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 탐색

        이경원,박영주,김완수,강희원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6

        This research paper is a result of the adventurous group study abou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Recently we are developing it, so we try to report to the journal for advancing it. We strongly hope for the active discusion and productive comments through this pa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eaching-learning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s three categories, the teaching-learning for student-agency,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the teaching-learning for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We found a lots of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and methods in it. Clearly we analyzed them into three big categories. First of all, in this new revised curriculum student-agency is very important, naturally so emphasized. Student-agency is one of the student-centered approach on the teaching-learning. For developing the student’s moral capabilities, the student must do for themselves, not by teacher, so called student-agency just like tour agency that ogarnise the schedules for the tourists. Secondly, it is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Doing moral is just like a googling that is using the search engine for getting information through computers and smart phones. Doing moral is stressed on the doing moral action by students themselves, not by teachers and others. In this context, students must make questions about the moral issues and inquire them. Its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Lastly, we emphasized in this paper on the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Until now at the moral associations in Korea, moral building leans on the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approach. But it is not the cover the new curriculum basic principles. it can not illuminate the cross traits. For example, emphathy is not only in the affective domain at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w revised curriculum, understandings are inclusive the emphasizing other people, so old traditional model for moral building can not catch this cross traits, we need the new model, it is the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model. Anyway we studied hard for this paper. we hope for the advancing our idea through many comments for this paper and getting more research with our effort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된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학계와 현장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발전적 논의를 이끌려는 데 있다. 본 논의에서 소개된 교수․학습의 방향과 방법은 ‘포용성과 창의성을 주도하는 사람’을 지향하여 내용 구성의 원리 및 성격과 목표 등을 구성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제안하는 3차원 내용 구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학습자 주도성이 강화되는 교수․학습’, 도덕과의 교수․학습 실천 원리인 ‘도덕함’과 역량 형성이 상보적으로 강화된 점을 고찰하는 ‘역량강화 실효적 도덕함 중심의 교수․학습’, 마지막으로 학습자 개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중첩의 교수․학습’으로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 특징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도덕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도덕교육방법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도덕과 교육의 방법측면은 교사가 다른 도덕적 지식을 가진 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성을 인정받는 분야이며, 실제 도덕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질 때 매우 긴요하게 요구되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도덕과 교육의 방법은 도덕과의 성격이나 목표 그리고 내용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바가 적지 않다. 그 이유로는 크게, 도덕교육의 목표에 대한 수많은 도덕교육학자들의 주장들에 대한 구분을 짓는 노력이 부족했고, 도덕교육의 목표를 직접적으로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법과, 도덕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하는 일반적 교육 및 수업전략들이 혼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그리고 차기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도덕과 교육의 교육목표와 내용에 비추어, 도덕교육의 방법을 체계화 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차기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 교육의 목표에 따라 도덕과 교육방법도 덕목중심의 교육방법과 판단력 중심의 도덕교육으로 체계화하고, 도덕교육에 영향을 주는 일반 교육학의 교수학습이론과 도덕과 교수방법, 그리고 그 상세한 수업운영기술을 반영하는 도덕과 교수전략으로 나누어 체계화 하려 한다. Even though one of the core domains of moral education studies is the methodology of moral instruction, the inquir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somewhat unobserved. Because of the ebb and flow of moral educational theories with the lapse of time, and of the confusion between general teaching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tud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difficulty in developing an efficient system to help teachers of moral education to structure his/her class. This paper focuses on the system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next national curriculum in two points: first, the categor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from general instructional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dyadic structure composed of virtue-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and decision-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9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이전의 단선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그 효율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법적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었던 도덕성 요소, 교수 기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재발견하고, 그것들의 교육적 적용을 통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의 한계 및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방법적 모색의 일환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의 효율적인 도덕성 함양 및 효과적인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과 상상력, 상상력과 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상상력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도덕적 상상력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을 통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효율적인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is paper focus on 'moral imagination', and than try to explore its meaning and usefulness in moral education. In past imagination has been a contrary concept of reason, but in recent its meaning is understanding of having relation with creativity, creativeness, making a scientific discovery. And it's the same in morality. We can not think moral things and do moral behavior without imagination. Therefore if we foster moral imagination in our children's mind from childhood, they will grow to be moral agent more than now. And if we use moral imagination at school efficiently, they learn about moral thing more easil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ry to explore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nd so contribute development of our children's morality.

      • KCI등재후보

        제7차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서홍교(Suh Hong-K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행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선택과목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수업시수 확보가 불안정하고, 이로 인하여 도덕과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성 및 도덕교육의 부재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현행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덕과 교육이 실질적인 인성 및 도덕 교육의 유일한 통로임을 알고 도덕과의 수업 시수를 늘릴 것, 고등학교 2-3학년에서 도덕과의 선택과목제 시행을 재고할 것,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도덕과의 ‘윤리와 사상’ 및 ‘전통 윤리’를 각각 1과목으로 인정할 것, 지금까지의 생활영역 확대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으로부터 주제 요소 중심의 내용 체계 구성으로의 변화를 시도해 볼 것, 훌륭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들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o investigate the results and problems of it and to improve it.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has insecure lesson hours because of an introduction of elective courses. Insecure lesson hours is bringing about much difficulties in achieving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nd bringing about the absence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needs a change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we must know that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is the only means for settling these problems, for the substantial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And so, I suggest that we increase time in moral education, amend the elective course system of moral education during the 2nd and 3rd of high school, approve 'ethics and ideology' or 'traditional ethics' as one subject in the college (academic) aptitude test, try to turn the principle of life sphere extension into the theme centered principle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de circumstances for applying the excell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in high schools.

      • KCI등재

        중등 도덕과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

        박균열 통일연구원 2016 統一 政策 硏究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moral dilemma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n Korea. As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was influenced by ideological bias and excessive public opinion, moral educators have carefully paid attention to security situation and the regime policy. As a resul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give some facts concerning to unification affairs were developed, but it has shown lots of limitation in developing autonomous thinking of students on unification affairs. The unification affairs in unification education is very abstract and realistic, furthermore it is very controversial. So it is hard to teach, and it can cause conflict of values. But in other side, this complicate condition in unification affairs can be a positive background to moral education using the moral dilemma. This research suggests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unification education centered on Konstanz Method of Dilemma Discussion(KMDD) developed by G. Lind Professor of Germany. KMDD is a good tool based on moral dilemma method to make students to develop the morality autonomously.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도덕 교과에서 통일교육을 함에 있어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중등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이념적 편향 성과 과도한 여론의 영향을 받아, 안보 또는 시대정 신과 배치되느냐의 여부를 조심스럽게 고려하면서 통일의 내용 요소에 관심을 더 많이 기울였다. 이로 인해 통일교육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기법에 대한 개발 노력은 있었지 만, 학생 스스로 통일문제를 사고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는 제한적이었다. 통일교육의 제재인 통일문제는 도덕과의 다른 제재와는 달리 매우 추상적이면서도 현실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도덕과 에서 가르치기 힘든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치의 갈등은 오히려 더 나은 도덕적 추론을 위한 좋은 소재가 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하여 통일문제를 학생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역량을 구비할 수있도록 독일의 G. Lind 교수가 개발한 콘츠탄츠 딜레마 토론법(KMDD)을 활용하여 통일교육 교수학습방 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철학적 대화’를 통한 『윤리와 사상』 지도방법 개선 방안

        이은주,정창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4

        Philosophy has originally played a practical role in comforting the human mind and leading a wise and happy life. However, as philosophy gradually became abstracted and theorized with speculative and metaphysical logics, it became separated from our daily lives. Against this backdrop, various philosophical practice movements were developed,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role of philosophy, and Achenbach’s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 is the most representativ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useful 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by using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philosophy counseling, which is a part of restoring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our ways of life and the vitality of philosophy. Moral education basically provides questions on various philosophical levels about lif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o find the true meaning of life by exploring and reflecting on the problems of existenc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philosophical dialogue method as a great way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achieving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effectively. In particular, we will seek ways to apply philosophical dialogue techniques centering on 『Ethics and Thoughts』, which deals with philosophical content (subject knowledge) and inquiry in the deepest and widest range of secondary moral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we try to understand the concepts that are being mixed in relation to philosophical practice,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dialogue. Second, we examine the validity of why the method of philosophical dialogue is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Third, we would like to propose a CUSRO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a philosophical dialogue tha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Ethics and Thoughts』 class. 철학은 본래 인간의 마음을 위로하고, 삶을 지혜롭고 행복하게 이끄는 실천적 역할을 감당해왔다. 하지만, 점차 철학은 사변적‧형이상학적인 논리들로 추상화되고 이론화되면서 우리 일상의 삶과 거리가 생겼다. 이에 다시금 철학의 실천적 역할에 주목하며 다양한 철학실천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헨바흐의 ‘철학상담’ 방법이다. 본 연구는 철학이 본래 지니고 있던 활력과 삶의 긴밀한 연관성을 되찾기 위한 일환으로 이루어진 철학상담의 내용과 기법들을 활용하여 도덕과에서의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도덕과 교육은 기본적으로 삶에 대한 여러 철학적 층위의 물음들을 제공하며, 실존의 문제를 탐색하고 성찰함으로써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덕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함에 있어 철학적 대화의 방법이 갖는 의미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도덕과 교육에서 철학적 내용(교과 지식)과 탐구를 가장 깊이 있고 폭넓게 다루는 『윤리와 사상』을 중심으로 철학적 대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되,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철학실천과 관련하여 혼용되고 있는 개념들을 파악하고, 철학적 대화의 개념이 갖는 의미를 보다 명료화하고자 한다. 둘째, 도덕과 교육에서 철학적 대화의 방법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윤리와 사상』 수업에 구체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철학적 대화에 기반한 CUSROP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 분석과 도덕 교과 운영에의 시사점

        김영화(Kim Young Ha)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6

        본 연구는 미인가 대안학교(중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 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것이다. 분석된 대안학교들은 전인교육, 인 성교육, 생태교육 등의 교육철학과 교육목표를 지향하는 가운데, 다양하고 특색있는 교육 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배양과 체험 및 참여 학습을 위 해 기획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이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특히 프로젝트수업, 노 작활동이나 봉사활동 프로그램 등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는 공교 육 부문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이다. 한편, 대안학교들의 교육과정은 도덕 교과의 그 것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많은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지만, 공교육 현장의 현실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대안학교의 각종 교육적 실험들은 향후 도덕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was researched the Implications for the Moral Curriculum by the Analysis of the Alternativ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the cause of the lack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experiments of alternative schools. In particular, The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o the suggestions for the Moral Curriculum. Alternative schools obtain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goals through whole-round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y also adopted a variety of course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pecially, project learning, work-oriented-education, volunteer work and student government activities will provide a lot of hel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iddle freedom semester system. Meanwhile, the curriculum of an Alternative School may find many similarities in the Moral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the actual appearance in the schools. It will provid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Moral Curriculum through various examples of Alternative Schools.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 분석과 도덕 교과 운영에의 시사점

        김영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6

        본 연구는 미인가 대안학교(중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것이다. 분석된 대안학교들은 전인교육, 인성교육, 생태교육 등의 교육철학과 교육목표를 지향하는 가운데, 다양하고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배양과 체험 및 참여 학습을 위해 기획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이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특히 프로젝트수업, 노작활동이나 봉사활동 프로그램 등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는 공교육 부문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이다. 한편, 대안학교들의 교육과정은 도덕 교과의 그것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많은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지만, 공교육 현장의 현실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대안학교의 각종 교육적 실험들은 향후 도덕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was researched the Implications for the Moral Curriculum by the Analysis of the Alternativ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the cause of the lack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experiments of alternative schools. In particular, The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o the suggestions for the Moral Curriculum. Alternative schools obtain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goals through whole-round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y also adopted a variety of course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pecially, project learning, work-oriented-education, volunteer work and student government activities will provide a lot of hel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iddle freedom semester system. Meanwhile, the curriculum of an Alternative School may find many similarities in the Moral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the actual appearance in the schools. It will provid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Moral Curriculum through various examples of Alternative Schools.

      • KCI등재

        건설적 논쟁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김하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rning of constructive controversy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ral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use moral education. Constructive controversy involves the process of arguing and presenting various views in the context of structured disagreements and drawing the most reasonable conclusions through consensus. Constructive controversy is significant in improving moral competence, such as critical judgment,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accepting attitudes toward diverse positions. Accordingly, in order to use constructive controversy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ral education, the content elements of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were extracted and the appropriate subject of controversy was selected, and the procedure of the clas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role of a teacher was proposed. 본 연구는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건설적 논쟁을 이해하고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설적 논쟁은 구조화된 의견 불일치의 상황에서 다양한 견해를 주장하고 근거를 제시하며, 합의를 통해 가장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그 절차로 한다. 건설적 논쟁은 비판적 판단,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 능력, 다양한 입장에 대한 수용적 태도 등의 도덕적 역량을 신장하는 데 유의미하다. 이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건설적 논쟁을 활용하기 위하여, 활용에 적절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도덕과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논쟁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수업의 절차를 사례로 제시, 나아가 도덕교사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교과의 필요성과 과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0

        본 논문의 목적은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조사연구 결과들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현재 초등 도덕과의 문제점을 점검하며, 실효성있는 교과로서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등 도덕과의 이론적 근거로서 윤리학적 배경, 도덕심리발달적 근거, 역사적 전통, 시대적 사명, 비교 교육학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도덕과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초등교사, 학부모, 초등학생, 전문가의 지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하며, 관련 선행 조사 연구 자료와 면담자료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부각하였다. 제시된 문제점들로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집중 이수제, 초등 도덕과 수업 시수 문제,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들, 예비 교사 및 현지 교사 연수의 문제, 초등학생들의 도덕 행동의 실천 강화 문제들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초등도덕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using theoretical foundation and survey research results, to analyse the problem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 statu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presented ethical background, moral psychological foundation, historical tradition, the contemporary tasks, and compa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dditionally, using survey results from elementary teachers, parents, elementary students, and experts, the researcher analysed the problems of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oncentrated implementation from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hortage of tim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problems of instructional method in moral educ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e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implementation of moral behavior, and the solutions of improving students' moral implementa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Key Words: Elementary moral education, ethical approach,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personali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