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연구

        김현진,신은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3

        본 연구는 교육경력과 학력에 따른 현직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현장실습 유무와 학교에 따른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알아보고,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 간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현직 유아교사 380명과, 서울⋅경기지역 3년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재학생 중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한 368명의 예비 유아교사이다. 연구결과 현직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경력과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경력과 학력이 높은 교사집단일수록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다.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현장실습 유무와 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경험한 집단보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고,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집단이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집단보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예비 유아교사가 현직 유아교사 보다 높았다. 5개 하위영역별 차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제외한 4개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은 예비유아교사가 높았으나, 교사전문성에 대한 지식은 현직유아교사가 높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he teacher' degree and their number of year of teaching, to examin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eaching practice, and to compare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 level teacher' group of the teacher' degree and their number of year of teaching to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eaching practice t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inal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명숙(Jung My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부산 시내 공ㆍ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의 양상과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차이 및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념도와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은 자연, 생물, 나의 몸에 대한 지식이 많았고 도구와 기계, 무주와 환경, 음식에 대한 지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공립 유치원 교사, 만 33세 이상의 교사와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이 좀 더 확장되고 분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태도는 교사의 근무기관, 경력. 연령, 학력에 따라서 가치 인식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유치원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이 분화되고 복잡할수록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 정도도 높고 자신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 과정과 현직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강좌에서 유아 과학 교육 관련 교과의 확대 및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는 교수법의 도입과 교사 자신의 교재 연구 등을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지식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의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과학 활동의 보급 및 그에 대한 연수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own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tha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teachers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Bu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in public kindergarten, who were at the age of 33 and up and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had more extensive and detailed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better knowledgeable about nature, biology and the body, but had less knowledge on tools, machinery, the universe, the environment and food. Third, they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 towar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career, age and education. Fourth, those who had more detailed and complex knowledge were better aware of the worth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had more confidence in it. Therefore college curriculum and training courses geared toward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give more weight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 kind of teaching method that allows would-be and incumbent teachers to acquire systemized knowledge should be inttoduced. Teachers should direct their energy into class work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ir expertise in this field. And in order to stir up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they should keep posted about easily applicable academic activities and be urged to take training courses in this area.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경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1

        본 연구는 현대 유아과학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유아과학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유아과학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현대 유아과학교 육의 동향은 과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기본 이념으로서 의 과학적 소양, 과학교육의 효과적 메카니즘으로서의 STS교수전략, 과학교육의 전문성으 로서의 과학교수지식(PCK)을 들 수 있다. 현대과학교육의 동향에 비추어 볼 때 유아과학 교육의 문제점으로 유아 측면에서는 과정에 치중하는 과학교육, 발달에 맞지 않는 교육내 용 운영, 실험위주로 시범을 보여주는 과학교육을 지적할 수 있으며 교사 측면에서는 과 학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낮은 교수효능감, 내용지식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유아과학교육의 방향은 탐구중심의 교육목표, 유동적인 교육과정, 생활중심의 교육내용, 능동적인 학습과정, 통합적인 접근방식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과학교육을 위 한 내용체계의 구체화, 생활 속의 과학교육 실천, 교사의 과학적 자아 개발, 예비교사교육 의 체계화, 현직교사의 전문성 강화 지원 등의 과제가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조형숙,박혜훈,유효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requirements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discuss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analysis of Nuri curriculum and consultation with 2 professors and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 items of 16 questions related to awareness of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operating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and requirements of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09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u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using SPSS for Windows 10.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alization on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s to promote inquiring ability and curiosity. Second, teachers realized life theme of the Nuri curriculum such as ‘animals, plants and nature’, ‘spring, summer, fall, winter’ as subject of effective science activity. Third, teachers realized the best method of science education is to relate to life theme of the Nuri curriculum. Fourth, teachers realized storytelling is the best approach for relating science education to other areas. Finally, teachers preferred lectures and workshops as methods of science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분석하여 유아과학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인식과 요구 파악을 위해 관련문헌과 누리과정내용을 분석한 후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협의를 통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의 하위 내용은 누리과정 운영을위한 유아과학교육의 목적, 유아과학교육 내용, 학급 내 과학교육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유아과학교육 운영개선을 위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4개로 구분되어있으며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국ㆍ공립 유치원, 사립 유치원, 국ㆍ공립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9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0.1 Program을 활용하여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과학교육 목적으로 유아들의 호기심 및 탐구력 증진의 태도적인 측면에 큰 비중을 두고있었으며 둘째, 누리과정 생활주제 중 자연환경과 연관된 ‘동식물과 자연’, ‘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을 과학 활동에 용이한 주제로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과학교육방법의 가장 좋은형태가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교육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며 넷째, 과학교육과 타영역을 연계하는 가장 좋은 형태로 스토리텔링접근법을 선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과학교육 연수와 관련하여 체험 중심이 될 수 있는 강의 및 워크샵 형식을 선호하였다.

      • 현장 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내용교수지식(PCK) 및 과학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역량을 높이고자 현장 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적용한 후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내용교수지식(PCK) 및 과학 교수태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대학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0명으로, 실험집단 25명에게는 ‘현장 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5명에게는 ‘시연 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이론 수업의 기본과정은 동일하며, 수업시연 단계에서 두 집단 모두 모의수업의 형태로 1차 시연 후 피드백을 받은 후2차에서 실험집단은 유아대상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활동을 적용한 반면, 비교집단은 모의수업을 통해 2차 재시연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현정(1992)의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와 Cho(1997)의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태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두집단 간의 사전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수업진행 후 두 집단 간의 사후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연 중심 수업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들보다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전체 과학 내용교수지식과 하위요인 즉, 교육과정 지식, 학습자 지식, 교수·학습방법 지식, 교과내용 지식 및 교사전문성 지식 모두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학습방법 지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전체 과학 교수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과학 내용교수지식(PCK)과 과학 교수태도나 자신감 등을 높일수 있는 등 유아교육 양성기관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수방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며,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이 현장관찰에서 현장실습으로 이어지는 연계 과정에서 ‘현장 중심 유아과학교육 수업’ 등 같은 산·학협력과목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과학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Park,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과학수업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 총 41명이다. 융합인재소양 검사도구는 백윤수 등(2012)과 최유현 등(2012)이 개발한 융합인재소양 설문지이고,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는 Riggs와 Enochs(1990)이 개발한 STEBI를 조형숙(1998)이 번안, 수정한 검사도구이며, 과학수업역량 검사도구는 안부금(2017)의 과학수업역량 검사도구이다. 2019년 1학기(15주차)에 걸쳐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가 실시되었으며, 수집한 사전-사후검사 응답지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는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중 ‘융합’과 ‘창의력’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중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 중요도 인식의 하위요인인 ‘계획, 실행, 평가’의 중요성 인식 모두에 효과가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 수행능력 인식 중 ‘계획’에 대한 수행능력 인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literacy,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competen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TEAM literacy rating scales(Back et al, 2012; Choi et al, 2012), science teaching efficacy rating scales(Cho, 1998), and science teaching competency rating scales(Ann, 2017).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were done during first semester 2019.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test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a quantitative analysis were as follows. Above all,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were effectiv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vergence and creativity out of STEAM literacies. Next,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were effectiv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efficacy out of science teaching efficacies. Finally,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were effectiv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class plan, doing, evaluation competency among the importance awareness of science teaching competency. Also, STEAM-based inquiry oriented science method course were effectiv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class plan competency among the recognitions of performance of science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김남연,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6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grated Art with Science Educational program (hereafter, IASCE) which increases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nd exploring ability, and examines its effectivenes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ifty 5-year-old children were examined over 13 weeks from 7 April, 2011; twenty-five 5-year-old children from S kindergarten, D district in Seoul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five 5-year-old children from M kindergarten in the same district were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AS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exploration ability. Second, the IASC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ird, the IASCE influenced positively the increase of children’s creativity. This reflects that young children’s science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art is feasible to apply in real educational fields. It also suggests that the IASCE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cience-art integrat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및 창의성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만 5세 유아 25명으로 구성된 두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고 사전검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총 13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유치원 연간 교육 프로그램에 준한 단순 실험 및 관찰 중심의 과학활동을 실시하고 추후 검사를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의 효과

        김선구,이현정 영유아교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키며, 유아과학 교사교육의 교수방법 모색과 유아과학교육 강좌 운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과학교육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A시의 B대학 유아교육과에서 2011년 3월 2일부터 2011년 6월 17일까지, 1학기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3학년 전체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A반 26명을 실험집단으로, B반 30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사전검사로 과학적태도검사, 과학교수효능감검사를 실시하였고 15주 동안 실험집단은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실행하고 통제집단은 집단강의식 수업과 전통적 소집단 수업으로 실행 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lem-Based Learning (PBL)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iasses of preservice eariy childhood teachers, apply it practically and verify the effect thereof.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 held in the B university, same department, in the first semester of 2011.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6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of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 to be applied to PBL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hile Control group was subject to do lecture-based and typical small-group class activ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t-application effect of PBL, several tests including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carried out both in pre- and post-application of PBL,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WIN(10.0). The PBL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iasses of preservice eari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i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다래 ( Kim Da Rae ),정미라 ( Chung Mi R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현장관찰과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교육현장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여 1차 시안을 구성하였고, 교육현장에 시범 적용한 후 최종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타당성 검증을 위해 만 4세와 만 5세 학급의 유아 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실험 중심 과학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13주간의 실험처치를 실시한 후,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수학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o develop the program, based on the prior research analysis, the first draft proposal was formed by investigating the field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Afterwards, the first draft proposal was applied to education sites, and then the program was established with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s. In order to validate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to educational fields, 85 children from two classes for four-years-olds and five-years-olds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at was developed from this study,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provided with a large and small group discussion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13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field applications in this program. The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s, mathematical ability were tes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exerts positive effects to promote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s, mathematical abil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고선아,조형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교육목적은 주변세계에 호기심을 갖고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교육내용은 과학교육 내용의 3요소인 지식, 기술, 태도 측면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지식은 생명과학, 물리과학, 지구과학으로, 기술은 과학과정기술과 창의적 문제해결로, 태도는 호기심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탐색, 탐구, 의사소통의 3단계로 구성하였고, 탐색 단계는 자유놀이의 단계이며, 탐구 단계는 과학적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단계이며, 의사소통 단계는 과학탐구과정을 과학신문으로 표상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단계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정적용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으로 선정하고 처치하였다.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검사 도구들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유아과학교육의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