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가치사슬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연구: 2010, 2015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서한결,이인우,정양헌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6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에 관련한 가치 사슬 산업의 2010년, 2015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따른 경제적 영향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가치사슬 관점에서 원재료, 부품 소재,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생산 단계로 외생화하였고, 2010, 2015년도 전후방 연쇄효과, 신재생에너지 생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 생산유발액, 부가가치 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액을 도출하였다. 2010년 및 2015년도의 신재생에너지 생산 산업에 따른 전후방 연쇄효과, 파급효과의 수준 비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제적 연관 관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전후방 연쇄효과의 결과로는 2010년도와 다르게 2015년도 영향도 계수가 감소하였으며, 총생산유발 계수는 2010년 1.1278에서 2015년 0.7016으로 감소하였고, 총 부가가치유발 계수는 2010년 0.0399에서 2015년 0.3861으로 증가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기존에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가치사슬 관계 및 비관련 산업으로 구분하여 신재생에너지 시점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간과되었던 신재생에너지 경제적 영향 변화를 실증하였으며 이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입안자와 정책연구자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spillover of the value chain industr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in 2010 and 2015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methodolog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hange in economic impact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Methodology]This analysis categorized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from the value chain perspective to raw material, machine and components, infrastructure, and production stages. Forward/backward sectoral linkage, Production inducement,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s are analyzed. [Findings]As a result of the forward and backward sectoral linkage, the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dustry’s impact factor decreased in 2015, and the total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decreased from 1.1278 in 2010 to 0.7016 in 2015, and the total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increased from 0.0399 in 2010 to 0.3861 in 2015. [Implications]This study demonstrates the change of economic impact of renewable energy that was previously overlooked, which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policy researchers.

      • 주요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인력수요 전망체계

        이유아(Lee, Youah),이동준(Lee, Dongjun),김민지(Kim, Minji)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신 재생에너지 산업의 확대를 뒷받침하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력의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신 재생에너지는 기존 에너지원과 다르게 자국 내에서 생산 및 소비가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국가의 일자리 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방법론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 호주와 미국 사례를 고찰하여,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고려요인 및 전망 방법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기존화석에너지와의 인력수요 차이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주는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미래 신재생에너지 보급상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인력의 수요를 예측 하였다. 두 국가의 경우 신 재생에너지 부문의 인력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주의 경우 2008년 기준으로 10천명이던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가 2020년 24천명~30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연평균 16.7%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7년 500천명의 신 재생에너지 산업 인력이 재직 중이며, 신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2030년에는 7,300천명의 인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는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향후 신재생에너지 인력 증가에 대비하여 관련 인력양성 정책을 올바르게 세우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외 사례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 수요 예측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인력수요의 예측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신 재생에너지 성장 시나리오의 설정이 요구된다. 미국의 사례와 같이 신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인력수요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정량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력의 범위를 직종별, 학력별로 구체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재생 인력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체화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홍준석(Jun-suk, Hong),박성환(Sung-Hwan, Park),박중구(Jung-Gu, Park) 한국에너지학회 2012 에너지공학 Vol.21 No.1

        기후산업은 세계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기후변화를 창출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모든 산업군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중 신재생에너지산업에 한정하여, 2011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년 현재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은 1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1644원의 생산을 유발하였으며, 0.3544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0.065명의 취업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산업구조 전체 속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하는 산업연쇄효과는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 더욱 활발하게 추진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부가가치사슬망(value- chain)에 관련된 산업들에 대한 정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limate industry could be defined as the group of industries responding to world climate change compacts. This study confined it to renewable energy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renewable industry, using 2009 Input-Output Table. This study estimated that Korean renewable industry made the production- induced impact of 1.1644 won(Korean money), and the value-added-induced impact of 0.3544 won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won. Its job-creation impact is analyzed to correspond to 10.065 labors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billion won. And its industrial linkage effects including forward and backward ones are analyzed not to be so great as expec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me policies vitalizing Korean renewable industry and relating industries to its value-chain as new growth engin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에너지 전환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이철용(Chul-Yong Lee)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3

        기후변화 이슈가 중요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있지만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안보 제고, 신성장동력의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가 각광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관련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전망을 기반으로 2020년에서 2034년 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 원별 경제적 파급효과의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산업연관 분석 결과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높은 생산유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가가치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 원별로는 풍력, 연료전지, 소수력, 태양광 순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목표대로 신재생에너지가 보급 될 경우 2020년~2034년 동안 생산유발 효과 약 292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약 103조원, 고용창출 91,000여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climate change issues become more importa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declaring carbon neutrality, and Korea also announced a strategy to promote carbon neutrality in 2050. There are various means for carbon neutrality, but new and renewable energy is in the spotlight as a means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enhancing energy security, and new growth engines. As investment in new and renewable energy increases, the economic effect on related industrie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economic effects by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from 2020 to 2034 based o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orecasts in the 9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and Demand using input output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showed a higher induced impacts on outputs than the overall industry average, but induced impacts on value added and induced impacts on employment were low. By renewable energy source, wind power, fuel cell, small-sclae hydro, and solar power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conomic effect. In addition, when new and renewable energy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goal, about 292 trillion won in induced impacts on outputs, 103 trillion won in induced impacts on value added, and about 91,000 job creations occur between 2020 and 2034.

      • KCI등재

        석유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석유 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법제도의 정비

        김인호 법무부 2009 통상법률 Vol.- No.89

        Energy is one of the issues, posing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to economy and to the environment,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a range of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a lack of opportunities, and social conflicts. The poorer people pay a larger fraction of their income to procure energy and therefore their use of energy would be limited. This would have perverse impacts on their quality of life in the end. Also either low or high energy prices would result in inefficiencies in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public of Korea is the 10th largest in energy consumption and depends on petroleum for around half of energy consumption. Korea is also the 5th largest oil importing country which procures its oil supply abroad. Energy security is critical as energy supply could be vulnerable due to oil producing countries' resource nationalism. Oil industry should undergo restructuring to cope with intensified environmental regulations worldwide and to remain competitive. Korea has to develop a new policy securing stable oil supply, eliciting reasonable investment in oil refineries, promoting competitiveness of oil industry, building up environment-friendly oil industry, facilitating oil industry's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oil market, and restructuring economy for energy efficiency. Energy policy should not be subordinate to economy policy, but be an independent one. Korea needs to restructure energy laws in order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nergy policy. 에너지는 국가안보, 경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이며 빈곤, 삶의 기회박탈, 사회갈등 등 여러 사회문제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 빈곤한 계층일수록 소득에서 에너지를 얻는데 사용하는 비중이 클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에너지의 사용이 제한될 것 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다른 한편 에너지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아서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에서 비효율을 초래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의 에너지 소비국으로 에너지 사용량의 절반 정도를 석유에 의존하고 있고 석유공급을 거의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있는 세계 5위의 석유수입국이다. 최근 산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의 심화로 인하여 석유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에너지 안보의 문제를 안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석유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산업구조를 개편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석유산업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활로를 개척하기 위하여는 석유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석유정제시설에 합리적 투자를 하며, 석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경친화적인 석유산업을 육성하며, 석유산업의 해외 진출을 도모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경제구조를 확립하는 등의 석유정책이 필요하다. 에너지 정책은 경제정책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부여될 필요가 있고 또한 에너지 정책을 실효성 있게 집행할 수 있는 에너지법제의 체계적 정비가 필요하다.

      • 경기도 녹색일자리 실태 및 창출방안 연구

        강철구,전소영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2016년 6월 통계청 발표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률은 9.7%로 사상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심지어 체감 청년실업률은 34%로서 180만명이 실업 상태에 있다고 한다. 수출과 내수 경기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 질도 점점 악화되고 있다. 경제도 살리고 환경도 살리는 고용을 창출하는 환경정책이 어느때 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환경보호가 경제 및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아니라 디딤돌이 되고, 기후변화 완화와 환경보호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환경보호에 기여하면서 일자리도 창출하는 녹색일자리(Green Job) 정책은 이러한 정책개발 범주의 대표적 프로그램이다. 우리나라 경제 및 환경자원의 1/3이 집중되어 있는경기도 지역은 이러한 고용을 창출하는 환경정책 실현의 전진기지이다. 경기도는 민선6기에 온실가스 30% 감축 달성과 일자리 70만개 창출을 목표로 설정하여, 환경보호와 지역경제발전의 성과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기도 차원에서의 녹색산업과 녹색일자리 활성화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녹색일자리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화와 같은 녹색에너지산업 부문과 환경보호를 위해 재화⋅서비스⋅기술을 생산⋅제공하는 환경친화산업 부문에 종사하는 일자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에는 녹색일자리가 현재 약 58만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산업 53만명>산림자원 2만명>친환경농식품 14,000명>녹색기술지원 8,800명>녹색에너지산업 3,100명>지속가능한 관광 2,700명>그린수송 1,750명>그린건설 447명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광의적 개념과 분야별 구득가능한 통계가 더 추가되면 이 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다. 국내외 녹색일자리 우수 정책사례를 통해 볼 때, 녹색일자리 정책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주민 수용성 제고, 법률 및 조례 등 법적토대 마련, 이해당사자간 협력과 소통, 특정 녹색일자리 프로그램 별도 수립 및 집행, 녹색산업 육성의 선택과 집중기법 도입, 건전한 규제와 인증제도 활성화, 교육훈련 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성 산업의 집중 지원, 자연자원의 복구와 관광자원 관리 등을 추구할 때 성공적인 녹색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차원에서 녹색일자리 창출 확대를 위해서는 첫째, 지역중심 전개, 협력 파트너십 구축, 빈곤퇴치와 실업자를 위한 사회정책 역할 기능 수행, 교육훈련 프로그램 수반, 선택과 집중 등과 같은 녹색일자리 창출 원칙을 충실히 지키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둘째, 면적이 넓은 경기도 및 시⋅군의 국공유지 부지를 태양광과 풍력의 신재생에너지 단지로 집중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내 300개에 이르는 저수지 수면을 잘 활용하여 수상 태양광을 설치함으로써 분산형 에너지자립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태양광⋅풍력⋅바이오에너지⋅지열⋅에너지효율화⋅환경산업을 경기도형 특화 녹색일자리산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다섯째, 의정부시, 동두천시의 미군기지 이전적지를 신재생에너지산업단지로 중점 육성하도록 한다. 이전적지 중 아직까지 구체적인 개발계획이 없는 기지에 태양광⋅풍력⋅바이오⋅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전문으로 제조⋅생산하는 단지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기지 이전으로 인한 실직자와 주변 지역주민들을 일정한 교육훈련을 시킨 후 취업시키는 것을 우선 고려하도록 한다. 여섯째, 친환경농업인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수요 증대 차원에서 양주⋅양평⋅이천⋅가평⋅남양주⋅파주 등에 친환경농산물 직거래장터와 푸드코트, 공원과 정원, 체험농장, 주변관광을 서울권의 소비자들에게 1인 10색으로 제공하는 가칭 Farm’s Market Park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녹색일자리 추진체계 강화를 위해 경기일자리재단에 ‘녹색일자리팀’을 신설하여 대응하도록 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신재생에너지 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부경진,하윤희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2

        This study is to derive comprehensive support strategies for the Korean renewable energy industry to advance into overseas market and expand its market share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another export industrialization. Starting with market analysis of regions (Southeast Asia, Mideast/Central Asia, Africa, Latin America) and benchmarking the practices of major economies (EU, USA, Japan, China), we try to develop an effectiv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for domestic renewable energy industry.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the export capacity of domestic renewable energy industry, we grasp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enterprises, and capture the basic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for expanding renewable energy business at the global level. We developed a customized strategy for entering countries through SWOT analysis and finally came up with a region-specific strategy and business model.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시장 선점을 위해 마케팅(정보), 금융, 트렉레코드 확대 등 종합적인 지원 전략을 도출하고, 또한 국내 및 국제기구 및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국내 신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궁극적으로 수출산업화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권역별(동남 아, 중동/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로 신재생에너지 진출여건을 분석하였고, 또한 주요국(EU, 미국, 일본, 중국) 의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 해외진출전략 수립에 벤치마킹하고자 하였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수출역량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신재생에너 지 해외진출을 위한 정부정책의 기본방향을 모색하였다. SWOT 분석을 통해 진출대상국 맞춤형 전략을 개발하였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방안과 함께 마지막으로 지역별 맞춤형 수출전략 및 비즈니즈 모 델을 개발하고, 대정부 정책건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정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염미경(YEUM Mi-Gyeung) 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학 Vol.14 No.2

        이 논문은 그동안 추진된 신재생에너지정책을 보급정책 중심으로 평가해봄으로써 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그리고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받아 설비를 설치하는 지방보급사업 대상자와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받지만 에너지 수요자가 주체가 되어 설비를 설치하는 일반보급사업 대상자, 즉 보급 설비 사용자들의 설비 사용실태와 만족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면접조사표를 사용한 면접조사법에 의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발전차액지원제도(FIT) 하에서 추진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 확대사업에서 나타난 재정부족 등의 문제는 FIT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시설 수요자이자 사용자인 시민들에 대한 고려 없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에만 주력한 점, 발전사업자 당 한계용량을 제외시켜 발전차액보조금을 지원받으려는 발전사업자나 시공사들에게 발전설비를 무차별적으로 공급하도록 만든 점, 그리고 사후 관리가 미흡했던 점 등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와 정책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에너지의 수요자이자 설비 사용자로서 시민들이 설비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이 논문의 사례에서 어느 정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시설을 보급한다고 해도 설비 기기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이해 없이는 원래의 보급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2년부터 시행된 신재생에너지의무비율할당제도(RPS)는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이나 시민단체와 일반 시민들이 신재생에너지 생산자로서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축소시켜 버렸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energy policy directions of the Korea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strategy in focusing on users' utilization of the solar heating and photovoltaic systems. The paper was based on a survey with users' utilization on the solar heating and photovoltaic systems in Jejudo.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has been analyzed with SPSS. The survey was intended to study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solar heating and photovoltaic system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ndicates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the needs for some education on sources of renewable energy in advance, for the people who will be using the systems. The other result has also demonstrated how crucial it is to spread the 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renewable energy to the locals and government support for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still important. The study should be informed with correct knowledge on renewable energy and the government has to suggest and plan better policies. Such policies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tudy as they are trying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moreover,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on searching for better energy system and relevant policies that could benefit the whole as a society in a long-run.

      • KCI등재후보

        에너지신산업 교육 활동이 고등학생의 환경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철,김윤태,최성민,문민호,정진실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7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에너지신산업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에너지신산업 교육 활동이 고등학생의 환경 인식과 가치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에너지신산업 수업 프로그램은 ‘에너지와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신산업’, ‘에너지신산업과 진로’ 등의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8차시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에너지신산업 교육 활동이 고등학생의 환경 인식과 가치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 등 3개의 영역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A고등학교 2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에너지신산업 교육 활동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신산업 교육을 진로교육과 연계할 경우, 에너지 절약 의식 함양과 함께 정부정책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형성하였다. 셋째, 에너지신산업 교육 활동은 학생들의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이해도와 진로 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