵다. 국어교육학자들이 지니는 ‘이론적 지향’은 ‘태도’의 일종이다. 이는 ‘가치의 가치를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지금의 국어교육학자들에게 특히 필요하다.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국민학생의 독서 실태 연구

        최현섭,김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8 No.-

        요약敎育大學 敎授學習의 改善硏究는 83년에 서울교육대학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84년부터 각 교육대학이 한 敎科씩 맡아 보다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국어교육과는 서울교대 주관하에 「敎育大學 敎授學習方法의 改善硏究-國語敎育-」이란 題號로 4집(86년)까지 간행되었다. 5·6·7집은 「國語科敎育硏究」란 제호로 春川敎育大學에서 간행되었다.그러나 90년부터 연구비 지원이 敎育部에서 學術振興財團으로 이관되면서 연구비 지원이 끊기자 중단되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敎育大學 存立과 미래의 位相이 初等敎科敎育硏究에 있음을 뼈저리게 재인식하여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우리 大學이 간사대학으로서 국어교육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국어교육과 전교수님들이 1년에 한 차례 연구발표회와 협의회를 가지고 연구비 지원 없어도 스스로 연구지를 발간하기로 뜻을 모아 주시고 회비 전액을 납부하여 주시니 함이 솟지 않을 수 없었다. 92년 7월 8일 우리 大學에서 31명의 국어과교수님들이 참여하여 연구발표 및 협의회를 갖고, 한국초등국어교육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초등국어교육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잇는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敎大附國을 비롯하여 전국 국민학교에서 현장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전국 각 支會를 결성함으로써 大學과 현장연구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되었다.게재원고난으로 2년간의 진통 끝에 「한국초등국어교육」 8집을 내놓게 되니 기쁨 이루 말할 수 없다. 앞으로는 초등교사들의 알차고 우수한 현장연구로 학회지가 채워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초등교과 교육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시고 만날 때마다 격려와 지원을 쏟아 주신 본 대학 康文柱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회비를 전액 납부해 주시고 서툰 저에게 격려와 협조를 해주신 국어교육과 모든 교수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특히 더위에 편찮으시면서도 玉稿를 보내주신 최현섭교수님께 고마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김창원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본고는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필요한 전제 조건들을 탐색하고, 그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여덟 가지 논제를 설정하고 그에 관한 연구자의 견해를 밝혔다. 1. 국어 능력과 창의성은 어떤 관계인가? 2. '국어적 창의성'이란 무엇이며, 그 개념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끌어들일 수 있나? 3. 학생들의 국어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어떠한 모델을 상정할 수 있나? 4. 국어적 창의성은 국어 활동의 어떤 영역에서, 어떻게 발현되나? 5. 교육과정 구성에 창의성을 어떤 방식으로 반영해야 하나? 6. 창의성 교육을 논의할 때에는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나? 7. 7차 교육과정은 창의성은 어떻게 다루었나? 8. 창의성 계발을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연구 결과 국어적 창의성과 창의성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념을 재점검하고, 국어교육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관한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원론 수준에서 논의되던 창의성 관련 논의가 한 단계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I discussed on directions and criteria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orean language teaching(KLT). For these purpose, I have suggested 8 topics relating to KLT, creativity, and curriculum development. i.e.: 1.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ental creativity. 2. Concept of linguistic creativity within Korean language use. 3. Ideal models of linguistic creativity in KLT. 4. Operating mechanism of linguistic creativity in KLT. 5. Methods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LT. 6. Discussive topics of creativity education and KLT. 7. Relationship between the 7th curriculum of KLT and creativity education. 8. Directions and criteria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LT.

      • KCI등재

        특집 :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연구와 실제 -학술지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국어교육의 연구 대상은 `국어`와 관련된 내용에 관한 영역과 `교육`과 관련된 방법에 관한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이 분야에 대한 최근 학문적 동향을 살피기 위해 유력한 두 학술지인 『국어교육』(한국어교육학회 발행)과 『국어교육학연구』(국어교육학회 발행)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과 분포를 살피기로 한다. 최근 3년간 발행된 학술지에 수록된 기획 논문은 최근 국어교육학계의 공적 담론의 위상을 보여 준다. 『국어교육』(2009~2012년, 129~137호)에서는 국어교육의 대내외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현황을 반영하듯이 국어교육의 대외적 위상을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국어교육의 내적 정합성을 위한 국어과 평가 이론의 정립을 2호에 걸쳐 특집으로 다루고 있다. 『국어교육학연구』(2010~2012년, 39~43호)에는 국어교육의 세부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바, 전자 문식성과 어휘, 교육 내용 위계화 등 국어교육의 학문적 주된 관심사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두 학술지 모두 `교과서`를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2011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두 학술지에 수록된 개별 논문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인 논문은 모두 197편인 바, 이중에서 내용 영역이 `국어`에 해당한 편수는 모두 120편으로 전체의 61%에 해당한다. 방법 영역인 `교육`에 해당하는 편수는 71편으로 전체의 38%에 해당한다. 국어교육학이 전통적으로 국어교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관계로 내용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에 원인이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국어교육학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방법 영역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과제는 내용 영역에 해당하는 `국어` 분야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방법 영역에 해당하는 `교육` 분야에 대한 국어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육` 영역의 게재 논문 현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교과 외적 요구에 의해 국어교육학의 연구 동향이 쉽게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도 앞으로의 . The subjects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e as follows. One is an area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he other is an area of method of the education. I will examine those two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ecause of the academic trends. One is KLE(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in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http://www.koredu.org), the other is KLER(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in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e interests of two journals are as follows. KLE is focused on the external phase to check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LER is focused on the inner area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task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the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it needs the approach of Korean language for the method of the education. Third, it should not be changed easily by external demand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