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박희경 ( Hee Kyung Park ),최진영 ( Jin Young Choi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개선 방향 논의

        조상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ored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and compared the approaches to cross-curricular learning of major nations and Korea. Through this, the researcher presents specific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in Korea, whi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ross-curricular learning can be understood as a new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chooling, 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ncompasses various subjects through cross-disciplinary approaches, and as contextual curriculum contents that encompasses meaningful themes for sustainable lives of students. Next, approaches of major nations to cross-curricular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 guidelines are minimized and essential information for schools are systematically supported and guided. Second, major countries emphasize empowerment of locals and schools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hird, major nations have a small number of national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Finland, in particular, doesn't have. Finally, th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Second, cross-curricular learning is not only new curriculum contents but also new methods of instruction. Third, teacher’s curriculum authority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And fourth,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clearly defined at the level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ssential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이 연구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탐색하고 외국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비교한 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범교과 학습이란 첫째, 기존 분과적 접근의 학교 교육의 한계를 범교과적 접근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서 둘째, 다양한 교과 및 영역을 넘나들고 가로지르며 폭넓게 관련지어 이들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 방법이자 셋째,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이자 시민으로서 학생이 지속가능한 바람직한 삶을 맥락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주제를 포괄하는 교육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탐색한 각 나라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은 첫째, 국가수준에서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주제와 관련한 지침은 최소화하는 대신 단위 학교의 범교과 학습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지원 및 안내하고 있었다. 둘째, 각 나라들은 범교과 학습과 관련하여 각 나라 특유의 방식으로 지역 및 학교의 자율적 계획 및 실행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숫자가 그렇게 많지 않았고 특히 핀란드는 국가 수준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구체적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교육에 대한 국가ㆍ사회적 요구가 곧 범교과 학습 주제가 되는 관행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둘째, 새로운 교육 내용이자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서 범교과 학습의 의의와 가치를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범교과 학습 주제(교육 내용)와 교육 방법에 대한 단위학교 및 교사의 결정권과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넷째, 국가 수준에서 범교과 학습을 명확히 규정하고 그 계획 및 실행과 관련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을 통한 범교과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안

        안운호(An, Wun 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이 연구는 고등학교 범교과 학습에서 역사 교과의 위상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범교과 학습은 교육과정 상에 분절된 교과 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과의 영역을 넘나드는 폭넓은 교육 활동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범교과 학습은 주제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현실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보고 이를 통하여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공동체의 삶에 관한 주제를 심도깊게 다루어 볼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에 있어 유용한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현재 2015 개정 개정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은 체계적 운영을 위해 10개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목이 서로 연계하여 학습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위학교에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범교과 학습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역사과 교육활동은 범교과 학습에 대한 참여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물론 그 이유는 학교 현장에서 범교과 학습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지 않은 점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역사과 교육과정이 범교과 학습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는 인식과 함께 범교과 학습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진 점에도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는 역사과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범교과 학습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역사과 교육과정 상의 범교과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and activation of history courses in high school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learning means conduc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activities across the curriculum to overcome limitations between subjects divided in the curriculum. Cross-curricular learning is also a useful learning method that can help students solve problems they encounter in real life, improve their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nd improv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In this regard, cross-curricular learning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llows various subjects to conduct learning activities in conjunction with 10 topics for systematic operation and actively encourages the use of them. However,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is increas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ross-curricular learning in history textbooks are not actively progressing. Thus, pan-textbook learning might not be actively promoted in the school fiel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various topic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along with the perception that history textbook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opic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herefore, in this work, we would like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cross-curricular learning in existing history subjects and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how to apply history subjects in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김은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4

        학교 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의 다양한 요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우리나라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를 통해 반영된다.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10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각 교과의 내용에 맞게 반영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음악 교과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반영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현황과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범교과 학습의 개념을 정립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폈다. 둘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반영된 범교과 학습 주제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반영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현황에서 인성 교육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경제‧금융 교육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범교과 학습 주제의 반영 유형은 크게 제재곡 반영 유형과 학습활동 반영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음악 교과서가 포함하는 다양한 악곡과 학습활동이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와 조화를 이루어 제시되어 있었다. 향후 음악 교육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구현을 위하여서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과 범위, 음악 교과 교육의 방향에 적합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 주제별로 적합한 제재곡 발굴과 학습활동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강현석(Kang. HyeonSuk),전호재(Jeon. Ho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 큰 압력으로 작용해오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등장한 이후 범교과 학습 주제는 양적 측면에서 엄청난 팽창을 하여 2009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39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범교과학습 주제의 교육에서 당초 의도한 목적에 맞게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더 큰 문제는 교사의 수업과 학습자의 학습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의 배 경에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의 반영 과정에서 그 교육적 가치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교육과정 운영을 어렵게 하는 이유와 그 모습들을 살펴보고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한다. 이어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대안으로 제 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빠르게 변화하는 국가·사회적 요구의 수용 모델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범교과 학습 주제의 정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ion of curricula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national social needs. The national social needs consist of what is worth being learned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cross-curricular subjects were designed to reflect those need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have not been working well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since they were introduced. The curricula revised in 2009 hav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They caused many problems in curriculum practice because there were too many things to do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thes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sharing similar purposes and contents give rise to unnecessary duplication problems. Expecting the number of cross-curricular subjects, there was no proper curriculum revision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quires into varied reasons and phenomena of the current curriculum revision system in the view of schools and classes. Base on revealed reasons, we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subjects. Some preceding studies helped us to explore various valid statuses of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statuses show some examples of new national curriculum. By synthesizing thes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 new cross-curricular subject organiz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5 steps: positioning the cross-curricular subject; rearranging cross-curricular subjects; verifying new needs; deciding presentation methods; and embodying. This new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can be applied continuously to deal with national and social need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수학 검정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현황 분석

        김남균,오민영,김수지,김영진,이윤기 한국수학교육학회 2024 수학교육논문집 Vol.38 No.1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범교과 학습이 강조되며, 범교과 학습 주제와 교과를 연계할 필요성이 증가하고있다. 그러나 수학과에서 범교과 학습을 어떻게 다뤄야하는지에 관한연구는 거의없다. 본 연구에서는교과별 교육과정과 수학과 교과서에 적용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내용과 방법을 문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별 교육과정을적용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다양성, 주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유무에 따라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때 수학과교육과정은 일부범교과학습주제가소극적으로다뤄지고주된주제가없는유형에속하였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수학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달리 교과서에는 다양한 범교과 학습주제가 적용되어 있었고 이중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 안전·건강 교육, 진로 교육, 인성 교육, 경제·금융 교육 순으로 주를이뤘다. 또한 수학 교과서에는 범교과 학습 주제가소재, 발문, 설명, 자료, 삽화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반영되어 있었는데, 주로 소재나 삽화로 나타난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수학교과서에는 범교과학습 주제가주로 도입차시, 본 차시의 도입 활동, 특화 차시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 범교과 학습 주제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제시하였다. In order to prepare for changes in future society, cross-curricular learning is emphasized, and the need to link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nd subjects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how to deal with cross-curricular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subject-specific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iculum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ppli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in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 and the mathematics curriculum belongs to the type where som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re dealt with passively and there is no main topic.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10 math textbooks for grades 5 and 6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howed that, unlike the curriculum, variou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were applied in the textbooks, mainly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are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economic and financial education. In addi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ppeared in various types such as materials, questions, explanations, illustrations, and in many cases, they appeared mainly as materials or illust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explored and suggested on how to integrate and apply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mathematics.

      • KCI등재

        역량중심교육관점 범교과학습주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범교과 학습주제 교육 내용을 2022 개정교육과정의 주요 구성 원리인 '역량중심교육관점'에 기반하여 체계화할 것을 제안하고, 이 체계화 과정이 도덕교육적으로 갖는 의의와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교육과정상 진술된 범교과 학습주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제한점을 분석하고 그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2022개정 교육과정의 선행 연구가 된 OECD Education2030 역량 관점의 세 가지 특성을 밝혀, 범교과 학습주제를 역량의 세 측면으로 진술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도덕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밝히고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이 도덕교육적으로어떤 의의를 갖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범교과 학습주제는 그 특성상 가치 ⋅ 태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도덕과 교육 내용과 유사도가 높은 주제들을 다루기 때문에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량중심 진술 방식의 세 측면이 각 범교과 학습주제 역량을 연구하는 것에 참고가 된다. 결론 역량중심교육관점으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은 범교과 교육과정의 체계성을 강화하고 현장 적합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도덕과는 학교 가치 ⋅ 태도 교육의 중핵 교과이기에 범교과 학습주제의 체계성 강화와 더불어 도덕과 교과 기능과 학습자 주체성을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was importa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task it leaves behind in mor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it was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ated in the curriculum and to supplement those limitations. In addi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OECD Education 2030, which is the ba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were revealed, and concrete measures were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Finally, it was intended to reveal how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re related to moral education and to show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Result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can be stated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by referring to the competency-based statement method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because they include many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Conclusion: Stat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systematicity of the cross-curricular curriculum. In addition, since morality is a core subject of school value and attitude educat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ystem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rengthen morality and subject functions, and restore learner identit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양윤정(Yang,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in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everal theme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curriculums and execu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on each school curriculums.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and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explains the high concentration rates of each cross-curricular themes on reflecti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each school curriculum. As the subject, there are most high hour rates of moral course but reflected several cross-curricular themes of korean course. The cross-curricular themes of the special course including safety education courses of the school curriculum is assign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activity course.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on implication deductions for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the analysis of the study.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에 앞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인천 소재 초등학교 10개교의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부 고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외 에도 그 외 학습 주제가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학습 주제의 재구성이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별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한 사항으로는 교과에 따라 개별 범교과 학습 주제의 편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해당 교과 학습 내용과 범교과 학습 주제 간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도덕 교과에 가장 많은 시수를 반영하였으나 주제별로는 국어 교과에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하였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로 안전교 육 외 각 학교에서 학교특색 또는 중점사업으로 선정한 범교과 학습 주제 관련 시수를 다수 반영하였으며, 특히 자율활동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에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학습동기가 학업성적과 범교과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제이(Park, Je I),장수명(Jang, Soomyung),신희경(Shin, Heekyung)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습동기가 현재 학교에서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 주로 초점을 둔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는 한편,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모두 포괄하 면서 평생학습역량을 보는 ‘범교과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교육역량 강화의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경기도 3개 지역 69개 중학교 학생 4,54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의집중’, ‘통제동기’, ‘통제기대’는 학업성적과 범교과학습역량을 모두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동기이며 배움에 대한 효능감 기 대인 ‘통제기대’는 특히 범교과학습역량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낮은 자기결정성을 갖는 외재적 동기이자 남과의 비교와 외부보상에 초점을 두는 학습동기인 ‘수행접근목표지향’은 학생들의 학업성적을 유의하게 향상시키지만 범교과학습역량을 유의하게 약화시키는 것으로 드 러났다. 학교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운에 귀인하는 수단목표신념(운)은 학업성적과 범교과학습역 량을 모두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포기성향은 학업성적을 유의하게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효능감을 기초로 한 학생들의 자아신념이 학업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요 소이며 경쟁중심의 학습동기는 장기적인 배움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끊임없는 변화와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에서 학생들의 지속적인 배움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낮은 자기결정성을 갖는 수행접근목표지향의 교육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 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on the academic records, which assess students’ cognitive ability measured by school level tests, and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e which includes both the assessment of students’ 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 one as th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We analyzed 4,541 students from 69 middle schools in the three districts of Gyeonggi province in Korea during 2013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fundamental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e are the attention ability, the control motivation, and the control expectancy. Especially, the control expectancy, which is self-efficacy expectancy to the learning, had strong effect on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e. Second,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which is extrinsic motivation characterized by low self-determination, comparing to the others and external rewards, significantly improves the academic records, bu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e. Third, the means and beliefs(luck), which attribute academical success and failure to luck, decrease both of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e significantly, while proclivity to give in decreases the former on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fficacy based self-related belief is an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and records and rewards centered learning motivation debilitates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In the world of continuous technological innovation, current education practices which is based on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should move to more learning-approach goal for the students’ sustainable learning competency.

      • KCI등재

        범교과 학습에 대한 교육 전문가 및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미숙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vitaliz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professional opinions of 20 educational specialists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Educational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were principals at elementary schools and a high school, vice-principals at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professors majoring in curriculum studies and subject-matter education, etc. A survey of 622 teachers at 311 schools was performed and analyzed thoroughly. The numbers of cross-curricular themes have increased consistently up to 38 item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guidelines of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on the basis of fundamental discussions of the inclusive values and necessities of each learner rather than the reflections of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I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hat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prior neces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career education, sex education, safety education, etc. in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the autonomy of teachers to construct their own plan of instru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teach cross-curricular themes across related subject matter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범교과 학습의 쟁점 및 문제점,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해 교육 전문가들과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범교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확보하였고 초 · 중등학교 교사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일반화 가능한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내용은 현재의 내용보다 포괄성 있는 학습 내용 중심으로 정련되어야 한다. 여러 교과 영역을 가로지르면서 주제를 전개할 것을 본질적 특성으로 하는 범교과 학습이 보다 의미 있게 실천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범교과 학습 내용 중 지나치게 세부적인 내용은 보다 포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 내용에 통합시키거나 교과 교육 내용에 포함시키는 방안 등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내용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내용인가’라는 물음에 비추어 정련되어야 한다. 전국의 초 · 중등학교 교사 대상으로 범교과 학습 내용의 교육적 적합성 판단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이라고 보는지를 조사한 결과, 학습자에게 필요하고 요구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교사들은 인성 교육과 민주 시민 교육, 환경 교육, 진로 교육, 성 교육, 안전 교육의 순으로 그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