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권위의 상실과 아동의 도덕적 일탈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최근 들어 급격하게 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일탈은 기성세대들로 하여금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하고 있으며, 사회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그들의 일탈적 행태는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도덕적 일탈은 그들만의 책임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 상당수 이 사회의 책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좁게는 부모로부터 크게는 사회공동체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도덕적 일탈에 대해 엄하게 대처하기 보다는 그러한 행위들을 어리고 미숙하다는 이유로 축소하고 은폐하기에 급급했으며,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 함양이라는 미명 하에 그들의 일탈을 수수방관함으로써 오늘날 이와 같은 사태를 초래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종국적으로 그들로 하여금 우리 사회에서 성인을 비롯한 권위주체들의 권위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오고야 말았다. 그러나 이러한 권위 상실의 이면에는 권위주체들이 마땅히 지니고 있어야 할 도덕적 권위의 상실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의 눈에 비친 권위주체들은 단지 자신보다 나이가 많거나 좀더 많은 것을 가진 존재일 뿐 그 본원적 의미를 상실하고 말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일탈이 우리 사회에서 권위주체들의 권위 상실, 특히 도덕적 권위의 상실로부터 연유한다고 보고, 그러한 권위의 상실이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을 도덕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일탈 및 비도덕적 행위를 프로이드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그들의 도덕적 일탈을 막고, 비도덕적 행위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덕과 교육적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s main theme is moral devi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y perspective today's moral devi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s caused by loss of social authority, especially moral authority. I think this loss of moral authority drives them to immoral behavior. From the past we think our children are innocent and good. They are too young and weak, so we must protect them. In recent this belief proved to be false. They are not innocent and good any more. In everyday life we are faced with our children's immoral behaviors in newspaper, TV and the internet. But we shift the responsibility for these situation on to them. They are still immature and not familiar with outer worlds. Therefore we ought to bring them up healthly, both body and mind. And we have to put a fence around them from the vice, so that we can guide them to go to right way. But nobody take responsibility of it. We just censure them for their immoral behavior. We don't want to think such kind of behavior of them derives from us. We want to think they are just rude and insolent. But they have been lived in the world of “vaccums of authority”. So they don't have any other chance not only to learn about social norms and custom but also to practice what they learn. This circumstance brings about the absence of moral consciousness. The absence of moral consciousness results in moral deviation after all. In this paper I try to seek the factors of moral devi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ory of Freud's Oedipus complex theory. After that for 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 try to consider how to recover authority, how to develop morality and to constitute moral character in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 ‘치료’ 개념 도입을 위한 시론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5

        현재 우리 청소년들은 풍요로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학 업, 학교폭력, 따돌림, 사회적 무관심 등으로 인한 극복하기 어려운 정신적ㆍ심리적 스트레스 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스트레스나 정신적 불안은 그들로 하여금 내적 만족감이나 행복감보다는 학교폭력이나 자살, 비행, 일탈과 같은 청소년 문제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 현 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청소년 문제는 외부적 억압이나 강제가 아닌 그들이 가진 정신적 고 통과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 구는 우리 초중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 함양을 목표로 하는 도덕과에서 이러한 고통 과 상처를 치유하고, 그들의 정신적ㆍ심리적 중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내적 장치로서 ‘치료’ 의 개념이 도입ㆍ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 아래 그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탐색하고자 한 다. 이를 통해 우리 초중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 함양을 공고히 하고, 종국적으로 유 덕한 인격을 갖춘 21세기 우리 사회의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시키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introduction of 'cure' in moral educa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moral education. Currently our adolescent are living in a wealthy environment. Nevertheless, they are suffering from mental and psychological stress to be difficult to overcome their problems such as academic scores, alienation & bullying and social indifference. At last they express their psychological stress and mental anxiety to juvenile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suicide, delinquency, deviation. In this regard we need to change our view point of our children and youth. We should not see them in negative side but sympathize with their inner pain and insecurity.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y to explore 'cure' and then attempt to introduce and establish it in moral education as the internal device of moral education which eliminate psychological stresses to pain our children and teen-ager and heal their emotional wounds. Through this study I'll intend to help our elementry, middle and high students to develop morality and cultivate good character, and finally hope to grow up moral citizens of 21st century with virtuous character in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과 발전 역사에 대한 연구

        김은수 ( Eunsoo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삼위일체 교리’(the Doctrine of the Trinity)는 기독교의 성경적인 신 이해의 정수를 요약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로서 기독교 신학의 총괄이자 신앙고백의 핵심 기초이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의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한 위대한 신학적 기여들을 통하여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이 이루어졌다. 여러 세기 동안의 치열한 신학적 교리논쟁을 거쳐 정통적인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공교회 신앙고백의 핵심인 ‘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과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the Nicea-Constantinople Creed, 325년 & 381년)과 아타나시우스 신경(the Athanasian Creed, 6/7세기)으로 정립되었고, 이후 잇따르는 모든 확장된 신앙고백서들의 기초가 되었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에 있어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에 있어 위대한 신학적 기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먼저, 동방교회 교부들에는 리용의 이레니우스(Irenaeus of Lynons, ca.130-200), 오리겐(Origen, ca.185-254),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ca.296-373), 그리고 3명의 ‘카파도키안 신학자들’로 불리는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ca.330-379),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ca.329-389), 니사의 그레고리(Gregory of Nyssa, ca.335-395)가 있다. 그리고 서방교회 교부들에는 터툴리안(Tertullian, ca.160-225), 그리고 히포의 어거스틴(Augustine of Hippo, 345-430)이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발전 역사를 고대 동/서방교회의 정통 교부 신학자들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며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삼위일체론과 관련한 각 시대의 핵심 논쟁점과 이에 대한 주요 신학자들의 특징적인 이해와 독창적인 공헌이 과연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그러한 동/서방교회 교부들의 ‘공교회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해에 있어 공유되어야할 핵심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정리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그것이 오늘날 한국교회의 왜곡된 삼위일체론 이해를 올바로 교정함에 있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very essence of Christian bibl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summary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nd the ground-foundation of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had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by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Through the severe theological controversy during several centuries in the ancient Church,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established in the Apostles’ Creed, the Nicea-Constantinople Creed(325 & 381), and the Athanasian Creed(6/7 century) a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in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the establishing of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made by the contributions of the following important Church Fathers. In Eastern Church, there were Irenaeus of Lynons(ca. 130-200), Origen(ca. 185-254), Athanasius(ca. 296-373), and the three Cappadocians, that is, Basil of Caesarea(ca. 330-379), Gregory of Nazianzus(ca. 329-389), Gregory of Nyssa(ca. 335-395). In Western Church, there were Tertullian(ca. 160-225), Augustine of Hippo(345-430). In this study, I focused on in special concentration such an important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understandings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at process of analysis, I examined the kernel controversial point in each era, and the important and creative contributions of the theologians. Finally, I suggested a helpful propositions for a more proper understanding in the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ancient catholic church’.

      • KCI등재

        성경적인 ‘창조 교리’ 이해와 현대적 도전들에 대한 재조명(I): ‘무로부터의 창조’(Ceratio ex Nihilo)를 중심으로

        김은수 ( Eunsoo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8 No.-

        창조 신앙은 기독교 신앙고백의 가장 본질적인 핵심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기독교의 창조교리(the Doctrine of Creation)에 있어 그것의 본질적인 성격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에 대하여 기독교회는 고대 교회교부들로부터 여러 정통개혁주의 신학자들과 다양한 신앙고백서들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가 성경적인 참된 교리임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가르쳐 왔다. 그러나 최근에 기독교 신학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창조에 대한 이러한 전통적인 이해가 전혀 비성경적일 뿐만 아니라 신학적으로도 심대한 왜곡과 더불어 수많은 난점을 제공하는 원천적인 근거가 되고 있다는 공격적인 주장이 다양한 관점에서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신학적 경향은 비단 교의학(조직신학) 분야뿐만 아니라 현대 성경 신학, 교리사, 그리고 과학신학과 같은 신학연구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적인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 교리를 거부하면서 ‘[초기] 혼돈으로부터의 창조’(Creation out of Chaos)를 주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주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근의 창조 교리와 관련하여 심각한 신학적인 논쟁들을 염두에 두면서, 전통적인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 교리를 거부하는 최근의 여러 신학적 경향들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특히 전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인 여기에서는 이 교리와 관련한 현대적인 신학적 논쟁점들을 (1) ‘성경신학적 관점’ 및 (2) ‘교리사적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독교 신학에 있어 ‘무로부터의 창조’ 교리가 가지는 성경적, 신학적 정당성과 적절성에 대하여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The biblical belief on creation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in the Christian confession of faith. In this doctrine of creation, traditionally, its essential theological concept has been understood as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from the ancient church Fathers to the various orthodox Reformed confessions of faith. Recently, however, there are many theologians who reject and attack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as a non-biblical and theologically distorted understanding from various theological disciplines. That is to say, many theologians who belong to not only contemporary dogmatics(systematic theology) but also biblical studies, doctrinal historic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cientific theological studies, assert tha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is not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but ‘Creation out of Chaos’. Therefore, considering as such very significant contemporary theological controversies on the doctrine of creation, this study tries to critically analyze the views and assertions which reject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in the perspectives of (1) biblical studies, (2) historical studies of doctrine; and discern its biblical and theological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in the perspectives of biblical studies and doctrinal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및 대학서비스가 한국체류에 미치는 영향 - 남·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김은수 ( Kim Eunsoo ),한예리 ( Han Yeri ),김효선 ( Kim Hyos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이 논문은 최근 정체 상태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선택을 높이고 보다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지원동기에서부터 교육과정, 학교서비스, 인간관계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성별로 체류의사에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이들이 졸업 이후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인 경제활동인구로 활약하고 국제사회에서 지한(知韓)·친한(親韓) 인사로서 한국과 중국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로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campus life and college educational services on Chinese students’ decision on whether to stay in South Korea after their graduation. To pursu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collected 187 data. After selecting a clear data set, the study finally used 126 response data to analyze campus life, college educational services, study motivation, relationships, and other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test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almost all the aspects compared with their female counterpart.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rovided that gender differences influences Chinese students’ intention to stay in South Korea after grad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has suggest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인지주의적 감정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9

        본 연구는 도덕적 감정의 토대로서 감정의 의미를 인지주의적 감정론의 관점에서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도덕교육적 의미 함축을 탐색하고자 한다. 도덕교육에서 감정의 문제는 이전과는 달리 도덕적 지성과 행동을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들로 인해 그 이론적 체계화는 많은 난관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의 건전한 인격완성 및 도덕적 행위의 발현을 목표로 하고 있는 도덕교육 또한 이론적ㆍ실제적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의 감정에 대한 문제를 감정의 핵심적 속성을 합리성에 두고 있는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조명해 봄으로써 기존의 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일련의 공적 행위로서 도덕교육이 추구하는 도덕적 감정교육의 정당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meaning of emotion on the basis of moral emotion i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and to find its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ssues of emotion in moral education have been perceived to carry out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moral intelligence and behavior, and for this reason,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ed. Nevertheless theorization of emotion has been encountered lots of difficulties due to its various attributes. Therefore moral education which aims at the completion of learner's healthy character and revelation of moral behavior also has many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theoretical and actual side.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s to solve many difficulties throughout considering emotion in the view point of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hich assumes rationality of emotion and to justify education of moral emotion in moral education as a series of public act.

      • KCI등재

        한·중 여성의 미디어 이용에 따른 화장품 지각과 구매의도-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수 ( Eunsoo Kim ),정민수 ( Minsoo Jung ) 한국미용학회 2019 한국미용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cosmetics and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the use of beauty products related to media for women reside in Korea and China. Moderating effect i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is study executes a web survey for 20-39 years old women reside in Seoul and Beijing(n=1,200).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n women increased the perception of cosmetics (β=.135, p<.01) and purchasing intention(β=.210, p<.001)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new media increased. Chinese women increased the perception of cosmetics(β=.264, p<.001) and purchasing intention(β=.199, p<.001)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traditional media increased. Increasing self-esteem is effective in enhancing cosmetic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Korea, while increasing self-efficacy is effective in enhancing cosmetic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China by usage of medi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continuous success of K-beauty industries in China, creative and excellent contents which enhance the self-efficacy should be developed using traditional media while maintaining the positive Korean Wave cont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그림 지각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은수 ( Kim Eunsoo ),정민수 ( Jung Min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담뱃갑 경고그림(graphic health warnings; GHW)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가격 금연정책의 하나이다. 그러나 흡연은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GHW가 모든 국가에서 흡연율을 일정하게 낮출 것이라고 속단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한국의 남성 청소년이 GHW를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웹패널 서베이다(N=645). 종속변수는 GHW를 본 후 응답자들의 정서적 이성적 지각이며, 독립변수는 응답자의 자기 효능감, 반응 효능감, 모험추구행동이다. 부모의 교육수준과 흡연여부, 응답자의 용돈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교화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흡연 고등학생은 모험추구행동을 많이 할수록, 흡연 고등학생은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흡연 대학생은 반응 효능감이 높을수록 GHW의 공포와 혐오에 대한 정서적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GHW의 객관적 폐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이성적 지각에 대해서는 고등학생의 경우 흡연 유무와 관계없이 반응 효능감이 높을수록, 흡연 대학생의 경우 반응 효능감이 높고 모험추구행동을 많이 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반응 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GHW를 청소년들이 정서적이고 이성적으로 올바르게 지각하는데 가장 중요한 해법이라는 점을 보여주므로 관련된 세심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Covering tobacco packages with the Graphic Health Warnings (GHW)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ti-smoking policies implemented around the world. We examined factors affecting male teenagers` perception of the GHW. This study used a web-based panel survey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Korea, which was supported by the NRF (N=645).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emotional and rational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fter looking at GHW. We analyzed the data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by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level and smoking status, and the allowance of each responden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for the emotional perception of GHW, nonsmok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nsation seeking behavior, and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smoking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response-efficacy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GHW as frightening and terrible. Second, for the rational perception of GHW,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response-efficacy, regardless of their smoking status, were more likely to reach the rational decision that they should quit smoking because the GHW objectively showed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ncreasing the response-efficacy of teenagers is the most important key to induce them to perceive GHW appropriately.

      • KCI등재

        조직의 학습문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핵심가치 인식, 조직몰입 간의 관계

        김은수(Eunsoo Kim),김부길(Boogil Kim),정정필(Jeoungphil Jeoung),관월(Yue Guan),박용호(Yongho Park)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핵심가치 인식을 개인 차원의 핵심가치 내재화와 조직차원의 핵심가치 전개활동으로 구분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의 학습문화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핵심가치 내재화의 성과 변인으로서 조직몰입을 가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학습문화, 변혁적 리더십, 핵심가치 내재화, 핵심가치 전개활동,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실천적 및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분석은 사무직 종사자 340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연구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독립변인인 조직의 학습문화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매개변인인 핵심가치 내재화와 핵심가치 전개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은 모두 종속변인인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핵심가치 내재화와 핵심가치 전개활동이 조직의 학습문화 및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를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climate and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effects of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clim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re value internalization,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0 clerical work employees. Study results showed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learning climate and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s on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which are the mediators of this study. Also, the independent and mediating variables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results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oo.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