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감성어휘를 통한 아파트 브랜드이미지 평가 - 심볼마크에 대한 감성이미지 변화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정병국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의 평가를 위하여 시각적 아이덴티티로써의 심볼마크에 대한 감성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 전공과 관련된 남녀대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아파트 브랜드 심볼마크에 대한 감성이미지 변화를 측정․평가하기 위하여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된 감성어휘 22쌍을 추출하였으며, 감성형용사를 사용하여 7단계 의미분별척도법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측정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요인축소를 통한 대표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t-test를 통하여 대표감성어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래미안의 심볼마크에 변화에 따른 감성이미지의 변화가 있었으며, 롯데캐슬은 15개의 감성이미지 항목에서 (+)방향으로 상승, 푸르지오는 9개의 감성이미지 항목이 (-)방향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브랜드 심볼마크가 리뉴얼 된 5개의 브랜드에서 대표 감성어휘의 통계적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수용하지 않는 심볼마크 디자인 변경은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감성이미지에 얼마만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브랜드심볼을 단순한 지시기호로서의 사인(Sign)으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브랜드자산을 구축하는 하나의 주요요소로써 인식하고 브랜드연상과 브랜드이미지 등을 시각적인 언어로 함축시킨 전략적 개념으로 활용하고 반영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symbol mark as a visual identity for the evaluation of the image of an apartment brand. It is surveyed by the 97 college students who live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re majoring in design and which those are related to. The 22 sensibility words related to the brand image of an apartment brand are used to measure and assess emotional image changes to the brand logo. Using sensibility adjectives, it was assessed by the 7 step semantic method of measurement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and derive results through factor analysis to extract representative sensibility images through reduction of factors. The study shows that the change in sensibility image of the latch was changed to reflect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he viewer, and Lotte Castle has moved from 15 imaging items to (+) direction in 15 senses, and 9 image items fall in (-) direc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change in symbolic desig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identity.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rand symbol is not only recognized as a mere sign of signature, but also as a strategic concept that identifies brand assets as one of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brand and utilizes branding and branding as a strategic concept.

      • KCI등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과 감성이미지와의 상호관계

        김진경(Kim, Jin Kyung),나경훈(Na, Kyung Hoon),남호정(Nam, Ho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물질문명의 지나친 발달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발생을 초래하였고 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지역이나 국가에 국한되지 않으며 세계적인 위기에 직면한 범지구적인 문제로 확대하였다. 미래에 필요한 자원을 보존하고 현재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증가함으로 인해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생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 또한 자연스럽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인식에 발맞추어 디자인 분야에서도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적용하자는 의견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간과 환경 사이에 작용하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고려하면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지구의 건강을 위한 전략체계의 하나로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패키지디자인에서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빠른 기호변화, 소비패턴의 다양화, 다변화하는 시장의 흐름 속에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을 노출할 수 있는 새로운 해답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의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s)”에서 2013년 패키지의 실용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미적, 친환경적, 경제적 지속성을 심사에 수상한 작품 국내·외 6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레이아웃, 색채,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소재의 구성요소별 분석과 IRI 배색 이미지스케일(Image Scale)에 적용한 언어적 감성이미지 분석,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상징적으로 포함한 의미구조를 척도로 환경적 측면, 경제적 측면, 디자인적 측면의 종합 분석을 실시하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과 감성 이미지의 연결성을 알아보고, 소비자의 구매의식과 생산자의 환경의식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활용방안을 파악하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에서 감성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 전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이라는 콘텐츠가 각광받는 시대에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례별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감성이미지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핵심요소이므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취지에 맞는 감성이미지와 표현기법의 다양화를 필요로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은 기업의 책임이 아닌 사회 모든 구성원의 의무이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포함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은 끊이지 않아야 한다. 지속가능성과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머리로 이해하기 보다는 가슴에 호소하는 감성이미지를 접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이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활성화와 향후에 있을 연구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길 바라며, 범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구체적인 발전을 통한 체계적인 고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Excessiv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resulted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everity of environmental problem doesn"t limit only some regions or countries but has spread to global problem with world crisis. As the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utilizing the present resources efficiently and preserving the resources necessary in the future increase, the rise of the perception on the harmony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increase the opinion of applying the concept of the sustainability on design as well. Sustainable design includi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concept should be applied to the package design which is one of the strategic systems and has a close affinity with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a methodology of new solution that sustainable package design with emotionality image could expose itself in the market flow with fast changing consumer preference,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pattern and market trend. For this, practical and emotional aspect of package will be evaluated intensively through practical analysis in this research. Meanwhile 2013 award-winning work of "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s" which is one of the world"s three design awards that evaluate esthetic, eco-friendly, economic sustainability has been chosen as the standard of the analysis. With the focus on components analysis of layout, color, typography, visual image, package subject and IRI arrangement of colors image scale with linguistic emotionality image, 6 domestic and international works of the sustainable package design have been selected and emotionality image of package has been looked into through the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image and emotional language that constitute package. Lastly, this research will explain, with the symbolic meaning structure of the sustainability, the connection between sustainable package design and emotionality image by executing overall analysis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design aspec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sign using emotionality image in sustainable package design by understanding application plan with the harmony between the purchase consciousness and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of suppliers. In the era where emotionality contents are in the limelight, through the comparison case by case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vitalization of emotionality image applied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is research has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Diversifying expressive technique of emotionality image suitable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concept is required since emotionality image is basic core when reading customers" mind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ackage design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environmental companies but the duty of overal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should be continued. In spite of numerous researches on sustainablility and package desig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appeals to heart is not systematically practiced. This thesis would be the foundation of vitalization of package design and the researches in the future and be systematically used as a solution that could solve global environment problems.

      • KCI등재

        아파트 브랜드 TV 광고의 감성 이미지 표현 방식 및 소비자 반응 분석 - 광고 사례분석 및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이재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 상위 순위 5개 브랜드의 감성적 TV 광고 사례를 대상으로 감성적 이미지 표현 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아파트 브랜드의 감성적 광고 사례는 광고의 내용과 전개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자연, 힐링, 개성, 편안함 등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소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사례별 감성 이미지 표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결과, P브랜드 광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도가 높았던 광고 사례의 감성 어휘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자연친화적인’,‘편안한’,‘따뜻한’,‘가족적인’ 등의 어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언어 메시지에 대한 광고 선호도 조사 결과, P브랜드와 E브랜드의 바디카피와 헤드라인이 소비자에게 가장 감성적으로 다가간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장면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소비자는 공통적으로 자연의 이미지나 신체적인 접촉이 보여 지는 장면에서 가장 감성적 이미지를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인 음향메세지는 푸르지오 광고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고, 음향메세지 요소는 배경음악(51.25%)이 가장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연주곡(61.96%), 물소리 효과음(29.89%)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5개 광고 사례를 대상으로 응답자의 오감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TV 광고의 시각적 자극과 청각적 자극이 소비자에게 감성적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emotional image expression methods of emotional TV commercials of top five apartment brands, and to examine consumers' responses to th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apartment brand's emotional commercial case had a difference in commercial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s, and all of them were appealing to consumers, based on the key words, such as nature, healing, individuality and comfort. Second, when the preference for emotional image expression of each commercial case was analyzed, consumers preferred P brand's commercial the most, and when emotional words of the commercial case with the highest preference was analyzed, commonly, the words such as 'nature-friendly', 'comfortable', 'warm' and 'familial' were highly preferred. Third, in relation to the commercial preference for language messages, the body copies and headlines of the P-brand and E-brand commercials appealed to consumers, most emotionally. Also, commonly, consumers found emotional images the most in the image of nature or the scene to display physical contact. Fourth, in relation to sound message, which stimulates the hearing sense of consumers and arouses emotion, the P-brand commercia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Especially, background music(51.25%%) was an element of sound message to stimulate emotion the most and here, instrumental music(61.96%) and water sound effect(29.89%)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of it. Lastly, the survey on five-senses awareness of the respondents in the five commercials showed that visual stimulation and auditory stimulation of TV commercial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s in conveying an emotional image to consumers.

      • KCI등재

        화장품 유형별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감성 반응 연구

        김찬주,박지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상품의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 및 브랜드 가치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일차적으로 전달되는 제품 정보인 만큼 소비자들에게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지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을 이용하여 소비자 감성 이미지 형용사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특히 화장품 재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따라 구별되는 천연화장품, 한방화장품, 발효화장품 및 기능성화장품에서 연상되는 소비자 감성 이미지를 선별하고자 선행연구, 화장품 브랜드 홈페이지 및 소비자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4가지 유형별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화장품 유형에 따른 감성 이미지는 시각적 촉감 및 위생적인 이미지와 연관이 되는 이미지 형용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박한, 자극적인, 전통적인, 과학적인 이미지 등 화장품 컨셉에 따른 특성과 연관이 되는 감성 이미지 형용사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화장품 용기디자인이 내용물 보호는 물론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가설을 지지하며 화장품 유형에 따른 용기 디자인에 대해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감성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ign of a product form plays a crucial role in conveying the product information as well as brand image to consumers. Since it is packages of products that consumers first meet in the marketpla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package design communicates to consumers. Thus, this research explores how consumers respond to package design in the context of skin care produc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brand websites, and consumer pilot study, this research develops image scales to measure consumers' evaluation of package designs of cosmetics, which can encompass four types of skin care products: natural cosmetics,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fermented cosmetics, and functional cosmetics. Then, this study assesses how packaging designs of these four types of cosmetics affect consumers’ evaluation of image of cosmetic products. Findings show that four types of cosmetic packaging lead to differences in consumer evaluations with images reflecting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which include simple, traditional, scientific, and irritating.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mages reflecting tactic impression and visual hygiene such as clean, familiar, soft, and fres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nsumers respond differently to packaging designs of different type of cosmetic products, and packaging designs influence identity of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장류제품의 디자인,마케팅 전략

        이유리 ( Yu Ri Lee ),양종열 ( Jong Youl Yang ),박상준 ( Sang June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범주화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이 다르며 이에 따라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 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류) 안에 유사한 하위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 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류는 선호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별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류에 대한 감성 이미지 조사에서, "웰빙의", "감칠맛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저분한", "냄새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장류제품을 개발할 때 "감칠맛 나는"과 같은 긍정적인 감성이미지는 부각시키고, "지저분한" 이미지와 같은 부정적인 감성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Categor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product design. Consumer`s emotion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a type of categorization, so design concept and design elements must be combined differently with difference of the emotion. Specially, categorization process is necessary if nowadays product line is enlarged, and a product differentiation is not clear. That is, designers decide on correct categories and a design concept based on similarity of emotion and have to provide to consumer-oriented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gn direction for Korean traditional sauce products after extracting consumers` sensitivity from the whol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sauce and each images of the sauces-Korean hot pepper paste, soybean paste, fermented soybeans paste, SsamJang, and soy sauce- and deciding categories of the each sauces based on the extracted sensitivities` similarity.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knew that Korean traditional sauces didn`t differentiate from consumers` preference images. In our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 emotional image survey on sauces - have conclusion that emotional image of "well-being", "tasty" have positive influence, but emotional image of "messy and dirty", "smelly" have negative influe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al images like "tasty" should be emphasized, but negative emotional images like "messy" should be eliminated for design and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traditional sauces. This research will suggest the guideline for product design with respect to academic aspects and working-level aspects.

      • KCI등재

        소비자 선호 감성이미지 기반 남성용면도기 디자인 전략

        이유리 ( Yu Ri Lee ),양종열 ( Jong Youl Ya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관련한 소비자의 선호와 감성이미지를 파악하여 선호감성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제품디자인요소를 추론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가정인 제품디자인선호-감성이미지-디자인요소의 인과구조를 통해 소비자 감성 지향적 디자인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성용면도기를 연구대상물로 선정하였고, 감성이미지단어들을 추출하기 위한 파일로트 테스트(pilot test)와, 감성이미지단어항목과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의미차이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구성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남성용면도기 디자인전략으로는 소비자들은 남성용면도기제품을 “고급스럽고, 예쁘며, 안정적인” 감성이미지가 높을수록 선호하는데 이 이미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바디가 호형도 다각형도 아니고 재질이 스틸이고, 버튼이 푸시형이며, 재질이 스틸, 컬러는 갈색이 아닌 컬러”인 디자인요소가 디자인요소들 간에 trade-off관계를 고려하여 조합되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선호도-감성이미지-디자인요소의 인과구조에 대한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소비자 감성 지향적 디자인을 전망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sign direction based on consumer sensitivity through the structure between product design preferences - sensitivity image - design elements. For the purpose, we selected men`s shaver products for this study subject and collected 164 shavers` pictures released between 2001-2007 years. Then, we carried out a pilot test for collection of sensitivity images about shavers, made a surve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analyzed the survey. According the result, consumers preferred the sensitivity images “luxury, attractive, stable”, design elements satisfied the preference images were “form of body is not a circular arcs or a polygon, material is steel, button is push style, and a color of body is not brown.” This study can provide a bas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eferences - sensitivity image - design elements and a design process to predict consumer sensitivity-oriented design.

      • KCI등재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 비교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3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제품의 아이덴티티나 브랜드 이미지 또한 이러한 차별화 전략 중의 하나로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 중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형성된 감성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감성 이미지라고 정의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여섯 가지 대표감성을 평가하여 국내 대표 휴대폰 브랜드 세 개(A브랜드, C브랜드, S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휴대폰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이미지, 특히 감성적인 측면에서의 이미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성급하게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규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연령대, 직업, 성비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브랜드 감성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diversity in user needs lead mobile phone manufacturers to establish new strateg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or user attraction. Product identity, and brand image are major strategies for differentiation and adding new values to a product. This research starts with stating emotional brand image as the brand image made by the actual usage and the emotion built from the experience while using the product. This research will compare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three major mobile phone manufactures in Korea (Brand A, C, and S) using evaluation of six representative emotions from users while using the product. The result of evaluating actual mobile phone users and the emotion built while actually using the product showed the brand image, and especially the emotional sid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self would not be sufficient to simply state the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but with further research including age, profession, gender and other demographic fact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surely be able to abstract a clearer view of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 KCI등재

        감성 트리를 이용한 이미지 감성 분석 알고리즘

        이연란(Yean-Ran Lee),윤은주(Eun Ju Yoon),임정아(Jung-ah Im),임영환(Young-Hwan Lim),성정환(Jung-hwa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이미지를 감성으로 쾌 또는 불쾌, 긴장 또는 평온의 구분 감성을 트리 형식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한다. 이미지 대표평가 감성인 명도대비를 평가 기준으로 1차는 쾌, 불쾌 또는 긴장 또는 평온이고 2차는 세분화 이미지 감성으로 구분한다. 4개의 감성인식을 수치화 된 명도대비 데이터로 측정한다. 평가 구현은 OpenCV를 통해 명도대비를 그래프화하여 긴장, 평온, 쾌, 불쾌 값 변화에 따라 4개 감성으로 구분하여 컴퓨팅한다. 감성 컴퓨팅으로 명도대비의 입력된 값에 따라 ‘불쾌’를 ‘쾌’ 또는 ‘긴장’을 ‘평온’으로 감성적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미지 감성의 규칙성을 계산화 된 컴퓨팅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고 향후 산업방향에 감성인식의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Image of emotional pleasure or displeasure, tension or emotional division of tranquility in the form of a tree is evaluated by weighting. Image representative evaluation of the sensitivity of the brightness contrast ratings 1 car pleasure, displeasure or stress or emotional tranquility and two cars are separated by image segmentation. Emotion Recognition of four compared to the numerical data is measured by brightness. OpenCV implementation through evaluation graph the stress intensity contrast, tranquility, pleasure, displeasure, depending on changes in the value of the computing is divided into four emotional. Contrast sensitivity of computing the brightness depending on the value entered nuisance to excellent or stress to calm the emotional changes can give. Calculate the sensitivity of the image regularity of localized computing system can control the future direction of industry on the application of emotion recognition will play a positive role.

      • KCI등재후보

        실과 목공 활동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 분석과 미래 지향적 방향

        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woodworking activities using emotional engineering approach, to explore the factors of students’ emotional image,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ased on emotional image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f fifth grade students. By random sampling, and were a class of Incheon to respond to the evaluation questions for a total of 30 students. To make an assessment tool, and then collect verified by the emotional vocabular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it designed the Emo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6 adjectives. Cronbach-α value for sensitivity test items are found to be 0.81.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e emotion from the image side to the woodworking activities is as follows. First, woodworking activities in the Practical Arts classes had to have a positive emotional image. Woodworking produ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and because it can be used as practical. Second, woodwork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have a good fun and light sensitivity image. On the one hand, it shows no refined beauty without a decent image. In order to improve this disadvantage, it is more sophisticated and creative design of a variety of wood product required. Third, the factors that make up an image of emotion woodworking activities, consists of three good sensibility, aesthetics, and utilization possibilities. There is great emotion, including the nice, bright, fun items; aesthetic factors are included in this stylish and warm item. Utilization factors are likely to consist of convenient, practical items. Finally, in order to cultivate the students through the emotional image of the woodworking activities, and should provide a good emotional factors in design and experience, the aesthetic factor to deal with a variety of woo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take advantage of potential factors to create a product tha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real world through the use of various tools to improve the emo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목공 활동에 대해 감성공학적인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감성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을 탐색하여 초등학교에서의 목공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실과 검정 교과서가 발행된 2007 개정 이후에 가장 빈번히 제시된 목공 활동의 상위 3개를 추출하여 각 각의 목제품을 보여주고 감성 평가 항목별로 학생들이 평가하도록 하였다. 인천지역 1 학교의 한 학급을 임의표집하여 총 30명을 대상으로 평가지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측정도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감성 어휘를 수집하기 위해 문헌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최종 16의 형용사로 구성된 감성 평가 설문을 제작하였다. 16개 문항에 대한 Cronbach-α값은 0.81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의 결과에 터하여 목공 활동에 대한 감성 이미지 측면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시간에 제공해온 목공 활동은 일상생활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면서 직접 활용 가능한 제품을 만들어서 실용적이면서 긍정적인 감성 이미지를 갖게 해 주었다. 메모판 만들기, 연필꽂이 만들기, 냄비 받침 만들기 등의 목공 활동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둘째, 초등학교에서의 목공 활동은 재미있고 좋고 밝은 감성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촌스럽고 품위가 없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하고 다양하면서 창의적인 목제품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셋째, 목공 활동의 감성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인 호감성, 심미성, 활용성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호감성에는 좋은 밝은 재미있는 등의 요소가 포함되고, 심미성 요인에는 세련되고 따뜻한 요소 등이 포함된다. 활용성 요인에는 편리하고 실용적인 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목공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감성 이미지를 함양시키기 위하여, 호감성 요인에서는 디자인과 경험을 제공해 주고, 심미성 요인에서는 다양한 목재를 다루아야 한다. 또한 활용성 요인에서는 다양한 공구의 활용을 통해 실생활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봄으로서 감성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SNS 이미지를 반영한 감성적 패키지디자인 사례 연구 - 델라페 음료를 중심으로 -

        신상윤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상품의 다양화로 경쟁이 심해진 음료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기존 방식의 디자인에서 벗어나 감성을 전 달하는 감성적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인스 타그램에서 상품 패키지디자인 컨셉에 활용 가능한 SNS 이 미지 검색 과정을 알아보고 그 이미지를 패키지디자인에 적 용하여 이전 디자인, 경쟁사 디자인과 비교분석, 미래 방향성 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이미지 기반 SNS 1위인 인 스타그램과 CU의 “델라페” 음료 3종으로 패키지디자인을 진 행하였고 최종 12종으로 디자인 전개하였다. 연구방법은 이 미지 기반 SNS와감성에 대한이론적 내용은 문헌 조사를 실 시하였고 인스타그램에서 검색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자인 을 전개하여 1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 디자인으로 기존 디자인과 경쟁사 디자인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인스 타그램에서 감성 키워드 분석결과 대상은 직장인이 56.96% 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는 퇴근 시간 그리고 콘텐츠는 풍경이 제일 많이 검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4가지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그중에서 퇴근길 그라데이션 풍경을 컨셉으로 한 패키지디자인이 선정되었다. 이전 디자인과의 비교 설문 조 사에서는 감성, 차별성이 높았고 정보전달력은 낮게 나왔다. 경쟁사 대비는 모든 부분에서 높게 나왔다. 연구결과 패키지 디자인을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 소비자의 감성 자극을 위해 SNS 이미지 트렌드를 분석, 사용 시 감성적 패키지디자인 개 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향후 감성적 이미지가 필요한 브 랜드패키지디자인 개발 방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motional designs are required to receive consumer cho ices in the highly competitive beverage market due to div ersification of produ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 nd out the SNS image search process that can be used for product package design on Instagram,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ckage design with the previous design, co mpetitor's design,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he s cope of the study was three types of Delaffe drinks, Ins tagram which are the top image-based social networking sites, and the design was developed into the final 12 type s. As a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 y on image-based SNS and the theoretical contents of e motion, and the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 e image retrieved from Instagram, and the final design id en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design and th e competitor's desig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moti onal keywords on Instagram, 56.96 percent of office work ers were the target, while the time zone was off work an d the scenery was the most searched. Through this analy sis, four designs were developed, and among them, a pac kage design based on gradation scenery on the way hom e from work was selected. A comparison survey with the previous design showed high sensitivity and differentiati on, and low information delivery power. Compared to its competitors, it was higher in every aspec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evelop an emotional packag e design when used by analyzing SNS image trends to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It is expected to help dev elop brand package designs that require emotional image 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