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한혜민,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evious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nd topic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rown(2007) mentioned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v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is known that the language anxiet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bout 705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s as well as dissertation.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66 studies after reviewing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pics. The types are sorted by year,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and research target. The topics are categorized as language 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language anxiety, and ot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istribute to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에 대해 다룬 논문을 살펴, 외국어 불안감 연구의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Brown(2007)이 밝힌 바와 같이 불안감은 제2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하나이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을 연구 주제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고,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불안감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66편을 살펴 연도별, 유형별, 연구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중 주제별 분석은 언어 기능별 외국어 불안 연구와 외국어 불안과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 (제2)외국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프랑스의 외국어교육 정책 및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with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elaborating som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make up for the problems identified. For this purpose, we initially briefly identify the biggest problems currently faced by Kore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ext, we review and analyse France'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which have been the most actively implemented policies, promoting acceptance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findings which have implications on formulating a new framework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hat Korean policy makers should expand their view of the future to create effective policies, rather than having a short-term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다원화 되고 있는 세계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공교육에서 추구해야할 목표가 무엇인가를 성찰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우리 공교육에서 제2외국어교육의 역할과 위상, 현재 대면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는 제2외국어 교과 존폐 문제와 관련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제2외국어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최근 10여년에 걸쳐 완성된 초등, 중등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영어 이외의 다양한 외국어교육 강화’를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프랑스의 외국어교육 정책을 검토·분석하여 영어 일변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 외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 시사점을 바탕으로 마지막으로 우리 교육 상황과 문화를 고려하여 21세기 인재양성에 기반이 될 외국어교육을 구상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원격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제2외국어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이준 ( June Lee ),윤서영 ( Seo Young Y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0 외국어교육연구 Vol.24 No.1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제2외국어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이 확보될 수 있는 교과운영을 권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학교 시설, 교원 확충 등의 문제로 인해 실 행되지 못하고 있다. 제2외국어는 대입수학능력시험에서 매년 8만명 내외의 학생들이 응시하는 주요 선택교과이다. 최근 7차 교육과정이 부분 개정되었으나 여전히 학생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제2외국어과목이 아닌 학교에서 개설 가능한 과목만을 수강하고 있으 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 학교 제2외국어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해 주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서 원격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제2외국어교육 본혠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공교육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원 격교육 사례를 분석한 뒤, 고등학교 제2외국어교육과 관련하여 수행되었던 선행연구들 을 원격교육 관련 문헌들을 포함하여 검토한 다음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 로, 고등학교에서 원격교육을 통해 제2외국어교육이 실질적으로 가능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초중등교육법 체계 안에서 고등학교 제2외 국어교육에 원격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 운영 방안으로서 방송통신고등학교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내실 있는 원격교육에 필요한 온라인 튜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2009년 이후 예비교원의 교원자격증 취득에 필수요건인 교육봉사활동을 활용하는 방안, 원격교육에 필요한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ncourages curriculum management that allows high school students to choose from a number of foreign language courses. However, such choices are not readily available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faculty members, etc, although foreign languag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ocal elective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which more than 80,000 students choose to take every yea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partially revised recently, but students are still not given the choice to take the foreign language courses of their choice. Even though the students` choices are limited to the subjects that their schools offer, there has been a lack of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efforts in finding solutions to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lutions in ensuring students with the freedom to select foreign language courses through online learn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igh school foreign language courses are examined, and previous case studies of online learning in public schools, both national and abroad, are examined. Then previous studie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online learning are examined to look for implications. Based on the implications, suggestions on substantializing onlin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 made as follows: 1) using the onlin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Korean National Open University for foreign language courses within the boundaries of educational policies; 2) utilizing educational social service that is a prerequisite for teacher certification after 2009 to procure high quality online tutors; and 3)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online learning.

      • KCI등재

        러시아 중등 한국어교육과정 분석과 과제 탐색

        김호정 ( Kim Hojung ),골로바노브키릴 ( Golovanov Kirill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러시아 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설계의 제도적이고 정치적인 상황·맥락을 살피고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과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헌법, 교육법, 언어법, 연방국가교육기준, 외국어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연구 보고서, 논저 등의 문헌을 검토하고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러시아에서는 ‘다원주의’를 외국어교육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외국어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이 미진하고 교사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다원주의’ 가치 실현을 어렵게 하는 상황적 요인이 존재한다. 러시아 외국어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에서는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 학습자의 자아실현 및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설정하며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의 A1+∼B1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0년 중학교 연방국가교육기준이 개정되면서 중학교 정규과목에 제2외국어가 추가되었고,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제2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의사소통능력 즉, 담화능력, 언어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보상전략 능력의 발전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0∼350시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A1+ 수준 도달을 목표로 5∼9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의사소통 활동 과제, 언어 지식 등의 교육 내용 체계와 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과정이 러시아 내 중등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고등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고등학교 간 연계를 위한 후속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교재-교수·학습-평가를 통한 환류 및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in Russia, and to discuss the follow-up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the Russian Constitution, Education Act, Language Act,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es are reviewed, and th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are analyzed while surveying four curriculum-related experts in Russia. In Russia, 'pluralism' is a great princip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value of 'pluralism', such a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and difficulties in supplying teachers.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ims to reach CEFR level A1+~B1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lf-actualization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s a communication tool. As the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0, a second foreign language was added to the regular middle school subject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discourse competence, language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trategic competence as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350 hours per year. To this end,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A1+ level,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elements such as topics, tasks, and language knowledge to be covered in grades 5-9 are presented in detai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of Russ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llow-up curriculum to link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eedback through curriculum-textbooks-teaching·learning-evaluation.

      • KCI등재후보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한국어 교원 양성 방안

        진정란 ( Chong Nan C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1 외국어교육연구 Vol.25 No.2

        본고는 국어기본법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 정이 각 영역별 교육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교육과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통합한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은 크게 이론 교육과 실제적인 교육 방법을 익히는 실습 교육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론 교육은 방대한 교육 양에 비해 교육 시간이 부족한 경향이 있어 학습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소화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반복학습과 학습자 수준에 맞는 개별학습이 가능한 교육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실습 교육은 한국어교육현장에 대한학습자들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인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그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외국어교육에서 선행 연구된 교사교육용 혼합교육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혼합 구성 방안을 설정하였고 이 혼합 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간과 비용을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blended learning for a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KF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s consists of 5 sub-courses by their contents, and those 5 can be divided two different areas that the one is for getting knowledge of language and the other is for practicum. But entirely online learning nor face-to-face learning doesn`t efficient enough for KFL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blended learning is a combination of online mode and face-to-face mode which has revealed that it increases learner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materials, also improves course quality, and reduces training time, etc. by other previous foreign researches. This paper concluded that a blended learning educational system that includes online education is a highly appropriate mode for the KFL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안정민,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in Central Asia and present the case of Korean language immersion camp for Koryeoin youths.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processes,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details of the camp program were discussed in detail. In addition, four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and measu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amp program: satisfacti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tion plan for setting goals after camp, and Korean identity efficacy. Students have generally been high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Korea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In this study, two suggestions were ad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eoin youths. The systematic pre-management and follow-up management should be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Koryeoin youth should be continued. 이 논문은 한국어 사용 기회가 거의 없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와 관련한 특징을 살피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8년에 진행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 캠프’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집중캠프의 목적과 목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행된 현지 인터뷰 및간담회의 과정과 내용, 참가자 정보, 캠프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네 가지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측정했는데, 만족도 조사와 한국어 성취도 평가, 캠프 이후에 자신의 목표를 세우도록 하는 액션 플랜 세우기, 한국어와한민족 정체성 효능감 평가가 그것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에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한국어 성취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진단 평가에 비해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향상시키고 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고국에 돌아가서도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액션 플랜 세우기의 과정과 결과도 보였다. 새롭게 시도된 고려인 청소년들의 한민족 정체성 효능감에 대한 평가 도구와 내용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두 가지의 제언을 덧붙였다.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의 전과 후에 체계적인 사전 관리과 사후 관리가 지속되어야 한다는것과 고려인 청소년의 학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교육도 계속해서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미얀마 현지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김낭예 ( Kim Nang-y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지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혁명 이후의 한국어교육에 대비하여 미얀마 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3, 4학년 학부과정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개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연방통합정부(국민 정부)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외국어대학교의 역할로서 언어 학습 외에 해당 국가의 문화, 역사, 문학, 경제, 사회, 교육 등 종합적인 교육이 가능한 국가학(한국학, 일본학, 영문학 등) 연구 분야의 확대를 필요로 한다. 혁명 후 교육에서는 연방통합정부 체제에 알맞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이전에 규정된 한국어 전공 3, 4학년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시민불복종운동(CDM: Civil Disobedience Movement)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답변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전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살피고 개편에 요구되는 사항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혁명 후 교육을 받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 재건에 기여할 수 있는 개별 언어학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방통합정부의 교육 시스템에 적합하며 현재 교육이 단절된 미얀마 외국어대학의 한국어 전공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raw a plan to reform the curriculum for the 3rd and 4th year undergraduate course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Myanmar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in order to prepa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revolution period in Myanmar. In the future edu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Unity Government (federal government), the role of foreign language universities are to provide comprehensive education such as culture, history, literature, economy, society, and language education to language studies such as Korean Studies, Japanese Studies, English Literature, etc. In post-revolutionary education, a new curriculum will be suitable for the federal government system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the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CDM), in order to reveal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iculum for 3rd and 4th year Korean major prescribed before 20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ponses, we observ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evious curriculum and propose three items required for reformation. First, curriculum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that receives education after the revolution education. Third, an individual linguistics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national reconstruction should be pre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uitable for the education system of the federal integration government in the future and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ajor at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where education is currently discontinued as usual, in Myanmar.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 다문화 내용 요소분석

        이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이 논문은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 안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지난 2012년 첫 도입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실렸으며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부분에는 다문화와 관련된 문화 내용과 문화교육을 통하여 다문화 이해능력을 향상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새롭게 출간된 표준한국어 교재의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바가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피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분석을 통한 개정방안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 요소의 분석틀(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을 활용했다. 이 연구는 올해 출간되어 아직 한 번도 분석되지 않은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이전 표준한국어교재와 비교하여 다문화 내용 요소로 분석되는항목의 빈도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화 영역 마지막 부분이나 교사용 지도서를 통하여 문화 주제에 대한 수업이 끝나기 전에 마무리 활동으로 해당 주제와 연결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야기하는활동을 넣었다는 점에서 많은 발전이 이뤄졌다고 보인다. 하지만 문화를다루는 수준이 여전히 정보제공 수준에 머물고 있어서 앞으로도 계속 개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multiculturalism is covered in the revised standard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extbooks. Introduced in 2012, the KSL curriculum was integrated in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ater, its 2017 revision was officially announced. The culture section of the KSL curriculum aims to increase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cultural education. It’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examine how consistent with the goal the new standard KSL textbooks that are based on the 2017 revised KSL curriculum is. This study use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xamining multicultural elements (identity, diversity,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presented by a study entitled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vi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amining the revised standard KSL textbooks, which was published in 2019 and has never been analysed yet at the time of this research. The analysis found that a bigger part covers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revised KSL textbooks than its predecessor.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lso spotted in finishing the culture sections and teachers’-guide-led lectures on culture by talking about the cultures of relevant foreign countries. But their coverage of culture is still nothing more than informational, therefore it seems they need further and continuous revision to include more content that leads to positive values and attitudes.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어 말하기 능력에 관한 구인 정의

        김현정 ( Kim Hyu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과 말하기 능력의 구인이 외국어 능력 평가 분야에서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를 요약하여 현재 외국어 말하기 능력의 구인 설정의 배경을 살폈다. 우선, 말하기 능력의 구인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을 정의하는 이론들을 소개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을 정의하는 이론의 발달과 함께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외국어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외국어 능력 평가를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되었음을 보였다. 이어서, 외국어 말하기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평가의 두 가지 접근법을 소개함으로써 이 두 가지 접근법이 말하기 평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폈다. 끝으로 외국어 말하기 능력의 구인을 정의하고 이에 맞춰 평가하기 위해 향후 다루어야 할 주제를 소개했다. This article summarizes how language ability in general and speaking ability in particular have been defined over the years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assessment. It further describes how previous definitions have emerged and influenced the evolution of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The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theories of second language ability in general, which implicate the construct definitions of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It argues that the no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r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has greatly changed the view of language teaching/learning and testing. It then describes two approaches to performance assessment (construct-centered and task-centered approaches) focusing more on speaking ability, to demonstrate how these different approaches have influenced second language speaking assessment. Finally, the article discusses topics of future importance for defining and testing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