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 개발 및 평가

        최윤석,김경탁,김주훈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3

        격자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모형은 유역의 물리적 매개변수와 격자 형식의 공간 및 수문자료를 이용해서 유출해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의 실시간 유출해석 모듈인 GRM RT(Real Time)를 이용해서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기상레이더 자료를 기상청의 실시간 AWS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한 후 유출해 석에 적용하며, 수위관측소 자료로부터 생성되는 유량자료를 이용해서 유출모형을 실시간 보정한다. 본 연구에서 는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분포형 모형과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실시간 유출해석 절차를 정립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실시간 모형보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소양강댐 상류에 위치한 내린천 수위관측소 유역을 대상으로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 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비실시간, 실시간 교양 영어 수업에 관한 원어민 교수자의 경험 연구

        김소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영어 교수자들의 비실시간 수업과 실시간 수업 방식의 장단점, 수업 활동, 과제, 퀴즈, 중간고사, 의사소통 도구의 사용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A 전문대학의 원어민 교수자 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교수자들은 두 수업 유형에 대해 공통적으로 저조한 학습자 참여를 지적하였으며 수업 유형마다 각기 다른 장단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LMS 기반 비실시간 수업의 장점은 학습자가 자기 주도형 학습이 가능한 점과 교수자가 수업 관리가 쉬운 점이었고 단점은 실시간 상호 작용이 불가능한 점과 래포 형성과 동기 부여가 어려운 점이었다. 따라서 비실시간 수업 방식은 대면 수업 또는 실시간 수업과 혼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Zoom 기반 실시간 수업의 장점은 상호작용, 영어 연습 기회, 자료 공유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다는 점이며 단점은 학습자의 참여 유도가 어렵고 학습자들의 줌 피로감이었다.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이 화면을 켜고 학습에 참여하게 하도록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하였다. 학습 활동은 비실시간 수업에서는 자기주도 학습 목적, 실시간 수업에서는 실시간으로 학습자 참여 독려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퀴즈는 비실시간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진도 확인 목적, 실시간 수업에서는 실시간 말하기 연습 기회 제공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과제와 중간고사 유형은 각 수업 간의 유의미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의사소통 도구는 비실시간 수업에서 더 빈도 높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 설계 시에 반영할 만한 시사점이 있다.

      •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

        이명임,고광욱,김혜숙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코로나-19의 범유행으로 WHO는 2020년 3월 11일 사상 세 번째로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을 선포했 다.1) 국내에서도 수도권을 필두로 다중시설과 밀폐된 시설들에서 전염의 가속화로 인해, 2021.09.29. 10 시 국내 기준 확진자수가 308,725명에 이르렀으며 코로나 감염 사망자는 2,474명이 되었으며, 격리해제 수는 272,724명으로 발표되어졌다.2) 이러한 사회적 영향으로 일상에서 사람들과 가까이 앉아 이야기를 나 누거나, 실내에서 호흡하며 운동하는 모습, 마스크 없이 거리를 다니던 일상은 사라지고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접촉을 최소화 하며 개인위생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변화한 사회적 분위기는 자연스 레 집안 혹은 실내에서만 생활하도록 사회적 생활 환경을 제한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육시설은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확대 등 정부의 방역지침이 강화되어 헬스장, 탁구장, 풋살장 등의 다양한 체육시설들이 강제 폐쇄 또는 영업시간, 공간에 따른 인원제한의 명령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스포츠 관람과 생활체육에 참여할 공간을 잃어가고 있다.3) 실제로 권오정의 노 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해 노인의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를 살펴보면 코로나로 인해 강화 된 운동제약, 증가된 운동 불안감으로 인해 운동을 포기하거나, 운동의 패턴이 변화되었다고 보고하고 있 으며,4) 이처럼 코로나 19가 지속됨에 따라 사회적 생활 반경의 제한은 좌식생활의 증가를 불러왔고 다양 한 요인들로 인해 신체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되어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신체 활동 회복을 위해 점진적이고 짧은 신체 활동을 권유하고 있으며,5) 코로나 상황에서의 신체활동은 실내에 서의 신체활동을 권하고 있다. 최근 교육부에서는 다양한 홈트레이닝 방법을 제작하여 학교에 전달하고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6) 온라인개학을 통해 코로나의 확산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개학은 모든 교 과목에서 기존 오프라인 개학의 수업 상황에서 달성하는 교육과정 목표 달성 수준에 비해 뒤떨어지는 실 정이며, 특히 체육교과는 시간, 공간, 지도자와 피교육자의 관계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만큼 온라 인이라는 통제된 환경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교육과정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7) 또 한 대부분의 체육 수업이 비대면 형식을 통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으며8),9) 온라인 환경을 활용 한 홈트레이닝은 동영상, 실시간 화상 프로그램등을 통해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온라인이라는 한계로 인해 정확한 운동 자세를 전달해주고 습득하기가 어렵다.10) 이러한 참여자의 운동 지식 습득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잘못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운동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11) 또한 충분한 인프라가 구축되지 못한 상태에서의 급작스러운 비대면 온라인 체육 수업 전환으로 인해 수업 방식의 채택, 통일되지 못한 다양한 온라인 수업 플랫폼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학교 체육교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2) 이러한 현장에서의 온라인 스포츠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교육에서도 온라인 스포츠 활동의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13)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환경에서의 체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 프로그램 은 무릎골관절염 환자의 무릎근력, 근 긴장도 및 경직도, 균형능력, 보행속도, 무릎의 기능과 건강관련 삶 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14)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실시간 화상 홈트레이닝은 운동군에서 체격을 긍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체력 또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15) SNS프로 그램을 활용한 당뇨교육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생리적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가간호행위가 향 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16) 또한 SNS를 활용한 운동정보제공은 대학생의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율적이었으며, 자기효능감, 확인규제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17) 이처럼 온라인을 활용한 체육 프로그램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당뇨나, 비만환자 등 질병을 가진 질 환자들에게 맞추어 진행되어져 왔으며,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화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의 제공방법을 달리하여 각 제공방법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앞으로 진행될 비대면 체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8주간의 온라인 운동프로그램의 제공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성인의 건강체력 및 기능체력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운동 프로그램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체력측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민체력100의 기준안으로 진행되었으며, 측정으로 인한 코로나 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사후측정은 30분당 1∼2명만 측정 하였으며, 측정 시 측정자는 측정 장소에 출입하기 전 발열검사와 손 소독을 실시하고 측정을 시작하고. 또한 측정 종료 후에는 소독제를 이용하여 장비 소독을 실시하였다. 측정 순서로는 가장 먼저 혈압 측정을 통해 기준치 이상의 혈압을 나타내는 측정자는 제외하여 체력측정 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 하고 키, 체성분측정을 통한 체중, BMI(신체질량지수), 근육량,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고, 건강체력(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과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 총 6가지 종목을 측정하게 된다. 건강체력 중 근 력은 악력, 유연성은 좌전굴 근지구력은 윗몸일으키기, 유연심폐지구력은 YMCA 스텝테스트로 테스트하 며, 기능체력 중 민첩성은 전신반응테스트, 순발력은 제자리 멀리뛰기로 테스트하게 되며 해당 체력인증센 터에 근무 중인 체력측정사의 사전교육을 받고 측정 간 체력측정사의 감독 하에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입력, 자료의 오류교정 및 자료분석을 위해 SPSS WIN 18.0을 사용하였다. 자료분 석방법에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 처치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t-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온라인 증진교실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 고 집단 간 건강체력, 기능체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별 사전·사후 결과 비 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하였다. 종합적 효과검정을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화상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램 모두 3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8.07±10.16 세, 47.233±7.69세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신장은 실시간그룹 158.85±5.41cm, SNS그룹 160.38±7.09cm로 나타났으며, 실시간그룹의 체중은 57.31±8.6kg, SNS 그룹의 체중은 57.88±10.25kg 으로 나타났다. 1. 근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근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 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24.0, 사후 M=25.3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 한 사전 M=24.7, 사후 M=25.6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 증한 결과 F=0.066, p=0.798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근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 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2. 근지구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근지구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20.2, 사후 M=23.2로 사후가 더 높은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 시한 화상으로그램 집단 또한 사전 M=16.6, 사후 M=16.8로 나타나, 사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4.661, p=.03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근지구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과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p<.05). 3. 유연성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유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16.2, 사후 M=17.0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한 사전 M=12.5, 사후 M=14.6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 하여 검증한 결과 F=0.161, p=0.69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 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유연성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 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4. 심폐지구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심폐지구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32.7, 사후 M=32.4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 시한 집단 또한 사전 M=33.4, 사후 M=33.7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1.063, p=0.307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 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심폐지구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5. 민첩성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민첩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0.37, 사후 M=0.38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한 사전 M=0.40, 사후 M=0.40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 하여 검증한 결과 F=0.181, p=0.672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 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민첩성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 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6. 순발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순발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146.9, 사후 M=144.1로 사후가 낮은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시 한 집단 또한 사전 M=137.4, 사후 M=137.3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0.009, p=0.92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 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순발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홈트레이닝의 제공 방법이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인 60명(실시간 화상프로그램 30명, 녹화된 영상프로그램 30명)을 대상으로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처치하 였으며, 사전·사후 검사에서 측정한 건강체력, 기술체력 변인을 비교 비교·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은 악력과 윗몸일으키기를 제외한 나머 지 건강체력(유연성, 심폐지구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녹화된 영상 운동프로그램은 모든 건강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은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민첩성과 순발력 모두 체력수준의 유의한 개선이 없었다. 넷째, 성인 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녹화된 영상 운동프로그램은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순발력의 체력수준이 하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화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운동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을 활용한 운동 프로그램은 성인의 일부 건강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체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실시간 리눅스를 위한 동기화 프로토콜의 구현 및 검증

        박문주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9

        실시간 리눅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간 선점형 커널은 동기화 기법으로서 우선순위 상속 프로토콜을 지원하나, 이는 데드락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선점형 커널에 데드락을 방지하는 동기화 기법인 Priority Ceiling Protocol(PCP)의 두 가지 구현 방법으로 Immediate Priority Ceiling(IPC)과 원래의 PCP를 모두 구현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통념과 달리 원래의 PCP가 IPC에 비하여 월등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IPC는 비실시간 쓰레드의 시스템 호출이 빈번하거나 실시간-비실시간 쓰레드간의 자원 공유가 있는 경우에 비실시간 쓰레드의 처리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성 실시간 리눅스에서의 비실시간 쓰레드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이 검토되었으며, PCP가 적용될 경우 연성 실시간 리눅스 커널 상의 비실시간 쓰레드의 처리율도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Real-time preemption kernel to support real-time applications on Linux provides the Priority Inheritance Protocol (PIP) for synchronization. But PIP cannot avoid deadlocks.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Immediate Priority Ceiling (IPC) and the original Priority Ceiling Protocol (PCP) to avoid deadlock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m. Against the conventional thoughts, the PCP outperformed the IPC in our experiments. Especi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PC have poor performance in handling non-real-time threads when non-real-time threads make system calls often or real-time threads share resources with non-real-time threads. We also study how to improve the non-real-time tasks' performance when the Linux kernel is used for soft real-time applications. It is shown that the non-real-time processing ratio could be improved on the soft real-time Linux kernel employing PCP.

      • KCI등재

        실시간 웹 기반 교육 운영 사례 연구 : K 대학교 실시간 웹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Focus on the Case of a University in Korea

        이종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실시간 웹 기반 교육 사례에 대한 교수, 운영자 및 수강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드러나는 문제점 및 이에 따른 해결책을 중심으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실시간 웹 기반 교육에 참가한 교수, 운영자 및 수강생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참가자들은 무엇보다 실시간 웹 강좌에서 진행되는 활발한 대인간 상호작용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대면식 출석수업에 미치지는 못하나 비실시간 웹 강좌보다는 교육효과 측면에서 우월하다고 말했다. 본 사례 참가자들의 애로사항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실시간 웹 기반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만큼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둘째, 화면에 제시되는 교육컨텐트의 질 확보는 물론 교육컨텐트 개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방안(예: 인쇄물 보조 교재의 활용)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원격교육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강의시간을 대면식 출석 수업보다 짧게 구성하되 근본적으로 실시간 웹 기반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교수 및 지원인력의 역할 정의와 확보가 필요하며, 또한 강의 출석률의 향상하기 위한 제도 및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와 학생의 웹 강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 형성이 중요하다. 즉, 본인들의 강의와 학습을 위한 철저한 준비는 원활한 강좌 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e of realtime web-based instruction and to make suggestion for its promotion. First, the responses from the instructors, operators and learners of the case towards realtime web-based instruction were positive. A ll of them were very satisfied by the interactive aspect of the lessons. It was also reported that realtime WBI(web-based instruction) was superior to non-realtime one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but less than traditional face-to-face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recommendable to apply realtime WBI to domestic education and training fields along with non-realtime one. It is also possible for realtime WBI to substitute or supplement non-realtime one. Based on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with whi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had faced, the following suggestion could be made to produce more satisfactory outcome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stability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realtim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user-friendliness, and educational capabilities of network and realtime software solution and to upgrade and secure PCs and required peripherals for instructor and students. Also it is recommendable to integrate realtime WBI with non-realtime one and academic administration systems and to utiliz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n the web.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materials presented on the computer screen during lesson. A s for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sson, we need to segment the lesson shorter considering the nature of distance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teaching model for realtime WBI, to define the role of instructors and to provide concrete activity guidelines for them. It is necessary to secure enough number of assistants and staff members to provide technical helps, to support conducting lectures for instructors and to facilitate learners' transaction. Finall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ways to increase class attendance to provide realtime web-based instruction with the reason to exist.

      • KCI등재

        예술학부 학생을 위한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 효과 비교

        박부남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4

        This study is an action learning analysis on online E-language learning classes (Art communication) conducted at an arts colle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 art-relat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for art college students by assess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he two online E-language learning classes: an asynchronous class(32 students) and a synchronous class(46 students). Three methods were employed to collect the data: observation of the classes,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o analyze the impact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ynchronous class and the asynchronous class in terms of online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attitudes. The students in the asynchronous class were satisfied with the readiness of online learning while the students in the synchronous class were active participant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students of the synchronous class improved more speaking skills than those of the asynchronous class. The synchronous class was quite beneficial for arts college students with the scaffolding of the teacher’s presence in the cyber.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for those develop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in Arts colleges. 본 연구는 예술학부 학생을 위해 실시간/ 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을 이행한 후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감과 인식 및 효과를 비교한 실행연구이다. 코로나19의 위기상황에서 실시된 온라인 의사소통중심 예술영어, Art Communication, 수업에 2020년 1학기 32명의 학생(비실시간 온라인 그룹)이 참여하고 2학기에는 47명의 학생(실시간 온라인 그룹)이 참여하였다. 예술학부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영어와 예술을 통합한 영어 학습 활동을 온라인 수업에 적용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만족도, 인식 및 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찾고자 한 것이다. 분석방법으로 연구자가 수업을 설계하여 참여 관찰하고, 학기 말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일부 학생은 Zoom 플랫폼으로 초대해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두 개의 다른 온라인 수업방법에 대한 예술학부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온라인 시스템의 용이성과 학습의 편리성에 만족하였으나 학습 참여는 수동적이었다. 반면에 Zoom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수자-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예술 관련 수업 활동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어 의사소통능력 말하기의 향상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평균이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생들보다 약간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온라인 영어 의사소통중심 수업에 영어와 예술콘텐츠를 통합하는 활동을 적용해 보고자 하는 예술학부 영어 교수/학습 교육자들에게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실시간 운영체제에서 관절 공간 궤적 생성

        양길진(Gil-Jin Yang),최병욱(Byoung-Wook Choi)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1

        본 논문은 두 바퀴 이동로봇의 주행에 있어서 주어진 경로를 물리적 제한을 만족하면서 주행하는 관절 공간 궤적 생성방법을 실시간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실시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경로계획에서 이동로봇의 방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베지어곡선을 이용하였으며, 컨볼루션 연산자를 이용하여 로봇의 두 바퀴의 속도의 제한을 만족시켰다. 관절 공간의 궤적 생성과 생성된 궤적에 대한 속도명령, 그리고 엔코더 값 감시 등 실시간 태스크를 주기적 태스크로 구현하였으며 동기화를 위하여 실시간 메커니즘인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실제 로봇에 실시간 태스크를 구현하여 속도명령의 실시간성과 이에 따른 이동로봇의 주행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궤적 추종 성능을 비실시간 시스템과 분석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실시간 성을 요구하는 제어시스템에서 실시간 다중 태스크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a smooth path planning method considering physical limits on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for a two-wheel mobile robot. A Bezier curve is utilized to make a smooth path considering a robot"s position and direction angle through the defined path. A convolution operator is used to generate the center velocity trajectory to travel the distance of the planned path while satisfying the physical limits. The joint space velocity is computed to drive the two-wheel mobile robot from the center velocity. Trajectory planning, velocity command according to the planned trajectory, and monitoring of encoder data are implemented with a multi-tasking system. And the synchronization of tasks is performed with a real-time mechanism of Event Flag. A real time system with multi-tasks is implemented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a non-real-time system in terms of path tracking to the designed path. The result shows the usefulness of a real-time multi-tasking system to the control system which requires real-time features.

      • KCI등재

        리눅스 미들웨어(TMOSM/Linux)에서 주기성을 가진 실시간 태스크의 스케쥴링 향상에 관한 연구

        박호준,이창훈,Park Ho-Joon,Lee Chang-H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7

        실시간 응용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운영체제는 실시간 태스크의 시간 보장성(timeliness guarantee)이 지원되어야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실시간 태스크의 시간적 제약조건(timing constraints)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실시간 응용의 시간적 제약조건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 커널 변경 방법과 미들웨어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체제 변경없이 잘 알려진 Real-time Object Model인 TMO에 근거한 미들웨어 접근 방식을 적용한다. 현재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모델을 기반으로 한 미들웨어로 다양한 운영체제 시스템 상에서 개발되어온 TMOSM(TMO Support Middleware)이 있다. 리눅스 기반의 TMOSM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효율적으로 실시간 스케줄링을 지원하지만 주기적인 실시간 태스크를 위해 몇 가지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 는 주기적인 실시간 태스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실시간 미들웨어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성능을 비교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실시간 미들웨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성능 향상과 주기적인 실시간 태스크의 적시성을 더욱더 보장함을 확인하였다. For real-time applications, the underlying operating system (0S) should support timeliness guarantees of real-time tasks. However, most of current operating systems do not provide timely management facilities in an efficient way. There could be two approaches to support timely management facilities for real-time applications: (1) by modifying 0S kernel and (2) by Providing a middleware without modifying 0S. In our approach, we adopted the middleware approach based on the TMO (Time-triggerred Message-triggered Object) model which is a well-known real-tine object model. The middleware, named TMSOM (TMO Support Middleware) has been implemented on various OSes such as Linux and Windows XP/NT/98. In this paper, we mainly consider TMOSM implemented on Linux(TMOS/Linux). Although the real-time schedul-ing aIgorithm used in current TMOSM/Linux can produce an efficient real-time schedule, it can be improved for periodic real-time tasks by considering several factors. In this paper, we discuss those factors and propose an improved real-time scheduling algorithm for periodic real-time tasks, In order to simulate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we measure timeliness guarantee rate for periodic real-time tasks.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is superior to that of existing algorithm. Additionally, the proposed algorithm can improve system performance by making the structure of real-time middleware simpler.

      • KCI등재후보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숙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교육에서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중 어느 유형이 더 효과적인지, 또 그들의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규제학습 수준과 사이버교육 운영유형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자기규제학습 수준을 상, 하 두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서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학생들을 무선 배치한 후 과학 사이버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 집단이 비실시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를 보였으며,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우월한 성취를 나타내었다.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과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실시간과 비실시간 수업에서 일관되게 높은 점수를 보인데 반해,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실시간 수업에 비해 비실시간 수업에서 현저하게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규제학습 변인이 비실시간 사이버교육에서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 of cyber cla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More specifically, it explored whether different ways of running cyber class(realtime and non-realtim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SRLS) affec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34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and low SRLS and the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e two treatment conditions: realtime and non-realtime clas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middle school in Incheon City. Pre- and post-test on student achievement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the data, ANOVA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participating in realtime class performed better than those in the non-realtime class. Also, students with high SRL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with low SRLS and this difference was greater in case of non-realtime clas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RLS need to be taught in order for low SRLS students to succeed in non-realtime cyber class.

      • KCI등재

        실시간 정보처리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정윤석,김인수,김태완,김기천,장천현,Jeong, Yoon-Seok,Kim, In-Su,Kim, Tae-Wan,Kim, Kee-Cheon,Chang, Chun-Hy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4

        시스템 처리용량의 증가로 과거 메인프레임이 처리하던 작업을 PC가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산업계에서는 기존의 메인프레임을 PC급으로 전환하면서 PC급 시스템에서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실시간 정보처리와 실시간 정보감시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시간성의 보장을 위해서는 실시간 기능의 추가 및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시간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실시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과 이에 대한 성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간 정보감시를 위해 웹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recent days, pc can process many things that mainframe have processed. Especially, in the transition from mainframe to pc, industries have needed the capabilities of Real Time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al Time monitoring for information control. But to support Real Time properties, it's needed to add Real Time modules and verify them. In this dissertation, we implemented and verified the Real Time System to support Real Time property. In addition, we implemented Web-based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Real Time information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