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 연구

        전은경,오인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급별로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현직 전문상담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이 중 209명의 응답을 토대로 역량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과 중등 공통적으로 교육에 대한 요구가 최우선순위로 높게 나타난 역량은 ‘학생 이해’와‘전문성 향상’ 역량이었다. ‘전문가적 태도’는 초등에서는 최우선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고 중등에서는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담이론 및 기법’은 학교급에 상관없이 초등과 중등 모두 차순위요구 역량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부모 및 교사 자문’, ‘지역사회 자원 활용’, ‘의사소통과 협력’은 초등에서만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중등의 경우 ‘역할 조화’와 ‘학교 조직 적응’이 차순위 요구역량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퍼비전이나 지역별 사례연구회를 지원하는 등 전문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편 및 역량 계발 연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임유나(Lim, YooNa),홍후조(Hong, HooJo)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2

        학교교육이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을 도출하고 교사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논의가 국내외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 등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교사 양성 및 연수를 비롯한 교원 정책 에의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와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통해 재정립한 교사 핵심역량에 대해 초․중등교사 58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초등과 중등교사 모두 교사 핵심역량에 대해 높은 정도의 수행도와 중요도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 나, 중등교사보다는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IPA와 Borich 요구도 분 석 결과, 초등과 중등교사 간 요구도 우선순위에도 다소간의 차이가 나타나 핵심역량에 따라 초등교 사와 중등교사가 요구하는 역량의 필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는 학생 지도에 방점이 놓인 ‘교육과정 역량, 수업 역량, 진로지도 역량, 변화 대응 역량’과 교사 개인의 직업적 건강 한 삶의 영위를 위한 ‘자기 관리 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와 필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내 외 업무 처리와 관련되는 ‘교직 실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요구는 가장 낮았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학교급별 특성에 따른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 교사 역량 개발 지원, 학생 수업과 밀접한 ‘교육 과정 역량’과 ‘수업 역량’의 집중 지원, 교사 핵심역량 기반 연수 프로그램 설계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ir key competenc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policies.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582 teachers to questions regarding their key competencies that were reorganized in light of an explo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percep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how they prioritized their needs for competencie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trong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ompetency, teaching competency, career guidance competency, and change response competency that are focused on student guidance, as well as for self-management competency that is focused on sustaining a professionally healthy life. However, the lowest ratings were for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the need for administrative work competenc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needs: support for customized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that consider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haracteristics; intensive support for curriculum competency and teaching competency focused on student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teachers’ key competenci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실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김효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 실과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2009(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가정생활’ 및 ‘기술의 세계’ 교육내용 영역 24개 항목을 중심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및 교사 자신이 가진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기초로 보리치(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계산해 내었다.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를 이용하여 290명의 초등교사에게서 얻은 설문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는 ‘기술의 세계’ 영역보다 ‘가정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 전반에 걸쳐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전체 1순위 그리고 ‘기술의 세계’ 영역의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2순위였다. 2.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에 대해 초등교사 자신의 보유 능력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비해 낮았으며 ‘가정생활’ 영역보다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자신의 능력이 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온 항목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와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였다. 3. 교육요구도 산출 결과,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나 전체 1위부터 7위까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 ‘동․식물 자원과 환경’,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기술과 발명의 기초’ 순으로 이어졌고, 그 다음이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내용으로 전체 교육요구도 순위는 8위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24 education contents about ‘home life’ and ‘world of technology’ in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2009(2011) by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of the perception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290 cases and processed by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bout items of 'home lif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world of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1st), 'making inventive products in our life'(2nd)). 2.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about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home lif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animal caring in daily life'(1st),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2nd)). 3. Their educational needs(EN)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appeared higher in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than in 'home life'. Seven in the head ranks in order among all items became clear to 'animal caring in daily life',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 ‘animal/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informational instrument and cyberspace’, ‘making and using of multimedia materials’, ‘making inventive products’, and ‘the basi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of 'world of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 of 'home life' took the 8th place among all.

      • KCI등재

        특수교사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대처 및 교사의 지원요구

        신윤희,한경인,박경옥,윤주연,오정숙,박남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 및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라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와 중재를 위한 지원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웹(Web)을 활용하여 D와 U광역시 그리고 K도에 재직하는 특수교사 38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 경력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서 각 그룹마다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그룹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경력의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시급성과 중재적용정도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몇몇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효과성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교사의 지원요구의 상관관계와 교사 경력에 따른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의 차이를 논의하였다. 또한 향후 특수교사의 교육 경력에 맞는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web.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gency of intervention and the degree of inter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in the all teach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some teacher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ir responses to aggressive behavior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need for support for aggressive behavio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managing aggressive behavior, and support demand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이지희,이상민,김희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As there is a doubt about expertise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t require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of counseling. Even though Korean school counselors need to be reeducated,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y of educational needs. First, to establish the list of duties,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sked to answer what are their current works. In addition, the special panel of school counseling review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ties were made up of 24 duties. Second,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chkowits' critical functional formula, the areas of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school counselors desired to be reeducated for small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Especially, career and academic areas were needed to improv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tise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를 파악하고, 그 업무를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부분에서 교육이 필요한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요구분석의 내용이 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 목록 구성을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에서 현재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도는 보리치의 요구도 공식과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영역의 24개 현행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들 중에서 집단상담과 집단교육의 교육요구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육청과 학교 소속 전문상담교사 모두 학부모와 교직원의 집단교육 및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내용에 있어서는 진로와 학업 영역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이 미비한 실정에서 실제로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함으로써 그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요구 업무가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최현주,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진로전담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를 구성하고 각 직무에 대하여 초등 진 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을 측정해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갖는 직무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직무를 종합하였고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직무별 교육요구도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초안을 작성하고 진로교육 전문가들의 자문 을 구해 최종적으로 15개의 직무를 도출하였다. 둘째,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 차 이는 직무에 따라 상이했다. 셋째,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한 t 검정 결과 15개 직무의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HH분 면에 ‘진학 정보 제공 및 준비지원’과 ‘진로진학관련 학생 심화 상담 운영 및 지원학생 상담’이 나타 났다. 넷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중 최우선순위는 ‘진학 정보 제공 및 준비지원’, 차우선순위 는 ‘진로진학관련 학생 심화 상담 운영 및 지원학생 상담’,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요구도가 높은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고려하여 연수프로그램과 자료를 구성해야 한다. 셋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학교행정가, 일반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확인한다. 넷째, 기존 분석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이 개발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도출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figure the jobs required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to measure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 of for each job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identify priority job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the job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specialist teachers, put them together, and had their face validity tes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m according to the reviews of experts. The major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15 jobs were derived by analyzing and compiling prior studies and organizing them to appropriate levels a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with the advice of career education exper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jobs. Thirdly, t-test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 across 15 jobs a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level of .05. The Locus for Focus modeling results reveal that the HH section contained 3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study continuously. Second, the training program and data should be stru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of jobs. Third, the school administrators, genera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the jobs of career specialists are confirmed. Fourth, research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that can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analysis methods. Finally, if a qualitative study is conducted for deriving jobs of career specialist,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 KCI등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이찬주,송낙현,강철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직업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교사 행복지표(36개)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직업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40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의 교육요구도는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 사회적 신뢰, 업무분담 만족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협력적 수업 결손 해결, 교무행정업무 효능감, 행정직원과의 관계 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중복된 지표를 확인하여 최우선순위와 차순위를 분석하였다. 우선순위 1순위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업무분담 만족도, 학교장의 소통능력, 민주적인 학교 경영, 합리적인 학교 경영, 민주적 의사결정 문화, 협력적 해결 방안 탐색, 사회적 신뢰,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차순위 교사 행복지표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개인 업무량 만족도, 교육부 지원, 교육(지원)청 지원, 학부모의 인정과 존중, 수업관련 만족도,교사의 자율적 수행, 학생의 인정과 존중, 동료교원의 인정과 존경)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신념과 방법이 존중받을 수 있고, 학생과의 신뢰 관계 형성을 통해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교사가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업무분담과 민주적인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연구

        임경화,장경택,이재은,박윤희,오세현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It is critical to have qualified workplace trainers for successful Apprenticeships in Korea.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ining needs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participating in Korean Apprenticeship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o the 825 workplace trainers who participated and completed training programs of a basic course of workplace trainers as of September, 2009 for investigating need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A total of 421 trainers finally responded to the survey. Then, the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training needs using the methods of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planning training’, ‘developing materials’, and ‘training skills’ were highly ranked in both the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In addition, ‘developing training media’, ‘planning training programs’, ‘evaluating training’, and ‘S-OJT knowledge’ were indicated as secondly highly needed competencies in either the Borich or the Locus for Focus. Therefore, these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essentially needed components for training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tudy were discussed to develop workplace trainers in more systematic ways. 성공적인 일학습병행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현장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이들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년 9월 기준으로 기업현장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한 825명의 기업현장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1명의 응답 자료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별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별로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사분면 위치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교육계획 수립 능력’, ‘교재개발’, ‘티칭 스킬'의 3개의 역량이었다. 즉, 기업현장교사들은 소속 기업의 장기․중기․단기 전략에 부합하여 적절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교육계획 수립 능력과 교육훈련 실행을 위하여 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및 티칭 스킬에 대한 역량 증진의 필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에서만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나 차순위로 개발이 요구되는 역량으로 ‘교육매체 개발’, ‘교육과정 설계 능력’, ‘교육평가 기술’, ‘S-OJT 지식’이 있었다. 이러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제언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역할에 대한 요구도 분석

        정정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the context of inclusived secondary school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teacher roles recognized by each group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teachers, including 127 general teachers and 93 special teachers working in G-do,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pon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Borich needs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ducation requirement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rich needs of all teacher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positive and social areas’ for the general teacher role and the ‘career education’ for the special teacher role showed high dema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Borich for the teacher role perceived by general teachers, the role of the general teacher was ‘Co-teaching with special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 was ‘Career education for admission and employment guidance’, ‘Support for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IEP)’, ‘Instructions for daily living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and ‘Counseling for students and parents in special education’ showed high demand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Borich's needs for the teacher role recognized by teachers in special classes,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was ‘ident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diagnosis and evaluation results of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Co-teaching with special teachers’, ‘Adjustment of schedule for special class activities’, and the role of special teachers are ‘Integrity Classroom Teacher’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with students’ and ‘coordination of timetables for special classes’ showed high demand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and that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 inclusive educa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역할의 요구도를 살펴보고, 통합학급 교사 집단과 특수학급 교사 각 집단에서 인식하는 교사 역할의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G도에 근무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 127명과 특수학급 교사 93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을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실시하여 교육 요구도를알아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전체 교사의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교사는 ‘정의적⋅사회적 영역의 진단⋅평가 결과’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진학 및 취업 지도를 위한 진로교육’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 교사는 ‘특수교사와의협력교수’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진학 및 취업 지도를 위한 진로교육’, ‘통합교육 활동 지원(IEP)’, ‘자립생활을 위한 일상생활기술지도’, ‘특수교육대상학생 및 학부모 상담’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 교사는 ‘가족구조 및 사회⋅문화적 배경 파악’, ‘정의적⋅사회적 영역의 진단⋅평가결과’,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특수교사와의 협력교수’, ‘특수학급 활동 시간표 조율’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급에서의 교수활동(IEP)’, ‘통합학급 교사와의 소통과 협의’, ‘특수학급 시간표 조율’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 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교사간의 소통과 협의가 통합교육을 이루는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의 현장적용을 위해 현 시점에서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6일부터 12월 4일까지 C도와 J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배포된 280부 중 회수된 설문지를 검토하여 26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 이해도,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연령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이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경력, 연령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을 위한 환경, 현장적용, 교사의 전문성 및 참여도 신장에 대한 요구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환경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및 참여도 신장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메이커스페이스의 인식 교육이 우선되어 유아교사의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며, 더불어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현장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교사교육 및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about makerspa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makerspace at this point.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0 at first, but only 26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different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n C and J province, decided to conduct a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6th of November to 4th of December.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ted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wer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differenc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ver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makersp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understanding of the makerspa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operation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akerspace according to the 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operating a makerspa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aker space, the demand for the environment for the operation of makerspace, field application, the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ion of teachers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demands for the makerspace opera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the height of the teacher s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of makerspa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promote teachers’ understanding.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actical teacher training and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field application of makerspace op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