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이경하(Lee Kyung h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지구화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과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학회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 당시만 해도 선명해 보였던 '여성'주의의 기치는 오늘날 힘을 잃은 듯 보인다. 또한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전지구화는 '한국'과 같은 민족국가 단위의 근대적 학문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으며, '고전/문학'을 비롯한 인문학을 점점 더 위기로 몰아가고 있다. 이 격변의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가 '한국/고전/문학' 연구로서의 정체성에 안주하지 않고 '여성ㆍ젠더' 연구로서의 정체성을 학회 차원에서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다. 학회 창립 이후 15년 간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지속적인 기획을 통해 '여성문학' 연구를 특성화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 분야에서 다른 학회들과의 차별화에 어느 정도 성공했다. 그러나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는 이제까지보다 훨씬 더 '여성ㆍ젠더' 문제의식에 민감해져야 하며, '여성ㆍ젠더' 연구의 간학문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연구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구화는 다양한 행위주체들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뀌게 될 미완의 현실이다. 한국고전여성문학회도 학문세계를 구성하는 행위주체로서 바람직한 지구화에 기여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첫째, '고전/여성' 연구의 현재적 의의와 방법에 대한 성찰을 학회 차원에서 담론화 함으로써 인문학의 소통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둘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국제화를 학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지원함으로써 학문세계의 평등한 지구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술지가 단순한 논문 모음집에 그치지 않고 '한국/고전/여성 /문학'을 매개로 비판적 인문정신을 실험하는 비평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적극적인 기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considers the identity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n this globalized era and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which has led the research. The banner of 'feminism' has come to be raised with less enthusiasm since the days when the society was first established in 2000, while research paradigms which focus on the unit of the nation-state (such as 'Korea') are becoming fundamentally weakened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n such an intellectual context, it is imperative that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looks beyond the themes of 'Korean', 'classical' and 'literature' and finds a new identity by focusing on research related to 'women' and 'gender'. It is stressed in this paper that the Society must play an active role in bringing about this change in research direction. In the 15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the Society has been successful in encouraging research on 'Women's literature', thereby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research societies which deal with Korea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research needs to be even more attuned to the issues of 'women' and 'gender', with new attempts at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Globalization is an ongoing process, forged through the choices and efforts of various actors.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can also engage actively in this process. Firstly, this can be done by generating discourse within the society on the meanings and methods of research on 'classical/woman', thereby contributing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in the humanities. Secondly, the Society must actively encourag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literature', thereby contributing to a more equal 'globalization' of scholarship. Finally, the journal of the Society should go beyond being a mere collection of papers; it should be an arena of experimentation for humanities focused studies of a critical nature - this can only take place with the active efforts of the Society.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비교문학회와 국제문화교류사업: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최진석 ( Jinseok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국제문화교류사업을 검토함으로써 한국비교문학회의 초기사와 관련된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비교문학회는 1959년 창립된 학회이지만, 그로부터 1975년에 재건되기 이전까지의 학회 활동 연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이하윤, 이근삼 등 한국비교문학회 회원들이 관여했던 비교문학 연구 관련 사업 및 국제문화교류사업 등을 검토함으로써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 연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계승하여 펜클럽 한국본부 등이 추진했던 국제교류문화사업이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을 살피는 한편, 록펠러재단의 동국대 비교문학연구소 지원 사업 관련 문서철을 발굴함으로써 1960년대 초 한국 비교문학자들의 활동을 일부 복원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과 관련하여 그간에 알려지지 않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차후 보다 본격적인 학회사 서술을 진행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reorganize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by examin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etween late-1950s and mid-1970s. the KCLA was founded in 1959, but it is little-known what activities it did until 1975. In order to collect the sources for writing history of the KCLA,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of the Korean P.E.N. and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the KCLA’s lead acto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By using the papers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kept in the Rockefeller Archive Cent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KCLA’s activities in early 1960s.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the KCLA’s membe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tried to establish the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Center in Dongguk University in early and mid-1960s, but the project ended in failure. It shows that the KCLA may have tried any other scholarly projects.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found some historical records of the KCLA’s early activities and lay pilot studies preliminary to a full-scale writing of history of the KCLA.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논문(論文) : ≪사고전서(四庫全書)≫와 ≪존목(存目)≫에 수록(收錄)된 한국인(韓國人) 저작(著作)과 그 문화의의(文化意義)

        김호 ( Ho Kim ) 한국중문학회 2010 中國文學硏究 Vol.40 No.-

        目前爲止, 國內有關≪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的數量問題, 沒有得到一致的看法。而且國外學者亦對於此問題的看法, 因爲篇幅的關係, 難免有所簡略, 加上學界對於≪四庫各省採進書目≫收錄的韓國人著作問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之文化內涵等, 均沒有進行討論。鑑於前人硏究的不足, 本文擬要對這些問題, 進行一番探討。本文經過一番討論,得到以下幾點結論: 第一、當編纂≪四庫全書≫時,向中央政府進程的韓國人著作共有五種, 就是≪朝鮮史略≫、≪朝鮮志≫、≪高麗世系≫、≪朝鮮國志≫、≪徐花潭集≫。第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共有六種: ≪朝鮮史略≫、≪朝鮮志≫和≪武英殿聚珍版程式≫三種收錄於≪四庫全書≫; ≪高麗史≫、≪朝鮮國志≫和≪徐花潭集≫三種收錄於≪存目≫。第三、≪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的原則, 可分爲「以資參考」、「以資考證」、「取技能」和「表彰儒術」等。第四、≪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有其獨特的文化內涵。首先,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的事實可證明韓、中兩國的書籍交流倂不是只從中國流入韓國的單方面的,而是雙方面的。其次, 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及其≪存目≫,這意味著幾種韓國人的著作引起傳統中國知識分子的關注,這種現象甚値得予以重視。

      • KCI등재

        독일 한국학과와 한독 문화교류 - 베를린 자유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곽정연 ( Goak Jeang-yea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0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독일 한국학과는 양국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인력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한독교류의 토대를 마련한다. 본고는 한국과 독일의 문화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고찰하여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학계 그리고 한독문화교류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국내외 기관 및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한국학의 학문적 방법론을 정립하며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학제 간 연구로써 한국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방문학자, 학술대회, 특강, 저서, 언론을 통해 담론을 확산한다. 이로써 독일이 한국을 이해하는 데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교류를 수행할 후속세대를 키운다. 또한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북한 대학과의 학술교류를 통해 남북이 교류할 수 있는 학술적 공간을 만든다. 한독 간 문화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한국 독어독문학과는 방문학자 제도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맥락에서 독일을 고찰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수행해야 하고, 한국과 독일의 유관기관과 독일 한국학과와의 연구와 교육 협력 그리고 학생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경제 규모 세계 10위 국가로서 한국이 세계 여러 나라와 문화교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국제사회에서 적합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외국어문학과의 균형적 발전을 주요과제로 삼아야 한다. Die Germanistik in Korea und die Koreanistik in Deutschland bereiten eine Basis für den koreanisch-deutschen Austausch, indem sie den wissenschaftlichen Nachwuchs ausbilden und durch die Erforschung der beiden Länder eine wissenschaftliche Grundlage für die Beziehungen beider Länder schaffen. Mit Fokus auf den kulturellen 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untersucht vorliegender Beitrag den Entwicklungsprozess und aktuellen Stand de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und leitet Implikationen für die Germanistik in Korea sow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ab.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arbeitet mit in- und ausländischen Institutionen und Forschern aus verschiedenen Bereichen zusammen, und betreibt eine interdisziplinäre Forschung zwischen Sozial- und Geisteswissenschaften. Damit etabliert es eine wissenschaftliche Methodik für die Koreanistik und festigt damit auch den Status der Koreanistik als wissenschaftliches Fach in Deutschland.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fördert den Diskurs über Korea durch wissenschaftliche Konferenzen, Sondervorträge, Bücher, Medien u.s.w. Darüber hinaus bietet es einen akademischen Raum für den innerkoreanischen Austausch durch die universitäre Zusammenarbeit mit Nordkorea. Germanistik-Institute in Korea sollten Gastwissenschaftler einladen, multidisziplinäre Forschung über Deutschland im globalen Kontext betreiben, mit dem Institut für Koreanistik in Deutschland Studierende sowie Forschungs- und Bildungsinhalte austauchen und mit den Institutionen in Korea und Deutschland zusammenarbeiten, d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fördern. Als Land mit der zehntgrößten Volkswirtschaft der Welt sollte Korea Experten aus verschiedenen Ländern der Welt in ausgewogener Weise ausbilden, um den kulturellen Austausch nachhaltig voranzutreiben und damit eine angemessene Rolle in der internationalen Gemeinschaft zu spielen.

      • KCI등재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

        유승환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6

        이 글은 서발턴 이론에 기반을 둔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시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은 서발턴 이론이 한국에 수용되었던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중요한 핵심어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한국현대문학연구는 텍스트에 의한 대표/재현의 실패를 전제로 하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에 수반되는 방법론적 긴장감을 충분히 심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의 자의적 사용, 하위주체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숙고의 부재 등은 중요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문학연구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을 통하여 그 동안의 한국문학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문학적 주체 혹은 문학적 형상을 새로이 문제 삼을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특히 ‘하위주체의 양식과 미학’ 등에 대한 고민을 통해 한국현대문학을 구성하는 새로운 코드들 및 그에 대한 독법을 발견하고 있다는 것 또한 중요한 성과로 꼽을 수 있다. 한편 특히 여성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현대문학사의 내러티브에 대한 비판적 탈구축의 작업이 이루어진 것과 함께 이에 따라 문학의 경계가 확장되며, 새로운 연구대상의 아카이브가 축적되고 있는 것은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거둔 가장 두드러진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체 이후, 하위주체론의 성과에 의한 대안적인 문학사 서술의 전망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에서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우선 하위주체성의 재현과 재현가능성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들이 논쟁적으로 심화될 필요가 있다. 이때 하위주체라는 개념 자체에 내재해 있는 종속성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가장 중요한 논점이 된다. 아울러 하위주체를 문학사의 ‘구성적 외부’로 전제하는 새로운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 또한 진지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위주체와의 광범위한 연대를 통해 지금-여기에서 새로운 문화정치적 실천을 기획할 수 있는 상상력이다.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 연구

        이지혜(Lee Jeehae)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3 No.-

        화행(speech act)은 말로써 행동을 이끌어내는 표현들로, 칭찬, 요청, 명령, 제안 등의 기능을 표현한다. 그중에서도 ‘요청’은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 무수히 접하는 기본적인 화행이며, 또한 요청화행은 발화 수행력을 지니어 어떠한 행동에서 방해를 받고 싶지 않은 상대의 소극적 체면 욕구(negative face-wants)를 침해하는 화행이라는 점에 근거해 ‘영어권한국어 학습자(4~5급)’가 ‘한국인’과 비교하여 어떠한 요청화행을 구사하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전까지의 요청화행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한국인과 학습자집단의 화행을 비교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본고에서는 이제까지의 연구가 ‘주화행’의 범위에서만 이뤄져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 집단의 ‘주화행과 보조화행’을 범위로 두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래서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를 통해 결과를 수합하고, 수합된 결과는 SPSS의 카이 검증과 다중응답 분석을 통해 주화행, 보조화행의 범위에서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비슷한 양상을 드러내면서도 모어언어, 문화의 영향에 의해 한국인에 비해 변인 ‘친밀도’에 따른 주화행전략 사용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거나 혹은 보조화행의 사용이 한국인에 비해 ‘논리적’인 면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것과 같은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한국인은 비교적 변인 ‘친밀도’에 따라 주화행 전략 사용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보조화행’ 사용에 있어서도 ‘관계’에 기반한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4~5급)’는 대체적으로 한국인과 비슷한 화행을 구사하나 온전한 ‘한국 문화, 한국어 요청화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요청화행의 주화행 전략, 보조화행 전략의 사용에 있어 한국인과 다른 모습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ech act of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concentrating on request acts.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request speech acts between the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non-native Korean learners of level 4 and 5 from English speaking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Great Britain.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e research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A hypothesis is also presented related to two languages and cultures.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quest acts is explained based on theoretical overview and Chapter 3 covers the organization, participant, methodology and analysis of the study. Chapter 4 explores the result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concerning how Korean native speakers use 'request acts' and how English Korean-learners use 'request acts'. Finally in Chapter 5, cove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is study revealed that most Korean-learners of speakers of English use 'request acts' similarly to Koreans, but due to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nd language background, they tend to use 'request acts' differently from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English speaking Korean-learners need to know Korean culture related to 'request acts' and how Koreans thought about themselves and others.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비평-비평과 국가

        구모룡(Gu Mo-ryong)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1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의 사회를 구분하는 가장 주된 준거는 민족(국민)-국가(nation-state)라 할 수 있다. 해방 공간(1945~1948)은 ‘국가부재’라는 상황에서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가능성이 전면적으로 열리는 역사적 맥락을 갖는다. 이러한 역사적 단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해방이후의 비평을 현대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현대비평은 그 처음부터 민족-국가 이데올로기에 비평의 이데올로기가 종속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두 개의 민족-국가로 나누어지고 고착화되어 현대비평의 지체와 왜곡을 파생시킨다. 한국현대비평은 항상 국가(state)의 상태(state)에 대한 탐문과 분리될 수 없고 이러한 이유에서 ‘민족문학’이 현대 한국비평사의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국가의 상태와 관련하여 민족문학의 비평적 주류화는 국가주의에 상응하여 현대 한국문학비평을 한정하는 요인이 되는데 이와 같은 비평적 문제틀은 그 발생론적인 차원에서 대부분 해방 이후 10년 동안 형성된다. 한국현대비평은 그 기원에서 민족-국가에 포박되었다. 민족의 이상과 국가의 이념에 종속된 것이다. 해방공간의 좌우 비평은 남북한이 각기 다른 체제의 국가를 형성함과 더불어 나누어진다. 국가의 탄생과 비평의 선택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현대 문학비평은 분단체제 혹은 두 개의 민족-국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식민지에서 벗어나 민족-국가가 형성되면서 제국과 식민의 관계는 일국 내에서 국민과 비국민의 관계로 변전된다. 좌파 문인들이 추방되거나 배제되면서 민족-국가는 제국에 의해 추진되었던 1940년대의 ‘국민문학’을 새로운 역사적 문맥에서 부활시킨다. 그리고 한국전쟁은 반공주의 체제에 기반을 둔 국민문학의 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자연스럽게 ‘민족문학’은 사라지거나 침묵하고 ‘국민문학’ 중심의 흐름이 전면화되는 것이다. 한국현대비평은 그 기원에서 민족문학이라는 이상 형태를 내면화하면서 미학의 국가 종속이라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런데 해방공간의 비평은 현대비평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이론적 거점들을 지니고 있다. (A)본질주의와 사회구성주의 (B)유기론과 유물론 (C)근대 초극과 근대 기획. 이들 가운데 한국 현대비평에서 전자들의 지향이 주류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질주의의 미학은 다른 영역에 대한 미적 지배 혹은 미적 기득권을 보장하는 정치적 논리를 내포하게 되고 유기론은 이론적 유연성을 상실하고 단의성 체계로 경화된다. 근대 초극론 또한 민족-국가의 구체적인 역사와 이반된 매우 추상적인 관념형태로 존속한다. 한국현대비평의 기원에서 제기된 비평적 논리들은 현대비평사에서 순수-참여론, 구조주의와 문학사회학, 민족문학론, 근대성론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심화된다. 그 기원에서 국민-국가에 포위된 이론적 단순성이 다양하게 변주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평적 다양성과 이론적 수준은 1950년대 민족-국가의 상태에 대한 다각적인 반성과 비판을 통해 얻어진다. 다시 말해서 4월 혁명은 민족-국가의 족쇄에서 현대 한국비평이 비록 완전한 상태는 아니나 상대적인 자율성을 획득하는 계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비평의 기원을 4월 이후로 보는 관점이 제기될 수도 있다. 비평의 다양성, 이론의 전개, 각기 다른 지향의 많은 비평가들의 해석 공동체 형성 등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 외형과 내용에서 비평의 현대성이 형성되었다 하겠다. 그럼에도 민족-국가와 비평이라는 관점에서 아무래도 현대 한국비평의 기원은 해방이라는 역사적 단층 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In Korean history, what clearly discriminated the colonial period and post-liberation was forming the nation-state. Some time after the liberation(1945~1948) was when no state existed, but historically, there was a full possibility of nation-state formation. If such discrimination as above is considered true, modem criticism in this country didn't start until the liberation. From its star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modem criticism became ideologically dependent on the very ideology of the nation-state. This relationship became more firmly established as this country was divided into twos, resultantly making Korean modem criticism less developed and distorted. Modem criticism is not separable from inquiring about the state of a state. In a similar vein, 'national literature' has been one of the most concept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m criticism. In this country, a mainstream of the criticism was based on nationalism. In other words, nationalism became the very factor on which the criticism of modem Korean literature was dependent. From a standpoint of embryology, such framework of criticism was formed for a decade since the liberation. In terms of origin, Korean modem criticism got locked in the concept of nature-state, depending itself on the ideal of the nation and the ideology of the state. Post-liberation criticism was divided into rightist and leftist ones when Korea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political regimes, South and North Korea. In other words, Korean modem criticism's choice of its own way coincid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two Koreas. In Korea, modem literature criticism is not still beyond the awareness of South-North division, that is, the existence of two nations and two states. As Korea became a nation-state after the lib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was substituted by those between nation and non-nation in one state. Expelling or excluding literary leftists led this nation-state to form a new historical context of 'state-oriented literature that was originally sought in the 1940s of the imperialism. The Korean War made the ideology of state-oriented literature more strengthened based on anti-communism. Naturally, 'national literature' was disappeared or kept silent and 'state-oriented literature emerged itself as a mainstream. Ideally, Korean modem criticism internalized national literature, but actually it became what was aesthetically dependent on the state. Post-liberation criticism had some theoretical bases on which the archetype of modem criticism was formed. Out of them, today, (A) essential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B) organology and materialism and (C) overcoming the modem and planning the modem are regarded as main basic theories of modem criticism. In nature, aesthetics has a political logic that ensures an aesthetic rule or vested rights over other fields. Organism is likely to be less theoretically flexible, but more simplified and hardened. Overcoming the modem is a very abstract concept that is seemingly far from the history of a nation-state. Arisen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Korean modem criticism, critical logics have been continuously reiterated and deepened as they have made exchanges with the principle of purity-participation, constructionism, literal sociology,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modernity all of which are found in the history of modern criticism. This means that Korean modern criticism has been theoretically diversified escaping from its theoretical simpleness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nation-state. In fact, such diversity is an outcome of reflecting on and criticizing in many respects what the nation-state was like in the 1950s. The April revolution made Korean modern criticism free from its dependence on the nation-state relatively, though not completely. In this sense, some may say that Korean modern criticism started after the April incident. After the incident, a number of critics wh

      • KCI등재

        근현대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궤적

        정문상(Chung Moon-Sang)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역사학계와 문학계에서 이루어진 한국인의 근현대 중국 인식에 관련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흐름을 다층적으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한국인의 중국 인식은, 한중관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과 밀접히 연동되어 표출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청일 전쟁 전후한 시기, 일제강점기, 냉전기 등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중국 인식의 전개 과정을 추적하였다. 청일전쟁은 전통시기 한국인의 중국 인식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킨 중요한 계기였다. 중국 중심에서 일본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변동되는 의의를 가지는 청일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은 부정적인 인식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에 입각한 기왕의 대청(對淸) 인식에 서구 문명론이 새로이 가미되면서, 중국(청)은 '문명개화의 낙오자'이자 조선 근대화의 장애물로 타자화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중국 멸시관이 확산되는 한편 일상생활에서 중국인이 한국인을 억압하고 생존까지 위협하는 '인정 없고 비열한 존재'로서 경험되면서 청일전쟁 이후 중국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그러나 비록 일제 강점기 부정적 중국인식이 주류적 시선이었다고 하더라도 당시 중국 인식을 부정 일변도로 규정할 수는 없다. 중국혁명에 조국의 광복과 독립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중국에 망명한 독립운동가 사이에서 '부정적 중국 인식'과는 다른 유형의 중국 인식이 표출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비록 독립운동가들의 이념적 차이에 따라 연대와 활동의 대상을 달리했지만, 그들에게 중국은 일제의 침략을 받고 있는 '동병상련의 대상'이자 일제에 공동으로 대항해야 하는 '연대와 협력의 대상'으로, 나아가서는 항일을 위한 국제적 연대의 '중심'으로까지 간주되기도 하였다. 독립운동가 중에는 일부 독립 운동가들의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적 태도'를 문제 삼아 이를 '사대주의'로 비판하기도 하였다. 중국과 연대와 협력을 다각도로 모색하되 의존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한국인의 주체적이며 독자적인 입장과 관점이 필요하다는 문제제기였던 것으로 읽힌다. 이러한 관점과 입장이 반영된 중국 인식은 중국 혁명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자 노력했던 국내의 언론 매체의 중국 특파원들에 의해서도 표출된 바 있다. 냉전시기에 들어서,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에 의해 표출된 중국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관점들은 냉전 논리에 압도되면서 양극단으로 분열되었다. 미소가 주도한 냉전구도 아래 남북한이 본격적인 체제 경쟁에 돌입하면서, 특히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일제강점기 한국인 사이에 형성되었던 다층적인 중국 인식은 '중공(中共) 오랑케'와 '피로써 맺어진 형제국' 등 호칭에서 드러나듯 극단적으로 분열되었던 것이다. 남한 사회에서는 중국을 '한국 사회 변혁의 모델'이나 '연대와 제휴의 대상'으로 보았던 기왕의 중국에 대한 시선과 관점은 억압, 배재되었고 '반공 냉전형 중공 인식'이 압도하였다. 북한 사회에서는 근대 이후 일련의 한중관계를 통해 표출되고 형성되었던 다양한 내용의 '부정적 중국관'은 자취를 감추고 '피로써 맺어진 형제국'으로서만 단일화되었던 것이었다. 냉전기 남북한의 대립과 체제 경쟁구도가 그대로 남북한의 중국 인식에도 투영되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rame the flow of modern Koreans' perceptions toward China in a multi-layered manner by examining relevant studies recently conducted in learned circles of history and literature. To effectively presen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modern times in this paper were divided into the enlightenment period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en Dynasty,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Cold War era. Unlike traditional times, Korean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perceived China(Qing Dynasty) as a negative object. As the theory of civilization was added to the existing perceptions toward Qing based on the Sinocentrism in Chosen, Qing was otherized as a negatively perceived object as 'a modernization loser'. Ente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ns experienced Chinese as 'a cold-hearted, mean people' who suppressed Koreans' daily lives and threatened their survival. As a result, th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China strengthened further. On the other hand, a different type of perception toward China was formed among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nt into exile in China with the expectation of Korea's independence resulting from the Chinese Revolution. Even though the activists' objects of solidarity and activities varied due to their ideological differences, China was considered 'an object of sympathy,' 'an object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and, furthermore, 'the center of global solidarity.' Some independence activists made an issue of some others' 'overdependent attitudes' toward China and criticized such attitudes as 'toadyism.' Some national news media that attempted to critically accept the outcomes of the Chinese Revolution presented a perception that Koreans needed to hold their own independent viewpoints on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Koreans' various viewpoints and perspectives on China express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overwhelmed by the Cold War logic and divided into the two extremes. As South and North Koreas entered regime competition in earnest within the Cold War system led by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d, especially, went through the Korean war, the multi-layered perceptions toward China that had been formed among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as represented by two different appellations-'barbarians in Communist China' and 'a brother nation in blood alliance.' In South Korea, the existing viewpoints on China as 'a model for social reforms in Korea' or 'an object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were suppressed, excluded, and, finally, overwhelmed by 'the anticommunist cold-war style perception of Communist China.' In North Korea, in comparison, a variety of 'negative viewpoints on China' that had been formed and expressed through a series of Korea-China relationships since modern times disappeared and became unified into the perception as 'a brother nation in blood alliance.' In other words, the confrontation and regime compet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 the Cold War era was consistently applied to the two nations' perceptions toward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