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Sb 반도체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식,신장규,정태원,이영문 경북대학교 전자기술연구소 1981 電子技術硏究誌 Vol.2 No.1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nSb semiconducting thin films vacuum-deposited on to a cold substrate have been studied. The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film structure has been analys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electron mobility measurements. Variations of electron mobility, electron concentration and resistivity of the fabricated thin film with film thickness have been discussed. The activation energy and the grain boundary potential barrier height have been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abricated thin film.

      • KCI등재

        Navagraha(九曜) 개념의 융합적 전개- 힌두교와 불교의 의학적 적용을 중심으로

        박종식,정승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The ‘Navagraha’ concept, which appears in the Āyurveda, has an important status in Indian medical literature ; Suśruta-saṃhitā. This is because it is the central concept of ghostology, one of eight medical subjects in the Indian traditional medicine. The Navagraha's literal implication means nine possessive constellations. To investigate this Navagraha concept, We looked at the relevant sections of traditional Indian medical literature. In Āyurveda, which has an earthly influence in relation to astrology, nine types of spiritual beings, Navagraha, begin with eight different species and are divided into 9, 12, and 18 species. This is equivalent to the conceptual evolution. As a result, Navagraha was finally renamed Bhūta(ghost), and was incorporated into the medical category of Bhūtavidyā(Ghostology) in the Āyurveda systems. From a Pediatric-Psychiatric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e specific nature of these Bhūtas is that they cause diseases. Because of this, Navagraha has the properties of a ghost that causes a disease. As we srutinized closely the concept of nine planetary systems in the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so the properties of these nine constellations were reorganized with a diety’s status to protect the Dharma. As analyzed by the Abhidharmic Numerology, the Navagraha concept, which starts with the concept of Astrology & astronomy, appears to be five stars(五星), seven days(七曜), and nine constellations(九種執曜). The basic principle of Buddhism in response to Ayurveda's ghost theory is to solidify its aspects of Bhāvanā(a practical performance) and to allow it within limits. So the Buddhist scriptures embrace Āyurveda's medical aspects. In other words, Āyurveda took the influence of Buddhist practice as a lesson. Buddhism and Āyurveda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Bhūta define as 15 kinds of demonic spirits that cause disease in children. This served as a facet of the Buddhist mercy, which is of dealing with the world through Esoteric Buddhist rituals. Also, it is the inherent capacity of Buddhist religious philosophy. 인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의 주요 문헌 『수슈르타 상히타』에 등장하는 나바그라하 개념은 불교 경전의 문맥 속에서 일정한 대응관계를 형성하며 전개되는 양상이 있다. 불전과 아유르베다 의학 문헌 양측에서 아비달마적 법수 체계에 의한 분석을 통해 나바그라하의 속성과 명칭의 변경에 대한 흐름들을 확인하였다. 불전에서 나바그라하는 점성술과 관련되어 5성, 7요, 9종집요로 나타난다. 이후 대승 불교의 밀교적 측면에서 9요는 15종의 시미귀(時媚鬼)로 확장, 변신한다. 특히 어린아이들과 부녀자들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주요 병인의 특성을 가진 병귀(病鬼)의 성격을 보인다. 결국 이들 나바그라하는 호법선신의 자격을 획득하며 불전 속에서 안정적 지위를 획득한다. 아유르베다의 문맥에서 나바그라하는 8종으로 시작하여 9, 12, 18종으로 분화한다. 이 과정에서 신격과는 상이한 저급 귀신으로 정체성을 확립한다. 그 결과 나바그라하는 점성술과 관련된 운명론의 입장에서 천문의 기운이 작동하는 방식을 탈피하고, 부타(Bhūta)로 그 명칭을 바꾸며 의학의 주요 항목인 귀신론으로 편입된다. 소아정신병리적 측면에서 이들 부타들은 병인으로 작용하며, 병귀로서의 특징을 확실히 한다. 아유르베다의 귀신론은 천문의 기운이 인간에게 영향을 준다는 운명론에서 출발하여 정신병리학적인 견지에서 위험스런 병인으로 작동하는 교리체계를 대변한다. 이에 비하여 귀신론에 대한 불교의 기본적 원칙은 수행의 측면으로 이들을 수용하고 있다. 즉 병귀들의 활동에 대한 인식을 우호적 관점으로 전환하여 병리적 속성을 제한하고 호법적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아유르베다의 의학적 측면과 다른 면모를 제시하는 불교 경전의 입장은 이들 병귀들인 부타들의 태생적 속성은 인정하지만, 점진적으로 변형시킨다. 악행을 즐기는 15종 악귀로 규정되었으나 점차 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선신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는 대승불교의 밀교적 의례와 함께 세속에 대한 자비의 측면을 강조한 것에 해당하며, 반야라고 하는 불교의 기본정신을 반영한 것이다. 결국 아유르베다 의학과 같은 문맥에서 출발한 나바그라하 개념의 분화과정을 통해 불교의 종교철학이 지향하는 지점을 확인한 것이다.

      • KCI등재

        칸트, 후설과 唯識哲學에서 인식과 자아 문제에 관한 연구 - 唯識哲學의 三性說과 轉識得智를 중심으로 -

        박종식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Ego of Kant, Husserl and Yogācāra from the standpoint of trisvabhāva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of Yogācāra. Kant's Copernican revolution and Husserl’s Phenomenological reduction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ir philosophies. We especially want to look in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Ego of Kant, Husserl and Yogācāra. According to Kant, we need the transcendental Ego as absolute in order to unite consciousness. Kant criticizes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argued that the metaphysicians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substance. If they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an empirical object, this attempt will be in vain, because they seek to know unknown things. Husserl’s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properly understood as a method designed to transform a philosopher into a phenomenologist by virtue of the attainment of a certain perspective on the world phenomenon. We will find the field of the transcendental, absolute ego through phenomenological reduction. Transcendental, absolute ego constitutes our whole world and gives meaning to the world. Yogācāra argues that what our ordinary consciousness (the sixth consciousness) regard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s separate, or that self and the world is an imagination that alaya-vijñana, the mind more profound than the ordinary consciousness, created. Yogācāra's alaya-vijñana creates the whole objects and the consciousness (the sixth), so we must regard them as illusionary. Yogācāra insists that there are three natures of mind and we attain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in mind. Based on this point of view, Kant, Husserl and Yogācāra wan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 limits of the ordinary consciousness, and then they want to find the absolute truth (everything) and want to be a men of freedom. 이 논문에서는 유식학파의 三性說을 칸트, 후설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현상학적 환원이라는 태도전환과 비교하면서 자아와 인식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유식론은 識轉變, 三性說, 修道論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유식학파의 識轉變, 三性說을 중심으로 자아와 識轉變 문제를 칸트, 후설의 자아와 태도전환과 비교하고 그 유사성을 밝히고자 한다. 유식학파의 識轉變은 현행식과 알라야식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三性說은 자아와 인식이 空임을 증명하는 유식학파의 핵심적 근거이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은 잠시도 고요하게 머물지 못하고 千變萬化하여 하루에도 수백 번을 生滅하면서 천국과 지옥을 오간다. 마음과 생각을 잠시라도 쉴 수 있다면 부질없는 허공 속의 꽃(空華)은 사라지고 바로 자아와 대상, 인식의 본래 모습을 깨닫게 될 것이다. 외부대상의 변화가 아니라, 인식태도의 전환인 轉識得智야말로 자기 마음의 본래면목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다. 현상에 대한 왜곡된 인식의 근거인 遍計所執性을 깨달음으로써 현상의 依他起性과 마음의 圓成實性으로 還至本處하는 것이 유식학의 근본취지이다. 前五識, 意識, 末那識, 알라야식 등 八識은 단지 현상에 불과할 뿐 그 본성은 실체가 없는 空性에 불과하다. 轉依를 통해서 煩惱의 意識이 淸淨 智慧로 전환되는 것이 轉識得智이다. 반면 칸트는 인식대상이란 자아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지,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한다. 칸트의 자아는 대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질서지우고 구성하는 능력이다. 자아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활동성이다. 그러므로 칸트의 자아 역시 空性이지만, 자아가 대상과 인식을 구성하는 형식적 근거라는 점에서는 유식의 자아와는 다르다. 후설의 자아 역시 대상을 구성하고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적 자아로서 실체가 아니라는 점에서는 空性이면서 동시에 의미 부여의 근원적 근거가 된다. 그러나 자아와 대상은 상관적인 지향적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아와 독립된 초월적 대상이나 현상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점에서는 유식학의 관점과 유사하다. 그러나 의식활동으로서의 자아는 실체가 아닌 내용 없는 현상학적 잔여물이기는 하지만 無自性의 자아는 아니다. 이런 방식으로 유식학, 칸트, 후설의 자아와 인식, 자아의 태도전환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팩토리 구축전략과 중소ㆍ중견 제조기업의 적용 방안

        박종식,강경식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7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19 No.1

        Smart Manufacturing Factory is a paradigm of the future lea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led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Now the automation of the production facility and won a certain degree, and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entire process, including planning, design,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ducts in emerging as a cor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economy. In particular, the company accelerated the smart factory building in order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st savings and productivity simply to incorporate internet of things(IoT),Robot,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echnology as a factory automation level of sophistication of the system and out to progress to the level that replaces human labor have. In this we should look at the trend of promoting domestic and foreign factories want to present these smart strategies for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