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 그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통학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고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높일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 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일원변량분석, t검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경력, 연수횟수, 교과연구 단체활동 유무 등은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을 설명하는 중요요인이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 수준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이해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지식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보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책무성을 강화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향상시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relationships comprehension level betwee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inclusiv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These would be a baseline data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is subjects were 161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teachers. This study materials analyzed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are analyze as follow. First, it was major factors to explai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that inclusive teachers` career, the number of inservice train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cademic activity. Second, curriculum comprehensive the level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as highe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ere clos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come up with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 KCI등재

        2022 개정 국어과 ‘듣기·말하기’ 영역 교육과정의 쟁점과 개선 과제

        서영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speaking’ area curriculum and to consider the challenges to be solved for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a education. The issues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 curriculum are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subcategor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ral communication, and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elements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context’ category. The combination of content elements of the "type of discourse" category and the "process and function" category, and the order of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were also dealt with as issues. The following issues were difficult to resolve: setting the category of 'identity of speaker/listener' and selection of content element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in the category of 'value and attitude', and criteria for hierarchizing educational contents of discourse types. The issues examined in this paper are the standards of review that should be continuously considered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with high validity and completeness. Issue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actively used to discover tasks to be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국어과 ‘듣기·말하기’ 영역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형성된 쟁점을 짚어보고, 듣기·말하기 영역 교육의 발전과 차기 교육과정을 위해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고찰하는 데 있다. 듣기·말하기 영역에서 두드러진 쟁점 중 ‘지식·이해’ 범주 설정의 타당성, 구어 의사소통의 이해·표현·상호작용 측면을 두루 고려한 하위 범주 구성의 체계성, ‘듣기·말하기 맥락’ 범주의 내용 요소 선정 및 조직의 타당성, ‘담화 유형’ 범주와 ‘과정·기능’ 범주의 내용 요소 간 결합의 유기성, 성취기준 제시의 순서 등에 대한 쟁점은 해결되었다. 화자·청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범주 설정과 내용 요소의 타당성, ‘가치·태도’ 범주 교육 내용 요소 선정 및 조직의 타당성, 담화 유형별 세부적인 위계화 기준 설정에 대한 쟁점은 해소되지 못하고 추후 과제로 남겨졌다. 본고에서 검토한 쟁점들은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국가 교육과정의 역할에 부합하는 타당하고 완성도 높은 교육과정 시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고려해야 할 검토의 기준이자, 개발된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사후 평가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이기도 하다. 그중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해소되지 못한 쟁점은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듣기·말하기 영역 교육의 발전을 위해 논구해야 할 과제를 발굴하는 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 사례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이 글에서는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인 종합사범대학교 초등교육과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가운데 기울인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구체적인 사실들에 입각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가 목적형 초등교원 양성체제와 적어도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상호 호혜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가에 대한 비교 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를 실천하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초등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종합대학 사범대학 역사 속에서 과거의, 현재 적용 중인, 그리고 현재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초등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역사를 관통하여 집중된 초등교육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은 설립 이념에 입각한 인간 존중의 생각과 종합대학 내 종합사범대학 내 위치가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과 지향점을 결정짓는 조건이 되어 왔다.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의 특징은 종합성, 통합성, 개방성, 다양성, 국제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과 초등교육과 교육과정과의 합치를 위해 교사에게 교육과정 개발 능력을 키우는 문제, 초등교원자격증 제도와 초등교원 임용고사 제도로 인한 ``규제``와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의 특징을 조화시키는 문제, 교원임용고사 출제 방식과 바람직한 초등교사 양성이라는 이상과의 균형을 잡는 문제 등은 앞으로 더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하였다. In Korea someone who wants to becom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has to go to one of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of which purposes are mainly to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only alternative route to beco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o go to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Ewha Womans University of which program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n this thesis,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Ewha Womans University were reported with possible evidence for the purpose of showing one alternative program of becom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Ewha Womans University is a comprehensive university which offers liberal arts and science, natural sciences, arts, and many different vocational colleges. Because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s located in such a comprehensive universit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Ewha Womans University has revealed som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In this thesis,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t Ewha Womans University were examined historically.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the key condition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omprehensiveness, Interdisciplinary approach, diversity, and global relations were found to b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efforts to change the program throughout the history.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gram as well as the ways to collaborate with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교「도덕·윤리과」교육과정 변천과정과 전망

        권순환(Kwon Soon W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치ㆍ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도덕ㆍ윤리」과 교육과정 변천과정을 밝히고 그 전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교육과정을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 연관시킨다는 의미에서 해석학적 방법에 속한다. 해석학적 접근법은 윤리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은 시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윤리과 전통은 이미 8.15해방 이후에 도입되었다. 그 이후 일곱 차례의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의해 윤리 교과의 명칭이나 내용에 변화가 있었다. 교육과정의 내용이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 사회적 통제와 지배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벗어날 수 없듯이, 윤리과 교육과정의 변천도 공동체주의의 범위를 벗어날 수는 없다. 이러한 특성으로 사회 일각에서는 윤리교과를 왜곡된 시각으로 보는 견해도 있었다. 윤리교육과정의 보다 발전적인 시각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정치ㆍ사회적 환경 변화 과정의 틀 속에서 고등학교 윤리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조명하고 그것을 전망해 보았다. 우리 사회에서 도덕성의 문제가 있을 때마다 윤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윤리교육과정의 적합성이 더욱 요청된다. 적합성이란 윤리과의 정체성,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의 일치, 그리고 윤리과목 간의 차별성 등에 관한 효과(effect)와 학생들에게 만족감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성(efficiency)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and its outlook of high school moral and ethics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is approach belongs to the hermeneutic methology in the meaning which the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socio-historical context. This approach can give objective and broad insight to the formation of ethical subject curriculum, avoiding narrow viewpoints. The improving self-culture of ethical subject tradition was introduced after the 8.15 liberation already later in curriculum. With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title of ethical subject was changed by the social change and need. As the contents of curriculum can't free itself from the social control and dominant ideology to maintain social order, the curriculum of ethics subject can't lose favor with the communitarianism. Owing to these characters, some people viewed ethics subject with distorted opinion. To suggest more developmental view point, this study attempted to illuminate the formation of high school moral and ethical curriculum in the mold of our socio-political context change. Whenever moral crisis happened,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was emphasized. In the future, the relevance of ethical curriculum is more requested in order to suit in these social needs and accountabilities. The relevance relates with the effect on the identity of ethics curriculum, the correspondence to socio-periodical demand, and the discrimination among the ethical subjects. And it means the efficiency offering satisfaction to our students.

      • KCI등재

        시장주의적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등장과 확산

        박휴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been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 dir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is also affected by the trends of neoliberalism and its logical successor, educational marketization.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s, this paper aimed to quest upon the origin of the neoliberal and marketized education and how it has been formulated, what rationales it rests on, and how it has been spread to other influential countries. Method & Results: Based on the academic consensus that neoliberal educational policies originates in England’s national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d three seminal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has England’s national curriculum been developed?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role allocation between national and local curricula and what dilemma of public vs. private governance does it encounter? Third, how did the neoliberal governance of national curriculum spread to other nations under what rationales for its validity? Having these conceptual frameworks, this paper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a of Sweden, the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Disscussion & Conclusion: This paper’s discussion may give some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origin and rationales of the neoliberal marketization of education and provoke critical inquiry on the directions of national curriculum reform in Korea. 연구목적: 1980년대부터 시작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교육의 시장화의 확산은 현재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의 방향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를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정책적 담론 분석의 차원에서 논의하기 위해, 그 출발점이었던 영국 국가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시장 거버넌스의 확산 과정과 그 정당성의 근거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신자유주의의 발원지였던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 신자유주의적 이념이 도입되고 시장친화적으로 변화하게 된 과정과 핵심 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영국의 국가-지역 교육과정의 역할분배의 방식은 무엇이고, 그로 인한 공적-사적 거버넌스는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가? 셋째, 영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 거버넌스의 이념들이 다른 국가들의 국가교육과정 이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연구결과: 첫째,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은 세 번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거쳐 국가교육과정의 방향성을 탈중심화, 시장주의 정책, 신공적 경영, 표준화 정책의 원리를 도입해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영국은 지역자치제를 기반으로 학교교육과정을 인식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시장원리나 자율성을 강조하는 사적 거버넌스를 택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영국발 시장주의 교육과정 이념은 소비자 선택권(스웨덴), 수월성(미국), 교사자율성(뉴질랜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신자유주의적 교육시장화의 등장과 확산이 우리나라의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방향성에 어떤 시사점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소영,김두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amo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do this, we conducted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500 curriculum specialists, education practitioners, and parents. Findings/ Results: Firstly we established 6 standards for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major accountable school curriculum implement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we administered a survey on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we determined four factors (standards) and several sub-indicators respectively. Secondly, the perceptions about the two standards (factors) related to “students” and “school environment” were different among groups while those related to “school focused support or cooper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Values: We mainly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parent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we implement school curriculum. Parents' perceptions about school implementation we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groups. Seco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different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to talk each o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lose the gap. Third, all groups includi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ne way or another. They all have different things to say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설정한 후 그것에 대하여 총 500명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 결과, 학교, 교사, 교육부, 교육청, 지역사회, 학부모 등 6개의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6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문지 조사 후 응답을 요인 분석하여 “학생”, “학교 집중 협력과 지원”, “학교 여건”, “학부모 참여” 등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과 하위 지표를 도출했다. 셋째,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의 집단별 인식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한 논의와 제언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다른 집단과 크게 다르다. 이처럼 매우 다른 학부모의 요구는 학교 교육과정 기준 설정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 기준의 하위 지표인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인식은 교사와 학교장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 기준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 간 대화의 장이 자주 만들어져 인식의 차이가 메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 등의 모든 집단은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든 다른 인식을 갖고 있다. 이들 모든 집단이 학교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설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학교 교육과정 경영 실태 및 인식 분석

        김희경,이근호,정영근,변희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1

        학교 교육과정 경영이란 교육과정 활동을 위한 조건 및 환경을 정비하고 지원하는 노력이다. 동시에 교육과정을 중심축에 두고 학교경영에 접근함으로써 학교 구성원의 전문성과 리더십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한 단위학교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이 중요하다고 본다. 교육과정 경영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탐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 담당자와 교과 담당 교사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경영 실태·인식 조사의 내용은 5가지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의 주요 범주(학교조직·인사, 예산, 시설․설비, 역량 및 문화·관계, 지역사회·학부모)에 따른 문항 영역별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학교 교육과정 경영 방안이 학교소재지별, 학교규모별로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자유학기 운영 자체가 교사 공동의 협력적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예산 또는 시설·설비와 같은 물리적인 측면의 경영뿐 아니라 교사 역량 및 교사 분위기, 리더십 등의 문화·관계 측면에서의 경영도 강조해야 함이 제기되었다. 또한 자유학기제의 가장 커다란 특징의 하나가 학교 밖(지역, 학부모 등) 연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되 단순한 시설·설비나 장소 활용이 아니라 ‘지역 교육력’을 활용한 학생 지도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we aimed to devise and propose some helpful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plans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we first reviewed basic concepts and issues of curriculum management. Second,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management implemented in middle schools. after exploring the meaning of curriculum management, we established the model of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for free semester. There are various aspects of curriculum management. However we focused on five key factors in this model, which are organization & human resources, budget, facility resources, teacher competency·culture·relationship, local community and parents. we surveyed about 1,602 teachers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curriculum management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schools. based on survey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ssues surrounding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we suggested useful tips of applying key factors when it’s crucially needed.

      • KCI등재후보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향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composition of contents after evaluating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available in applying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2015 to the dietary life a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cooking activities of dietary life area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Korean food making such as rice, soup, side dishes and Kimchi (from the 1st to the 4th, 6th) was changed into one-bowl food making using rice (the 7th), which reflected the influence of the time and there was flour based food or bread influenced by the western style (from the 3rd to the 7th), but cooking food with bread was removed (revised in 2009) and analyzing various food materials (revised in 2015) was newly included. Family life area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2015 included three areas such as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family life and safety, and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nd dietary life consisted of two factors in 'living culture' and one factor in 'safety'. Compared to the contents in 2009, its titles were reduced to three from four. From content factor, cooking content was greatly reduced and 'food taste' was newly included, 'cooking' was included in 'safety area' and its meaning was reduced to 'cooking for safety'. Achievement standard in family life was dietary life as 5.5 of 20 and 30% of family life contents in textbook should include dietary life contents. As revised in 2009, if family life area by each grade was three units, dietary life area should be one unit. In addition, since practic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security of enough quantity is required. For newly introduced taste education, how to taste and express food with five senses and activity to distinguish tastes and enjoy traditional food (local and seasonal food) should be offered and attitude to succeed traditional dietary culture should be educate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dietary life and the future of dietary life education depends on how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15 will be operated. It is considered that competence based curriculum must also include various making activities based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이 연구는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향후 교육과정 운영, 교과서 집필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과교육과정기별 식생활 영역 중 조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고,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고시된 교육과정의 범위와 틀 내에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검토하여 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가정생활 영역은 인간발달과 가족, 가정생활과 안전, 자원관리와 자립 3영역이었으며, 식생활 내용은 ‘가정생활과 안전’영역 중 ‘생활문화’에서 내용요소 2개, ‘안전’에서 내용요소 1개로 제시되었다. 이는 단원명으로 제시되었던 2009개정과 비교할 때 식생활 내용이 4개에서 3개로 축소되었다. 내용요소 측면에서 만들기 내용이 대폭 축소되어 있으며 ‘음식의 맛’이 새롭게 들어가고 ‘조리’가 안전 영역으로 들어감으로써 ‘안전을 위한 조리’로 그 의미가 하향되었다. 실과교육과정기별 식생활 영역 중 조리 활동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1차부터 제4차, 제6차까지는 밥, 국, 반찬, 김치 등 한식 만들기가 있었으나, 제7차에서는 간편식으로 밥을 이용한 한 그릇 음식 만들기로 전환되었다. 제3차부터 제7차까지는 서구식의 영향으로 분식 및 빵으로 음식 만들기가 있었으나, 2009개정에서는 환경의 강조로 빵으로 음식 만들기가 없어졌다. 2015개정에서는 다양한 식재료 맛 분석하기가 등장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실과교육과정에서 조리 활동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조리 활동은 식생활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초등학생에게 의미 있는 활동이므로 간과되어서는 안되는 활동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성취기준 20개중 5.5개가 식생활 내용이므로 시수 및 교과서에서 가정생활 내용 중 30%가 식생활 내용이 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실습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분량 확보가 필요하다. 새롭게 도입된 미각교육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오감으로 음식의 맛을 보는 방법과 표현하는 방법, 맛을 구분해보는 활동, 전통 음식(지역 및 제철 음식) 등의 맛을 즐겨보는 활동 순으로 진행하며 전통 식문화를 계승하는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최근 식생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는가에 따라 식생활교육의 미래가 결정된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실과교육 본래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만들기 활동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절차에 관한 실행연구

        김소희 ( Sohee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교실 수준에서 교사가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을 어떻게 설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K교사가 실행한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사례, 교육과정 디자인 과정에서의 학습자 참여, 그리고 K교사가 기록한 일지와 학습자 설문,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은 크게 4단계 7절차로 이루어졌다. 네 단계는 1)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준비 2)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실행 3) 수업 실행 및 조정 4) 교실 교육과정 완성 순이다. 그리고 세부 절차는 1-1)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1-2) 교사의 수업 기획 1-3)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방안 구축 2-4) 단원 설계 2-5) 수업 설계 3-6) 수업 실행 및 조정 4-7) 교실 교육과정 완성이다. 둘째, 학습자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부분은 크게 2-4) 단원 설계, 2-5) 수업 설계, 3-6) 수업 실행 및 조정 과정이었다. 셋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초등교사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고 학생의 학습 주체의식을 강화하는 방식의 일환이며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은 이 과정에서부터 수업을 시작함으로써 사전 활동을 수업 중 활동으로 옮겨 놓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id an action research to present cases of how a teacher can plan and practice the curriculum design with student and teacher participating together and at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level. It was based on a case of student associated curriculum designing procedure implementated by K teacker,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diarys written by K teacker, stud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largely consists of four steps: 1) Preparation of students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2) practice of student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3)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of lessons, and 4) completion of classroom curriculum. Details are as follows: 1-1) Analysis of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1-2) lesson planning by teachers, 1-3) building ways to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2-4) unit design, 2-5) teacher`s class design, 3-6) lesson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and 4-7) completion of classroom curriculum. Second, there are 3 procedures where participation of students take place which is 2-4) unit design, 2-5) instructional design, 3-6) lesson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values. It will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useful guidance to effectively managing the curriculum, expected to strengthen student`s sense of sovereignty consequently, and start lessons along with these designing stages which has the significant meaning that impling pre-lesson activities into the activities at class.

      • KCI등재

        2007/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김정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1,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standards of ‘Art’. Curriculum on 2011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that MEST has provided, in order to fulfill needs of national policies of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Art’ curriculum were written based on requirements of both the inner and outer demands. Analysis of this research covers followings: the background and guideline of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1, the principals of the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aspects of goal and content of Art Curriculum in 2011 by comparing with Art Curriculum in 2007. As a result, The Framework of the contents is maintained to the current curriculum in wide view. However, I pointed the problem about improving communication role of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nature of a variety of art education, and improving the optimization of Art content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to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but also serve as a direction in teaching Art. 이 연구는 2011년 9월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동인을 반영하여 변화되었으며 그 변화의 내용은 무엇이고 따라서 현장의 미술교육은 그 이전과 어떻게 다르게 바뀌어야 하는 것인가 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체제, 교육 목표,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2009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내용 등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 하고, 둘째, 분석된 차이를 2009 교육과정의 개정의 방향 및 방침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학교에서 미술과 교육의 실천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개정의 쟁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2011 미술과 개정 교육과정은 2007 교육과정과 큰 틀을 같이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총론과 미술교과의 연계성을 강화한 점은 의의라 하겠으나 개정의 중점으로 삼았던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 제고, 다양한 미술교육의 성격 반영, 미술과 교육내용의 적정화와 내용 요소 개선과 관련하여서는 미흡한 점들이 분석되어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