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부 외상을 동반한 골절 환자의 혈청에서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와 Osteoprotegerin의 변화

        박신영 ( Shin Young Park ),서근택 ( Kuen Tak Suh ),류창훈 ( Chang Hoon Ryu ),우승훈 ( Seung Hun Woo ),이정섭 ( Jung Sub Lee ),김성장 ( Seong G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RANKL과 OPG는 골의 재형성에 있어 파골기전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며, 골절의 치유 과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두부 외상을 동반한 골절 환자군과 골절 환자군의 혈청에서 이들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18명의 남자 환자와 골절이 있는 20명의 남자 환자, 대조군으로 건강한 20명의 남자를 선정하였다. 두부외상-골절군과 골절군에서 수상 후 수 시간 내, 수상 후 4, 8, 12주에 혈액을 채취하여 RANKL과 OPG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두부외상-골절군은 외상 후 8, 12주에 골절군에 비하여 RANKL의 발현이 낮았으며 두부외상-골절군에서 골절군에 비하여 외상 후 4, 8,12주에 OPG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두부외상-골절군에서 외상 후 수 시간 내, 4, 8, 12주에 대조군보다 RANKL/OPG의 비율이 낮았으며, 두부외상-골절군에서 골절군에 비해 외상 후 8주와 12주에 RANKL/OPG 비율이 낮았다. 결론: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RANKL, OPG, RANKL/OPG의 비율의 변화를 보았고,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이들의 변화가 골절 환자에서 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Purpos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 B ligand (RANKL), osteoprotegerin (OPG) have been shown to be important regulators of osteoclastogenesis during bone remodeling, and their expressions were examined during fracture healing in a mouse model of tibial fracture. However, studies linking RANKL and OPG in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are lacking. We evaluated the changes in serum levels of RANKL and OPG in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head injury group) and in patients with fracture (fracture group) and compared these with levels found in healthy control subjects. Materials and Methods: 18 male patients of head injury and fracture and 20 male patients of fracture alone were enrolled. 20 healthy men were recruited to serve as controls. Within the first few hours of admission to hospital, at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20 ml of blood were obtained from 18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and 20 patients with fracture only. Results: RANK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8 and 12 weeks after injury. OP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RANKL/OPG ratio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controls immediately after and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8 and 12 weeks after injury. Conclusion: We have shown changes in the profiles of RANKL, OPG and RANKL to OPG ratio. The altered RANKL, OPG and RANKL/OPG ratio in the head injury group lasted longer than in those of the fracture group.

      • KCI등재

        교통사고로 인한 두부외상환자에서의 외상후 기간과 정신과적 증상과의 관계

        이재광,박두병,기백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외상 후 기간과 정신과적 증상의 정도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통사고로 두부외상을 당한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정신과적 증상은 SCL-90-R, 다면성 인성검사, 바랏 충동성검사척도, 그리고 웩슬러 지능검사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두부외상환자중 53명은 사고 후 6개월(평균 13.7개월)이 지난 환자들이었으며, 28명은 사고 후 6개월(평균 5.07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외상 후 기간과 정서적 증상의 정도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뇌외상 후 6개월이 지난 환자들에서는 6개월이 지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서 정서적 증상들이 더 심했으며 더 충동적이었다. 그러나 지적기능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외상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뇌외상으로 인한 적응상의 문제점들을 환자가 더 많이 인식하게 될 뿐만 아니라, 뇌가 우리 신체장기중 가장 중요한 장기이기 때문에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보상과 관련된 문제점등이 관련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뇌외상환자들의 후유장애평가시기가 너무 빨라서는 안된다는 것을 시사해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뇌외상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인지기능뿐만 아니라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도 초기부터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traumatic period and the severity of emotional distress, we examined 81 patients with head trauma by traffic accident using symptom Checklist 90-R,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Barratt Impulsivity Scale, and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as measurement tools. Among them 53 patients were referred more than 6 months after traffic accident(mean period 13.70 months) and 28 patients were referred within 6 months after traffic accident(mean period 5.07 months) for evaluation of their neuropsychiatric symptom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post-traumatic period and the severity of emotional distress. The more chronic head trauma patients were more emotionally distressed and impulsive compared to acute patient group. These differences in emotional functioning appeared to be independent of level of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 measured by Wechsler Adult Intelligence Test. Increased awareness of impaired mental functioning with the passage of time, increased apprehension about head injury, and compensation problem related to traffic accident were described as possible causes of enhanced emotional distress in some chronic head trauma pati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effective time-period for evaluation of sequellae of head trauma should not be a short one, and proper management of emotional problem of head trauma patients must be performed from the early phase of treatment.

      • 두부 외상 후 섬망의 자문 정신 의학적 고찰

        김현철,이상철,김도훈,이상규,홍승관,손봉기,Kim, Hyon-Chul,Lee, Sang-Chul,Kim, Do-Hoon,Lee, Sang-Kyu,Hong, Seung-Gwan,Son, Bong-Ki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1

        연구목적: 두부 외상은 신체적 후유 증상뿐 아니라 다양한 정신 증상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 외상 후 섬망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을 실시하고 과다행동 증상의 유무 등의 임상 양상과 회복 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두부 외상을 주소로 신경외과에 입원한 환자들 중 섬망이 발생하여 정신과에 자문 조정이 의뢰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섬망 발생 4주 후 추적 자문에서 섬망의 회복 여부에 따라 완전 관해 된 군 및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으로 나누고, 두 군간의 차이를 과다행동 유무와 사회 인구학적 변수, 두부 외상 부위의 빈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결 과: 첫 자문 주소에서 과다 행동 유무에 따라 분류해 보았을 때 4주 후의 섬망의 관해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1). 섬망의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 된 군에 비해 중환자실 입원 기간 및(p<.05), 전체 입원 기간이 길었다(p<.01). 섬망 발생 4주 후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된 군에 비해 사고보험과의 관련성이 많았으며(p<.05), 신경 영상학적 조사에서 피질 하 회백질의 손상의 여부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5).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첫 자문 의뢰 시 과다행동 유무에 따라 섬망의 회복 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섬망의 회복 기간이 지연될수록 재원기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두부 외상 후 섬망 환자의 정신과적 개입에 있어 과다행동의 유무를 비롯한 임상 변수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Delirium after head trauma results in various cognitive and behavioral dysfunction.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a predicitive model for clinical improvement after delirium based on precipitating factors during hospitalizat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on 45 patients who developed delirium after head trauma using 5 year retrospective design, based on reviews of medical charts including psychiatric consultation reports. The differences of the group who sustained residual symptoms of delirium(The RS group) and the group of full recovery(The FR group) at 4 week follow-up visits were compared by motoric type of delirium, socio-demographic variables, neuroimaging variables and clinical variables of interest.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for initial consultation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hyperactivity(p<.01). The presence of compensation claim, subcortical gray matter le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S group(p<.05). Total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ICU) admission and of hospital stay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RS group than FR group(p<.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hyperactivity on initial consultation, compensation claims, specific brain lesion were altogether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prolonged duration of delirium after head trauma. A simpl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presence of precipitating factors might be used to identify delirious patients at high risk for prolonged cognitive dysfunction. Early psychiatric intervention would be required for evaluating efficacious management and shortening admission period.

      • KCI등재

        교통사고후 정신과로 장애감정 의뢰된 환자의 임상적 특징

        김병철,김성곤,박제민,김명정,정영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3년간에 걸쳐 교통사고후 법원으로부터 장애감정 의뢰되어, 부산대 학교병원 정신과에서 정신장애감정을 받았던 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대상 환자 88명 가운데 58명(65.9%)이 남자, 30명(34.1%)이 여자였다. 낮은 교육과 사회경제적 수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며, 21세에서 50세까지의 사회 활동층이 과반수를 넘었다. 2) 수상당시 환자의 71.6%에서 뇌37상이 있었고, 다음으로 두개골 골절(36.4%), 뇌출혈(33.7%), 뇌혈종(26.1%). 뇌진탕(12.6%) , 축삭손상(10.2%) 등이 있었으며. 대상 환자의 9.1%에서는 뇌손상의 증거가 없었다. 3)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자각적 증상은 인지증상이 가장 많아 전체 대상 환자의 85.2%에서 있었고. 다음으로 신체증상(83.0%), 행동증상(69.3%), 정서증상(58.0%) 순이었던 반면에, 감정의가 판단한 탄각적 증상은 정서증상(80.7%7)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행동중상(77.3%). 인지 증상(63.6%), 신체증상(40.9%) 순이었다 4) 대상 환자의 48.8%에서 수상후 1개월과 6개월 사이에 정신의학적 증상이 발현하였고.6개월 이후에 나타난 경우는 9.1%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 환자의 61.4%에서는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 당시까지 정신의학적 치료를 받은 적이 없었고. 정신의학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23.5%에서는 증상 발현 후 6개월이 경과한 뒤에야 치료를 받았다. 5) 감정시 모든 대상 환자에서 뇌영상겋사와 뇌파검사가 실시되었고, 이들 가운데 47.7%에서 비정상적인 뇌영상 소견을 보였다. 이상소견으로서는 뇌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뇌위축, 축삭손상. 낭종 등의 순이었다. 뇌파는 환자의 86.4%에서 정상소견을 보였고, 뇌파 소견과 뇌영상 소견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감정당시 대상 환자의 95.5%에서 최종적으로 정신장애가 확인되었고, 이중 두부외상에 의한 인격 변화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두부외상에 의한 치매, 적응장애, 두부외상에 의한 우울장애, 뇌진탕후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순으로 많았다. 정신장애가 확인되었던 환자의 38.1%에서는 추후 계속적인 정신의학적 치료의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7) 외상 후유증으로 인한 지능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두부외상 관련인자 유무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수상당시의 의식소실 유무간이나 외상후 섬망 유무간에는 차이가 있었고, 감정당시 실시되었던 뇌 영상검사상의 이상소견 유무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In an attemp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in psychiatric casualties by traffic accidents,88 cases referred from the court for the purpose of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for 3 years from 1974 to 1996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 1) Among the 88 cases, 58 cases(65.9%) were male and 30(34.1%) were female. Cases with low educational and socioeconomic levels outnumbered those with high educational and socioeconomic levels. More than half of the cases were in socially active group with ages of 21 to 50years. , 2) At the time of accidents,11.6% of the whole cases were diagnosed as cerebral contusion, Which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The next common diagnoses were skull 7acture(36.4%), brain hemorrhage(33.0%), brain hematoma(26.1%), cerebral concussion(12.6%), and axonal injury(107%) in order of frequency. In 9.1% of the cases there was no definite evidence of head injury was found. 3) During talc period of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gnitive symptom(85.2%), and the next common symptoms were somatic(83.0%), behavioral(69.3%), and affective(58.0%) ones in order of frequency. On the other side, the most common psychopathology recognized by talc psychiatrists was affective symptom, which was present in 80.7% of the cases manifested during the period of evaluation, and the next common psycho-pathologies were behavioral(77.3%), cognitive(63.6%), and somatic(40.9%) symptoms in order of frequency. 4) Nearly half(48.8%) of oft whole patients manifested psychiatric symptom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nd somatic symptoms between the first and sixth months after traffic accidents. Only 9.1% of the cases developed psychiatric symptoms after six months of traffic accidents. Meanwhile,61.4% of the cases were never given psychiatric treatments despite the presence of psychiatric symptoms, and 23.5% of the cases given psychiatric treatments visited psychiatrists after six months of symptom development. 5) All of the cases took neuroimging studies such as brain CT or MRI and EEG during the period of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In 47.7% of the cases there were abnormal findings in neuroimaging studies among which encephalomalacia was the most frequent. The next abnormal findings were brain atrophy, axonal injury, cyst, and so on in order of frequency. On file other hand, in 86.4% of the cases EEG findings were within normal limit. 6) In 95.5% of the cases, mental disorders were confirmed, among which personality change due to head trauma was the most common, and the next common mental disorders were dementia due to head trauma, adjustment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due to head trauma, postconcussional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o on in order of frequency. Mere than one third of the casts(38.1%) given psychiatric diagnoses were considered to need continuous psychiatric treatments at the time of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7). Posttraumatic decline in intelligence tended to be affected by loss of consciousness and delirium, but not b? skull fracture and brain surgery. In brain imaging .and EEG studie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posttraumatic decrease in intelligence tended to be influenced by abnormal findings on brain imaging, but not EEG findings.

      • 두부외상 후 장애평가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뇌영상검사 이상유무에 따른 비교-

        하강수,김상훈,김학렬,박상학,표경식,조용래,Ha, Kang-Su,Kim, Sang-Hoon,Kim, Hack-Ryul,Park, Sang-Hag,Pyo, Kyung-Sik,Cho, Yong-Ra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1 정신신체의학 Vol.9 No.1

        연구목적 : 두부외상 후 장애평가를 받기 위해 정신과에 입원했던 환자들의 뇌 영상검사 이상유무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특성, 정신의학적 증상, 두부외상형태, 임상 심리학적 특성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1 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두부외상 후 장애 평가 목적으로 조선대학교병원 정선과에 입원한 환자 중 뇌 영상검사를 실시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록기록지와 장애 평가서를 근거로 하여 뇌 영상검사 이상소견이 있는 27명의 환자군과 이상소견이 없는 32명의 환자군 사이의 임상적 특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뇌 영상검사에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군(병변군)은 이상소견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나이가 더 많았으며, 학력은 더 낮았다. 정신의학적 증상측면에서, 병변군은 수상 후 정신증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식욕 감퇴, 허무사고, 기억력 감퇴소견이 더 많았다. 그러나 환청의 빈도는 오히려 더 적었다. 두부외상형태에서 병변군은 수상시 뇌출혈, 뇌수술빈도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임상심리학적 검사에서 병변군은 BGT상 이상소견이 유의하게 더 많았고, 지능검사에서는 공통성문제와 토막짜기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MMPI 검사에서는 F척도, 건강염려증척도, 우울증척도 히스테리척도, 반사회성척도, 정신쇠약증척도, 정신분열증척도등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결론 : 수상시 뇌출혈이 있고 뇌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뇌 영상검사 이상소견의 빈도가 많았고, 인지증상과 정서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였다. 뇌 영상검사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군은 추상적 개념형성과 지각적 조직화능력이 떨어지고, MMPI 하위척도들에서 전반적으로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of mental disability assessmen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who had the finding with or without abnormal brain imaging study. Methods : A consecutive series of 59 patients were assessed in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8.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normal or abnormal brain imaging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sychiatric symptoms, type of head injury, clinical psychological findings. There were 27 patients with abnormal findings and 32 with 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study. Results : Abnormal finding group in brain imaging study ha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sychosis, decreased memory, decreased appetite, increased nihilistic idea, and intracranial hemorrhage. Also, abnormal find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performance on the block design subtest of K-WAIS and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F, hypocho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opathic deviate, psychasthenia and schizophrenia subscale of the MMPI.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tients undergone brain surgery due to intracranial hemorrage at that time of brain injury may have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study, complain more cognitive and affective symptoms, and have lower the abstract concept formation and perceptual organization abilities.

      • 외상성 지주막하출혈과 뇌동맥류 파열과의 관계

        김학용,김한식,목진호,이규춘,박용석,이영배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2

        목적: 두부외상 병력과 지주막하출혈이 있는 환자에서 뇌동맥류를 진단하는 경우는 드물고 두부외상과 뇌동맥류 파열과의 관계에 관한 문헌도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뇌동맥류를 분석 및 문헌 고찰하여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외성성 지주막하출혈로 입원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뇌혈관촬영을 시행한 예들을 분석하였다. 뇌혈관촬영(CTA, MRA, TFCA)은 기저조 또는 실비언열에 출혈이 많아 뇌동맥류 파열이 의심되는 경우에 실시하였다. 결과: 45례에서 지주막하 출혈과 외상병력이 함께 있었다. 이중 대뇌반구나 기저조에 부분적 출혈이 있었던 37례는 뇌혈관촬영을 하지 않았고 모두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퇴원하였다.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뇌동맥류 파열이 의심되었던 8례는 뇌혈관촬영을 실시하였다. 4례에서 뇌동맥류가 발견되어 3례는 뇌동맥류 경부 결찰술을 하였고 1례는 뇌실액 배액술을 하였다. 나머지 4례는 뇌동맥류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대부분(91%)은 뇌동맥류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외상후 초기 평가시 뇌저조나 실비언열에 지주막하 출혈이 많을 경우 뇌동맥류 파열 가능성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tients with a history of closed head trauma and subarachnoid hemorrhage(SAH) are rarely diagnosed to have intracranial saccular aneurysm, and there is little articles elucidating the association of aneurysmal rupture with closed head injury. This study presents group of patient with aneurysm that are discovered during work up for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We have selected patients with traumatic SAH from July 1998 to May 2001, and reviewed their angiographies. Patient with any suspicions of aneurysmal rupture filling basal cistern or sylvian fissure were selected for angiography(CTA, MRA and TFCA). Forty Five patients with co existing SAH and a traumatic event are evaluated in this study. Among those, 37 patients with SAH involving the convexity sulci and partial basal cistern did not undergo angiography, and were all discharged without adverse neurologic sequlae. 8 patients had suspicious clinical or radiological information for aneurysm rupture and underwent angiography. Of these 8 patients, 4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n intracranial saccular aneurysm, and three of them underwent craniotomy for aneurysm neck cilpping and the other patient for only EVD. The other 4 patients out of 8 had negative angiogram. We conclude that the majority of patients(91%) with posttraumatic SAH do not habor intracranial aneurysm. However, during initial evaluation, a high level of suspicion must be given, when postraumatic SAH is encountered in the basal cistern or sylvian fissure, as 9% of our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neurysm.

      • Markrd Hippocampal Neuronal Damage without Motor Deficits after Mild Concussive-Like Brain Injury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Han, Seol-Heui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2

        연구목적: 산발형 알쯔하이머병(Sporadic Alzheimer's disease, AD)의 유전적 위험인자로 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이 가장 일관성 있게 관찰되고 있으며 AD 발병의 환경적 위험인자로는 짧은 교육연한, 두부외상의 기왕력, 호르몬의 불균형, 체내 염증반응 및 면역체계의 변화 등이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적 위험인자인 apolipoprotein E 지단백과 환경적 위험인자인 두부외상이 기억중추인 해마 신경세포 손상에 상승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재료 및 방법: apolipoprotein E 결핍 마우스와 이들의 littermate인 wild type 마우스에 weight-drop device를 이용하여 두부 손상을 가한 후 해마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관찰을 통하여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wild-type 대조군 마우스는 해마 CA2 및 CA3 영역에 국한된 미약한 퇴행성변화를 일으킨 반면 apolipoprotein E 결핍 마우스는 해마 전 영역 및 치상회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운동장애가 나타나지 않는 정도의 미약한 두부 외상에 의해서도 apolipoprotein E 결핍 마우스는 대조군에 비해 더 광범위하고 정도가 심한 신경세포 손상을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apolipoprotein E가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 영양인자의 특성을 가진 물질로서 각종 유해한 자극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Purpose: Of various biological factors, only the APOE4 has been thus far suggested as a major determinant of genetic risk for sporadic and late-onset familial AD. Environmental influences such as, lack of education, traumatic brain injury, oxidative stress, environmental toxins, hormonal imbalances and alterations in immune or inflammatory responses may also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AD. Thus genetic susceptibility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 may have synergistic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AD. The purpose of present report was to assess whether the gene (APOE) and the environmental risk factor (traumatic brain injury) could interact in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hipoccampal regions after mild concussive-like brain injury without motor deficits in apoE-deficient mice using the recently described novel weight-drop device. Results: Control mice revealed minimal neurodegenerative changes limited to CA2 and CA3, while apoE-deficient mice showed widespread neuronal degeneration throughout hippocampal subfields and part of dentate gyrus. We also observed widespread GFAP immunoreactivity throughout the hippocampus, which was more intense in apoE-deficient mi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ven very mild traumatic brain injury could result in widespread hippocampal damage in apoE-deficient mice. This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apoE might play a neurotrophic or neuroprotective fun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KCI등재후보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에서 지능장애 및 기억장애 유무에 따른 정신과적 증상의 비교

        구본훈(Bon Hoon Koo),배대석(Dai Seg Bai)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들의 지능장애와 기억장애의 유무에 따라 인지기능장애의 양상과 정신과적 증상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3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까지 두부외상 후 정신과적인 증상을 나타내어 진료를 받았거나 자문이 의뢰된 경우 및 후유장애 평가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배제기준을 제외한 161명을 대상으로 K-WAIS, K-MAS, K-BNT, SCL-90-R, MMPI를 실시하였다. K-WAIS와 K-MAS, 그리고 K-BNT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 군에서 나머지 두군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인지장애를 보였고 특히, 주의력을 포함한 군집화와 침입화 등의 기억전략의 문제를 보였다. SCL-90-R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 군에서 정신병적 경향을 포함하여 정신과적 증상의 종류와 정도를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으며, 기억장애만을 동반한 군에서는 지능장애나 기억장애를 동반 하지 않은 군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MPI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군에서 정신과적 문제의 정도나 정신병리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억장애만을 동반한 군에서는 정신과적 증상에 대해 다소 방어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하위척도 중 우울증척도에서는 인지장애의 동반 유무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억장애만을 보이는 군의 경우, 정신과적 증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임상현장에서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symptom in traumatic head injury with and without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 Methods:The patient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 such as, the group who has both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AD), the group who has only memory impairments(MD), and the group who has no or mild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ND). We compared with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symptom by each groups using K-WAIS, K-MAS, K-BNT, SCL-90R, MMPI. Results:In the results of K-WAIS, K-MAS, and K-BNT, AD was shown more severe cognitive impairments than other groups, especially, certain kind of memory strategies including attention, clustering, and intrusions. In the results of SCL-90R, 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cale and global index than other groups, but there was any differences between ND and MD. In the K scale score in MMPI, MD has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s. Conclusion:In this research, both intelligence and memory function damaged group has experienced more severe cognitive and emotional dysfunction. The group with only impaired memory function has also psychiatric symptoms but they tend to more defensive attitude to the psychiatric symptoms.

      • 두부 외상 후 발생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가족 부담에 미치는 요인

        방영롱(Young-Rong Bang),김철권(Chul-Kw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1

        연구목적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는 환자를 돌보는 주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부담을 평가하고, 그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 법 :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에 의한 두부 외상으로 ICD-10 진단기준상 기질성 정신장애로 진단되어, 동아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외래 또는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주 보호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와 주 보호자들로부터 면담 혹은 자가 보고 방식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가족부담(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우울(Beck 우울척도), 불안(Beck 불안 척도), 사회적지지(다면적 사회지지척도), 환자의 문제행동(BASIS-32) 등을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평가한 모든 요인들을 부담에 대한 설명변수로 고려하여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척도 점수는 평균 58.7점(표준편차 28.2)이었다. 주 보호자의 우울 점수는 평균 26.4점(표준편차 11.8)이었고 불안 점수는 평균 24.7점(표준편차 14.1)이었다. 22점을 절단점으로 하였을 때전체 보호자의 52%와 48%가 각각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가족부담을 설명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환자 나이, 환자 성별, 흡연 여부, 음주 여부,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의 행동증상 등 6개 요인이 전체 가족부담의 80%를 설명하였다. 그 중 환자의 행동증상이 49%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행동증상척도(BASIS-32)의 5개 소영역, 즉 대인관계, 우울과 불안, 충동적 또는 중독 행동, 일상생활기능, 정신병적 증상 모두 주 보호자가 경험하는 부담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들은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 상당히 심한 부담과 우울, 그리고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족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행동증상, 음주, 흡연, 환자 나이,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 성별 등이었다. 이러한 가족부담 요인들 중에서 변화 가능한 요인들을 찾아내어 개선시킨다면,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Methods : A total 50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due to traffic or industrial acci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have attended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r inpatient ward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We collected data from the caregiver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urden (Family Burden Scale), family depression (BAI) and anxiety (BDI),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BASIS-32) under several measures. For data analysis, all collected data were considered explanatory variables for burden, then multicollinearity was examined. Results : Total mean score of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was 58.7 (SD 28.2). Each score of family depression and anxiety was 26.4 (SD 11.8) and 24.7 (SD 141), and measured up to 52% and 48% of total caregivers. Among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6 variables (patients’ age, patients’ sex, patients’ smoking, patients’ alcohol drinking,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accounted for 80% of the family burden. In particular,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explanatory ability (49%). When dividing th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into five subareas: Personal relationship, Depression and Anxiety, Impulsivity or Addiction behaviors, Daily-life function and Psychotic symptoms, we could see all the subareas were connected with the family burden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Conclusions :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bore the considerable burden of caring for the patients and felt depressed and anxious.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wer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patients’ alcohol drinking, patients’ smoking, patients’ age,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sex. If we try to figure out the variable factors and improve them, we can decrease family burden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