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이상은,Lee, Sang-Eun 한국통계학회 2006 응용통계연구 Vol.19 No.3

        표본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지형학적 범위가 넓거나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지형적 범위 즉시 또는 도 단위로 표본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지형학적 범위가 작은 소지역은 충분한 표본의 확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신기일과 이상은(2003)은 공간통계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신기일과 이상은(2003)의 공간자기회귀(Spatial Autoregressive: SAR) 모형을 확장한 모형인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 (Bayesian Auto-Poisson Model: BAPM)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호주의 1998년 장애인 통계 (Survey of Disability, Aging and Cares:SDAC)이 며 MSE, MB 그러고 회귀 분석을 이용한 편의 분석기법이 비교에 사용되었다. In sample survey sample designs are performed by geographically-based domain such as countries, states and metropolitan areas. However mostly statistics of interests are smaller domain than sample designed domain. Then sample sizes are typically small or even zero within the domain of interest. Shin and Lee(2003) mentioned Spatial Autoregressive(SAR) model in small area estimation model-based method and show the effectiveness by MSE. In this study, Bayesian Auto-Poisson Model is applied in model-based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SAR model using MSE ME and bias check diagnosis using regression line. In this paper Survey of Disability, Aging and Cares(SDAC) data are used for simulation studies.

      • KCI등재

        Application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Abundant in NaCl on the Growth and Cationic Balance of Rice Plant in Paddy Soil

        이상은,안현진,윤승길,김석민,정광용,Lee, Sang-Eun,Ahn, Hyun-Jin,Youn, Seung-Kil,Kim, Seak-Min,Jung, Kwang-You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0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3 No.2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담수 조건의 벼 생육과 수량, 체내 양이온 균형 및 토양의 Na 집적 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폿트 실험을 하였다. 처리로는 무처리, NPK, NPK에 NaCl을 3수준(300, 600, $900kgha^{-1}$)으로 시용한 처리,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돈분발효 퇴비를 각각 3수준(30, 60, $90Mgha^{-1}$)으로 한 처리 등을 두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는 $Na_2O$ 함량이 2.2%로 높았다. 이앙 직후 활착기간 중 음식물쓰레기 퇴비 $40Mgha^{-1}$ > NPK+NaCl $900kgha^{-1}$ > 음식물쓰레기 퇴비 $20Mgha^{-1}$ 순으로 심한 위조 현상을 보였으며, 그 원인으로 판단되는 토양용액 중의 EC와 유기산 함량이 음식물쓰레기 되비 $40Mgha^{-1}$ 처리에서 매우 높았다. NaCl을 $900kgha^{-1}$까지 시용하여도 대조구인 NPK구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수확기 건물중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은 시용량에 관계없이 수확기 건물중을 감소시킨 반면, 돈분발효퇴비는 $40Mgha^{-1}$까지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NPK + NaCl처리들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Na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수확기 식물체 중 Na 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Na 당량비도 Na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으며, Na 당량비와 K 당량비 사이에는 고도의 유의성있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Na와 K의 당량비 및 Na/K 당량비 비율은 처리간 편차가 매우 컸던 반면, Na+K 당량비 합은 편차가 적어 상당부분 Na의 K에 대한 생리적 대체가 인정되었다. Na 이용률은 NaCl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12~22%를 나타내었다. High sodium contents in food-waste compost(FWC) is the greatest limitation to recycle it to arable lands in Korea. The effects of the FWC application to paddy soil on the growth of rice plants, cationic balance in plants, and the sodicity of soil have been studied in pot trials. The effects of FWC appli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aCl compound and swine manure compost(SMC) application. $Na_2O$ contents of FWC were high as 2.2%. Immediately after transplanting, rice plants in three treatments showed severe wilting in the order of 40Mg FWC $ha^{-1}$ > NPK+900kg $NaClha^{-1}$ > 20Mg FWC $ha^{-1}$. The high EC value and volatile acid contents of soil solution were regarded as the cause of severe wilting of young rice plants. Increase of NaCl application rate upto $900kgha^{-1}$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of dry matter yield at harvesting stage. Regardless of application rates FWC reduced the dry matter yield at harvesting stage, while SMC increased it with increase of application rates upto $40Mgha^{-1}$. In NPK+NaCl and FWC treatments, Na contents and equivalent ratio in plant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of Na application rates. Between Na and K equivalent ratio negative correlation with high significance was shown. In contrast to much difference of Na, K, and Na/K equivalent ratio among treatments, little difference of Na+K indicated the physiological substitution of Na for K in rice plants. Na use efficiency in NPK+NaCl and FWC treatments showed 12-22%.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의 효율적 형성을 위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시각적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요소를 이용하여-

        이상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IBC) strategy which conveys customers' positive attitude toward brands as well as the formation of Brand Personality(BP). Brand Personality is the essential part of brand management because customers often utilize symbolic image of the brands for expressing their self-image. In such a property, visual information seem to be more suitable to form BP than other information, as many studies indicated that visual ones could deliver emotional images efficiently. This study shows that IBC strategy must make a “Moderate Incongruity” among media and the incongruity has to be in the adaptation level for customers. If visual elements are in the adaptation level, BP that the brand would like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will be clear and customers would prefer to choose the brand. This study investigates efficient strategies for brand management from the view of visual elements.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methodological issues of IBC and about BP related to customers' positive brand attitude and preference. 본 연구는 시각적 요소를 통해 브랜드의 명확한 특징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차별 요인이 되는 브랜드 개성의 형성과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이미지를 표출함에 있어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를 이용한다는 성향 때문에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감성적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시각적 요소가 브랜드 개성을 형성하는 데 전략적 도구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중간수준의 불일치(Moderate Incongruity)"이며, 이는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의 '수락범위(adaptation level)' 내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시각적 요인이 수락범위 내에 있을 때에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브랜드 개성은 명확히 전달되면서 소비자의 선호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전략 중 시각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일반적으로 브랜드 관리에 있어 매체 간 시각적 요인에 대해 불일치로써 소비자의 브랜드의 선호 및 태도를 높일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CO<sub>2</sub> 가스의 존재 여부와 용액의 pH가 Silica/Pb(II) 용액 계면에서 Silica 표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은,Lee, Sang-Eun 한국토양비료학회 200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6 No.5

        $CO_2$ 가스 존재여부와 pH가 Pb(II)와 sodium dodecyl sulfonate(SDS, $C_{12}H_{25}SO_3Na$) 흡착에 따른 silca 표면의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contact angle 과 AFM을 이용한 힘 측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대기와 접촉하여 $CO_2$가 용해되는 조건에서 Pb와 SDS가 $10^{-4}M$ 씩 들어 있는 혼합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fused silica 표면의 contact angle은 $PbCO_3$의 침전 때문에 최대 $46^{\circ}$로 낮았다. 반면에 $N_2$ 개스를 불어넣는 $CO_2$ 부재조건에서는 $PbCO_3$의 침전이 없었기 때문에 contact angle이 최대 $90^{\circ}$로 크게 증가되었다. $CO_2$ 부재조건에서 pH에 따른 contact angle과 AFM에서 측정한 점착력($F_{ad}$) 변화 양상은 $PbOH^+$ 화학종 분포와 유사하였으므로, Pb(II)의 silica 표면 흡착형태는 $PbOH^+$ 로 판단되었다. 한편 contact angle 과 AFM 측정결과 모두 Pb 단독처리에서 소수성을 발현하였다. 이 결과는 현재까지의 알려진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었으며 이를 위하여 원자수준에서의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Effects of the existence of $CO_2$ gas and pH on the silica surface characteristics at silica/Pb(II) and sodium dodecyl sulfonate (SDS, $C_{12}H_{25}SO_3Na$) solution interface were studied. The hydrophobic characteristics of silica surface was delineated by contact angle measurement and surface force measurement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In $CO_2$ free condition provided by purging $N_2$ gas, the contact angle of fused silica surface in $10^{-4}M$ Pb(II) and SDS solution increased greatly up to $90^{\circ}$ compared with $40^{\circ}$ in atmospheric condition. It was due to the precipitation of $PbCO_3$ in atmospheric condition. In $CO_2$ free condition the change of contact angle and adhesion force ($F_{ad}$) in AFM, affected by pH change, was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PbOH^+$ ion in speciation diagram corresponding to $10^{-4}M$ total Pb(II). Therefore, it was convinced that the $PbOH^+$ ion among Pb(II) species would be the main adsorbing type on silica surface. Both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and surface force measurement using AFM showed that the Pb only treatment made the silica surface hydrophobic. However, it could not be explained theoretically by current knowledge, and required further study in atomic level to solve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