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업만족 및 향후수강의도 여부의 관련요인으로서,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중요도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신일,이정연,김혜정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o provid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on-line classes in order for making e-learning fit well into teaching &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ies. For this, college students who have taken on-line classes were sampled, and their perception and efficacy of e-learning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satisfaction with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① A strong corelation were found in four factors of perception of e-learning, efficacy of e-learning, satisfaction of on-line courses,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②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were especially influenced by perception of e-learning in a positive way, ③ Students’ perception of e-lear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classified by the matrix of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가지는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이러닝의 수업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관심을 높이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러닝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이러닝에서의 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 이러닝에 대한 인식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대학에서 이러닝을 경험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 관점의 다양한 논의점을 전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향후 수강의도의 각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닝에 대한 인식은 수업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만족여부와 향후 수강의도여부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닝에 대한 인식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대학 이러닝 활성화에 대한 대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이러닝 종사자의 직무별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발 연구

        최미나 ( Mi Na Choi ),장은정 ( Eun 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이러닝 전문 인력의 수요 급증과 교육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이러닝 종사자 전체 직무에 따른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이러닝 기업의 임원진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FGI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의 정의 및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별 역량을 도출하였다. FGI는 15명, 설문조사는 174명이 참여하였고, 각 직무에 대한 역량모델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역량기반 교육체계는 역량의 유형에 따라 기본역량, 이러닝 소양역량, 일반역량, 핵심역량으로 구분하고, 숙련도에 따라 신입과 경력으로 구분하여 전체 교육체계도와 5개 직무에 대한 교육체계도를 제시 하였다. 이러닝에 대한 개념, 교수학습설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 사고력 등 이러닝 종사자가 갖추어야할 기본공통 교과 4개가 도출되었고, 이러닝 최신기술 및 동향, 세계진출 전략 등에 대한 이해, SCORM, 품질인증, 고용보험 환급규정, 표준화 등에 대한 지식, 프로젝트 관리,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기술 등 15개의 이러닝 소양역량 관련 교과가 도출되었다. 각 직무별로는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가 각 10개 교과,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11개교과,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 7개 교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 종사자 전체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마련하고, 국내 이러닝 산업 현장을 반영한 역량 중심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이러닝 전문 인력 양성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learning. We analyzed job competency of e-learning workers to meet demand and educational need of e-learning professional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GI and questionnaires targeting executives and workers in e-learning related companies, analyzed definition and job of e-learning consultant,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e-learning contents developer, e-learning system engineer, and e-learning service manager, and derived competency according to jobs. Also, we develop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deriving competency model according to each group of job. We divid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to basic competency, e-learning literacy, general competency,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types of competency and into the novice and the master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and then, suggested a holistic curriculum of 5 groups of job.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drew a systematic curriculum in the holistic viewpoint of entire workers in e-learning, developed a curriculum focusing on a competency that reflected a domestic field of e-learning industries, and suggested a practical way of fostering e-learning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이러닝(e-Learning)발전에 다른 애니메이션 활용 현황과 확장성 연구

        한대호(Dae-Ho Ha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7 애니메이션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이 이미 과거의 전통적인 기법이나 양상에서 벗어나 활용 목적과 매체에 따라 활용범위가 다양해지고 있고, 특히 교육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웹 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을 전달하고 수행하는 이러닝 (e-Learning)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이러닝 교육 분야 중에서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기업 이러닝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콘텐츠로서의 애니메이션 활용 현황과 특성을 알아보고, 이러닝의 발전에 따른 애니에이션의 확장성에 대해 논의하는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먼저 이러닝에 대한 개념과 특징, 그리고 이러닝 산업의 발달과 시장 동향에 대해 살펴본 후, 이러닝 콘텐츠에서 사용되고 있는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기업 이러닝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위 기관 3개를 선정하여 최근에 서비스 하고 있는 모든 온라인 과정들과 함께 애니메이션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 (Digital Convergence)와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등의 흐름 속에서 이러닝의 발전에 따라 애나메이션이 진화해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기업 이러닝 대부분의 콘텐츠에서 애니메이션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정된 상위 3개 기관에 대한 조사 결과, 최근 1년(2006년 4월 ~ 2007년 4월)동안 자체 과정으로 등록된 이러닝 콘텐츠를 살펴보면 크레듀 64개 과정, 사이버 MBA 41개 과정, 현대 Cy-Learn 15개로 총 120개 과정이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88개 과정 (73%)이 애니메이션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이 Flash를 이용하여 제작되어졌다.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Flash로 개발된 Vector화된 기법 외에도 컷 아웃 애니메이션, 실사와 애니메이션이 혼합된 기법, 클레이 애니메이션, 수채화나 유화 느낌의 애니메이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졌다. 또한 이러닝이 향후 U러닝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와 함께 변화되어야 할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 변화의 밑바탕에는 PC에서 서비스되는 이러닝 콘텐츠와 달리 U러닝의 콘텐츠는 소형화된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된다는 기술적 측면이 깔려있다. 그러므로 내용이나 용량에서 보다 소형화되어야 함은 물론 짧은 시간에 보다 효과적인 전달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닝 분야 중에서 애니메이션 분야에 한정하여 연구하고 있지만, 향후 내용적인 측면에서 교육공학적인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진다연 보다 가치 있는 논문으로 발전되리라 생각된다. 또한 빠르고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흐름릉 속에서 교육 콘텐츠로서의 애니메이션 측면 뿐 아니라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애니메이션 측 면도 함께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the background that, different from their traditional techniques and patterns, animations are being used in diverse ways in terms of purpose and medium and are particularly utilized intensively in the produc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recently they are applied variously in e-learning based on Web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Thus, focused on corporate e-learning, the most active part among e-learning education areas,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tions as education contents, and to discuss the expansibility of anima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As to research methodology. we first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the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industry and its market trends, and then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s used in e-lIearning contents and the latest online courses offered by three leading institutions in the corporate e-learning market as well as the use of animations in the courses. In addition, we discussed directions for the evolution of anima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in rapidly changing current trends such as digital conyergence and ubiquitous compu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of contents in corporate e-learning are being produced and utilized in the form of animation. We also discussed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u-learning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approached e-learning from the aspect of animation, but there should be synergy of restructuring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engineering in the future. What is more, in the current trend of rapidly diversified mobile technologies. we need to study animations not only as education contents but also as entertainment.

      • 이러닝 시스템품질과 협동학습이 이러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종기 한국전산회계학회 2016 電算會計硏究 Vol.14 No.2

        이러닝 기반 협동학습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지금까지 진행된 이러닝 협동학습 관련연구는,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설계, 학습모형 등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SNS 학습환경, 모바일 이러닝 시스템에서의 협동학습 연구가 약하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SNS의 일반화로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협동학습 연구 필요성 증대에 따라, PC 및 모바일의 학습경험과, 팀 프로젝트를 통한 협동학습 경험을 통한 이러닝 만족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변수는 시스템품질, 협동학습, 이러닝 만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 학습자들의 협동학습 참여정도 및 팀 프로젝트의 팀 응집도가 이러닝 만족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시스템 품질이 이러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명 되었다. 한편 시스템품질은 협동학습에 부의 영향을 미침으로서,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학습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이러닝에서 시스템품질과 협동학습이 강조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모바일 학습 환경을 포함한 시스템 품질과 이러닝 협동학습 증진을 위해, 교수자가 보다 정교한 교수설계와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이러닝 도입의 개인 수용ㆍ확산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직업훈련 인력양성 P대학 사례

        황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3

        This study purported to elicit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and diffusion and find relationships among them in the individual decision-making in the diffusion process of e-learning by analyzing user perception differences. It combined a model of five stages in the innovation-decision process and technical acceptance model to develop a model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large percentage of professors in the institution infrequently and tentatively uses e-learning tools and lack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vailable for effective e-learning. Recognition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system support, and subjective norms were recogniz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acceptan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improve recognition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it was recommended to share the methods and effects of successful e-learning initiatives in field while decreasing negative perceptions. Specifically, it is imperative to provide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y for major subjects. Considering e-learning efforts and regulations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this case have been skeptically regarded and that systemic support negatively affects individual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and integrated support system rather than to use fragmented and situationally fluctuating support strategy.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이러닝 도입은 다른 교육기관과 마찬가지로 교육 테크놀로지의 기술적 차원을 불균형적으로 부각시켜 도입을 하는 경우에 교육훈련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기대했던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교육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기관적, 사회적, 정책적, 개인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술적 도입 이후의 중요한 관심은 도입된 기술의 사용을 결정하는 사용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 개인적 차원의 수용과 확산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시도인 이러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확산과정에서 개인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수용ㆍ확산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실용적으로는 이러닝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 활용될 수 있게 하는 확산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Rogers의 의사결정 모델과 기술수용 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에서 이러닝 활용상황을 보면 높은 비율의 교수자가 상호작용이 포함되지 않는 자료정리 등의 기능을 시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이러닝 교수ㆍ학습방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요인으로는 이러닝 인지도, 환경 지원, 혁신 성향이 개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며 확산을 위한 전략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이러닝의 특성을 위주로 한 인지도 향상이었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의 각 분야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닝 방법론, 교수ㆍ학습방법, 효과 등을 공유하는 것, 그리고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환경 지원이 부(-)의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학법인의 이러닝 관련 노력과 규정들이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므로 현재의 환경 지원의 단편적이고 상황 변동적인 지원 전략을 수정하여 종합적이고 체제적인 지원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참여지속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노혜란 ( Hye Lan Roh ),최미나 ( Mi Na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특성 요인과 이러닝 효과 요인 중 학습자의 지속적인 이러닝 참여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서, 일반 대학 이러닝의 유지 및 확산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러닝의 참여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특성관련 요인 9개, 이러닝 효과 관련 요인 21개 총 30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북소재 S대학에 개설된 7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70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통해 경향을 분석하였고, 교차분석 및 t검정을 통해 각 변인들의 차이분석을 하였으며, 이러닝 참여지속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과 일반강의 학습효과 인식, 이러닝 선택 이유, 학년, 시스템의 안정성 등이 이러닝 참여지속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이러닝 선택 이유로서 자유로운 시간표 조정과 관계가 없을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닝이 일반강의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할수록,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 이러닝에서 참여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러닝의 효과 변인 보다 이러닝 수강과 관련된 학습자 특성 변인이며, 시간 편의성이라는 이러닝 장점만으로는 이러닝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학습자의 이러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university e-learning through exploring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intention to enroll e-learning course.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we analyzed advanced researches and we drew total 30 factors including 9 factor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21 factors of e-learning effectiveness. We conducted survey from students of 7 learning courses in S university in Chungbuk and collected data from 705 student. We analyzed the collecting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t analysis and found trend. Besides we assayed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variables by persistent intention of attending e-learning courses through crosstabs analysis and t-test. Furthermore,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s analysis to predict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participation in e-learning.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s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persistent participation were the recognition of learning effects between general courses and e-learning course,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grades and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in order of influence. To be specific, the less relating of adjusting the freely schedule as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and the order grades they tend not to participate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Also, the more students consider the e-learning is much effective compared to general courses, and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the probability of not attending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was decreased. In conclusion, the influential variable of persistent intention in university e-learning is much related to the variable in students` characteristics, not just only the variable in effects of e-learn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ropout of e-learning only with the advantage of e-learning which is time convenience.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 of e-learning.

      • KCI등재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개방형 포털 시스템을 사용한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

        이상엽(Sang-Yeob Lee),박성원(Seong-W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이러닝 인력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위한 강사와 학습자가 쉽고 편하게 강의 콘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오픈마켓 형태의 개방형 교육 포털 시스템을 구현하여, 새로운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의 제작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함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사스스로 이러닝 강의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이러닝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해본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과 인기 있는 기존의 시스템들의 유용성에 대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군고구마 시스템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업체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이 아닌 강사와 학생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그리고 이러닝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Despite steady economic growth of e-learning industry, manpower is lacking in e-learning industr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e-learning business model including open market portal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e existing e-learning business models required complicated procedure for creating contents. Therefore it took long time and great expense. Bu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business model with open market portal system, it can support to make easily for e-learning contents. We analysed usefulness our program and other popular programs with thirty lecturers. As a result of survey, usefulness of our system is presented. The study suggests differently the student-centered business model and the lecturer-centered business model than existing e-learning business model had the manufacturing company-centered business model and the services-centered business model. We anticipate the new business model invigorate the e-learning industry.

      • KCI등재

        이러닝 소비자의 학습태도가 이러닝 품질 지각과 이러닝 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원주,이성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2

        E-learning is a powerful tool that promotes lifelong learning for individuals, and using e- learning services is a valuable activity for self-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s it enhances and expands an individual's abilities and qualities for individual growth.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sumers'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on their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e-learning satisfaction, and e-learning reuse intenti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64 adults who had e-learning experience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conducted by a private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learning satisfaction, and e-learning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learning reuse intention. E-learning satisfaction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reuse intention. Secondly, consumers with higher levels of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s perceived the e-learning education qualities more highly. The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learning satisfaction. Thirdly, although consumers'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e-learning satisfaction, they had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reu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indirect and direct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on e-learning reuse intention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learning attitudes play a crucial role in the success of e-learning. To promote the success of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learning education and include services that support consumers' active learning attitudes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learning system. 이러닝은 개인이 평생교육을 지속하도록 촉진하는 강력한 수단이며 이러닝 서비스 이용은 개인의 능력과 자질을 고양하고 확장시켜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자기개발 및 인적자본 투자 활동으로서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과 학습태도가 이러닝 품질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닝 만족과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했다.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수집한 264명 표본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품질 지각은 이러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닝 만족은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닝 만족은 품질 지각과 재이용 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 수준이 높고 학습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이러닝이 제공하는 교육 품질을 높게 지각하였다. 이러닝 품질 지각은 소비자 특성과 이러닝 만족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과 학습태도는 이러닝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재이용 의도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대하여 학습태도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는 학습태도가 이러닝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이러닝의 성공을 도모하기 위해 이러닝 교육 품질의 제고에 주력할 뿐 아니라 학습에 임하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갖추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이러닝 시스템의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러닝 훈련의 현황과 과제: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권혁일,이지은,이현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As internet use is prevalent, demands for e-learning increase as well. E-learning is considered as a substitute or supplement of face-to-face training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man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use e-training for their employee training.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nning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which supports employees' training tuition when they complete certified e-training programs. Korean e-training support system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n e-training facilitator. However, concerns and demands for quality improvement of e-training have been growing as the trends of e-learning have changed recentl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current issues regarding Korean e-training focusing on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e-training support system is legally based on employment insurance law, employee job skill development law, and employer job skill development training support law. It is necessary for any accredited e-training organization who wants to get training subsidy from government to run e-learning training courses which are certified in advance. Therefore, the quality of e-training course is controlled by the e-training course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assessment criteria of e-training program accreditation,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quality e-training because it mostly requires minimum standards which do not fully reflect such recent trends of e-learning as micro-learning, gamification, just-in-time training and trainees' needs of e-training. Based on these analyses,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e-training accreditation system by reflecting training needs of industry and enriching multi-dimensionality, flexi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인터넷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러닝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닝은 직업훈련 분야에서도 면대면 훈련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체에서는 근로자 훈련에 이러닝을 도입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러닝 훈련(e-training) 활성화를 위하여 인정요건을 갖춘 이러닝 훈련과정을 수료한 훈련생의 훈련비를 지원해주는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운영해왔다. 정부의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이러닝 훈련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이러닝 트렌드의 변화로 인하여 이러닝 훈련의 질적 제고에 대한 우려와 요구도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러닝 훈련의 현황을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고용보험법, 근로자 직업능력개발법, 그리고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 등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훈련생이 훈련비 지원을 받기 위해 훈련기관은 사전 심사를 거쳐 적합한 이러닝 훈련과정으로 판정을 받은 과정을 운영해야한다. 훈련과정 심사 제도는 이러닝 훈련과정이 적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주로 최소기준을 제시하는데 그쳐 고품질의 이러닝 훈련과정 운영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마이크로러닝이나 게이미피케이션, 적시(just-in-time)훈련과 같은 이러닝 훈련의 최신 트렌드와 훈련생의 원격훈련에 대한 요구가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는 않다고 분석되었다. 이러닝 훈련 심사의 개선을 위해서는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기업현장의 훈련요구를 보다 충실히 수용하고, 심사의 다면성, 유연성,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러닝(e-Learning)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검토 :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김윤명 한국지식재산학회 2010 産業財産權 Vol.- No.31

        e-Learing is the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E-learning technologies and learning systems that combine information presented by the concept of e-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services, use made by means of learning activities. So far, e-learning is a kind of private education in terms of savings in progress if the education policy of universal education and the knowledge economy is now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e-Learning become an important element of e-learning contents and services produced in the most important legal issues that are copyright-related information. The current copyright law and the accepted e-learning is too restrictive side. e-Learning Industry Development Act has a provision on intellectual property, but the provision is only declarative that the rule is difficult to apply to e-learning contents. Although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e-Learning contents, e-Learning contents create business as the work by taking advantage of texts in the contents creation in order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to use. But it is not easy to receive permission to use, e-learning contents requires good timing is actually a legitimate license is often difficult. Therefore, through the maintenance of copyright in the creation of e-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done to realistically support system is necessary. Activation of such e-learning to the maintenance of copyright restric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such as fair use under copyright law revision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