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제마의 도덕성 이해

        최대우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0 No.3

        이제마의 도덕 이론은 유학사상에 근거하고 있지만 그는 도덕성의 본성을 전통적인 유학과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에서 이해한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몸 기능으로서의 도덕성 개념에 대한 동무의 해명을 밝히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동무의 도덕성 이해를 상고시대부터 이어지는 유학적 관점과 비교하여 검토했다. 유학에서 도덕성은 천리나 상제의 명으로 주어지는 초월적인 도덕 명령으로 인식한다. 때문에 도덕성을 따르는 것은 정신의 작용이며, 몸은 도덕성 실현을 방해하는 부정적 요소로 믿어왔다. 그러나 동무는 도덕성을 혜각과 자업의 능력으로 주어진 몸 기능으로 이해하고, 도덕성의 원천은 인륜관계를 유지하는 공적 사고를 통해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도덕성의 발현은 추상적 원리가 아니라 심신의 작용 과정에서 생기는 도덕 감정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도덕성 이해는 지금까지 부정적 측면에서 인식되었던 몸을 새롭게 탐색하고 나아가 도덕성을 경험적 측면에서 탐색하는 계기를 제공한 것이다. 또한 도덕성 이해는 발병의 원인을 찾는 자신의 의료 경험을 통해 검증된 주장이라는 점에서 인간에 대한 종합적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을 제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토미 웅거러의 그림책에 나타난 도덕성 탐구

        전연우,조희숙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1

        도덕성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인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필수 요건이며 이러한 요건은 유아기 때부터 길러질 수 있는데, 유아들에게 익숙하면서도 호소력을 갖는 그림책에 나타나는 도덕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 미 웅거러의 그림책에서 도덕성이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 강도, 제랄다와 거인, 라신 아저씨와 괴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후, 이들 세 작품에 도덕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도덕성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탐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선입견과 편견을 넘어 타인을 수용하는 ‘관용’의 도덕성, 둘째, 순수한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연민’과 ‘동정’의 도덕성, 셋째,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용서’의 도덕성, 넷째, 인간 존엄성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 ‘존중’의 도덕성, 다섯째,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는 ‘책임’의 도덕성, 여섯째, 이타심과 공동체 정신을 바탕으로 한 ‘함께 나누기’의 도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덕성을 다룬 그림책을 이용한 유아의 도덕적 감성 및 리터 러시 능력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현장에서의 도덕성 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을 논의하였다. Morality is a socially desirable element that a whole man must have. It can be raised from childhood. In this sense, it's needed to look into morality implied in picture books that are very familiar and attractive to young childre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morality was represented in Tomi Ungerer's picture book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lected his three works, 『The 3 Robbers』, 『Zeraldas Riese』 and 『Das Biest Des Monsieur Racine』, and investigated them in terms of moral element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six elements of morality were largely suggested in the three picture books. of those elements, the first is tolerance that accepts others beyond prejudice and bias, the second is "compassion and sympathy" based on pure humanity, the third is "forgiveness" based on the confidence an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e fourth is "respect"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human dignity, the firth is "responsibility" that aims to meet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that social members are supposed to face and the sixth, "sharing" based on altruism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ith this finding, this study stressed the need to make young children raise moral sense and literacy by means of picture books in which morality is implied, and discussed how to effectively utilize picture books for mo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도덕성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1) : 대학생의 자기보고를 중심으로

        방은령 한국인간발달학회 1995 人間發達硏究 Vol.- No.2

        본 연구는 개인의 도덕성 발달과정을 규명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도덕성발달을 발달과정의 유형, 도덕성 안정기, 도덕성발달요인 및 형성된 도덕성 개념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다루었다. 서울과 춘천 지역의 대학생 502명(남 296, 여 206)이 진술한 도덕성 발달에 대한 자유 형식의 '自己報告書'를 '內容分析'하여 연구자료로 사용하였고, 분석단위는 문맥 단위로 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χ²검증을 통해 요약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도덕성발달과정은 順坦型과 屈曲型발달과정으로 구별되며, 연구대상자의 1/4이상은 굴곡형 발달과정을 경험하고, 약 6.4%는 현재까지 發達猶豫상태에 있다. 2. 도덕성 안정기는 발달과정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순탄형 발달과정에서는 국민학교 시기에, 굴곡형 발달과정에서는 대학교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3. 도덕성 발달요인은 발달과정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며, 순탄형 발달과정에서는 '사람의 경험'과 '사건의 경험'이, 굴곡형 발달과정에서는 '다양한 생활경험'과 '사고의 성숙 경험'이 가장 많이 작용한다. 4. 도덕성 개념은 발달과정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순탄형 발달과정에서는 '意志指向的 도덕성'이, 굴곡형 발달과정에서는 '原理指向的 도덕성'이 가장 많이 형성된다. 따라서 순탄형 발달과정에서는 국민학교시기에 '사람'과 '사건'의 경험을 통해 '의지지향적 도덕성'이 가장 많이 발달하게 되고, 굴곡형 발달과정에서는 대학교시기에 '다양한 생활'과'사고의 성숙'경험을 통해 '원리지향적 도덕성'이 가장 많이 발달하게 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한정선(Han, Jeong-Se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논문은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과 스포츠 참여 활동 간 인과관계 설명에 대한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적실성과 한계를 살펴본 것이다. Kohlberg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이성적인 인지능력이 도덕적 판단이나 도덕적 행동에 있어서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덕성은 단계별 수준을 거쳐 발달되며, 발달 수준은 크게 전인습 수준, 인습 수준, 후인습 수준 등의 발달 단계별 수준을 가진다. 청소년들은 후인습 수준에서 도덕적 원리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었고, 이 점에서 스포츠 활동 참여는 스포츠가 내포하는 규칙과 정신들 즉, 공정한 경쟁, 승리에 대한 겸손함, 패자에 대한 관용, 패배에 따른 자기 자신의 통제와 반성 등의 도덕성 내면화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사회학습이론이나 정신분석이론보다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활동과 도덕성 발달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서의 적실성이 있다. 그러나 Kohlberg 이론의 한계는 첫째, 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이 반드시 인습 수준에 따라 높아진다고 볼 수 없고, 이에 따라 스포츠 활동 참여가 반드시 도덕성 발달에 관여한다고 일반화 하여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수준을 진단함에 있어서 평정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Heinz 딜레마’에서도 보듯이 청소년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청소년 개인의 도덕적 발달 행동은 상황이나 성격요인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넷째, 후인습적 도덕성과 관련하여 Kohlberg가 주장한 6단계는 도덕성 단계로서 부적합하다. 인습후 수준의 도덕성은 이상적인 도덕발달의 방향으로서 의미가 있을 뿐 스포츠 활동 참여를 통해 청소년의 도덕발달 양상을 진단해 줄 수 있는 틀로서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Kohlberg에 의하면 청소년기에는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lativism)가 발전한다. 도덕적 상대주의 발전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스포츠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칙이나 정신을 도덕성 발달로 내면화 시킬 수 있을지는 불명확하다.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간의 연구는 그 지평을 넓힐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가 시도 되어야 한다. 즉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사회학습이론이나 정신분석이론 또는 긍정심리학의 측면에서도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을 비교·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looks into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L.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on the cause-effect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moral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Kohlberg"s theory, human rational cognitive ability serves as an important decisive factor in moral judgment or behavior. His theory holds that morality is developed through stage-specific levels: pre-conventional, conventional and post-conventional. According to the survey, adolescents could understand moral principles best in the post-conventional level. This means that they could internalize the rules and spirits inherent in sports activities, e.g. fair competition, humbleness towards victory, tolerance towards losers, self-control and self-reflection over defeat. Therefor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is more applicable to the explanation of the cause-effect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than the social learning theory or the psychoanalysis theory. However, Kohlberg"s theory has its limitations: first, it cannot be said that juvenile moral development is not always enhanced by conventional levels and it cannot be generalized that th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is not always involved in moral development. Second, a rater"s subjective judgment can act as a criterion to diagnose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Third, as seen in "Heinz Dilemma", adolescents" moral development can vary, depending on circumstances or character factors, even though they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Forth, his six stages relating to post-conventional morality are not appropriate to moral stages. The morality in the post-conventional level is only significant as a direction of ideal moral development, but limited as a framework to diagnose juvenile moral development by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Fifth, Kohlberg argues that moral relativism develops in the adolescent period. It is not clear whether the adolescents in this period can internalize the universe rules or spirits of sports b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in new perspectiv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lain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or the psychoanalysis theory or positive psychoanalysis as well.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정의 및 배려지향적 도덕성 발달 수준 비교

        허영주 ( Young Ju Hur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배려지향적 도덕성의 발달 수준을 측정하고, 두 도덕성간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중등 예비교사의 도덕성 함양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지향적 도덕성이 “후인습적 수준”에 도달해 있는 중등 예비교사들가 85.7%였고,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 전공영역, 학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4.3%의 예비교사들은 아직 “인습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둘째, 배려지향적 도덕성 발달이 “책임감과 자기희생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중등학교 예비교사는 76.7%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과는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으나, 대학과 전공영역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21.9%의 예비교사들은 아직”자기중심적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의 예비교사들이 수준3인”자신과 타인을 배려하는 단계”에 까지 발달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정의지향적 도덕성의 발달 수준과 배려지향적 도덕성의 발달 수준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앞으로 예비교사들을 위한 도덕성 함양 교육은 모든 예비교사를 배려지향적 도덕성을 “자신과 타인을 배려하는 단계”로 까지 함양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과 “인습적 수준”의 정의지향적 도덕성에 머물고 있는 예비교사들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 그리고 두 가지 도덕성을 모두 함양하기 위해 다차원적이고 종합적 사고력을 함양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moral reasoning and ethical practice level, and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wo levels, thereby explore way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ir higher moral level. We surveyed 210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who three universities. The instruments of this research are the “Test of teachers moral reasoning(TTMR)” and “Ethic of Care Interview(EC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85.7% of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attain the higher moral reasoning level, in other words “after-conventional morality” of second level, and this resul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university, a major field of study, grade, sex. But 14.3% of their are still “conventional morality” of first level. Second, 76.7% of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reach the second ethical practice level, in other words “responsibility and self-sacrifice morality”, and this resul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grade and sex, bu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university and a major field of study. But 21.9% of their are still “self-centered morality” of first level, 97% of their are still “consideration for oneself and others morality” of third level.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reported that there was almost never relationship between moral reasoning and ethical practice of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ducational program for ethical practice morality development of secondary pre-school teachers. And it suggested to develop “multidimensional ability to think” as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develop pre-service teachers` moral reasoning and ethical practice together.

      • KCI등재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과 도덕교육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미와 도덕성의 친화력에 근거한 미적 도덕성의 다양한 관점이 도덕교육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이성이 명령하는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자율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감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그 의무는 강제적이며 타율적인 것으로 다가온다. 미적 도덕성은 무엇보다 의무를 즐겁게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른바 의무와 경향성의 조화가 미적 도덕성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덕주의와 심미주의를 양 극단으로 하는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에서 대표적인 관점을 세 가지로 도식화해 볼 수 있다. 첫째,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적 도덕성은 정화된 시와 예술을 매개로 한 미적 체험을 통해 도덕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성적 판단능력이 발달하기 전 엄선된 시와 예술 작품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가치·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것은 인격교육의 난점인 타율적 성격을 극복하면서, 즐겁게 ``좋은 성품``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둘째, 미와 도덕성을 동등하게 바라보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입장이다. ``미와 숭고는 도덕성의 상징``이라는 명제 위에 정립된 칸트의 미적 도덕성은 가언명법으로서의 타율적 도덕성으로부터 정언명법으로서의 자율적 도덕성으로 방향전환을 가능케 한다. 셋째, 심미주의의 입장이다.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대표되는 니체의 미적 도덕성은 인간의 자연성과 파토스를 긍정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자기를 극복함으로써 건강한 자기에 이르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론의 맥락에서 해명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 Ca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aesthetic morality based on the affinity between beauty and morality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oral education? Because we are rational beings, performing duty as categorical imperative of reason is of autonomy; nevertheless, because we are animal beings as well, duty given by reason appears violent or heteronomous. In this dilemma, aesthetic morality paves a way to willingly accomplish duty. In other words, aesthetic morality makes it possible to harmonize between duty and inclination. The spectrum of aesthetic morality which moralism and aestheticism are placed on the both polars can be schematized as three angles. First, moralism. Aesthetic morality by Plato and Aristotle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moralit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by means of ``poetry & fine arts (mousike)``. Before moral judgement develops itself, the experiences of poetry & fine arts well refined can help student come by appropriate values & attitudes. This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poetry & fine arts can overcome the heteronomous asp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sist student to form ``good character`` with pleasure. Second, middle way between two extremes. Kant established the concept of aesthetic morality in the context that the beautiful and sublime can serve as symbols of morality. Aesthetic morality by Kant can bridge between nature and freedom, that is to say, it can pave a transitional way from the level of socialization as hypothetical imperative to that of autonomous morality as categorical imperative. Third. aestheticism. Nietzsche`s aesthetic morality characterized as the Dionysian can be treated as the theory of mental health to the effect that it can affirm the nature & pathos of human beings, incessantly create new values, overcome oneself and lead to be health Selbst.

      • KCI등재

        『四書』와 칸트에서 도덕성의 근거에 관한 고찰

        박종식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0 No.-

        이 논문은 『四書』와 칸트 철학에서 도덕성의 근거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즉 인간의 본성에 내재적으로 주어진 本心 또는 仁義禮智의 四德과 칸트철학에서 가상계의 도덕성이 현상계 속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四書』와 칸트 철학은 시공간적으로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그러나 인간에게 내재적인 도덕법칙을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가는 모든 철학자들의 관심사이다. 『四書』와 칸트 철학에서는 도덕성의 내재성과 선천성을 강조한다. 이런 측면에서 『四書』와 칸트의 도덕성이 지닌 내적인 연관성, 도덕성의 근거, 도덕성의 내재성과 선천성 등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도덕적 본성과 도덕법칙이 어떻게 실현되는가 하는 방식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四書』와 칸트철학에서 근원적 본성과 도덕법칙을 실현하는 방식의 유사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칸트의 인식론에서는 인식대상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고 단지 우리에 의해서 구성된 사물일 뿐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바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이다. 따라서 우리는 단지 현상세계의 사물들만을 인식할 수 있을 뿐, 사물 그 자체를 인식할 수는 없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인식의 한계를 넘어설 수가 없지만, 그러나 가상계(사물 자체)를 근원적으로 요청해야 한다. 인간은 현상계와 가상계의 두 세계에 살고 있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중성은 인간의 도덕성의 조건 또는 토대이다.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 未發之中의 차원으로부터 밖으로 실현되는 發而皆中節의 차원으로의 이행은 칸트 철학에서 자연 인과성으로부터 자유 인과성으로 이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결국 현상계의 갖가지 욕망과 감정의 유혹을 극복하고 가상계의 도덕법칙을 실현시키는 것은 인간존재의 특권이다. 양심과 선의지의 명령에 따르는 도덕행위를 통해서 인간은 자유를 획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간은 未發而中의 선천적 도덕법칙을 發而皆中節하고 道心을 유지할 수 있다. 未發而中의 이념적 차원의 도덕성을 현상계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가 여부에 따라 發而皆中節과 發而不中節로 나누어진다. 發而皆中節은 人欲之私를 버리고 天理之公을 擇善固執하여 允執厥中하는 행위이기에 道心이며 이렇게 선의지에 따른 행위, 양심에 따른 행위가 바로 養知 良能인 것이다. 『四書』와 칸트의 도덕성은 이런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grounds of morality between “The Four Books”(『四書』) and Kant’s Philosophy, namely, the problem how to realize the principle of original morality in mind or in the noumenal world into the phenomenal world. From a moral point of view, The Four Books and Kant's moral philosophy have no direct correlation. However, the problem how to realize the principle of original morality in mind or in the noumenal world into the phenomenal world in specific situations is a concern of all of moral philosophers. The paradigm of immanence and apriority in The Four Books an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deals with the moral law. In this respect, I will prove that there are internal relationships of their moral laws, their grounds of the laws, their apriority and immanence in moral laws. I investigate the way of realization of original mind(本心) and human nature(性) in The Four Books and that of moral laws of the practical reason in Kant’s philosophy from a morality of view. In particular, I compare the process for the original mind, for Four Virtues to be presented outside in The Four Books with the process for moral laws in the noumenal world to be presented to the phenomenal world in Kant’s philosophy. I show that human nature(性) in The Four Books and moral law in Kant’s philosophy have the same ways to realize the moral laws into the real world or into the phenomenal world. The theory that our epistemological objects don’t exist by themselves, but they are constituted by us is called Copernican Revolution. We can recognize the phenomenal things, but we can’t recognize the things themselves. In this point, Kant says that we can’t go beyond the limits of our cognition, but we can assume the noumenal world(Ding an sich) as an axiom. Human beings have the duality of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noumenal world in which they live. This duality is the condition or foundation of freedom and the moral laws in human beings. The transition from the mean which isn’t presented out(未發之中) to the mean which is presented out as just right in moderation(發而皆中節) is similar to that from causality of nature to causality of freedom in Kant's moral law.

      • KCI등재

        유아의 그림책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귀옥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4

        본 논문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도덕성 그림책 속 생활주제, 자료형태, 활동영역, 장르와 그림책 주제에 내재된 Haidt의 도덕성 분포와 그림책 속 문학성에 내재된 Haidt의 도덕성 분포를 살펴 유아기 도덕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도서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도덕성 그림책 188권이며, 도덕성 그림책을 생활주제, 자료 형태, 활동 영역, 장르와 그림책 주제들을 Haidt의 10가지 도덕성으로 분류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도덕성 그림책 속 주제, 주인공과 문장 역시 Haidt의 도덕성 10가지로 빈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덕성 그림책의 생활주제는 ‘나와 가족’이 가장 많았고, 자료 형태는 ‘플래쉬’형태가 가장 많았고, 활동영역은 ‘동화영역’이 가장 많았고, 장르는 ‘생활동화’가 가장 많았고, 그림책 주제는 ‘사회사랑’이 가장 많았다. 또한 도덕성 그림책 속 내용 주제, 주인공과 문장에서 나타난 도덕성은 ‘배려’를 포함한 자율성 윤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공동체 윤리와 신성함의 윤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Haidt의 도덕성을 분석 기준으로 하였고, 그림책과 문학작품이 도덕교육의 중요 매체임을 재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보충해야 할 그림책 속 도덕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하의 역량과 도덕성이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 배려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김경수,오승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배려행동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하가 가지는 역량과 도덕성에 따른 상사의 배려행동, 상사의 배려행동에 따른 부하의 성과, 부하의 역량과 도덕성 그리고 부하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사의 배려행동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공무원조직, 교육기관, 사기업에 근무하는 665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부하의 역량과 도덕성은 부하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하의 역량과 도덕성에 따라 상사가 배려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배려행동은 부하의 역량과 부하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하의 도덕성과 부하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사의 배려행동이 항상 유용하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역량이 뛰어난 부하는 자신의 높은 성과의 원인을 상사의 배려행동으로 귀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량으로 귀착하므로 상사의 배려행동이 유용하지 못하다고 지각하는 반면 도덕성이 뛰어난 부하는 자신의 높은 성과의 원인을 상사의 배려행동으로 귀착하므로 상사의 배려행동이 유용하다고 지각한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이론적인 차원과 실무적인 차원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실무적인 차원에서 조직은 역량과 도덕성이 뛰어난 직원을 선발하고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하며, 역량과 도덕성이 뛰어난 부하에 대해 상사가 배려행동을 보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도덕성이 뛰어난 직원은 자신의 높은 성과에 대해 상사의 배려행동에 의한 결과라고 지각하는 반면 역량이 뛰어난 직원은 자신의 높은 성과에 대해 상사의 배려행동에 의한 결과라기보다는 자신의 역량 때문이라고 지각하므로 상사는 자신의 배려행동이 부하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지각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이론적인 차원에서는 상사의 배려행동과 부하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과 향후 리더십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상사의 입장과 부하의 입장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부하성과를 측정함에 있어서 주관적인 성과를 측정했으며, 상사의 배려행동을 측정함에 있어서 부하의 응답만이 사용되었고, 횡단설계로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을 가지므로 향후 부하의 양적인 성과에 대한 측정과 상사의 행동을 측정함에 있어서 상사의 응답을 추가하고 종단적인 설계를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competency and subordinate performance, subordinate morality and subordinate performance,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and subordinate performance, and a moderating effect of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in order to test the usefulness of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Data from 665 employees in different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rivate firms showed that (1) a subordinate’s competency and morality positively affected subordinate performance, (2) a subordinate’s competency and morality positively affected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In addition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bordinate’s morality and subordinate performance, whereas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bordinate competency and subordinate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is not always useful to subordinates: A subordinate with high competency tends to perceive his or her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as useful because he or she attributes his or her high performance not to his or her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but to his or her competency. But a subordinate with high morality tends to perceive his or her su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as useful, because he or she attributes his or her high performance to his or her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In conclusion sect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r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following three points are discussed: (1) organization should attempt to select and develop employees with high competency and morality and then (2) a supervisor would show consideration behavior toward subordinates(employees) with high competency and morality, and (3) a supervisor should recognize that his or her consideration behavior is differently perceived by subordinat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ecause subordinates with high morality tend to attribute his or her high performance to his or her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whereas subordinates with high competency tend to attribute his or her high performance to his or her high competenc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wo major points are discussed: (1) a the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and subordinate performance should be reestablished and (2) a supervisor’s perspective as well as a subordinate’s perspective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for future research on leadership.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erms of measuring subordinates’ subjective performance, using only subordinate responses in the measurement of a supervisor’s consideration behavior, and designing a cross sectional design for this study.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as follows: (1) subordinate performance should be measured quantitatively, (2) supervisors’ responses should be used to measure their consideration behavior, and (3) a longitudinal study should be designed.

      • KCI등재

        유ㆍ초 연계에 근거한 유아의 도덕성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선혜(Kim Seon-hae),윤진주(Youn Jin-ju),이연주(Kim Youn-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 그리고 2007년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와 내용에 제시되어 있는 도덕성 덕목을 추출하고 평가 방법을 분석하여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평가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유아의 도덕성 평가도구 개발에 필요한 도덕성 덕목의 평가 목적, 평가 내용, 평가 방법을 선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도덕성 평가 목적은 도덕성의 인지적ㆍ정의적ㆍ행동적 측면을 평가하는 것이다. 둘째, 유아의 도덕성 평가 내용은 애국ㆍ애족, 예절, 준법, 절제, 자주, 자연애, 화목, 평화ㆍ통일의 8개의 덕목이다. 셋째, 평가 방법은 유아의 도덕적 특성과 변화 정도를 양적ㆍ질적으로 퍙가하며,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 범위 내에서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ㆍ행동적 도덕성의 개인 내ㆍ외 간 평가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의 일반적ㆍ공통적인 특성이 반영된 유아의 도덕성 덕목을 추출하여 유아의 도덕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resent paper has a goal of providing fundamental data required to develop morality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 of 3-5 years old. It will identify items of morality as suggest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2007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e purpose of morality assessment required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morality, including detailed contents of assessment and selected assessment methods, might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morality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ill assess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morality. Second, it will include 8 items such as patriotism, love for nation, etiquette, law abiding, self-restraint, self-reliance, love for nature, harmony, peace, and unification. Third, the assessment shall be conducted in the manner that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 in the morality of young children could be determin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to ensure easy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morality in terms of i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within the scope of the national educare curriculum. This study is thu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morality by identifying items that reflect general and common features of the national educar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