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주제 : 텍스트, 상호텍스트, 콘텍스트 ;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맥락 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는 현재, 맥락은 읽기 교육에서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제로서 읽기 교육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흥미있는 주제이다. 이를 위해 맥락의 역사적 전개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복잡하고 수많은 맥락의 개념들을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비록 개괄적 수준이지만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기술된 맥락의 성격이며, 어떤 지점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맥락의 정의는 언어적인 것에서 점차 심리적인 것으로, 그리고 심리-사회적인 것으로 변화해 왔다. 이 과정에서 맥락을 하나의 언어적 단서로부터 기술할 수 있는 요소로서 간주하다가 점차 언어 사용자의 심리적 표상으로, 텍스트와는 별개로 항존하는 비언어적인 지식과 상황으로까지 기술되었다. 이는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맥락이 지식의 속성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영역마다 다른 배경과 용어로 기술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맥락의 방법론 또한 상세하지 못했다. 교육과정상에서의 맥락의 개념은 영역 내에서가 아니라, 영역 간에 재조정을 통해 개념과 용어가 통일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읽기란 맥락 자체를 읽는 것이라고도 한다. 본질적으로 탈맥락적인 발화나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맥락적 읽기는 하나의 선택적 전략이라기보다는 본질적으로 행위의 전제이다. 따라서 맥락은 세계를 인식하는 매우 중요한 통로이며, 학습자에게 자각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교육 내용이기 때문에 전략화 되어 가르쳐져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교육과정의 한 범주로서 ‘맥락’이 설정된 의의인 것 같다. 읽기의 상황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의미 구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자신의 사회문화적 지식과 사회문화에 대한 가치를 확대, 정립해나가는 것이 읽기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Context is very important pedagogical thema of context-oriented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 which is able to do meaning-constructing. Therefor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text in definition is researched, and its concepts are divided as several standards into some types of features of contexts. And contexts`s definitions are examined which have been described in Korean-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definitions of contexts have been changed from linguistic-based to cognitve representation-based, further to social psychologistic-based. These divers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changes, from which strive to define as linguistic and grammatical cues, to which strive to describe as beliefs, common sense, collective sense and situation, and so on of language-users or language community. The latter is de-contextualized and historical constantly. This is also related with changes of paradigms from behaviorist to constructivst further to socio-culturalist. Contex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re mixed with concepts of ‘knowledge categories’, and are described differently as different terminologies and theoric backgrounds in each domains. and so aren`t detailed in teaching-methods. So its concepts and methodological descriptions have to be coherent in pedagogical perspectives, because understanding of context in reading make us as readers build and enlarge socio-cultural knowledges, identities and values of ourselves.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해석학적인 실재론에 근거한 성경 해석과 설교 메시지의 전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승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4 No.-

        설교의 의사소통은 성경 해석과 설교 메시지의 전달이라는 양방향 의 의사소통(two way communication)이다. 현대 설교학의 주된 쟁점 은 설교 준비를 위한 성경 해석과 설교의 형식의 두 주제 중 어느 한 쪽 에 편파적으로 치우쳐 있다. 두 영역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설교학 연 구가 충분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성경 해석과 설교 메시지의 전달의 두 차원을 해석학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종합하는 설교학의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비판 적 실재론과 달리 해석학적 실재론은 해석자가 성경 해석과 청중 해석 의 방법을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구현되는 하나님의 실재에 도달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해석학적 실재론에 근거한 성경 해석과 설교 메시지는 다섯 단계로 구성된 하나님 말씀의 맥락화 과정에 속해 있다: 1단계 계시의 맥락화 단계, 2단계 정경화를 통한 언어적 전환의 맥락 화, 3단계 해석을 통한 과거 사건의 추체험을 위한 로고스의 해석적 맥 락화, 4단계 반전의 깨달음을 위한 설교적 맥락화, 5단계 신앙 공동체 형성을 위한 공동체적 맥락화. 5단계 맥락화 과정 중에 성경 해석 과정은 하나님의 실재를 추체험 하는 것이고 설교 메시지 전달 과정은 설교자가 먼저 경험한 하나님의 실재를 설교 구조와 형식에 담아서 청중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설교자 가 회중에게 하나님의 실재를 전달하여 하나님의 실재를 경험할 수 있 도록 하는 언어적인 수단으로 틀 의미론과 효과수반발화, 정체성 내러 티브, 그리고 구속사 내러티브가 있다. 설교자는 이러한 언어적인 수단 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해석학적인 추체험을 신자들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교해야 한다. Preaching as two way communication process consists of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sermon message delivery. Contemporary homiletical issues focus either on the biblical interpretation for sermon preparation or on the sermon delivery form. It lacks of the holistic homiletical study unifying both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sermon delivery form together. This paper seeks to lay the homiletical foundation unifying two dimension of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sermon delivery in terms of the hermeneutical realism. On the contrary of the critical realism, the hermeneutical realism insists that we interpreter with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 congregation understanding may arrive at the divine reality which is embodied by the Word of God. This divine reality by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 congregation understanding belongs to five steps contextualization of the Word of God: The first revelation contextualization step, the second linguistic turn step in the canonization process, the third interpretation contextualization step for re-enactment, the fourth homiletical contextualization step for the recognition of reversal, the fifth communal contextualization step for the faith community. Among the five contextualization steps, the third biblical interpretation step seeks for the re-enactment of the divine reality in the text. The fourth sermon delivery step guides the congregation to experience the divine presence which the preacher has experienced the Word-event in advance in the biblical interpretation process. The preachers who guide the congregation to experience the divine reality in preaching may apply the effective linguistic tools such as narrative plot for the recognition of reversal, frame semantics, perlocutionary speech, identity narrative, and the redemptive history narrative.

      • KCI등재

        언어적 맥락으로 접근한 기리쉬 까르나드의 < 브로큰 이미지즈(Broken Images) >

        변영미 ( Byun¸ Young-mi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5

        본고는 기리쉬 까르나드의 <브로큰 이미지즈>를 언어적 맥락으로 분석함으로써 밀레니엄 이후 인도현대연극의 양상을 파악하고 ‘인도다운’ 연극을 모색했던 뿌리연극운동의 기수로서 작가가 그 뿌리를 이어가는 방식과 가치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리쉬 까르나드의 <브로큰 이미지즈>는 한 작가의 심층에 자리한 모순적인 내면 갈등과 존재의 충돌을 모놀로그 형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미지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현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극은 깐나다어와 영어, 욕망의 언어, 영상 언어를 통해 인도의 언어적 맥락을 복합적이고 중층적으로 엮고 있다. 이는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주변인으로서 까르나드의 언어적 상황과 맞닿아 있다. 영어 소설로 세계적 명성과 부를 얻게 된 만줄라가 스크린 속 자신의 이미지와 대화하면서 극은 진행된다.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으로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만줄라 내면은 집안과 밖에서 경계인으로 떠돌며 상징계인 아버지의 세계로 편입되고 싶어 하는 의존성을 띤다. 타자의 시선은 만줄라가 가진 욕망의 중심축이 되어 동생 말리니가 쓴 작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비도덕적 행위를 하게 만든다. 그리고 만줄라 내면 가장 깊숙한 곳에는 말리니와 남편 사이에 존재했을 섹슈얼러티에 대한 혐오와 거부가 존재한다. 극이 진행될수록 이미지는 극을 이끄는 주체가 되고 종국에는 만줄라의 상체로 군림하며 말리니로 화한다. 주객이 전도된 만줄라와 이미지의 합체는 허와 실이 무엇인지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을 던지고 파편화하고 황폐한 현대인들의 주체 상실을 목격하도록 만든다. 까르나드는 <브로큰 이미지즈>를 통해 가장 ‘인도다운’ 언어로 현대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보편적인 연극언어를 제시함으로써 인도연극의 ‘뿌리’를 이어가고 있다. Broken Images by Girish Karnad is monologue dramatized the contradictory inner conflicts and desires through dialogues between Manjula and her screen Image. Main motif of this drama is language-Kannada, English, symbolic and virtual-which is woven context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in India. The Other's gaze generate Manjula's desire and make her commit an immoral act of making the novel of her sister her own. As the play progresses, image becomes the leading subject of the play and eventually dominates the upper body of Manjula and turns into her sister. This subversive combination of Manjula and Image arises existential question about what is the real and the illusion. And it makes us witness the fragmentation of presence and loss of the subject.

      • KCI등재

        교사-유아의 과학적 대화 분석에서 나타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서동미(Seo Dong-Mi),박은주(Park Eun-Ju),조형숙(Cho Hy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의 과학적 대화를 분석하여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알아보고, 그러한 유형이 어떠한 배경과 맥락에서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5세반 유아들과 담임교사였다. 연구자는 교실에의 참여관찰 및 담임교사와 유아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외에도 유아들의 작품 및 교사의 수입계획안을 수집하였다. 그 후 과학적 대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사의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과학적 탐구 관련 질문하기, 과학내용지식 설명하기, 탐구의 방향 제안하기, 과학적 태도 칭찬 및 격려하기, 유아의 과학적 아이디어 수용하기, 유아의 질문이나 제안 회피하기, 앞선 반응하기와 자문자답하기로 범주화 할 수 있었고, 이 유형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유형들은 그 발생맥락에 따라 유아들의 과학적 학습에 긍정적인 지원을 하거나 제한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맥락에 적합한 교사의 과학적 대화기술이 유아들의 과학 관련 경험 및 학습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scientific discours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o look into the context in which the types of verbal interaction emerg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 5-year-old children and their classroom teacher. The data was collected mainly by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classroom, and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students. Artwork by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lesson planning log were obtaine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s different type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tific discourse with the children. The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were broken into 7 categories: asking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explaining scientific facts, proposing the direction of inquiry, encouraging scientific inquiry attitude, accepting children's scientific ideas, avoiding children's questions or suggestions, and responding in advance and the teacher answering his or her own questions without waiting for the children's responses. The interaction types were observed in different contexts.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supported or limi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experiences or learning according to the emerging context. It means that teachers' scientific conversation skills which is suited to the contexts improve children's science related experiences and learning.

      • KCI등재

        언어적 맥락에 따른 유아들의 더하기 문제해결 전략 분석

        강민정 ( Min Jung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언어적 맥락의 유무가 유아들의 더하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더하기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들이 선호하는 전략들을 분석 하였다. 더하기 문제의 형식은 언어적 맥락이 포함된 이야기 문제와 상징적 수로만 구성된 숫자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만 5세아 41명은 각각의 문제 형식에서 10개의 더하기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는 회상적 면담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더하기 과제 해결에서 이야기와 숫자 형식에서 정답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들은 이야기와 숫자 형식에 따른 더하기 과제에서 분해 전략에서만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existence of linguistic context in addition problem was useful or not to children`s addition problem solving and was to analyze about children`s preference strategy in the process of addition problem solving. The types of addition problems were consisted of the story problems that were included linguistic contexts and the number problems that were only consisted of symbolic numbers. Forty one 5-year-olds solved 10 addition problems in each problem type. Children solved twenty addition problem in total and the study was used retrospective interview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addition accuracy scores on the story and the number problem typ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rieval strategy in children`s preference strategy between the story and the number problem type.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의 담화 맥락구조에 대한 연구

        양용준(Yang, Yongjoon) 미래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discourse markers needed to make the contextual structure in discourse softer and smoother are used in English and Korean. According to the survey, in order to smooth the context structure of the discourse, it was necessary to use the discourse cover properly and also that it must be used in an appropriate situation. In addition, the context of discourse is divided into a linguistic context and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it would be objectionable to examine the discourse between generations as a discourse contextu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properly discourse through contextual structures between the youths of the SNS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s. This part should be the subject of future research. Because discourse is a life of language and language is also changing, it is said that proper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only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discourse context structure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In English, the discourse context structure is based on the type of GSTON, the type of information, including Hymes" SPEAKING model for discourse form. In the case of Korean, the context structure of the discourse must be examined through the structure of direct vision and agreement. In order to form a smooth and smooth communication relationship in a language life,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matter is to form a context structure of an appropriate discourse.

      • KCI등재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은/는’과 ‘이/가’ 인식 연구

        오아림 ( Oh Ahrim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연구는 일본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은/는’과 ‘이/가’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은/는’과 ‘이/가’의 적절성은 언어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은/는’이 실현되는 언어적 맥락은 총칭성, 구정보, 대조가 있으며, ‘이/가’의 실현 맥락은 정보적 초점, 선택적 초점, 수정적 초점, 배타성, 특정성, 확인의문문, 수사의문문, 비한정적 주어가 있다.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 모어 화자 각각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리커트 척도법이 사용되었으며,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수용성 점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은/는’과 ‘이/가’의 모든 실현 맥락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일본인 학습자들은 총칭성, 수정적 초점, 수사의문문, 비한정적 주어 맥락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모어와 목표 언어 사이의 형태론적 유사성(morphological congruency)이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eun/neun and i/ka by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appropriateness of eun/neun and i/ka depends on linguistic contexts, such as particular sentence components in the sentence and prior utterance. Linguistic contexts in which eun/neun is used are genericity, givenness, and contrast. i/ka occurs in contexts such as informational focus, selecting focus, replacing focus, exclusiveness, specificity, confirmation question, rhetoric question and indefinite subject noun. Altogether, 30 L1 Japanese learners of Korean(JKs), 30 L1 Chinese learners of Korean(CKs) and 30 native speakers of Korean(NK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Likert-scale was used to review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an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Ks in all of the context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Ks and NKs in four contexts: genericity, replacing focus, rhetorical question and indefinite subject noun. This indicates that morphological congruency of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and target language is one variabl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KCI등재

        정의(definition)에 대한 세 가지 이해수준과 『교육학개론』에 나타난 교육 정의의 비판적 검토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4 교육원리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정의(definition)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세 가지 수준으로 구성하고, 이에 근거 해 교육의 정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교육학자들은 교육학의 이론과 실천, 그리고 교육학 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을 다양하게 정의해 왔다. 그러나 교육의 정의에 대한 이들의 믿음이 무엇인지, 그것이 올바른 것인지, 또 그들의 믿음대로 교육의 정의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토한 적은 별로 없다. 이 연구에서는 정의에 대한 일반이론가들의 이론을 토대로 정의에 대한 이해 수준을 실재적 정의, 언어적 정의, 맥락적 정의로 구성했다. 실재적 정의는 정의를 사물의 본 질을 찾고 제시하는 것으로, 언어적 정의는 언어의 고유한 의미를 찾고 제시하는 행위로, 맥락 적 정의는 의사소통의 맥락에서 부여된 언어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의 정 의와 관련해서는 교육학을 소개하는 성격을 갖고 있는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교육 정의의 대상의 문제, 교육 정의의 나열과 종합의 문제, 교육의 어원적 정의의 문 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어과 교육내용으로서 맥락의 교육적 실행 연구 -중등 읽기 영역에서의 교수법 및 교재 구성을 중심으로-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말연구학회 2011 한말연구 Vol.- No.28

        Context is very important pedagogical thema of context-oriented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 which is able to do meaning-constructing. According to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text in definition, its concepts are divided as several standards into some types of features of contexts. Based on Halliday and Hasan(1989), context is divided to four features; intratextual context, inter-textual context, context of situation, context of culture. Contexts in curriculum are mixed with concepts of ``knowledge categories``, and are described as different terminologies and theoric backgrounds in each domains. and so aren`t detailed in teaching-methods. So its concepts and methodological descriptions have to be coherent in pedagogical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