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창 판관대(判官垈)설화의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이학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2

        이 논문은 평창군에 전하는 <봉산서재와 판관대>설화를 분석해서 문화콘텐츠 발 굴 및 활성화방안을 찾고자 했다. 이를 통해 평창의 관광을 활성화 하고, 평창을 알 리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이야기의 중심어인 원형-개념어인 발상-확대어 인 연상-경영할동인 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신마인드맵에 따랐다. 먼저 <봉산서재와 판관대>설화의 원형과 구조에 따른 각 단락의 중심어를 찾았 다. 원형은 ‘아이 밴 장소’ 곧 ‘잉태지’를 원형으로 하였다. 단락별 중심어는 ①판관 대와 여행 ②주막의 역할과 사랑의 삼각관계 ③합궁의식 ④주모의 능력과 예언 ⑤ 선과 악의 대결 ⑥풍수를 추출했다. 다음으로 발상과 연상에 따른 이야기마케팅전략은 문화콘텐츠에서 추구하는 ‘문 화상품’과 ‘산업발전’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스토리텔링의 궁극적 목표인 이야기 마케팅을 접목시켜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 했다. 첫째는 ‘판관대 여행’과 ‘합궁의식’과 ‘풍수’을 연계한 장소마케팅 차원이었다. 따라서 그 원형이 잉태장소이기 때문에, 어린 율곡이라는 아이캐릭터 만들어 활용하 기, 판관대는 이원수와 신사임당이 합궁한 장소이므로 부부합궁여행지로서의 장소 여행, 그리고 태극이 들어간 풍수를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둘째는 ‘주막의 역할과 사랑의 삼각관계’, ‘주모의 능력과 예언’, ‘선과 악의 대결’을 연계한 이야기마케팅 차원이었다. 여기서 두 가지를 제안했는데, 하나는 여행지와 숙박시설을 놀이와 관 련해서 이야기마케팅으로 꾸미기이다. 또 하나는 공연콘텐츠를 활용한 이야기마케 팅으로 만들기이다. This paper discusses cultivating and proliferating cultural contents with the s tories about ‘Bongsan’ shrine and ‘Pangwandae.’ It purposes to advertise Pyeongchang with the cultural contensts and storytelling of them b as ed o n the s tories about ‘ Pangwandae.’ It f ollows new mind-map from keyword prototype, conceptural inspiration, expanded association and business marketing. It looks for the story prototype of “Bongsan shrine and ‘Pangwandae’ and the contextual keywords of the structure. Prototypes should be the place of conception. Structual keywords should be visiting Pangwandae, love a nd the pub, bridal c eremony, prophecy o f the pub hos t, f ight against evil and Feng-shui. Again, it focuses on the cultural merchandise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s for the marketing strategy of inspiration and association. It provides two ways of cultivation and proliferation of cultural contents connected with storytelling marketing. First, the place marketing connected with visit, bridal ceremony, and Feng-shui. Yulgok character industry with the prototype of conception place, destinations for couples with Pangwandae’s symbolic image for bridal place, and Feng-shui with ‘Great Absolute’ would be suggested. Second, story marketing with love and the pub-host, the prophecy of host, and fight against evil. Decorating destinations and accommodation with the story and public performance of the story could be proposed.

      • KCI등재

        이야기세계와 실제세계의 관계로 본 춘향전의 ‘성이성 모델설’

        이지영(Ji young Yi)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글은 춘향전이 실존인물을 모델로 하여 창작되었다는, 이른바 실존인물 모델설을 실제세계와 이야기세계의 관계양상으로 고찰하였다. 춘향전이 실존 인물의 이야기라는 주장은 19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이러한 주장은 춘향과 이도령이 실제세계에서 존재했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 성이성이 이도령의 실존인물이라는 주장은 1965년 성안의 선정비가 발견되면서 형성되었다. 성이성 모델설은 성이성의 부친이 남원부사라는 점, 성이성이 호남암행어사를 했다는 점과 함께 ‘금준미주시’를 성이성이 호남암행어사로 출두하였을 때 지었다는 성섭의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김동욱은 춘향전은 허구라는 점을 강조하며 성이성 모델설은 비판하였다. 1999년에 설성경은 성이성 모델설은 다시 주장하였는데, 이를 KBS 『역사스페설』에서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면서 확산되었다. 그러나 설성경의 성이성 모델설은 성이성과 이몽룡의 공통점만 부각시킨 것으로, 광한루가 객사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눈보라 치는 날 성이성이 광한루를 방문했다는 <호남암행록>의 기록에 지나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역사스페설』에서는 <호남암행록>과 『교와문고』 등의 문헌을 근거로 내세우면서 성이성 모델설을 주장하였는데, 이에 힘입어 성이성 모델설은 지역의 관광 마케팅에 이용되었고 위키백과 등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성이성의 실제모델설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이야기세계에 관심이 높은 경우 사람들은 실제세계에서 허구적 인물이 존재했다고 믿는 경향이 있는데, 춘향전의 실존인물설이 제기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성이성 모델설은 대중독자의 관심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문화마케팅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형성되었다. 더구나 오늘날 춘향전은 대중이 몰입할 수 있는 이야기세계가 아니다. 이런 점에서 고전 춘향전에 기대고 있는 성이성 모델설은 문화마케팅 콘텐츠로서 한계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sertion that Chunhyang-jeon was templatized upon real individuals and explores the interpla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story world. The assertion that Chunhyangjeon is grounded in the life of an actual person, also found in 19th-century records.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centers on the notion that both Chunhyang and Lee Doryeong existed in reality. This theory originated in 1965 with the discovery of a monument commemorating Seonganui. It is supported by three key elements: Seongyiseong’s father’s position as a Namwon magistrate, Seongyiseong’s covert role as a royal envoy in the Honam reg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poem “Good Wine in a Golden Drink Cup” attributed to Seongyiseong during his covert mission. However, Kim Dong-wook emphatically asserted that Chunhyangjeon is a work of fiction, disputing this assertion. In 1999, Seol Seong-kyung reasserted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which led to the production of a KBS documentary History Special. This gained momentum and was utilized by Bonghwa-gun for local tourism promotion. However, Seol Seong-gyeong only highlighted the parallels between Seongyiseong and Lee Mong-ryong, while overlook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Gwanghallu as a guest house and exaggerates the significance of Seongyiseong’s visit to Gwanghallu on a snowy day as depicted in “Honam Amhaengrok. The History Special partially endorsed Seol Seong-gyeong’s assertions, further exploring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by referencing documents such as “Honam Amhaengrok” and Kyowamungo. As a result,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is exploited in local tourism marketing. Notably, on platforms such as Wikipedia, it is gaining traction as an established narrative. When people are deeply immersed in a storyworld, they often believe that fictional characters exist beyond the confines of the storyworld. The notion that Chunhyang and Lee Doryeong were real figures aims to connect this storyworld to actual world.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did not emerge from the voluntary immersion of the masses; rather, it was strategically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Furthermore, Chunhyangjeon no longer captivates contemporary audiences. In this regard,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stemming from the traditional Chunhyangjeon, demonstrates limitations as cultural marketing content.

      • KCI등재

        “프루스트의 마들렌”(Madeleine de Proust)과 감성마케팅의 관계 고찰

        류재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용봉인문논총 Vol.- No.62

        본 연구는 “프루스트의 마들렌”(Madeleine de Proust) 현상과 감성마케팅의 관계 분석을 통해 “프루스트의 마들렌”이 무엇인지 그리고 제품에담긴 이야기와 감성이 “프루스트의 마들렌”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Ⅰ장에서 “프루스트의 마들렌”이 홍차에 적신 마들렌(madeleine) 과자처럼 맛이나 냄새, 감각과 같은 일상적 요소들로 추억의 심연에서 평소 잊고 지냈던 기억을 돌발적으로 떠올리게 하거나 회상의 감각을 작동시키는 ‘닻’으로 작용하는 현상임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평범한 일상의오브제 즉 하찮은 “질료적 대상”(objet matériel)이 망각 속에 잠겨 있던인간의 기억을 감성적으로 길어 올리며 그의 기억의 퍼즐을 완성하도록 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Ⅱ장에서 20세기의 위대한 프랑스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속에서 “프루스트의 마들렌” 현상으로 소환되는 기억은 “자발적 기억”(mémoire volontaire) 보다는 “비자발적인 기억”(mémoire involontaire)임을 확인했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정박 효과”로서의 “프루스트의 마들렌” 현상과 감성마케팅의 관계를 분석했다. 브랜드의 감성마케팅은 잠재적 소비자의 “비자발적 기억”을 일깨우기 위해 정박 효과인 “프루스트의 마들렌” 현상을자주 활용하여 브랜드와 잠재적 소비자 사이의 강한 감성적 연결고리의효과를 만들어냄을 분석했다. “정박 효과”로서의 “프루스트의 마들렌”을활용하고 있는 감성마케팅 사례로 “어린 시절”(누텔라(Nutella)의 <누텔라크리스마스 마을>과 라탐 항공(Latam Airlines)의 <크리스마스 비행>)과“가족”(에데카(Edeka)의 <귀향>), “사랑과 우정”(밀카(Milka)의 <마지막조각>)과 관련된 광고 네 편을 분석했다. 이 네 가지 광고의 분석을 통해정박 효과로서의 “프루스트의 마들렌”을 활용하는 감성마케팅은 제품 소비자의 내부에 잠들어 있던 기억과 추억(특히 어린 시절과 가족, 사랑과우정 관련 기억과 추억)을 비자발적으로 소환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through his "King Dongmyeong" and its preface. He recorded the purpose and method of his writing "King Dongmyeong." And actually he story-told his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King Dongmyeong" h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irst, he used the story of "Yeohang" and "Old History of Three Countries" as his one source. Second, the trend of contemporary was fantasy worlds. Third, readers of public wanted for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to be descended unchanged. Forth, he used an epic as a media. Fifth, he made it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in "King Dongmyeong" by his epic. He separated meaning form words. The saint in the preface is to meaning, fantastic ghost is to words. He used fantastic motif, which was the trend of contemporary, as words to express the meaning. He accepted the fantastic motif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fantastic novel through the media of epic for story-telling. Further, he satisfied the readers by proving the fantastic motif. His work touched and moved the readers. He succeeded in making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the ultimate purpose of story-telling. 이글은 <동명왕편>과 그 병서를 중심으로 이규보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서사시 <동명왕편>을 쓰면서 그 병서를 통해서 목적과 방법 등에 관해 기록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동명왕편>을 스토리텔링 했다. 이에 <동명왕편>병서에는 스토리텔링의 전반적인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첫째, 원소스는 여항의 이야기와 『구삼국사』의 내용으로 하였다. 둘째, 당시의 트렌드는 환상세계에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문학(傳奇文學)의 유행과도 무관하지 않다. 셋째, 독자 또는 대중의 욕구는 동명왕의 이야기를 있는 사실 그대로 기록해서 전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넷째, 매체는 서사시를 사용했다. 다섯째, 이야기마케팅은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다음은 이규보가 서사시를 통해서 <동명왕편>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뜻’과 ‘말’을 구분하여 작품을 썼다. 병서에서 말한 성신(聖神)은 뜻에 해당하고 환귀(幻鬼)는 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말은 당대의 트렌드로 쓰였던 환상모티프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스토리텔링 매체가 서사시였고, 전기소설 등에서 활용되던 환상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했으며, 오히려 환상모티프를 증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런 이규보의 작업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야기마케팅으로 우리나라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바를 이루었다.

      • KCI등재

        평창 판관대(判官垈)이야기의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이학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東方學 Vol.0 No.42

        This paper discusses cultivating and proliferating cultural contents with the stories about ‘Bongsan’ shrine and ‘Pangwandae.’ It purposes to advertise Pyeongchang with the cultural contensts and storytelling of them based on the stories about ‘Pangwandae.’ It follows new mind-map from keyword prototype, conceptural inspiration, expanded association and business marketing. It looks for the story prototype of “Bongsan shrine and ‘Pangwandae’ and the contextual keywords of the structure. Prototypes should be the place of conception. Structual keywords should be visiting Pangwandae, love and the pub, bridal ceremony, prophecy of the pub host, fight against evil and Feng-shui. Again, it focuses on the cultural merchandise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s for the marketing strategy of inspiration and association. It provides two ways of cultivation and proliferation of cultural contents connected with storytelling marketing. First, the place marketing connected with visit, bridal ceremony, and Feng-shui. Yulgok character industry with the prototype of conception place, destinations for couples with Pangwandae’s symbolic image for bridal place, and Feng-shui with ‘Great Absolute’ would be suggested. Second, story marketing with love and the pub-host, the prophecy of host, and fight against evil. Decorating destinations and accommodation with the story and public performance of the story could be proposed.

      • KCI등재

        춘천지역의 대중가요를 통해 본 노랫말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의 상관성 -스토리가 있는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 창출-

        이학주(Lee, Hak-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7

        본고의 목적은 특정 장소를 대상으로 써진 춘천지역의 노랫말 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의 상관성을 추출해 보는데 있었다. 이에 두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 춘천지역 대중가요의 노랫말에 등장하는 장소성과 노랫말쓰기이다. 대중가요는 지역의 이미지메이커와 무형문화 브랜드로 작용한다. 이에 장소와 노랫말이 관광과 관련을 가진다는 전제로 논의 하였다. 노랫말이 써진 장소와 노랫말에 담긴 내용은 그 장소를 찾은 관광객에게 새로운 느낌을 불러낼 수 있다. 이 느낌을 본고에서는 작사가의 감성과 관광객의 공감으로 나누었다. 작사가는 해당 장소에 자신의 관점을 투영하여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그 이미지를 작품으로 형상화 한다. 관광객들은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가면 장소가 주는 느낌과 노랫말의 내용을 대응시켜 감상 한다. 이때 작가의 개인 감성이 대중적인 공감으로 작용한다. 둘째, 춘천지역 대중가요의 노랫말과 관련한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창출이다. 관광객이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갔을 때 느낄 수 있는 감성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고찰했다. 대중가요인 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재현성(再現性)이 높다는 데서 착안했다. 관광객이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갔을 때, 노랫말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환상과 신비감을 갖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 방법은 노랫말의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관계를 살려 이야기마케팅을 하자고 했다. This 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ultural contents and the poem of local public song of Chuncheon. First, it studies the poem and the locality. A popular song is an image maker and intangible cultural brand of local area. It studies assuming that the poem of a song is related with the place. The place in a poem and the context in the poem should wake up new feelings in tourists of the place. It deals with the sensibility of the poet and the sympathy of tourists. The poet visualizes the image he gets in his view about the place. Tourists appreciate the feeling of the place and the context of poem visiting the destination about which the poem was written. Each personal feeling makes up public sympathy. Second, it studies the visit of the place and the creation of emotional mood. It studies the way to create the emotional mood visiting the place with a poem. It assumes that a public song has a high reproductivity. Visitors should have the feeling of mystic wonders. Story marketing makes it possible coordinating the poem and the context.

      • KCI등재후보

        공동마케팅에서의 브랜드 희석효과 연구 -제휴카드를 중심으로-

        성영신,임성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ly, examine how the negative information of the partner brand that has not been managed in detail in a membership card situation, affects the leading brand, secondly, evaluate which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negativ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sic attribute o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ipheral attribute, affects the membership card situation more greatly, and thirdly, examine the controllability of regulating effect of the negative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 of the partner brand from the negative information. Looking at the study results, the leading brand’s attitude has been changed more negatively by the partner brand’s negativ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fter studying the affect of the changes in the attitude of the leading brand by dividing the partner brand’s negative information into two different types, the leading brand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by the basic attribute than the peripheral attribute. Also, after studying the controllability of regulating effect of the leading brand’s negative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leading brand’s attitude by the type of the partner brand’s negative information, there were two different cases. One, the leading brand stop cooperating with the partner brand and two, the leading brand carrying on cooperating with the partner brand. In the case of one, where the leading brand decides to stop cooperating with the partner brand, the basic attribute affects more negatively and in the case of two, where the leading brand decides that they cannot stop cooperating with the partner brand, there is a small influence on the leading brand no matter the type of the negative information. 본 연구는 첫째, 지금까지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은 제휴카드 상황에서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가 주도 브랜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둘째, 부정적 정보의 유형으로서 기본 속성 정보와 부가 속성 정보 중 어떠한 부정적 정보가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부정적 정보가 파트너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정적 정보에 대한 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는 주도 브랜드의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본 속성 부정적 정보가 부가 속성 부정적 정보보다 주도 브랜드를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도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정보에 대한 통제력의 조절효과의 결과로서, 주도 브랜드가 파트너 브랜드와의 제휴를 중단할 수 있다고 지각한 경우에는, 기본 속성 부정적 정보가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도 브랜드가 파트너 브랜드와의 제휴를 중단할 수 없다고 지각한 경우에는, 기본 속성 부정적 정보와 부가 속성 부정적 정보에 상관없이 모두 주도 브랜드에 대한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려는 목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제휴를 하는 제휴 카드 상황에서도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장소 마케팅 과정에 기여하는 설화의 효용

        황윤정(Yun Jeong Hwang),김종철(Jong Cheol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6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utility when fables and festivals-which are thought to be different in kind- meet, since there are a considerable amount of festivals which are based on fables. Three types of frameworks which are storiness, realismness, and variability were organized by theoretically approaching to how fable contributes to place marketing strategy. Following this framework we analyzed the place marketing process of “Iksan Seodong Festival”. After comparing the Seodong Fable and the Festival, this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fables provide festivals intrinsic places to hold festivals through the backgrounds in the stories, gives the contents of experience programs through the characters and affairs in the stories, and supplies grounds to change the festival in an attractive image through the variability of fables. In other words, the general feature of fables contribute in the process of festival marketing. Through this, it is shown how the common area of the two areas that was thought to be different in kind contributes in festivals through three kinds of utilities fables h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