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형 장애의 정신치료

        이무석,Lee, Moo-S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6 정신신체의학 Vol.4 No.2

        신체형장애의 정신역동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신체화(身體化)란 본능적 욕동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생긴 갈등을 정신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신체 증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Moore 1990). Ford(1983)는 인생을 사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하였고, Dunbar(1954)는 정신 에너지가 신체증상으로 바뀌어진 것이라고 했다. Schur(1955)에 의하면, 신체화(身體化)는 갈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하나의 퇴행현상이라고 한다. Schur는 이런 현상을 '재(再) 신체화(身體化)(resomatization)'라 했다. 갈등의 신체화(身體化) 반응중 가장 흔한 것이 통증(痛症)(pain)이다. 통증(痛症)은 어린시절의 경험에서 유래한 무의식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통증(痛症)(pain)은 사랑 획득의 방법이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벌로 사용되기도 하고, 속죄(贖罪)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통증(痛症)중에서도 흉통(胸痛)(chest pain)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가슴이 아프다'는 말은 '마음이 아프다'는 의미와 같이 쓰인다. 그리고 가슴은 마음을 상징하고 마음은 심장을 생각나게 하여 마음의 아픔을 심장의 통증(痛症)(pain)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다. Kellner(1990)는 적개심과 분노, 특히 억압된 적개심이 신체화(身體化)의 중요한 인자라고 하였다. 정신분석가인 Bacon(1953)dms '심장동통(心臟疼痛)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찰'에서 정신분석 시간에 사랑받고 싶은 욕구가 좌절된 환자가 이로 인한 분노와 두려움 때문에 왼편 가슴에서 왼쪽 팔로 뻗쳐 내려가는 심장동통을 호소하는 증례(症例)들을 발표했다. 그녀는 심장동통과 관계된 욕구들이 의존욕구와 공격욕구라고 하였다. 신체형장애의 정신치료에서는 공감적인 관계와 치료적 동맹이 필수적이며, 증상시작의 시점을 중심으로 유발인자를 가려내고 증상과 유발인자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출발이다. 증상을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환자의 심리내적인 갈등을 발견하여 해석해 주는 것이 치료의 과정이다. 이런 기법을 기초로 치료한 세 사람의 신체형장애 증례를 소개하였다. 첫 번째 소개한 히스테리성 실어증을 가진 H군은 억압된 분노가 역동적인 원인이었다. 유발인자와 관련지어 해석을 해주었고, 이차이득을 얻은 후에 회복되었다. 두 번째 소개한 심장노이로제에 빠진 치과의사의 경우는 아버지의 사랑을 잃을 것에 대한 불안이 역동적 원인이었다. 유발인자와 관련지어 증상을 해석하였고, 아버지의 사랑을 잃을까봐 두려워하는 마음속의 아이를 보여주었고, 이제는 어른이 되었으니 자신의 주인이 되어 살라고 교육적인 해석을 듣고 호전되었다. 세 번째 부인은 심한 흉통발작으로 내과에서 의뢰되어 왔는데 의존욕구의 좌절과 이로 인한 분노, 그리고 분리 불안이 역동적 원인이었다. 이 부인은 holter monitor를 메자 증상이 극적으로 사라졌는데 이것을 계기로 자신의 중상이 심인성이라는 것을 알고부터 치료동맹이 이루어졌고, 그 후 정기적인 정신치료 시간에는 증상과 유발인자들 사이의 관계를 해석해 주었다. 이를 통하여 분리불안이 증상과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환자는 증상이 일어나도 덜 두려워하게 되었고, 해외여행이나 사회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양찬모,장승호,이혜진,이상열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Breast cancer is the most prevalent oncological disease among women. Various psychosocial distress is common at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osttreatment phase of breast cancer.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not only medical treatment but also psychosomatic integrative care will be need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ay lead to increased vulnerability to stress, adjustment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and these psychiatric diseases and conditions are associated with recurrence or exacerbation of breast cancer. Psychosocial treat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coul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decrease the recurrence and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In this article, we reviewed 5 clinical breast cancer survivorship guidelines focused on psychosomatic integrative care including psychosocial treatment and alternative treatment for psychosocial distress. Because 5 treatment guidelines were using various definitions of evidence, we confirmed evidence of various psychosocial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ased on the definition of evidence by the U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USPSTF) guideline. We also reviewed the effect size of psychosocial treatment for anxiety, depression, mood,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is article discusses the barrier to the delivery of psychosomatic integrative care and suggests integrative care planning for breast cancer. Multi-disciplinary teams, patient’s needs assessment,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 patient and caregiver engagement, planned periodic monitoring of psychosocial distress by a psychosomatic specialist or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ist are recommended as key features of a psychosomatic integrated care plan.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암으로, 진단과 치료과정 및 치료 후에도 다양한 정신사회적디스트레스가 자주 나타난다.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는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가필요하다. 유방암 환자는 스트레스, 불안장애, 우울장애, 적응 장애 등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정신장애는 유방암의 악화 또는 재발과 연관이 있다. 유방암 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는 환자의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유방암의 재발과 악화를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5편의 유방암 치료 가이드라인에서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와 대체의학적 치료가 포함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부분에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5편의 가이드 라인에서 사용한 서로 다른 근거 기준은 U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USPSTF) 기준에 맞춰 연구자들이 평가하여 근거를 기술하였다. 또한 유방암 환자의 불안, 우울, 기분, 삶의 질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의 효과 크기를 요약하였고,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장벽과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학제 팀을 구성하고, 환자 요구도를 조사하며, 정신사회적 치료의 정보를환자에게 제공하여 환자와 가족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준비된 계획에 따라 정기적으로 정신사회적디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정신신체의학 전문가 또는 자문조정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 의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가 환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KCI등재

        주술기 정신작용약물 사용시 고려해야 할 사항

        윤형준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4 정신신체의학 Vol.32 No.2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신체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정신작용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들은 약물간 상호작용, 금단증상, 정신질환의 재발이나 악화 등으로 수술 전후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술기 정신작용약물 사용에 대한 관리는 수술 후 결과를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주요 정신작용약물의 주술기 사용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권고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분류 등급과 같은 신체적 건강 관련 요인이 주술기 정신작용약물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신체적으로 건강하거나 경한 신체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대부분의 정신작용약물은 정신질환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주술기 동안 계속 사용하는 것이 권고된다. 그러나 클로자핀과 리튬은 심각한 약물간상호작용과 잠재적 독성 때문에 수술 전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주술기 동안 정신작용약물을 유지할 때 위험성과 중단했을 때 정신질환 재발 위험성사이의 균형을 맞추어 약물 사용 여부를 개별화해야 한다. 최신 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기반으로 한 주술기 정신작용약물 사용 가이드라인의 개발은 주술기 환자 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 number of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have received surgical treatments due to physical diseases. Patients who use psychotropic drugs and require surgery have increased perioperative complica tions because of drug-drug interactions, risk of withdrawal symptoms, and recurrence or relapse of psychiatric disorders. Hence,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sychotropic medications is crucial for improving the postopera tive outcome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n overview of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eriopera tive use of major psychotropic drugs. Physical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 ologist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System are considered key factors in the decision process for the use of psychotropic drugs in the perioperative period. For patients who are healthy or with mild physical disease, most psychotropic drugs are recommended to be maintained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to avoid relapse of psychi atric condition. However, clozapine and lithium need to be discontinued before surgery due to serious drug-drug interactions and potential toxicity. For patients who have severe physical or mental disease with functional im pairment, optimal use of psychotropic drugs should be individualized to balance the risk of maintaining psycho tropics in the perioperative period versus the risk of relapse of the underlying psychiatric condition if they are dis continued before surgery.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perioperative use and management of psychotropics based on recent research and expert opinion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in the periop erative setting.

      • KCI등재

        코로나19 감염과 그 이후의 정신신체증상

        박선영,류신혜,임우영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3 정신신체의학 Vol.31 No.2

        연구목적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 정신신체증상을 파악하고 장기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선정하고, “COVID-19”, “psychosomatic” 등의검색어를 활용하였다. 정신신체증상에 대한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포함하여, 총 16편의 논문이최종 분석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결 과코로나19 급성 감염과 관련된 정신증상으로는 불안, 우울, 신체증상 등이 보고되고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포스트 코로나증후군의 증상으로는 흉통, 피로 등이 보고되었고, 이와 관련된 정신신체증상의 발생 빈도는10%-20%로 파악되었다. 감염병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여성, 노인, 정신과적 기왕력이나 동반 정신질환 등의 요인이 관련을 미친다. 전신염증, 자가면역, 자율신경계의 이상반응 등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결 론코로나19 감염 이후 발생하는 정신신체증상은 삶의 질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증상에 대한 정신과적 이해와 접근은 예방과 치료에도 중요하다 Objectives: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psychiatric symptoms and psychosomatic symptoms caused by COVID-19 infection and investigate their long-term impact. Method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selecting paper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using keywords such as “COVID-19” and “psychosomatic.” A total of 16 papers, including those using structured measurement tools for psychosomatic symptom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Psychiatric sympto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have been reported in acute COVID-19 infection, while long-term post-COVID symptoms include chest pain and fatigue. The frequency of long-term psychosomatic symptoms has been estimated to be 10%-20%.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symptoms include psychological and social stres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gender, elderly age, a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comorbid mental illnesses. It is suggested that systemic inflammation, autoimmune responses, and dysregul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ay be involved. Conclusions:Psychosomatic symptoms arising after COVID-19 infec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psychiatric aspects are crucial for symptom preven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약물치료

        이경규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Patients complaining with somatic symptoms are very common in clinical practice, and are often consulted to medical department. But it is difficult to treat well. The treatment of somatic symptom disorder is multi-modal as none of the methods on their own provide a satisfactory outcome. The treatment of somatic symptoms disorders is complicated by lack of boundary, conceptual clarity, and overemphasis on psychosocial causation and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treatments. In clinical practice all classes of psychotropics are used to treat somatic symptoms disorder. Drugs such as tricyclic antidepressants, serotonin reuptake inibitors(SSRI), serotonin and noradrenalin reuptake inhibitors (SNRI), atypical antipsychotics are studied. The evidence indicates that these drugs are effective in somatic symptom disorders. All classes of antidepressants seem to be effective against somatic symptom disorders. SSRIs are more effective against hypochondriasis and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SNRIs appear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antidepressants when pain is predominant. The author suggest that psychiatrists should know how to treat patients complaining with somatic symptoms by using not only psychotherapeutic approach but also pharmacological treatment. It will be helpful to reduce suffering and increase quality of life of these patients. 신체증상장애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는 여러 영역의 임상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정신질환이지만 분류 및 개념이 명확하지 않음으로써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환자에게서 원인을 찾거나 정신사회적 원인을 강조하면서 지나치게 인지행동치료를 포함한 정신치료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대증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정신사회적 원인론에 대한과도한 강조는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이 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이해 및연구를 더욱 어렵게 할 뿐이다. 신체증상장애의 약물치료에 관한 연구는 개념과 경계의 불명확성, 그리고 기능성 신체증후군과의 중첩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연구가 어렵다. 몇몇 체계적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정신약물은 단기간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항우울제가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효과가있으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신체추형장애 및 건강염려증에서 그리고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재흡수 차단제는 통증이 주된 증상인 환자들에게서 다른 항우울제보다 더 효과적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지행동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정신치료적 기법뿐만이 아니라 약물치료에서 정신약물 및 비정신약물의 사용을 잘 알고 사용함으로써 이 환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 정신의학

        한덕현,나철,이영식,Han, Doug-Hyun,Na, Chul,Lee, Young-Si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2

        연구배경: 정신적인 면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스포츠에 정신과적인 관심은 체계적으로 적용되지 못해왔으며 심리학에 비해 관심의 정도나 다양성은 많이 부족하였다. 이번 스포츠 정신의학의 소개는 기본적 개념과 영역을 간단히 논함으로써 정신과 의사로써 스포츠를 보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정신과 의사가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역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결과 및 토론 : 운동선수들의 심리학적 발달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정신 구조를 알아가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지속되어온 일정한 성향은 시합 중에 혹은 연습 중에 간혹 보일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히 알아내는 데 많은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운동의 정신 생물학은 운동 선수들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호르몬이나 신경 전달물질 같은 생물학적인 면을 논하게 된다. 운동 선수의 훈련이나 경기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문제를 크게 5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choke, 슬럼프, 부상, 대인관계, 훈련딜레마. 선수들도 일반인들과 똑같이 정신과적 모든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 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약물 치료 등 정신과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치료법은 스포츠정신의학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결론: 비록 정신과 의사들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들은 임상적 상황이 되겠지만 선수들 운동과 인생 전반에 걸쳐 벌어지는 선수들의 역할과 갈등에 관심 가짐으로써, 자신의 운동과 인생을 즐기며 살아가는 더 많은 인본주의적인 선수 출현에 일조했으면 한다.

      • KCI등재

        신체화의 평가 및 치료

        고경봉,Koh, Kyung-B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2

        신체화는 진단보다는 오히려 일종의 과정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단순히 진단명을 선택하기보다는 정신병리를 알아 보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신체형장애의 진단 및 치료의 어려움은 환자의 질병행동 즉 정신사회적 문제를 부정하여 정신과적 접근을 기피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체증상 이면에 있는 정신사회적 문제에 대한 단서를 포착하는 것은 정신과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이런 점에서 신체화 환자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정신과적 치료에 대한 수용을 촉진할 수 있는 특정 기술과 전략이 요구된다. 신체화 환자의 치료목표는 완치가 아니라 관리에 있다. 치료는 환자의 반응과 필요성에 따라 융통성을 두어야 한다. 평가 및 치료 초기부터 여러 과가 공동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신체화의 평가 및 치료는 통합적인 접근 즉 생물정신사회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다른 신경증 환자에서보다는 생물의학적 접근이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런 환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의 정신과적 치료의 수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신체형환자에게 적절한 접근 즉 면담기술을 개발해야 함은 물론 다른과 의사들을 교육시키는 것도 정신과의사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에 속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남지수,김대호,김은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MPI-2-RF serves as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types of high risk of suicid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re diagnosed using DSM-5 criteria by board certified psychiatrists.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participants were put into 4 groups (Suicide ideation, Suicide attempt, Non-suicidal self-injury, and general psychiatric diagnosis as a control group). For statistical comparison, the MANCOVA with gender as a covariate was used. Results: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previous research with non-clinical sample suggested,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also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Helplessness/ Hopelessness, Suicidal/Death Ideation, Demoralization, Cognitive complaints, Cynicism, Dysfunctional negative thoughts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group differences within the high suicide risk patients have not been observed. However,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s higher Behavioral/Externalizing Dysfunction, RC4, AGG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uicidal idea group and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Conclusions: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observed between all three subtypes, which mean the MMPI- 2-RF may not be the useful diagnostic tool to navigate high suicide risk subtype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in the suicide ideation group,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ve higher aggression and externalization. So those indexes could serve as a useful marker to investigate riskiness of suicide related symptom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 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여성 신체형장애의 신체증상 호소와 부족한 산후조리

        박용철,송지영,최봉근,박종학,오동재,임옥근,김종우,Park, Yong-Chul,Song, Ji-Young,Choe, Bong-Keun,Park, Jong-Hack,Oh, Dong-Jae,Lim, Ok-Geun,Kim, Jo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신체형 장애를 가진 한국 여성에서, 과연 산후조리를 잘 못한 것이 신체화 형성의 요인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에게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산후 조리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직접 면담하고, 이와 동시에 자가 평가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가 평가도구로는 산후조리 평가지, SCL-90R의 SOM척도, 한국판 신체 증상목록, 산후병증상 평가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 Visual analogue scale(VAS)을 사용하였다. 결과 :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산후조리 기간이 짧았으며, 산후조리 평가 점수(K-DMP)가 낮았으며 본인이 평가한 산후조리의 만족도도 낮았다. 현재의 신체증상에 대한 이유에 대해 환자군에서는 43.9%, 대조군에서는 33.3%가 산후조리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산후조리 점수(K-DMP)와 신체화척도(SOM) 사이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earson correlation : r=-0.476, p<0.01). 다변량 회기 분석에서 현재 신체증상(SOM)에 대해 과거 산후 풍 정도와 산후조리 점수, 이 2가지 요인이 영향력을 가짐이 나타났다. 결론 : 부족한 산후조리는 이후의 신체화 형성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의 신체증상 지각 특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권주한,박종일,사공정규,양종철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의 신체증상 지각 특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48명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과 48명의 정상인을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군에 대해 임상가용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Hamilton 불안 척도를 평가하였고 정상대조군에 대해 신체감각 증폭 척도를 평가하였다. 신체감각증폭 척도에 대해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고 환자군에서 척도간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 과: 신체감각 증폭 정도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평균적으로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군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심각도는 반추, 파국화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신체감각 증폭 정도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과각성 증상과 파국화, 타인비난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은 반추, 파국화와 같은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감각의 증폭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중 과각성 증상 및 파국화, 타인비난의 인지전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추, 파국화, 타인비난, 신체감각 증폭과 같은 부정적인 인지를 줄여주는 것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신체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somatic symptoms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ethods:A total of 48 patients meeting DSM-5 criteria for PTSD and 48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subjects using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Hamilton Anxiety Scale (HAM-A)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We analyzed data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In terms of SSAS, PTSD patients presented higher average SSAS scores than normal controls but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TSD patients, the severity of PTSD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ERQrumination and CERQ-catastrophizing. The SSAS scores of PTSD patients show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TSD hyperarousal symptoms, CERQ-catastrophizing and CERQ-blaming others. Conclusions:These results reveal that patients with PTSD hav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uch as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eems to be related with PTSD hyperarousal, CERQ-catastrophizing and CERQ-blaming others. Therefore, reducing somato-sensory amplification,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can be helpful to reduce PTSD symptoms and somatic symptoms in PTS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