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탁의 종료, 변경, 합병 및 분할

        안성포 법무부 200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8

        신탁은 비교적 장기간 존속하는 법률관계이다. 따라서 경제상황의 변화나 법제도의 개정 등에 의하여 신탁설정 시에는 합리적이었던 신탁조항이 불합리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처음부터 신탁의 존속 자체가 신탁의 설정목적에 반하게 되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탁을 변경하거나 종료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법무부의 「신탁법」 개정시안 중에서 신탁의 종료, 변경, 합병 및 분할에 대하여 해설한다. 법무부의 「신탁법」 개정시안에서는 신탁의 변경에 관한 일반규정과 신탁의 합병 및 분할 규정을 신설하고, 신탁의 변경과 종료를 동일한 환경에서 규율할 수 있도록 규정을 정비한다. 그 결과, 신탁의 변경이 보다 유연하게 행하여지도록 함과 동시에 위탁자, 수탁자 및 수익자의 이익을 적절히 확보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신탁의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법무부의 「신탁법」 개정시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신탁은 원칙적으로 위탁자, 수탁자 및 수익자 전원의 합의로 변경할 수 있다. 2. 신탁행위 당시에 예견하지 못한 특별한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는 위탁자, 수익자나 수탁자는 신탁의 변경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3. 신탁의 합병과 분할에 관한 규정을 신설한다. 4. 신탁의 종료사유를 법정하고, 위탁자와 수익자의 합의로 언제든지 신탁은 종료할 수 있다. 5. 신탁종료 후에 잔여재산은 잔여재산수익자 또는 귀속권리자에게 귀속한다. 6. 수탁자는 신탁종료 후 신탁의 계산을 하여야 한다. 7. 유한책임신탁의 청산절차를 의무화하고 있고, 일반 신탁에서는 신탁행위 또는 신탁 관계자의 합의에 따라 청산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A trust is a legal relationship to exist for a relatively long-time. Therefore, reasonable changes in the trust terms are sometimes need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m. This paper introduces the modification and the termination regulations from the Trust Act, drafted an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the draft, the regulations are developed and clarfied regarding the modification and the termination of the trust. Combination(merger) and division regulations are newly introduced. As a result, trusts are now subject to easy changes. The main contents of the draft are as follows: (1) A trust may be modified upon consent of the settlor, trustee and all beneficiaries(§ 98 ①). (2)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unanticipated at the time of the trust creation or settlement, the settlor, the beneficiaries or the trustee may request any change thereto before the court(§ 98 ③). (3) A trustee may combine two or more trusts into a single trust or divide a trust into two or more separate trusts(§§ 89-96). (4) When the cause originally provided in the deed of trust occurrs, or the purpose of the trust is accomplished or becomes unattainable, the trust shall be terminated(§ 97). (5) A trust may be terminated at any time upon the consent by the settlor and all the benificiaries(§ 98 ①). (6) The trust property is transferred to the beneficiary or any of the specified persons due to the termination of trust(§ 100 ①). (7) In case where the trust is terminated, the trustee shall perform the last accounts on the trust affairs, and obtain the approval of the beneficiary, the trust manager or the spicified owner(§ 102 ①).

      • KCI등재

        UNCITRAL의 담보권 입법지침과 우리나라의 동산·채권담보법제

        석광현 법무부 국제법무과 2009 통상법률 Vol.- No.88

        최근 법무부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법무부안")을 성안하여 2009년 7월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법무부안은 우리 민법상 동산과 채권에 대한 질권과,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양도담보권과 달리 점유를 수반하지 않고 등기에 의해 공시되는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담보등기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고 있다. 필자가 법무부안을 성안하는 과정에 참여하였음은 큰 보람이다. 여기에서는 2007년 12월 UNCITRAL에서 채택된 "담보권에 관한 입법지침"("입법지침")과 우리 담보법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논의한다. 이 글의 핵심은 입법지침과 우리 법의 차이점 및 우리 법에의 시사점(Ⅴ.)에 있다. 여기에서 필자는 담보권의 종류와 내용, 담보권설정자, 담보목적물, 담보권의 공시방법, 담보권의 우선권,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와 대금, 담보권의 실행, 취득금융을 위한 담보권의 특별취급과 도산법제와 담보법제의 공조라는 논점에 관하여 우리가 지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법무부안에 대하여도 간단한 논평을 한다. 법무부안의 가장 큰 혁신은 한국법상 처음으로 통상의 동산 및 채권담보의 공시방법으로서 새로운 등기제도를 도입하는 데 있다. 다만 이 점에서는 법무부에 앞서 법원행정처가 2007년 10월 채택한 "동산 및 채권의 양도등기에 관한 법률안"("법원안")도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양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법원안은 동산등기에 동산을 인도한 것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는데 이는 등기를 민법상 허용되는 기존 공시방법에 추가하여 새로운 공시방법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반면에 법부부안은 등기라는 새로운 공시방법을 도입함과 아울러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등기담보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법무부안을 선호한다. 필자는 한국도 장래에는 미국식의 포괄적인 통일적 담보권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법무부안은 과도기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의 양도에 관하여 법무부안은 담보권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완전한 양도에는 적용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다. 즉 복수채권의 양도를 통한 금융거래의 경우 양도등기부에 등기함으로써 채권양도의 제3자에 대한 대항요건을 구비하는 것은 법원안에서는 가능하나 법무부안에서는 불가능하다. 남은 기간 동안에 법무부안이 좀 더 다듬어져서 가까운 장래에 국회를 통과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 has prepared a draft of the "Act on Security Interest on Movables and Receivables, etc."("MOJ Draft"" and held in July 2009 a public hearing on the draft statute to solicit comments thereon. The MOJ Draft purports to create a non-possessory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which is quite new to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that the security right will be made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by registration in the security registry to be newly introduced. It was my great pleasure and honor to participate in the drafting of the MOJ Draft as a member of the relevant committee.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Guide") which was adopted by UNCITRAL in December 2007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on movables and receivables and discusses the lessons we can draw from the Guide to improve the current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comparing the Guide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emphasis is laid in particular on the types of security right, grantor, secured assets, publicity requirement and priority of security right, enforcement of security right, special treatment of security right for acquisition financing and harmony between insolvency law regime and security law regime. The author also makes several comments on the MOJ Draft.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of the MOJ Draft is to introduce a new registration regime as a publicity requirement of security right on ordinary movables and receivables under Korean law. In this respect the draft of the "Act on Registration of Transfer of Movables and Receivables" prepared by the Office of Administrat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07("Court Draft") is same as the MOJ Draft. However the MOJ Draft is different from the Court Draft in the below-described respect. Under the Court Draft, registration of movables has the same effect as delivery of the movables. In other words, the Court Draft will introduce the registration as a new publicity metho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s under the Korean Civil Code. Under the MOJ Draft, registration will also be introduced as a new publicity method. However, the MOJ Draft goes one step further and aims to create a new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For this reason, I prefer the MOJ Draft. The author believes that Korea will need to consider introducing in the future a uniform comprehensive security right as under the Uniform Commercial Code. From that perspective, the MOJ Draft could provide a transition stage for the future. However, the MOJ Draft has a weak point as well as compared with the Court Draft. The Court Draft enables the assignor of several receivables to make the assignment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thorough a single registration in the new registry, which is not possible under the MOJ Draft because the latter deals with security rights only. I hope that the MOJ Draft will be further refined and will pass the National Parliamen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북한주민의 재산관리 종료 절차에 대한 논의

        이은정 법무부 2022 統一과 法律 Vol.- No.49

        This article discusses a plan to establish a termination procedure of property management in South Korea for North Koreans. This is one of the issues pointed out as problems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ecial Cases Act) as there is a need for procedures to terminate property management, such as when the property to be managed no longer exists, or when the North Koreans themselves can manage it.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Cases Act, the ‘Property Management System for Absentees’ became the standard, but under the Special Cases Ac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operty management system for absentees in terms of the legislative purpose and content. The property management system under the Special Cases Act was established to protect the rights 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interested persons through proper management, as well as to “restrict the export of inherited property to North Korea.” The court’s involvement in property management is very formal or limited, and the Ministry of Justice, an administrative agency, manages and supervises property managers. The property management termination procedure must conform to the system under the Special Cases Act. The appropriate cases for the termination of property management are the cases when free communication or the termination of division allows a North Korean to manage his/her own property or when property manager has no obligation to continue his/her duty because there is no remaining property to be managed or because of the other reasons. As for the termination method,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notify the court after receiving a report on the termination of property management, so that the court cancels the appointment. The problem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an administrative agency, makes decision on the termination can be mitigated by seeking advice and review from a professional committee. The reporter to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be a property owner oneself, a property manager, a property stakeholder, or a prosecutor. 이 글은 북한주민의 남한 내 재산관리의 종료 절차 신설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관리할 재산이 소멸하는 등 재산관리가 필요 없게 된 경우나 북한주민 본인이 관리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등에 재산관리를 종료할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남북가족특례법 제정 논의 과정에서는 ‘부재자의 재산관리제도’가 그 기준이 되었으나, 특례법상 재산관리는 그 입법목적이나 내용 면에서 부재자의 재산관리제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례법상의 재산관리제도는 적정한 관리를 통하여 북한주민과 이해관계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목적과 함께 ‘북한으로의 상속재산 반출 제한’이라는 목적을 위하여 제정되었으며, 재산관리에 대한 법원의 관여는 극히 형식적이거나 제한적이며, 행정기관인 법무부가 재산관리인을 관리·감독한다. 재산관리 종료 절차는 이와 같은 특례법상의 체계에 부합하여야 한다. 재산관리 종료 사유는 ‘자유로운 왕래·분단의 종료 등으로 북한주민이 스스로 그 재산을 관리하게 된 경우, 관리대상 재산이 더 이상 남아 있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재산관리인이 임무를 계속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가 타당하다. ‘북한주민의 사망’은 일반 부재자의 재산관리와는 달리 재산관리 종료 사유에서 제외하여야 할 것이다. 상속재산 관리의 공백을 없애고 절차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는 북한주민이 사망하더라도 기존 상속재산관리인이 계속 관리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종료 방식은 법무부가 재산관리 종료 신고를 받은 후 법원에 통보하여 법원이 선임을 취소하는 방안이 적절하다. 특례법상의 재산관리제도는 그 입법목적 때문에 법무부가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면 법무부가 종료 사유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 판단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법무부 내에 관련 사실관계의 조사를 위해 별도로 ‘전문적인 위원회’를 두고 이 위원회에서 관련 사항을 심의·자문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신고인은 북한주민 본인, 재산관리인, 이해관계인, 검사가 타당하다. 각 사안에 따라 ‘이해관계 여부’를 판단하면 충분하고 친족이라는 사실만으로 당연히 이해관계인이 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친족’을 청구권자로 명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KCI등재

        남북가족특례법의 쟁점과재산관리인의 권한

        김영규 법무부 2022 統一과 法律 Vol.- No.51

        This thesis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Act on Special Cases for Inter-Korean Families (the Act on Sepce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regarding the authority and duty of care and due diligence of legal property managers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property in South Korea, and suggests the device on revision. Regarding Article 18 of the Act on Special Cases, ‘authority of legal property managers,’ the scope of an agent’s authority (Articles 118 and 25 of the South Korea’s Civil Code) should be reviewed and legislative supplements should be prepared. This paper proposes to stipulate that all acts of making and acts of improving other than preservation activities should be subject to permission from the Minister of Justice as an amendment to Article 18 of the Act on Special Cases. Another amendment is to establish specific instances of “acts not exceeding authority” as a new paragraph (3) under Article 18 of the current Act on Special Cases. Article 14 of the Act on Special Cases requires ‘duty of care and due diligence’ from property managers, but in reality, there are frequent cases of property managers violating this law, so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s needed. It is proposed to exemplify legal acts that violate the duty of care and due diligence and to provide for the prohibition of such legal acts in Article 14 of the Act on Special Cases. It is also proposed to establish a new regulation that compels the property manager to inform the other party in transactions of the contents of the registration ledger. 본 논문은 남북가족특례법의 여러 쟁점을 검토하고, 특히 특례법 제18조와 제14조에서 규정하는 북한주민의 남한 내 재산을 관리하는 재산관리인의 권한과 주의의무에 대한 현행법의 문제점 및 그 개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남북가족특례법 제18조는 ‘재산관리인의 권한’에 있어서, 재산관리인이 북한주민의 취득재산에 대해서 우리 민법 제118조에서 규정한 권한을 넘는 행위를 하는 때에는 사전에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특례법 제18조를 이해함에 있어서는 우리 민법 제118조 및 제25조에서 규정하는 대리권의 범위 및 재산관리인의 권한에 대한 쟁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입법적 보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른 특례법 제18조의 개정방안 제1안으로는, 보존행위를 제외한 이용행위와 개량행위 전체를 처분행위와 같이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특례규정을 두도록 제안한다. 개정방안 제2안으로는, 현행 특례법 제18조에 제3항을 신설하여 대통령령이나 법무부령으로 권한을 초과하지 않는 행위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사전허가의 대상이 아님을 명확히 하고, 또한 초과 여부가 불명확한 행위를 심의할 위원회를 법무부 안에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특례법 제14조는 북한주민의 재산관리인에게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요구하고 있는데, 실제 재산관리인이 남한주민과 통모하여 무단으로 재산을 관리하는 등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할 입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른 특례법 제14조의 개정방안으로는, 북한주민의 취득재산에 대해서 재산관리인이 공동상속인 등의 남한주민과 북한주민의 재산을 임의로 사용하는 행위와 같이 선관주의의무(특례법 제14조)에 위반한 법률행위가 무엇인지 예시함과 동시에 이를 금지하는 규정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재산관리인에게 특례법 제21조에 의하여 등록된 등록대장의 내용을 거래의 상대방에게 알리도록 하는 고지의무를 강제하는 규정을 특례법 제14조에 둘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재산업진흥법에 대한 평가 및 국제중재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제언

        오현석 법무부 202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3

        As our companies’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were resolved through international arbitration abroad, a large legal service deficit occurred every year, and the cost of resolving disputes was also a big burden on our compan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Community began efforts to emerge as an Asian International Arbitration Hub, and the Ministry of Justice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Arbitration Industry’ and the ‘Basic Plan for Arbitration Industry Promotion(Hereinafter, ‘Basic Plan’).’ However, as the first Basic Plan implementation project is being completed, it is being severely evaluated that our international arbitration capabilities have rather degenerated, and the driving force of related policies and projects has been lost.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start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Basic Plan, it can be said that a cool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 existing deficient performances and analysis of the cause are essential. The reason for the deficient performance of the first Basic Plan is the ineffective financial support of the Ministry of Justice. It was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results because only the project cost was supported without practical support for labor costs. Another cause may be that all business consignment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industry was concentrated on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Hereinafter, ‘KCAB’), and the KCAB did not show sufficient capabilities. In addition, continuous attention in the progress of the project and lack of monitoring can also be pointed out as the cause of failure. Therefore, the second Basic Plan to be newly promoted requires improvement on these problems and limitations. Specifically, the Basic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committee in which various fields participate, and the progress should be checked through regular fact-finding surveys. In addition, a method of distributing and entrusting projects monopolized by the KCAB to institutions with expertise in the project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in order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institution, a new international arbitration institution separated and independent from the KCAB should be established, and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attract international arbitration cases. Through this series of plans and policies, we will once again be able to dream of the emergence of an international arbitration hub. 우리 기업들의 국제상사분쟁이 해외에서 국제중재를 통해 해결됨으로 인해 매년 큰 폭의 법률서비스 적자가 발생하였고, 분쟁해결을 위한 비용 역시 우리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되었다. 이에 국제중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서울을 아시아 국제중재 허브로 부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법무부가 여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중재산업진흥법’과 이에 따른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제1차 기본계획이 마무리되어 가는 현재 우리의 국제중재 역량을 오히려 퇴보하였다는 혹독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관련 정책 및 사업들의 추진동력이 사실상 상실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차 기본계획의 수립을 시작해야 하는 현재 시점에서 기존 부진했던 실적들에 대한 냉철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제1차 기본계획 추진 실적이 부진한 원인으로는 우선 법무부의 실효적이지 못한 재정적 지원을 들 수 있다. 인건비 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없이 사업비만을 지원하다 보니 충분한 성과를 얻기 어려웠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국제중재산업 진흥을 위한 모든 사업 위탁이 상사중재원에 집중되었고, 상사중재원이 충분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부분 역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업추진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 부재 역시 패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추진되는 제2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러한 문제와 한계들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각계가 참여하는 독립적인 위원회 구성을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추진상황을 점검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 특정 기관이 독점했었던 사업들을 해당 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기관들에게 분산 위탁하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중재기관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기존 상사중재원으로부터 분리·독립된 새로운 국제중재기관을 설립하고, 동 기관에 대한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국제중재사건 유치를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계획과 정책의 추진을 통해 국제중재 중심지로의 부상을 다시 한번 꿈꿀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08년 한국 상법개정안상 기업구조조정 제도의 변화

        김순석 法務部 商事法務課 2010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52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n Government launched Special Committee for Korean Commercial Code revision project in order to provide for a better legal environment for Korean enterprises in July 2005. It held the first public hearing in July 2006 and announced its first Draft in October 2006, however, it was not completed. The MOJ prepared the second Draft in September 2007, and the third Draft in May 2008. This article deals with corporate restructuring system of the third Draft. The KCC is composed of five parts, which are General Principles, Corporate Action, Corporation, Insurance, Maritime Transportation. The third Draft covers General Principle, Corporate Action and Corporation Parts. Regrading General Principles and Corporate Action Parts, 11 articles were scheduled to be amended among 171 current articles, which amended 6.4% of current articles. Regrading Corporation Parts, 226 articles are scheduled to be amended among 575 current articles, which will amend 39.3% of current articles. The 2008 Revision puts an emphasis on Buyer's Side of M&A and introduces some Defensive Measures of M&A such as Warrant, Various Class Stocks, Liberalization of Stock Repurchase. Major Changes of 2008 Revision regarding M&A Buyer's Sid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Deregulation of Merger Consideration, Freeze-out of Minority Shareholder by Controlling Shareholder, the Acceleration of Exchange Tender Offer through the Deregulation of Contribution in Kind, the Deregulation of Small Sized Business Acquisition. Major Changes of the 2008 Revision regarding defensive measures of target corpo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Warrant, Class Stock, Stock Repurchase, Pre-disclosure for the Allocation of Newly Issued Stock to the third Party. The Korean domestic corporation’s requests to streamline corporate regulation and to emphasize post monitoring rather than pre regulation for better business environment. Even though the 2008 Revision introduces various systems in order to accelerate equity financing and to facilitate corporate restructuring, it appears that supplemental measures should also be adopted continuously. For example, the provision on the freeze-out of minority shareholders by controlling shareholder does not stipulate legitimate compensations including control premium for minority shareholders. Also, the introduction of super majority voting requirement for bust up M&A needs to be reviewed. In addition, a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ight of defense against hostile M&A is included within the power of director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expressly. Also, as defense measures against hostile M&A become strengthened, certain guideline shall be established to prevent the abuse of such measures. 법무부가 보다 나은 기업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 아래 2005년부터 본격화한 상법 회사편의 개정작업이 벌써 6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2006년부터 입법예고되기 시작한 법무부의 회사편에 관한 상법개정안은 아직 개정작업이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2008년 5월 7일 "상법 일부개정 법률안"(법무부공고 제2008-47호)으로 입법예고되어 현재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2008년 상법 개정안 가운데 총칙ㆍ상행위편은 2010년 5월 14일 개정되었다. 회사편의 경우 2009년 2월 5월에n걸차 2차례 개정이 있었으나 아직 대부분의 조항을 검토 중이다. 상법개정안은 기업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매수의 원활화에 비중을 두고 있다. 즉, 대상회사 주식의 현물출자에 대한 가액의 평가규제 완화함으로써 교환공개매수의 방해요인 제거하였다. 또한 다른 회사의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수하는 경우 양수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주주총회 특별결의 절차를 면제하였다. 현금교부합병을 허용하여 합병대가를 존속회사 또는 신설회사의 신주 이외에도 현금 기타 재산으로 유연화하였다. 또한 합병대가로 모회사의 주식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각합병을 허용하였다. 또한 95% 이상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지배주주가 소수파주주를 퇴출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방어 촉진책으로서는 종류주식을 다양화하여 방어적 주식제도의 도입하였으며, 자기주식의 취득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였다. 특히 영미법상 warrant에 해당하는 신주인수선택권 제도를 도입하여 사전경고형 포이즌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법개정안은 자금조달을 원활화하고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앞으로도 계속 제도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도입된 소수주식의 전부취득제의 경우 소수주주에게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포함한 정당한 보상문제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다. 공개매수에서 부분매수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현실에서는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파탄적 M&A를 超多數決議要件을 도입하는 문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이외에도 이사회의 권한범위에 적대적 M&A에 대한 방어권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으나 이를 명문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방어수단이 강화됨에 따라 방어수단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복합운송규정의 입법상 주요 쟁점 - 복합운송인의 책임관계를 중심으로 -

        박재홍 법무부 2010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52

        It is said that there came 'the era of the multimodal transportation' as a through transport system from door to door by a container. The mode of multimodal transport system has become dominant in our distribution industr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rules for a multimodal transportation are not organized and systematic in Korean legal system. For example, the regulation of multimodal transport which is based on FIATA B/L(or KIFFA B/L) as a multimodal transport document may not be considered stable or complete because some of the terms of FIATA B/L(or KIFFA B/L) may be found to be in contravention of the mandatory domestic laws or international conventions by local courts. On the August 3, 2007, the Ministry of Justice amended just one article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which made a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included in the Maritime Law section as the Korean Commercial Code Book Ⅴ. (The writer thinks it is a meaningful legal event as first step for legislation of multimodal transportation.)Unfortunately, it was insufficient to deal with the legal issues involving a multimodal transportation. These points have also been big issues in business and academic sectors,such as KIFFA and Korea Maritime Law Association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a good news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is recently working to amend an Act on the Multimodal Transportation. In the legislation of the multimodal transportation, a significant legal issue is how to provide legislative model, legal concept related to multimodal transportation and liability of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This article herein explains these points, especially, the concepts for multimodal transportation and the contract of the multimodal transportation in the legal part, and then deals with the liability regime and limitation of liability of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under the 'network liability system' or 'modified network liability system'. The writer expects that it is legislated as soon as possible because this bill will be contributed to make the multimodal transport industry stable and developed. 현대 물류산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문전간(door to door) 일관운송시스템’으로 대변되는복합운송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복합운송에 관한 우리 법제도의 현주소는 물류산업의기반을 유지하고 견인할 만한 법적 인프라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중평(衆評)이다. 복합운송에 관한 대표적인 법규는 공법 분야의 「물류정책기본법」과 사법 분야의 「상법」제816조를 들 수 있다. 특히, 운송사법 영역에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복합운송 법률관계를규율하는데 「상법」 1개 규정만으로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으며, 복합운송 현장에서도 국제조약 등을 모델로 하여 운송인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보통약관에만 의존하고있는 실정이어서 구체적인 화물손해사고에 관한 법적 분쟁을 신속하게 해결할 국내법적근거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하겠다. 따라서 복합운송에 대한 입법의 당위성은 화주와 운송인 사이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해 줄 것을 현실에서 요청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선도적인국내 복합운송법제의 마련은 물류서비스 산업의 선진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국가전략의 수행에 있어서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중요한 초석을 놓는다는 점에서도 의미가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복합운송규정을 상법에 마련하기 위한 법무부의 개정작업은 환영할만한 일이라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복합운송규정의 입법에서 있어서 고려해야 할 주요 쟁점을 복합운송인의책임관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신탁법」상 수탁자의 의무와 권한

        이연갑 법무부 200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8

        최근 법무부의 주도로 「신탁법」 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현행 「신탁법」의 규정 중 수탁자의 의무 및 권한에 관련하여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탁자의 선관주의의무는 임의규정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충실의무에 관한 일반적·추상적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셋째, 충실의무 중 이익상반금지행위에 관한 규정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현행 「신탁법」은 신탁재산을 고유재산으로 하는 행위와 신탁재산에 대하여 권리를 취득하는 행위를 구별하여 정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별에는 합리적인 근거가 없다. 넷째, 수탁자의 의무위반에 대한 구제방법으로서, 유지 명령제도와 이익반환제도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신탁재산이 신탁위반으로 처분된 경우 수익자가 그 재산을 신탁재산으로 반환시킬 수 있는 제도를 합리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현행 「신탁법」은 공시할 수 있는 재산과 그렇지 않은 재산을 구별하여 정하고 있으나, 어느 경우이든 악의 또는 중과실의 요건만으로 거래안전을 도모하면 충분하다. 여섯째, 수탁자의 보수청구권과 비용상환청구권의 우선변제권에 관해 규정을 두어야 한다. 보수와 비용상환청구권을 구분하여, 보수청구권에 대해서는 우선권을 주지 않고, 비용상환청구권에 대해서만 우선권을 주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비용상환청구권의 우선권은 질권 또는 저당권과 같은 순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Korean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working on a revision of the Trust Code. This Code has been in force for more than 4 decades in its original form(with minor revisions). Its model is the Japanese Trust Code, which was made in 1920s based on the Anglo-American trust law of the 19th centuries. Therefore, Korean Trust Code has been criticized as outdated and ineffective to deal with modern economic environment. In this article, which was prepared for the revision hearing in September 25, 2009, the author explains some issues regarding the duties and rights of the trustees. Some of the provisions of the Trust Code need to be revised. First, the duty of care, which is one of the basic duties of the trustee, should be a default rule. Second, we need to formulate a provision about the duty of loyalty. Third, the provisions on the "no conflict rule" need to be repaired. Forth, we could make the injunctions available for the beneficiaries to prevent any breach of trust occurring. Fifth, as a powerful remedy for the breach of trust, provisions regarding the disgorgement of secret profits need to be installed as well. Sixth, we need to make priority rules about the compensation and renumeration of expenses. Preparing for the 21th century in trust lawyer's perspective, we need to make the Trust Code not only more efficient, but also more coherent with principles of Korean law. However, some scholars and practitioners want the Trust Code to be more effective vehicle to financial needs. Although the author recognizes the necessity of adaptation to the changed economic reality, he points out that much work has to be done before jumping on the revision t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