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추법은 독자적 법적 추론방법인가 - 대법원 2019. 4. 18. 선고 2017도14609 전원합의체 판결과 서울고등법원 2010. 5. 31. 선고 2009노3108 판결을 중심으로 -

        한상훈(Han, Sang Hoon)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81

        연역법이나 귀납법에 비하여 가추법은 비교적 최근에 정식화되었다. 연역법이 BC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정식화되었고, 귀납법이 근대 17세기 베이컨에 의해 체계화되었다면, 가추법은 19세기 미국의 철학자, 실용주의자 찰스 퍼스(Charles Peirce)에 의하여 정식화되었다. 물론 정식화되었다는 것이 그 이전에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는 직관적으로 가추법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고, 수사기관이나 법원도 마찬가지이다. 단지 그것이 가추법인지 모르고 사용했을 뿐이다. 하지만 가추법이라는 추론방식에 대하여 메타적으로 인식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명확히 할 때 우리는 추론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보다 올바른 법적 사고를 통하여 타당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사후적 경합범의 감경범위에 대한 대법원 2019. 4. 18. 선고 2017도14609 전원합의체 판결과 용산재개발 화재사건에 대한 서울고등법원 2010. 5. 31. 2009노3108 판결은 가추법이 적용된 대표적 사례이다. 가추법은 특유한 논증방법이지만 독립적 논증방법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가추법의 의미와 필요성, 적절성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철학, 논리학, 과학에서 반복적 실험이 가능한 것과 달리, 법학에서는 한 번의 과거 사실에 대한 실체적 진실의 발견, 즉 구체적 사실관계의 확정이 중요하며, 신이 아닌 인간의 인식적 한계하에서 이러한 판단은 대단히 어렵고 곤혹스럽다. 이러한 구체적 사실관계에 대한 실체적 진실의 발견에 있어서 가추법은 연역법이나 귀납법이 제공할 수 없는 독자적인 유용한 논증방법을 제공해준다. 가추법은 법학방법론에서 특히 그 의미와 효용이 크고, 그 한계를 인식하여 올바르게 사용되는 한 적절하고 타당하다. 독자적이라는 의미를 특유한이라고 사용한다면, 가추법은 연역법, 귀납법, 유추법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논증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더구나 법을 해석하고 사실을 확정하는 법학방법론에서는 더구나 그 중요성을 경시할 수 없다.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적 관찰과 요청이 집적되어 법의 제개정에 이르는 과정은 크게 보아 귀납법이 사용되고, 성립된 법규범을 구체적 사실관계에 적용하는 과정은 법적 삼단논법이라고 하는 연역법의 형식을 띤다. 하지만, 개별법규범의 진정한 의미를 밝혀내고 사실관계의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이 활용되지 않을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예를 우리는 용산재개발 화재사건의 서울고등법원판결과 사후적 경합범의 감경범위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찾을 수 있다. 재판단계에서 가추법은 적절하고도 의미 있는 독자적인 추론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수사단계에서는 여러 가능한 범죄의 시나리오나 가능성을 놓고 증거를 수집하고 용의자를 좁혀가는바, 이러한 단계에서는 셜록 홈즈가 사용하는 가추법이 더욱더 중요하다. 특히 발견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발견의 가추법”이 대두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nduction and deduction are more common types of inference whereas abduction, which is another type of inference is more obscure to the scholars. The theory of deduction was established by Aristotle in ancient Greece in the 4th century B.C., and the theory of induction was developed by Francis Bac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the 17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American philosopher Charles Sanders Peirce launched his theory on abduction as an integral part of his agenda of pragmatism. While abduction itself is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public by its own name of the theory, however, Peirce’s original idea of abduction or hypothesis is frequently and intuitively used in our daily lives, even within the judicial system. Accordingly, by exploring the method of abductive reasoning, the application of the abduction in law would advance a quest for cognition in the field of dogmatic jurisprudenc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epistemology of solving legal questions by reducing errors in reasoning. The idea of abduction in legal reasoning has been adopted in recent Supreme Court case(En Banc Decision 2017Do14609 Decided April 18, 2019), where the Court"s ruling was on the scope of sentence reduction in the discount-for-multiple-offenses. Additionally,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Decision 2009No3108 Decided May 31, 2010), an arson case at Yongsan redevelopment area, is another representative case of an application of abductive legal reasoning. Abduction theory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in its reasoning, yet not independently distinctive from other methods of reasoning. However, abductive inference is key processes in legal reasoning facilitating an agent to deal with incomplete information, especially where the knowledge of both facts and law are merged. Unlike in the field of philosophy, logic, or science, there is no possibility to either recreate the facts experimentally or test the facts using quantitative methods on trial for legally relevant facts cannot be proved statistically.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emplo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bductive reasoning in finding the legal truth and facts of the case where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contribute less. Albeit some limitations of the theory, however, the abductive reasoning has its notable value in the field of law, as long as it is well-utilized. Whe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dependent” that pertains to the conspicuously unique traits, abduction has its own salient feature of reasoning method aside from induction and deduction. In law,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facts are crucial and they are the core process of the legal system. In the process of enacting amendments via empirical observations of social phenomena, inductive reasoning is used and when applying the rule to the specific set of facts in the case, deductive reasoning, also known as legal syllogism, is applied. As delineated in the previously stated cases of the Supreme Court and Seoul High Court, abductive reason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larifying the individual rule of law and further resolving the disputes on the facts of the case. Therefore, at the trial stage, abduction provides an important and independent method of reasoning.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reasoning is more emphasized during the stage of investigation where relevant evidence is collected and the list of suspect gets narrowed down after contemplating on numerous sound criminal scenarios and possibilities of the crime. As the famous quote from Sherlock Holmes conundrum goes, “Eliminate all other factors, and the one which remains must be the truth.”

      • KCI등재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의 창의적 연구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changed pre-teachers' creative hypotheses 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8 pre-teachers who selected randomly out of 3 different universities. These pre-teachers were assigned to any one of the two groups which includ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provide to an account of abduction's concept, process, features and 'form of abduc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through abduc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after experiment carried out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It means that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 for the creative hypotheses making. Also,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sex, academic year, grade level. Only,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n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ess increase than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social and human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tion, I proposed that provide to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for pre-teachers and teachers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education. Also, it proposed for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that varied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give aid to abduction's process, practical use methods of abduction's form, investigation of sensitive factor with abduction process certainly be studied. 이 연구는 가추법을 설명하고 가추법 양식을 제공하는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며,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분류한 후, 실험집단에게 가추법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 연구가설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일원 공분산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한 결과,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된 실험집단이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연구가설의 창의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연구방법론 교육내용으로 가추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가추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의 각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연구, 가추법 교육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의 구안, 가추법 양식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가추법 과정에 수반되는 감성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등이 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추리소설과 문학교육

        조현일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본고는 추리 소설의 장르적 특성에 주목하여 그것의 문학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추리 소설은 한편으로는 대중소설의 일반적 특성, 즉 기분전환을 위한 오락물이라는 특성을 갖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추리라는 고유의 정신활동을 요구하는 지적 장르라는 특성을 갖기도 한다. 지적 특성으로 인해 추리소설은, 대중소설의 독서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본격소설의 독서에 이르는 매개적 단계의 독서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추리소설을 서스펜스 소설이나 범죄 소설과 구별시켜주는 본질적 표지는 '탐정'과 '탐정의 '발견의 행위', 즉 추리이다. 홈즈, 뒤팽 등의 추리는 기호학자 퍼어스가 지적한 바 있는 가정적 추론, 즉 가추법에 해당 하는 논증 방식으로서, 지나치게 규범화된 가추법, 덜 규범화된 가추법, 창조적 가추법 등 매우 다양한 차원의 가추법을 모두 보여준다. 추리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독자 역시 다양한 차원의 가추법을 실행하고 지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특히 두 번째 가추법과 세 번째 가추법은 각각 문학 작품의 개연성과 창조성에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추리소설을 매개적 단계의 독서물로 설정할 때, 주의할 점은 추리소설의 부정적인 이데올로기적 기능이다. 추리 소설은 직접적인 방식으로 이데올로기를 강요하지는 않지만 장르의 형식적 특성 자체가 보수적 이데올로기와 사물화된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고전적 추리 소설 에서 탐정이 상류계층 출신으로서 보수적 이데올로기를 대변하고 있다면 그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비정파 탐정소설은 자기 위안적 허무주의의 반복적 소비를 조장하고 있다. 그로 인해 추리소설을 읽을 때, 끊임없는 비판적 거리 취하기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ve stories(ta1es of ratiocination) and their literary educational roles. The tales of ratiocination(reasoning) gene-rally have an entertaining function as a genre of popular novel, that is. providing readers with amusement and relaxa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detective genre requires a very intellectual reasoning of the readers and for this reason the tales of ratiocination are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bridge of the literary history due to thier transitional status from the popular novel to the serious novel. The tales of ratiocination can be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other horror storiednovel of suspense) and crime stories in terms of a presence of a detective in the story and his reasoning(ratiocination), as it is, an action of discovery for a final solution. Holmes and Dupin, two famous detectives, show their way of assumptions, as Semiologist Perce indicates, reasoning of abducion, with diversity including overcoded, undercoded, and creative abduction. Readers also use their own reasoning, various kinds of abduction, in order to solve a problem. The undercoded and creative abductions are very important as they are involved in the probability and originality of the stories. The negative aspect of the detective stories(the tales of ratiocination) should be examined when they are defined as a transitional medium to the serious novel. The characteristic of the detective genre itself is based on the conservative and material viewpoint, though it does not impose this negative ideology upon the readers by force. For example, while the classical detective stories are proceeded by a detective from a noble birth with a very conservative ideology, those of the contemporary hard-boiled detective stories reveal their nihilistic view of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 critical distance should be required when we read these detective stories.

      • KCI등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이윤경,조정수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bduction appeared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law of large number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 between statistical reasoning and abduction. When the classroom discourse of students was analyzed by Peirce’s abduction, Eco’s abduction type and Toulmin’s argument pattern, students used overcoded abduction the most in the discourse of abduction. However, there composed a low percent of undercoded abduction leading to various thinking, and creative abduction used to make new principles or theories. By the CAS calculators used in the process of reasoning,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mpi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bstract probability, through which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rgumentation centered on the reaso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t only to understand the abduction, but to build statistical context with tools in the learning of statistical reasoning is important. 본 연구는 통계적 추론과 가추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Peirce의 가추법, Eco의 가추법 유형, Toulmin의 논증패턴을 바탕으로 통계 수업담화를 분석한 결과, 가추법에 해당하는 수업담화에는 과대 코드화된 가추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과소 코드화된 가추법과 새로운 법칙이나 이론을 만드는 창조적 가추법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추론과정에 사용된 계산기는 추상적 확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맥락을 통해 학생들이 추론을 중심으로 한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통계 수업에서는 가추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도구를 이용한 통계적 맥락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모티프' 중심의 서사적 사고력 교육 : 서사표현교육의 주제론적 접근

        최인자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본고는 서사 창작교육이 서사적 사고력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전제하에, 서사적 구성 과정을 밝히고 이에 도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서사적 사고의 본질은 '가설생성적 사고'라는 점을 먼저 지적하였다. 다음 대표적인 가설 생성적 사고의 하나인 퍼스의 '가추법'(가정적 추론)의 논리를 빌어 그 서사적 사고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물론 가추법에서 '서사적 추론'은한 부분에 불과하지만, '가정적 추론'으로 '놀라운 사실'에 대한 개연적 설명을 이끌어내는 과정은 동일하기 때문에, 가추법의 기본 원리를 원용하되 해석적 서사론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로 서사적 추론 과정을 1) 놀라운 사실로부터 출발 2) 가설 생성으로서의 줄거리 구성 3) 서사 논리 검증으로 구조화하였다. 특히 2)은 서사적 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있는 전체'를 구성하는 가설이 되어야 하고, 관습적으로 자동화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적절함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추론 과정은 핵심적인 사건에 기반을 두되, 이 사건을 개연성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전제들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모티프'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방법이 적절하다. 모티프는 서사 구성의 핵심적인 구조이다. 곧 '모티프'라는 구조론적, 의미론적 기본 단위를 활용하여 완전 창작의 부담을 없애려고 하였다.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면, 1) '모티프'로 서사적 문제를 발견/설정한 뒤, 2) 모티프에 전제된 일상의 '행위' 도식과, 전통의 서사 문화 탐구하기 3) 모티프를 구체화, 변형, 결합하여 줄거리를 만든다. 이 과정에는 '은유적 발상법'으로 인과적 설명을 다양한 층위에서 모색하도록 한다. 4) 서사적 논리의 개연성을 검증한다. 특히 4)에서는 ① 사회·문화적 용인 가능성 ② 추론의 참신성 ③ 추론의 일관성과 복합성 ④ 경제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주제적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표현교육의 설계 가능성을 점검하였다는 점과 문화적 자원과 개인적 활동, 읽기와 쓰기를 결합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both to explain the process of narrative thinking and to develop instruction method to improve narrative thinking.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 essence of narrative thinking is the thinking of hypothesis production. Next, depending on abduction theory, the process of narrative thinking is explained. It' construction is 1) start from surprising fact 2) emplotment as hypothesis production 3) verification of narrative logic. There are three pattern abductions, such as overcoded abduction, undercoded abduction, creative-abduction. To develop high narrative thinking,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meaningful global structure and creative hypothesis in undercoded abduction, creative-abduction. For this goal, 'motif' based instruction method is very efficient. It's procedure is to 1) establish narrative task in form of motif, 2) inquire motif, 3) embody, transform, combine motif, 4) verify and evaluate narrative logic. Especially, the category of evaluation is 1) acceptance in social cultural context 2) novelty in reasoning 3) coherence and complication in reasoning 4) economy in ex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essay is to develop top-down expression model.

      • 경영 교육과 기업가적 상상력 : 프로네시스와 가추법

        김영진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5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31

        Hitherto Business schools reinforces the thought style of academic priorities of analytical rigor at the expense of a loss of imagination. Managerial theories operate in the representation knowledge. They are the distilled residue of previous intellectual efforts that has been decontextualized and thus divested of pers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That is precisely the reason why Whitehead saw it necessary to comment that such knowledge does not keep any better than fish. Therefore Business schools are deemed, in most instance, to have failed to equip their graduates with the necessary imagination, process skills to cope with the complexities of real business situations. Abduction is one form of reasoning(along with induction and deduction) comprising the living process of inquiry. Abduction is consequential because it alone originates possible explanations. And the notion of phronesis is the Greek term the ‘phronimos,’ the masculine singular embodiment of prudence. Phronesis would contextualize a subject within a more primary in-between. Thus phronesis is associated with people who participate in business, politics, government. 이 논문은 화이트헤드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경영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그 대안을 살펴보았다. 상상력과 합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이론을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중심으로 기술했고, 그 구체적인 지식이론과 방법론으로 프로네시스와 가추법을 제시한다. 우리는 프로네시스와 가추법의 인식론적 정당성을 화이트헤드의 명제이론에서 탐색했다. 이를 통해 합리성을 정서와 상상력이 포함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했다. 기존의 경영교육이 수학적 합리성에 천착한 방식에서 벗어나서 정서와 상상력이 결합된 합리성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주제어] 활용, 탐험, 프로네시스, 가추법, 상상력, 명제

      • KCI등재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김병욱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tried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which had been used ambiguously in the educational research. It was because people who wanted to appl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education suffered from these ambiguous concepts and terms. Even phenomenologist used ambiguous terms and did not suggest concrete arguments, I tried to clarify theses concepts. I firstly tried to make clear the basic concepts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ere unclear and thus made researchers hard. The concepts that I tried to make clear were phenomenon, things, essence, consciousness, intentionality, experience, and transcendence. I also tried to clarify the ambiguous terms in phenomenological method: reflection, Wesensanschauung, reduction, and natural attitude. With this work, I suggested that even phenomenological research should not neglect evidence and facts that positivists cherish as their research resources. I also emphasized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 should add Peirce's abduction(abductive method) and retroduction to the existing methods of induction in interpretive studies and deduction in positive works. 이 연구는 교육사회학에서 비교적 최근의 관심 영역이었던 해석적 관점과 질적 연구의 기초 학문 영역의 하나인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을 좀 더 명확히 하고, 현상학적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학을 원용한 연구물들에서 현상학적 개념들이 불명확하여 이들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현상, 사태, 본질, 의식, 지향성, 경험, 초월, 반성, 본질직관, 환원, 자연적 태도)을 좀 더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어, 현상학적 연구의 취약점인 객관화 문제와 일반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보완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보완적 관점은 현상학적 연구가 보다 설득력을 지니기 위해서는, 교육 현실에서의 증거와 사실을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점과, 귀납법적 사유만을 지향하기보다는 귀납법과 연역법을 동시에 아우르는 가추법(假推法)에 역행추론(逆行推論)을 보완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 KCI등재

        『주역』의 기호학

        방인(Bang, In)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5 No.-

        서구의 기호학(semiotics)과 『주역』은 그 출발점부터 그 지향점을 달리하는 체계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생적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에는 기호라는 중요한 접점이 존재한다. 필자는 이 소고(小考)를 통하여 서구 기호학의 한 축을 형성하는 인물인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사상과 『주역』에 관한 비교철학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논문의 본론 부분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장인 「범기호주의와 시네키즘」에서는 퍼스 기호학의 특성을 범기호주의와 시네키즘(synechism)으로 보고, 그 의미를 해명할 것이다. 제3장인 「퍼스의 세미오시스와 『주역』에서는 기호를 표상체(representamen), 대상체(object), 해석체(interpretant)라는 3항관계를 통해 분석하는 퍼스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 관점을 『주역』에 적용하여 해석해 보기로 한다. 제4장인 「퍼스의 기호의 삼분법과 『주역』의 괘상(卦象)의 관계」에서는 기호를 지표(指標; index), 유상(類像; icon), 상징(symbol)의 세 종류로 구분하는 퍼스의 관점을 『주역』에 적용하여 『주역』의 괘상(卦象)이 어떤 특성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인 「가추법과 『주역』의 논리」에서는 기호를 사용할 때 적용하는 사유의 방법과 관련하여 가추법(abduction)의 논리적 특성을 설명하고, 아울러 가추법적 방법이 『주역』의 사유방법과 갖는 공통성을 해명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n the signs of the Zhouyi. Semiotics, although it was born from western background, could give us the effective tool for understanding the semiotic character of the Zhouyi, because the use of the signs had been the universally diffused phenomena in th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the semiotic aspect of Zhouyi is explain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C. S. Peirce who represents the American semiotic tradition. His semiotic viewpoint could give us an useful frame of reference for clarifying the Zhouyi's semiotic aspect. Peirce's view implies two important philosophical doctrines, namely, the pansemiotism and synechism. Pansemiotism is the view that all environmental phenomena are semiotic in their essence. On the other hand, Peirce explained that the synechism is the tendency to regard everything as continuous. In Peirce's synechism that does not distinguish the physical phenomena from the spiritual phenomena, we can find the similar element analogous with the worldview included in the Zhouyi. Peirce analyzed the meaning of semiosis through the triadic relation among the representamen, the object, and the interpretant. Three elements of the Zhouyi's semiosis consists of the image of the gua, the phrase of the gua, and the meaning of the gua. In addition, Peirce classified the kind of the signs into three types, namely, the index, the icon and the symbol. Based on Peirce's definition, the sign of the Zhouyi can be regarded as having the character of both icon and symbol. But, the index does not belong to the character of the Zhouyi sign. Finally, Peirce admitted the abduction, or the abductive inference as the a method of logical reasoning in addition to the induction and deduction. Abductive reasoning is the process of adopting an explanatory hypothesis, when an inquirer considers of a set of seemingly unrelated facts, armed with an intuition that they are somehow connected. As the historian, Carlo Ginzburg suggested, the abductive reasoning is a way of thinking that is typical to the divinatory paradigm. As the divinatory paradigm is based on the personal knowledge, and can be obtained by conjecture, Ginzburg also called it as the evidential, or conjectual way of thinking. Peirce thought that the abduc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the logic of the scientific discovery. He interpreted the abduction essentially as a creative process of generating a new hypothesis. Unfortunately, the importance of the abduction has been largely overruled by the analytic tradition in contemporary Anglo-American philosophy. However, to make an antithesis between science and divination as the rationalism and irrationalism does not help at all for the discovery of truth.

      • KCI등재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4 No.2

        가추법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논문은 문화연구의 방법론 논의가 연구방법이 아닌 인식론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가추법의 의미를 문화연구의 방법론의 측면에서 재해석한다. 논리학자이자 기호학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는 연역법이나 귀납법으로는 불가능한 새로운 명제나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 가추법을 제안한다. 근대의 과학적 실증주의가 객관성과 확실성의 논리에 기대고 있다면, 가추법은 경험된 현상으로부터 새로운 전제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학문과 지식의 생산 구조와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적 연구방법의 신화를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 가추법이 문화연구의 방법론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문화연구가 방법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소, 즉 ‘직관’과 ‘공감’과 ‘지적 협업’의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한다. 결국 문화연구는 관찰할 수 있는 현재로부터 알 수 없는 실재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What are the meanings of abduction as a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By contextualizing Charles Sanders Peirce’s logic of abduction in the discipline of Cultural Studies, I explore the epistemological discussion on the modern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Abduction is a kind of logical inference,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guessing or intuition. Peirce’s method of abduction and Cultural Studies’ contextual formation in effect address an alternative methodology to positivism. Criticizing the modern Eurocentric structure of knowledge construction, I suggest that the virtue of abduction, as a logic of discovery, should be re-discover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Studies. Abduction holds important lessons for Cultural Studies as well as social sciences in general because of its focus on intuition, empathy, and intellectual collaboration. Through its elaboration of the logic of abduction, Cultural Studies is able to maintain not only its epistemological ground but also its methodological communic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