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병래,강정원,김진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1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plore, suggest and to lay out a frame for the standard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in pre-service institutes. The following points a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virtues do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 How are the virtues accomplished by pre-service education of the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system of curriculia is run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how will the standard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 organized?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n efficient and substantial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curriculum must encourage and nurture the character, beliefs, and dispos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re-service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children. Fourth, the curriculum must be incorporated with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the n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 예비교사교육과정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들은 어떤 것을 영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직교사들은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그러한 덕목들이 어느 정도 다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영유아양성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교사양성을 기본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첫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정을 보다 충실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사로서의 인간적 자질과 교직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소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충실하게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대상영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충실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넷째, 영유아교사양성 기본교육과정을 국가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모색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UNICEF 아동권리보호 최소기준에 비추어본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의 위치와 과제

        나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본 논문은 유니세프가 국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제시한 10개의 아동권리보호 최소기준 지표를 준거로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을 진단해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먼저 유니세프 지표의 공신력을 확인한 뒤에 진단해 본 우리나라의 영유아교육보육은, 불리한 아동 우선지원, 3세미만 25% 보육서비스 지원, 교직원의 사전훈련과 학력 및 자격증 소지, 빈곤 아동비율 10%미만, 2가지 이상 아동 건강지원 등의 6개 지표는 최소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육아휴직 1년과 50%의 임금지급, GDP 1%의 재정 투자, 교사 대 아동 비율 1:15, 4세아 80% 지원 등의 4개 지표는 최소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또 25개 국가를 비교한 결과는 10개 지표 충족 1개국, 9개 1개국, 8개 4개국에 이어 우리나라는 6개 지표를 충족시킨 5개 국가에 포함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소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지표에 대한 우선 정책 추진을 향후 과제로 제시하고, 국제공인 지표를 통한 영유아교육보육의 정기적인 진단과 국제비교 결과의 국민적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looks at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10 benchmarks of the minimum standard of the ECEC and includes a review of today’s position of the Korean ECEC in absolute view and relative view based on these indicators. These results reveal that Korea satisfies 6 benchmarks; national plan with priority for disadvantaged children subsidized and regulated child care services for 25% of children under 3 a child poverty rate of less than 10% and near-universal outreach of essential child health services. However, Korea does not satisfy 4 of the minimum standards of ECEC; parental leave of 1 year at 50% of salary 1.0% of GDP spent on early childhood services minimum staff-to-children ratio of 1:15 in pre-school education and subsidized and accredited early education services for 80% of 4 year-olds. Also, the results from comparing 25 countries show that Korea is above the average related to ECEC. This paper reports Korea’s posi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based on these benchmarks periodically, and presents the idea that priorities need to be placed on improvements.

      • KCI등재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4

        The new demand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 a workforce with competent technical and scientific literac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in improving the teaching of mathematic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directions fo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struction from the review of research o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mathematics practices in pre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Finally,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future research on the role of teachers in providing effective instruction are addressed. 정보와 과학기술의 활용이 증가되는 사회에서 보다 수학능력의 활용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과 질 높은 영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구체적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유아 수학교육의 사회적 요구와 동향을 살펴보고, 영유아 수학교육의 접근에 대한 논쟁점과 도출된 함의를 토대로 미래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추후 영유아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과제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인식 비교 연구

        지성화(SungHwa Ji)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간 통합교육의 필요성, 운영, 효과성, 교사 전문성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S지역, K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총 198명이었다.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하위 영역으로는 장애통합교육 운영과 장애통합교육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교사 직군에 대한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정책적 근거뿐 아니라 인식개선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 comparative study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ecessity, operation, effectivenes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9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 and K area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organizing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war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and the childcare center teacher group. As a sub-area,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i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awareness as well as the policy basis for integrated education for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kindergartens, childcare center, and teacher occup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ADDIE 모형을 활용한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 개발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셀레스탱 프레네 교육 기반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의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프랑스 프레네 유치원 탐방 및 수업을 관찰하였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기관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합한 교육활동을 계획 및 설계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작성 및 환경구성, 자료개발을 진행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연구자 및 참여 교사들과의 지속적인 회의와 면담을 통해 프레네 교육의 실천방법, 교육 적용 전과 후의 생각, 의견, 소감, 개선방안 등을 녹음 전사하여 총 82쪽의 기록을 질적 분석하였다. 비구조화된 유아교육과정을 지향하는 프레네 교육은 설계-개발-실행 단계를 분리하여 접근할 수 없어 3단계를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위해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프레네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는 프레네 영유아교육이 미래인재를 키우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한 사례로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pedagogy of Celestin Freinet using the ADDIE model. The ADDIE model was studi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and the activity styles of Frein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ceding studies of Freinet Pedagogy were analyzed, a Freinet kindergarten in France was visited in order to observe the class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aycare facilities was examined in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stag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lanned and designed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s an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tails, environment, and resources were developed for the specific method of the Freinet Pedagogy.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Freinet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ceaseless meetings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a total of 82 pages of recorded transcrip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iscuss the thoughts, opinions, review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e Freinet pedagogy, pursuing non-structurali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not be accessed with 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 separately, but the three steps were implemented in circulation. In the evaluation stage, it was examined how the Freinet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The results were positive and this Freinet Pedagogy could be introduced as a case of competency-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for future talent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보육 정책 관련 학술지 연구논문 동향 분석: 2005-2009

        신은미 ( Shin Eun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이 시행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유아교육 및 보육 관련 정책들에 대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 및 보육의 정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등재학술지인 「유아교육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유아교육학논집」, 「한국영유아보육학」,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 15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5년 동안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숫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다음 2006년, 2008년, 2005년, 2009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아직까지 영유아 교육과 보육에 관한 정책 연구가 시기적 또는 사회적 요구나 시책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 관련 연구들을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 및 보육 정책 일반에 관한 연구, 교육 및 보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유치원 평가 및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효과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제안에 처방적인 연구보다는 정책을 주도하는 학문적 토대 형성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oli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improvement policy and progr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studies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150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s of year ranges and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studies have increased since 5 years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were affected by timely or socially needs and government`s policy. Many of policy studies were fulfilled for 2 years, 2007 and 2006. Also, a large number of study subjects were about rational and general policy towar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es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nd the childhood education center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y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s important. ecause study of policy is a foundation of leading government`s policy and helps government carry out policy effectively.

      • KCI등재

        4년제 예비기독교영유아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분석

        김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mulate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analysis curriculum on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ing that offers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or day 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departments of 19 Christia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goal, and contents of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Christian worldview.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sufficiently reflect the fundamentals and concepts of biblical, theological, and Christian educational philosophy, as well as the belief and role of performance of the Christian teacher. Third, educational practicum should be maximized through observation, teaching experience,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teachers and parents in Christia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예비기독교영유아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분석을 통해 기독교유아교육기초의 반영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기독교영유아교사양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개 기독교대학의 유치원교사 또는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22개학과이며, 인터넷과 학교총람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양, 교직, 전공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기독교영유아교사 양성을 목적 및 목표로 하기 보다는 일반 영유아교사양성을 목적 및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에서는 기독교교사상실현, 직무, 경험을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대학 1개를 제외하고는 전공과목들이 기독교유아교육의 기초를 반영한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학과목은 전체 성경말씀의 총체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독교영유아교육의 전체를 총괄하는 목적을 고려하여 기획하도록 하며 현장관찰과 실습은 기독교영유아교사로서의 경험을 반영하도록 체계화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조경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omising research insights related to young children’s lives during COVID-19 as well as to infection diseases preven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To this end, a total of 129 journal papers and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published between March 2020 and February 2022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via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ID-19’ was the most frequent keyword in this field of research, and ‘distance learning’,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frequently represented in the journal papers and thes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the three terms, ‘COVID-19’, ‘distance learning’,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cluded among the top keyword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go network focused on ‘COVID-19’, ‘distance learning’,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VID-19’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stance learning’. ‘Distance learning’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COVID-19’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nally,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COVID-19’ and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related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to their parents,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될 코로나19와 영유아의 삶에 대한 연구주제와 추후 감염병 발생 시 효과적인 관리 대처방안을 위한 연구주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발간된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총 129편을 살펴보고, UCINET 6를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키워드의 빈도는 ‘코로나19’가 가장 높았으며,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 ‘예비유아교사’ 등도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을 살펴본 결과 주요 키워드는 ‘코로나19’,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였다. 셋째, 대표 키워드 ‘코로나19’,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 를 중심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코로나19’는 ‘현직영유아교사’와 ‘원격수업’ 간의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원격수업’은 ‘코로나19’, ‘예비유아교사’ 간의 연결강도가높게 나타났고, ‘현직영유아교사’는 ‘코로나19’와 ‘원격수업’ 간의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의 범위를 확대 및 심화하여영유아의 발달 및 심리적 측면과 부모, 교사, 교육기관 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는바이다

      • 영유아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정애경(Ae-Kyung Jeong),정재은(Jaeeun Jung)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preschool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reschool teachers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expert groups, and consultation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n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 to 25, 2022. The develop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questions divided into two sub-areas of awareness and demand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5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were conducted for dem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ut the degree of interest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ontents, methods, and educational resources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he contents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Relatively, creativity related content elements were intensively requir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econsider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develop early childhoo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보다 의미있고 효과적인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있다.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영유아교사 등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한 후 2022년 8월 12일부터 25일까지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의 2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38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요구분석을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창의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관심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인성교육의 내용, 방법, 교육자원 등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의 창의인성교육 내용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창의성 관련 내용요소들이 집중적으로 요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영유아교육 관리자 교육의 운영체제 모형 연구

        노영희,전경화,강병효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영유아교육 관리자 교육의 과제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영유아교육 관리자 교육의 체제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관리자 교육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유아교육관리자 교육의 과제는 개념 면에서 종합적인 교육 서비스로서의 인식, 체제 면에서 국가적 체제망 구축, 목적과 내용 면에서 현장의 요구․주장․아이디어 수용, 방법 면에서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의 효율적 활용 등의 과제를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유아교육 관리자교육체제 모형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청 및 연수원, 대학, 영유아교육 단체, 영유아교육기관, 개인 등의 각 요소들이 각각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도록 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ducation system model for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o this end, 39 professionals in this area were selected to be surveyed. Based on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4 tasks were established. In the conceptual aspect, the system should be provided as an educational service. In the structural aspect, the national network should be organised. For the goals and contents, voices from the practical subjects should be largely reflected. For the more, the balanced use of on-line and off-line method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ducation system. Consequently, the system was built to serve as an model for educational services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system starts from the voices of the practical subjects, and every unit in this system reflects their needs, advocacies, and ideas. Each institution, as a part of the system, has a particular role and function. For the system to be successful, there should be a core institution. The role of the core institution is to manage this network and circulate of the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