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영주,윤동화,김원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3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 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 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creasing family breakdown, but also the multicultural family dissolution concern about the experience is still infancy. In this specification marriage on women's experience family breakdown and divorce and separation attempt qualitative research, widowed, separated as family breakdown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is study marriage by identifying wome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can be reduced to underprivileged families for the dissolution of cultural and social interest is that the ventilation. Second, this study mainly interested in the reasons for dissolution have had whilst 'divorce', as well as the interest was only 'separation' and 'bereavement' women interviewed experienced marriage was dissolved before break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cluding experience in the dismantling specific emotional difficulties faced by women, marriage and experiential awareness of the context is significant to be looked at is the viscosity. Married women can easily determine the marriage was dissolved on the wrong husband was crucial, because dismantling the child can not return to your home country experience has show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marriage for women is very difficult to generate one in the future course of life in terms of being able to update the plan seems positive side. To this end, the leg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ll be needed.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 분석 및 지원방안: 전북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 ( Shin Kyu Park ),이성희 ( Sung Hee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이혼증가 추세 속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이들의 특성과 해체 이후 삶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농의 복합도시인 전북 지역을 선정한 것은 거주지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지역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혼을 경험한 전북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해체 과정을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에 대한 분석은 결혼에 대한 환상, 배우자에 대한 정보 부재 등으로 인한 불안정한 초기 결혼생활 성립, 경제적 문제와 배우자의 폭력 등으로 결혼생활 붕괴가 이혼으로 연결, 가족해체 이후 주거 및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문제 직면, 향후 미래의 삶은 자녀와 함께 한국에서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더불어 미래의 삶을 한국에서 보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사회적 관계망과 지원체계는 빈약하여 향후 사회적 적응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혼을 통해 해체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제기되는 지원 방안은 다문화가족 해체 예방 차원의 정책개입에 대한 중앙정부의 역할과 해체된 가족에 대한 관리체계를 정비하는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서비스 지원강화, 가족관련 인프라 시설 등의 역할분담으로 지역적 네트워크를 통해 해체위기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례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reg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in growing divorce of a multicultural family and to find a support plan for life after family dissolution. Especially by selecting Jeonbuk, which are a mix of rural and urban areas, this study explores the family dissolu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y each residential type in order to establish the ways to support those women at the regional level. Thus,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were subject to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detailed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s found as follows: the illusion of multicultural marriage, unstable start of marriage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their spouses, economic difficulties and spousal abuse leading to divorce, and facing housing and economic hardship after divorce as well as child custody and parenting issues, though most divorced immigrant women still wish to stay in Korea to live with their children to the future. However, their poor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divorced immigrant women hinders their social adaptation and their future lives in Korea. As conclusions from the case studies of divorc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suggests engagement policy by central government for prevention of family dissolution,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family dissolution by local government, and the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providing a variety of support services. Also, the role sharing of various family support facilities may provide the regional network of assistan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facing the crisis of family dissolution.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윤동화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7 No.2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leads to the rapid increase of family dis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are little attention on this matter. In this thesi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on a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the essence of marital dissolution which is divided into divorce, separation and bereavement is studied. There are two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by disclos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dissolution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it brings about a social interest in a neglected multicultural family. Second, this study ranges over not only the divorce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but also the separation and bereavement of those women; also, it concerns with specific emotional pain of those women, including pre-experience, during-experience and post-experience of martial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tend to make an easy decision to get married; an ultimate cause of family dissolution is down to husbands; and it was not possible for those women to return to their homeland after divorce because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puts those women into difficulties; however, there is a positive aspect that they can make a new plan for their life. For this, a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 가족해체의 실상과 문제점에 따른 가족복지대책

        신지현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3 No.1

        최근 우리 사회에서 주목받는 이슈가 ‘가족해체’의 문제로 이혼율 및 별거율의 증가, 중․장년층의 조기사망률 증가, 가출 및 유기의 증가, 자살 증가 등에 기인하여 가족분화현상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IMF 경제위기 이후 중산층 가족이 붕괴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가족이 가족해체의 위기에 직면하는 등 가족 안정성 약화와 가족해체의 현상이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가족해체가 양산하는 문제로서 대표적인 것이 여성 및 아동, 노인 등 가족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가족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심화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가 아동의 방치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청소년 비행 또는 범죄의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으로 위험사회의 구조 속에서 가족원의 갑작스런 사망, 이혼 및 별거, 가출, 경제적 빈곤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었고, 이제 해체가족이 내놓는 사회문제는 바로 거대한 현실로서 닥쳐왔다. 이제 정부의 가족복지정책의 정체성 확립과 건강한 가족 유지발전을 위한 해체가족 대상 정책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 결과 가족복지적 대책으로는 해체가족의 예방, 해체가족의 기능 지원, 해체가족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차별 철폐로 정책 목표를 구분하여 각각의 목표에 따른 정책적 문제를 고려해 보았다.

      • KCI등재

        학업성취에 대한 가족해체의 영향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대한 가족해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양친가족 자녀에 비해 편모가족 자녀가 학업성취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었다. 양친가족 자녀에 비해 편부가족 자녀도 학업성취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만 그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 가족해체 사유로서 이혼이나 사별은 엇비슷한 정 도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손기간으로 보면 가족해체 후 4-6년 이 경과한 자녀들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해체의 영향은 그것을 경험 한 자녀의 성별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아들의 경우 가족해체 후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고 있거나 가족해체가 이혼에 의해 발생했을 때 학업성취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매우 컸다. 그리고 가족해체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많이 경과해도 가족해체의 부정적 영향이 결코 감소하 지 않았다. 반면에 딸의 경우에는 가족해체의 영향이 거의 목도되지 않았다. 이는 한국사회에서는 아들에 비해 딸이 가족해체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한다는 반증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family disruption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show considerable advantage favoring children from intact families over children living with a single mother. There also exist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dvantage favoring children from intact families over children from father-only families. With respect to the differing effect of the cause of family disruption,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do as well on average as children with a bereaved background with similar observable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time children lived with a single parent is also important, and this study proves that those children who have been exposed to single parenthood 4 to 6 years suffer most academically. In the meantime, a child's gender makes a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family disrup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 boys, either living with a single mother or parental loss through divorce exer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hievement. In addition, the negative yearly effect of family disruption does not diminish over time. For girls, however, little unfavorable effect of family disruption is witnessed. It could thus be said that boys face greater adjustment problems than girls, rendering a marked gender distinction in the effects of family disruption in Korea.

      • KCI등재

        빈곤가족의 해체현상에 관한 연구

        도미향 ( Mi Hyang D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빈곤을 통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해체가족의 현상과 원인과 그 대책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난 1997년 말 시작되어 여러 해 지속된 경제위기 이후 대량실업사태와 근로빈곤층이 급증하면서 빈곤가족이 상승하였으며, 이러한 빈곤은 가족과 사회의 역기능적 문제 발생의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가족해체로 이어져 해체되는 가족이 증가되고 있다. 가족해체현상은 가족 내부의 정신적인 유대감을 약화시키고 아울러 가족 부양 체계의 약화에 따른 여성, 노인 및 자녀 교육 문제 등의 원인이 되고, 이는 사회 문제로 이어져 정부와 사회의 관심 및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빈곤가족의 해체를 부추기는 원인과 빈곤가족의 특성 그리고 빈곤가족의 해체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빈곤가족에 대한 정책 및 서비스현황은 국민기초 생활보장에 의한 빈곤가족 지원, 가족유형별 저소득 가정에 대한 지원 및 가족관계 향상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빈곤가족해체 예방을 위해서는 빈곤동태와 원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 국민기초생활제도의 개선과 보완 및 여성의 고용안전, 그리고 가족관계향상서비스 지원, 빈곤가족의 아동을 위한 급여확대 및 교육과 보호정책 등의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tatus quo, the possible reasons and the measures for dissolution of family growing with family poverty.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occurred in Korea, poverty-stricken families continue to grow owing mainly to massive lay-offs and rapid increase of low-income labor workers. The impacts of poverty are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dissolution of Korean families. The phenomenon of family dissolution will loosen the mental bond between family members and subsequently connect to the women`s issue, gerontological issue and child-rearing issues prompted by weakening family`s ability to care for their family. This will constitute a general social problem in our society and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to show its interest on this matter and to tackle the problems. This study is, therefore, to figur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verty-stricken families and the reason of family breakup and ultimately to seek preventive measures for the dissolution of poverty-stricken family.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status quo of services for poverty-stricken family were dealt with by reviewing the government support for poverty-stricken family though “Minimum Living Standard Security” policy, the support system for low-income family based on family type, and the service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with as the central figures. From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dissolution of the poverty-stricken family be prevented by grasping the dynamic statistics and the cause of poverty, by improving the national social security system, by expanding job security for women, by supporting for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finally by reforming the child support policy for poor family both in finance and in education.

      • KCI등재

        가족 해체의 징후와 재구성의 가능성 ―애니메이션 <천년여우 여우비>를 중심으로

        김강원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5

        In the late 1990s, Korea suffered from the economic crisis of the IMF management system. At this time, signs of family disintegration, such as divorce, separation, and abandonment, spread rapidly. Since then, it has become difficult to insist on traditional family discourse or family unity, which has led to the need for a new type of family discourse. The article is an aspect of a series of studies on 'Korea's Polar Arts and Family Debate: The Disintegration and Reorganization of Families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want to talk about 'family' as a sign through animation Cheonnyeonyeou Yobi. With the genre of drama, including plays, and its sub-genre, "family" becomes a key concept in animation compared to video sages such as movies and TV dramas. In particular, Korean animation can be seen as a drama genre with great family discourse and affinity. Among other things, Cheonnyeonyeou Yobi is interesting in that it has begun the revival of local animation for theaters and has different levels of variation from previous works. It can also be seen as a suitable text for examining family discourse on the dissolution and reorganization of families after the IMF.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dults are the centrepiece of the family. Therefore, for animation aimed at children and adolescent audiences, the role or value of these adults tends to be reinforced and reproduced in comparison to actual social perceptions and values. In this context, it is unusual for the absence of such an adult in Cheonnyeonyeou Yobi to be prominent. Even adults are emerging not as guardians but as elements of conflict. In this work,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are naturally being dismantled, showing children who are absent and neglected by adults. The dissolution of this family is not only due to its absence but also due to its loss. In Cheonnyeonyeou Yobi, the absence of a family is highlighted in cases where it overlaps with or parallel to loss. In Cheonnyeonyeou Yobi., the family was disbanded through absence and loss, but that doesn't mean that individuals are isolated alone. This is because relationships in the form of replacing family members in a blood-related sense are revealed. What's interesting about the work, however, is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family is being reconstructed into a new form of solidarity, or empirical entity, rather than simply reconfiguring the family composition of patriarchal traditions. The dissolution of a family is a process of re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So in Cheonnyeonyeou Yobi, it is not lost, divided, or left deficient. Losses are replaced, disassembly is regenerated. And this is a sign and a discourse acquired through Cheonnyeonyeou Yobi. At the same time, this could be a sign of family discourse that our society will pursue, or that our next generation will enjoy. 1990년대 후반, 한국사회는 IMF 관리체제의 경제위기를 겪으며 이혼이나 별거, 유기와 같은 가족해체의 징후들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기존의 전통적 가족담론이나 가족 절대화를 고집하기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가족 담론들이 요구된다. 이 글은 ‘한국 극예술과 가족담론 : IMF 외환위기 이후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에 대한 일련의 연구의 한 측면으로, 애니메이션을 통해 징후로서의 ‘가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연극을 포함한 극 장르, 그리고 그 하위의 장르개념으로 영화나 TV드라마와 같은 영상서사장르에 비해 애니메이션에서 ‘가족’은 핵심적인 개념이 된다. 특히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은 가족담론과 친연성이 매우 큰 드라마 장르로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천년여우 여우비>는 국내 극장용 애니메이션 중흥의 흐름을 시작한 작품이자, 이전의 작품들에 비해 다양한 층위의 변별을 지닌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아울러 IMF 이후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에 대한 가족담론을 고찰하기에 적합한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유교 가치관에 근거하면 어른은 가족의 구심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관람가의 아동·청소년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의 경우, 교육적 측면에서 어른의 역할이나 가치는 실제 사회적 인식이나 가치에 비해 더 강화되어 재현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천년여우 여우비>에서 이러한 어른의 부재가 두드러진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심지어 어른들은 보호자의 존재로서가 아니라 갈등의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는 어른이 부재하고, 그로 인해 방치되는 아이들을 보여주며 자연스럽게 가족의 테두리는 해체되고 있다. 이러한 가족의 해체는 부재로 인한 것 뿐 아니라 상실로 인해서도 진행된다.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가족의 부재는 상실과 겹쳐지거나 병행되는 경우가 두드러지게 부각된다. <천년여우 여우비>에서 가족은 부재와 상실을 통해 해체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개인들이 혼자 고립되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이 작품에서도 혈연적 의미의 가족을 대신하는 형태의 관계들이 드러난다. 그러나 이 작품이 흥미로운 것은 가족의 재구성이 단순히 가부장적 전통의 가족구성을 재구성하는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연대, 즉 경험적 실체로 재구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가족의 해체는 동시에 재구성의 과정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년여우 여우비>에서 그것은 상실되고 분열되거나 결핍된 채로 남겨지지 않는다. 상실은 대체되고, 해체는 재생된다. 그리고 이것은 징후이자 <천년여우 여우비>를 통해 획득되는 담론이기도 하다. 동시에 이는 우리 사회가 지향할, 혹은 우리 다음 세대가 향유할 가족 담론에 대한 징후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경에 나타난 가족 해체와 성경적 답변

        한동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4 No.2

        Today, we have a variety of family structures and they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family.’ The present study aims to review these changes using biblical ideas in the hope of securing the promising future of the family structure.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causes that brought the deconstruction of family in ancient society and seeks an alternative biblical resolution. Futhermore Jesus’ idea of family will be explored in order to give a biblical response to the current family crisis. Only a few extended forms of family, which could be alternatives, are found in the Bible. The national community, the multi-cultural community as an extended form of the former, and the global community are all good example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oday’s family structures and their alternatives. The current society renders various forms of family such as nonresidential one, which may be the result of today’s pluralistic way of life. Disintegration of the family appears inevitably. It is unavoidable to take the nuclear family as a norm for today’s family structure, especially in the current society where the nuclear family is already common. If we regard the diversity of family structure as abnormal, because of our ‘myth’ of what a ‘normal family’ is, then we shall see greater tensions within our society. Certainly it will not settle problem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ception of pluralistic structures of the family may also bring trouble. The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family form comes, in theory, from ‘post-modernism’; that is ‘decentralism.’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pluralism of the family structure may weaken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family. If we consider incorrect causes of family deconstruction together with inevitable causes brought by current society’s pluralism, then we may fail to tell pathologic problems from others. The Bible indicates that family deconstruction is brought about by economic troubles and sexual harrassment caused by the patriarchal discrimination. And these two still exist in our current society. As for the alterative family structure, we should seek a family value, which is based on Jesus’ authoritative words, so that we may apply it to the alternative structure. If family breakdowns are attributed to incorrect causes, then the alternatives proposed will not bring adequate solution. Rather it will bring more pathological problems. Therefore we indeed need to find a true alternative family form that meets the value of the kingdom of God. 오늘날 가족의 형태는 다양해졌다. 가족 형태의 다양성은 가족 개념에 대한 성찰, 곧 가족 이해의 확대로 전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변화를 긍정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하여, 성경적 입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경적 관점에서, 다시 말하여 고대 사회에서 가족 해체를 야기한 원인들을 살펴보고, 이에 맞서는 성경의 대안 가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예수의 가족관을 살펴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현대 가족학에서 주장하는 가족 신화를 넘어 에서 주장하는 대안 가족에 성경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경에서는 일종의 대안 가족으로서의 여러 확대된 가족을 소개한다. 민족 공동체, 민족 공동체의 확대 형태로서의 다문화 공동체, 그리고 가족으로서의 세계 공동체는 현대의 포괄적 가족 이해 및 대안 가족 이해의 선험적 모델이 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는 삶의 다양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비동거 가족 등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생산한다. 가족 해체의 원인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이미 핵가족화 된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이 가족 형태의 표준으로 제시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정상 가족이라는 신화에 근거하여 모든 다양한 가족을 비정상으로 몰아갈 경우, 문제의 해결보다는 현대 사회의 갈등을 더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원적 가족 이해에 함정이 없지는 않다. 다원적 가족 이해의 이론적 근거는 ‘포스트모던 주의,’ 즉 ‘탈-중심주의’이다. 현대 사회에서 가족 구조의 다원성은 전통적 가족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또한 부정적 측면에서의 가족 해체 원인들과 현대적 삶의 다양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불가피한 가족 해체의 원인들을 구별 없이 모두 동일 선상에서 본다면, 병리적 현상과 다양한 현상을 구별 없이 취급하는 결과를 낳게 한다. 성경이 보여주고 있는 바, 가족 해체의 원인은 경제적 요인과 남성 우월적 성(性) 가치관에 근거한 성적(性的) 폭력에 의한 경우이다. 고대 사회의 가족 해체의 두 원인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가 대안 가족을 생각할 때, 예수의 말씀처럼 어떤 가치표준을 생각해야 한다. 가족 해체의 부정적 요인들을 모두 허용하는 대안 가족은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없다. 그것은 병리적 온상일 뿐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나라의 가치관에 맞는 가족 형태를 대안 가족으로 수용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해체 다문화가족 관련 법제 고찰

        정문성(Jeong, Moon-Sung),김재국(Kim, Jae-Guc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4

        다문화시대에서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이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지원이 있다. 다문화가족지원법은 다문화가족만을 제한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장기 유학생이나 근로자들에 대해서는 아쉽게도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지원 대상범위에 해당되지 않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해체는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그 가족구성원들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해체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특히 다문화가족의 해체는 업자의 잘못된 정보의 제공이 주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국제결혼중개 표준약관을 살펴본 후 다문화가족의 해체와 관련이 깊은 국적법, 다문화가족지원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출입국관리법 등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multicultural ag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is provided for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make stable family lif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provides limited protec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nfortunately, long-term international students and workers are not covered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he dissolution of a multicultural family causes suffering not only to the parties but also to the members of the family. In the following, the concept and disassembly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amined. Especially, dismantl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main cause of the misinformation of the providers. Therefore, the law on the management of the marriage brokerage business, the term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standard, This deep nationality la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single-parent family support law, immigration control law is also examined.

      • KCI등재

        한일 영화 속 식탁이미지를 통해 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 <가족의 탄생>(2006), <고령화 가족>(2013), <걸어도 걸어도>(2009),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 중심으로

        니시야마 치나(Nishiyama, Chin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영화 속 식탁에서의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여주었다는데 가족과 식탁이 가족의 의미를 표상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영화는 <가족의 탄생>(2006). <고령화가족>(2013), 일본영화로는 <걸어도걸어도>(2009),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네 편의 영화는 ‘정상 가족’ 모델에서 균열이 생긴 가족을 다룬 것으로 이혼율 급증, 재혼, 비혼, 저출산, 고령화라는 현대 가족의 변화라는 사회적 배경을 반영한 영화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영화 네 편 모두가 2000년대 이후에 제작된 영화로서 해당 시기는 한국의 1997년 경제위기, 일본의 1990년대 버블 붕괴로 인해 가족에게 큰 변화가 온 시점으로 영화 속의 가족들은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가족의 상실과 해체로 재현되어 새로운 가족형태와 친밀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정상가족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족 형태를 구성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가족은 해체되었다가 또다시 재구성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가족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여성 중심이 되는 가족형태를 보여주었으며, 한국과 일본영화에서 떠올릴 수 있는 가족 이미지는 한 식탁에 모여 앉은 단란한 가족의 모습이었다. 식탁 이미지에서 가족의 행복과 단합 유무를 볼 수 있었고, 식탁에 차려진 음식으로 한 가족이 되는 영상을 통해 가족의 친밀성을 볼 수 있었다. 네 편의 영화 속에 나타난 가족의 공통점은 식탁을 통해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보여주었으며, 미묘한 생활문화의 차이로 가족의 상징을 은유하는 모습의 차이점이 보였다. 한국영화 속 가족의 합은 한 그릇에 담긴 음식으로 단란함을 궁극적·이상적 가족의 모습으로 재현한 반면 일본영화에서는 요리 과정으로 가족을 보여주었다. 식탁은 가족에게는 해체의 순간이 되기도 하며, 재구성의 계기가 되는 가족관계의 중심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dining table represents the meaning of family through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families at dining tables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This study selected Korean films Family Ties (2006) and Boomerang Family (2013) and Japanese films Still Walking (2009) and Our Little Sister (2015) for analysis. As they show the dissolution of “normal families,” these four film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ocial background of modern families and their changes, such as increased divorce rates, remarrying, staying single by choice, low birthrates, and the aging society. All four films were produced after the 2000s, following a time in which families had faced significant changes caused by the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and the Japanese asset price bubble’s collapse in the 1990s. In the films, families go through family dissolution and restructuring as well as family loss and dissolution, accurately reflecting these new types of family structures.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family dissolution and restructure, families form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after losing family members for causes other than social phenomena;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are then dissolved but restructured. During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new family structures are created, diverging from the matriarchal “normal family” type. When considering families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a representative scene that comes to mind is that of a close family sitting around the dining table. The family’s level of happiness and unity is reflected in the shape of the dining table, and the intimacy of the family can be gauged through the type of food set on the table and the images of family bonding. In other words, a commonality of the families shown in the four films is that they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a family is through their dining tables, and the subtle differences in lifestyles revealed the difference in family metaphor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Korean films, familial togetherness was shown as sharing food from the same bowl, whereas in Japanese films families bonded over the process of cooking together. Moreover, shared houses stand out as an upcoming type of family housing. In Japan the notion of non-blood related families is not an unfamiliar one, due to the ie (“household”) system. Long-term shared houses were created instead of short-term ones and were designed to be shared with non-kin. It appears, then, that Korean families can no longer disregard this new Japanese family form of “extended family” consisting of members of shared 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