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을 중심으로

        안윤숙 ( Yun Sook An ),김흥주 ( Heung Ju Kim ),이현진 ( Hyun Jin Lee ),하영진 ( Yeong Jin H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이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2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시행된 여성가족패널 4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4차 자료의 기존응답자 설문대상자들 중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이면서 직장임금근로자인 1,480명의 응답 자료를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72.1%가 40대 이상의 연령층에 속했고, 62.4%는 고졸이하의 학력이었고, 현재 건강상태는 58.7%가 건강하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정신건강 수준은 전체평균 3.01로 높게 나타났다.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가정요인과 직장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모든 변인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가치관(r=-.218)과 직장내 차별(r=-.169)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계적 모델을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형별로 설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R2가 .056에서 .164 그리고 .198로 변화).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건강과 가족가치관, 직장내차별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건강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았고, 현대적 가족가치관을 지닐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았고, 직장내 차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한 결론은 기혼여성에게 있어서 가정과 직장의 양립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안정되고 안전한 일자리를 창출하여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혼직장 여성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직장과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한 질병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장내 차별에 대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다.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mental health of married career women,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4th Korean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hich was perform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n 2012. In the data of the 4th survey, the answers of 1,497 women who get married and work for pay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is. As a result, 72.1%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 their 40s and more; 62.4%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lower; 58.7% replied that they were in good health conditions. The average value of their mental health was high, or 3.01.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correlations with all variables. In particular, family value(r=-.218)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at work(r=-.169). To find causal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hierarchical model was design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continuously influential factors were health, family value, and discrimination at work. In other words, the healthier they were and the more modernized their family value was, the lower their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t work led to lowering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family and career of married women positively influenced their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have good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are satisfied Married Life and are satisfied Workplace Conditions, are higher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by Conservative Family Values, Child Distress, Parental Conflict, is vulnerable Mental Health.

      • KCI등재후보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 경로에 관한 연구 - 경북 경산시를 중심으로 -

        허숙민,최원석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causality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working women. For this, the survey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the married career women aged over 30 who dwell in Gyeongsan cit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t widely distributed totally 200 copies and then used 148 effective analytical materials as the final analytical data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fter analyzing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t- and F-test, and correl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easurement variable as an analytical metho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rried working women’s gender role attitude was formed the path of perfect mediating effect on quality of life after passing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The credibility of the administr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could be known to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 even on quality of life after passing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Suggesting a plan for promoting married working women’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married career women’s quality of life originates greatly from which our society regards household labor as woman’s role yet. Thus, there is a need of supporting the working women so that work and family life can coexist. In such context, the policy-based measure is demanded that can lead to men’s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nd childrearing. Second, a women policy plan is demanded for vitalizing family- friendly system available for changing the traditional gender-role value that is left in our society, given considering that the more the married working women stick to the traditional gender-role value, the lower result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was shown. Third, the women policy of considering region-based characteristic needs to be mapped out, through promoting credibility in the local government, when considering the path of perfect mediating effect that the credibility in the local government passes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on the married career women’s quality of life. For this, a study of research institution for women family policy by local government will need to be activat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기혼 직장 여성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총 2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 분석 자료 14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측정변수를 검토하기 위한 평균 및 표준편차, t 및 F 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 직장여성의 성역할태도는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쳐서 삶의 질에 완전매개효과 경로가 형성되었으며, 지방정부 행정의 신뢰도가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쳐 삶의 질에도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면 우선,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가사노동의 영역을 여성의 역할로 간주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므로 여성발전기본법에 명시된 구체적인 정책들을 실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혼 직장여성은 전통주의 성역할 태도를 견지할수록 여성정책만족도가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우리 사회는 잔존하고 있는 전통주의적 성역할 가치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성정책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은 지방정부 행정의 신뢰성이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치는 완전매개효과 경로를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는 신뢰성 증진을 통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여성정책을 입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광역단체별 여성가족정책연구기관의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나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전이와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 가족 패널 8차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60세 이하인 기혼의 중년 직장여성 3,756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가정-직장 촉진을 외생변인으로, 일상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을 내생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통계기법(예: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집중 타당성, 그리고 판별 타당성 등)을 활용하여 PLS-SEM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둘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나,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은 그 인식 수준이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셋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넷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모든 직장-가정 간 전이의 하위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을확인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통해 중년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개선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직장→가정 촉진인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가정→직장의 긍정적 전이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직장→가정 촉진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For this purpose, using the 8th data from the Women and Family Panel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3,756 married middle-ag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were surveyed on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promotion, family-work conflict, and family. -Workplace facilitation was select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ily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select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testing using PLS-SEM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e.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etc.).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promotion increased, daily life stress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place promotion, and family→workplace conflict, the higher daily life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facilita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ird, the higher the daily life str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lower the subjective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aily life stres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work-family tran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is work → family promotion.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it could be achieved through work-to-family transition strategy which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daily life stress; of which the most important goal strategy in promoting work→family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미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ffec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work-family confli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any married female social welfare work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ombination of work and family work, but lack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Accordingly, the Busan Metropolitan Council for Social Welfare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ed 170 married women's. This study analyzed using Baron and Kenny’s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had experienced behavior-based conflicts were higher another variable(time-based conflict, stain-based conflict). And the degree of workplace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effect of workplace-home conflicts (time confli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social welfare workers, the less important the job-home conflict (time conflict) is, but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 more important the job-house conflict (time conflict) will have to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본 연구는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정 갈등 정도를 살펴보고,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수의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은 직장과 가정일의 병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지만, 여성인력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조직적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에 소속되어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혼여성사회복지사 1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조절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은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변인들 중, 행동갈등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만족 정도는 직장-가정 갈등(시간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시간갈등)이 덜 중요하지만, 직무만족이 낮은 사람은 직장-가정갈등(시간갈등)이 조직몰입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층모형을 적용한 기혼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 변화 추정:

        이지선(Ji su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8 No.-

        여성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진출과 같은 가정 및 직장의 변화는 직장가정갈등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직장가정갈등을 경험하는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기혼여성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기혼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 수준 변화를 추정하고 이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에 대해 자원보존의 하위요인인 개인, 가족, 조직 수준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까지 총 8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장가정 갈등의 두 하위차원 모두 1차년도에서 4차년도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가정갈등의 초기 값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보존의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녀돌봄이 적을수록,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 관련 가치관과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직장 내 성차별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의 초기 값이 높게 나타났다. 가정-직장갈등의 경우, 본인의 가사노동 정도가 많을수록,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적게 받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직장 내 성차별이 높을수록 가정-직장갈등의 초기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가정갈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보존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의 감소율이 적으며,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많이 받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동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가정-직장갈등의 경우, 자녀돌봄과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관련 가치관과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가정-직장갈등의 감소율이 적으며,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많이 받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가정-직장갈등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으로는 첫째, 기혼여성 근로자들에게 특성화된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둘째,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에 관한 종단연구가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Growing concern of Work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changes of family business and work environment occurs from the active entry of women into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is, it is necessary to verify Work Family Conflict`s changing pattern to establish of managing program for married female workers who is vulnerable. For confirm this research purpose in the study, changing patterns in married female workers` work family conflict were tested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factors` effects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ing were also estimated by applying multilevel models. The dataset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Work Conflic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year to the forth year. Second, care of children, conflict with their parents, family oriented value,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sexual discrimination in workpla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ial status of Work-Family Conflict. And responsible for housework, conflict with their parents,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sexual discrimination in workpla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ial status of Family-Work Conflict. Third, conflict with their parents,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effecting significant effects on controlling for the initial status of Work-Family Conflict. And care of children, conflict with their parents, family oriented value,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effecting significant effects on controlling for the initial status of Family-Work Conflict. In conclusion, firstly family- friendly occupational welfare has to be provided base on married female workers` specialized need, secondly the longitudinal analysis about married female workers` Work Family Conflict conduct continuously.

      • KCI등재

        기혼직장여성의 정서안정과 역기능적 태도 개선을 위한 명상과 음악을 활용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민보현,원희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5

        This study explored a way of psychotherapy intervention to induce emotional stability from a married career woman and to ameliorate her dysfunctional attitude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thirty- nine year old career woman who was raising three children without help from others such as relatives and conflicting with her husband. Art therapy using music and mediation was provided to the woman to induce emotional stability from her and to ameliorate her dysfunctional attitudes. The therapy treatment lasted from April, 2009 to June, 2009. A total of 19 sessions were given, once a week, each session ninety minutes long. The participants's emotional stability and dysfunctional attitudes were measured on a pre and post test.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rt therapy using meditation and music was beneficial to raising the participant's emotional stability. In the subcategories, negative emotions reduced while positive ones increased. Second, the participant's dysfunctional attitudes reduced with art therapy combined with mediation and music. On the who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rt therapy using meditation and music may be a good intervention in help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married career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s a limit to be generalized since they were from one case study.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정서안정과 역기능적 태도 개선을 돕는 심리치료적 개입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기혼직장여성에게 명상과 음악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정서안정과 역기능적 태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친척 등의 도움 없이 어린 3자녀를 키우며 부부간의 갈등을 겪고 있는 37세의 직장여성이다. 치료기간은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쳐서 주 1회씩 회기당 90분 가량 실시하였다. 정서안정과 역기능적 태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안정 척도와 역기능적 태도 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상과 음악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기혼직장여성의 정서안정이 향상되었다. 하위영역에서 부정적 정서는 감소하고 긍정적 정서는 증가하였다. 둘째, 명상과 음악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기혼직장여성의 역기능적 태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상과 음악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기혼직장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는데 유용한 개입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 KCI등재

        기혼 직장여성의 일

        이진숙(Lee Jin-sook),최원석(Choi Won-seo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로는 제1차 여성가족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으로 여성가족패널자료의 조사대상자 중 30∼40대 기혼 직장여성 1,653명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과 결혼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성역할태도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리후생만족도는 일-가족양립갈등에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성역할태도와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한 복리후생제도 만족도는 일-가족양립갈등에 대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복리후생제도는 일-가족양립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조절효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족양립갈등의 해소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의 주원인인 낮은 결혼행복감의 향상을 위해서는 직장내 일-가족양립제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로 인해서 기혼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이 높아진다는 것을 감안할 때, 가족의 전통적인 성역할 구조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는 가족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에 대해 복리후생제도는 직ㆍ간접효과를 모두 나타내는 것을 고려해볼 때, 복리후생제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s to search solution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for married working women. To this end, 1,653 married working women in their 30s-40s were selected in the 1stdata of women family panel to be analyzed in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has a mediation effect through a gender role attitude in relation with marriage happiness. That is, causal relation exists among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gender role attitude, marriage happiness and benefits system happiness; where benefits happiness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show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Furthermore, benefits system can function as regulator to solv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The interven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activate industrial benefit in the workplace to increase marriage happiness, the caus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to married working women. Second, considering that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is intensified by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family counseling is required to demonstrate the change in traditional gender role of family. Third, considering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benefits system appear for married working women, it is required to construct business culture that can actively use benefits system.

      •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신체적 안녕을 위한 문학치료

        조영미,조현춘 대한문학치료학회 201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를 통해 기혼 직장여성들의 자존감과 심리적·신체적 안녕에 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수성구에서 독서지도사 일을 하고 있는 1년 이하의 신입교사 20명으 로 이들 중 참여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문학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 로그램 실시 전과 후 자존감, 정서경험, 신체증상을 실시하고 약 두 달 후에는 추검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심리적 안녕을 향상시킨다. 1.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킨 다. 2.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정적정서를 향상시킨다. 3.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부적 정서를 감소시킨다. 둘째,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신체증상을 감소시킨다. 점차 직장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것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문학치료가 앞으로 다양한 계층, 다양한 문제들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전략이 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중요하다.

      • KCI등재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제7차 여성가족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이신애,송혜영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2017년) 자료 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기혼직장여성 총 3,820명을 대상 으로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혼생활 특성에서는 결혼생활에 대한 감정(p=.003), 남편에 대한 인식(p<.001),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p=.008), 자녀 수(p=.027), 건강 특성에서는 지각된 건강상태,(p<.001) 흡연 여부(p=.012), 직업 특성에서는 평균 월급(p=.008), 일 만족도(p=.006)가 기혼직장여성의 우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직장여성의 우울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결혼생활과 관련된 업무를 배우자와 협의하여 동등 하게 배분할 수 있는 가정 내에서의 노력뿐 아니라 개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흡연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는 잘못된 인식에 대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result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2017). The data was analyzed by application of the Rao-Scott χ2-test and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om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 with dep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25.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lings for marriage life (p=.003), perceptions of husbands (p<.001), satisfaction with sharing of housework (p=.008), number of children (p=.027).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smoking (p=.012), monthly average salary (p=.021), and job satisfaction (p=.006).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within the family that can equally distribute marital-related tasks with their spouses and to improve the individual’s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t is also necessary to education on the misconception that smoking helps relieve stress.

      • KCI등재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최은주(Choi Eun-Joo),김춘경(Kim Choon-Ky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2 No.1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일상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여성의 학력수준에 따라 일 만족도 변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조사 5차(2015년도) 자료에서 일상적 스트레스, 우울, 일 만족도의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기혼이며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3가지 학력수준, 즉 고등학교 미만, 고졸, 전문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상생활스트레스, 우울과 일 만족도는 직장여성의 학력수준 구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게 나타났으며, 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주요변인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고졸 미만의 대상들은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이 있었지만, 일 만족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학력수준이 고졸 및 전문대졸 이상인 집단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이 있었고, 일 만족도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도 학력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 중 최종학력이 고졸인 여성에서만 일 만족도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졸 이상의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working women’s academic background in daily stress affecting depression of them. Women in the workplace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y (2015),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 Under graduated high school(group 1), high school graduation(group2) and college or higher(group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daily stress,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Higher academic ability results in lower depression and higher th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differentiated among groups on influence that daily stress reaches depression. Specifically, the job satisfaction has shown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nly group 2,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in group 1 and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