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기관 윤리경영 활성화 대안 연구 -비윤리 행위 사례 유형 중심으로-

        황명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proposing the alternatives to vitaliz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major cause of various unethical behavi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thical management is an essential factor not only for profit-making organizations bu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Especially, ethical management is a fundamental principle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owever, constant unethical behaviors have been extremely harmful to the organization’s reputation. But the researches on th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quite a few. For all that, there are still a lot of unethical behavi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classify a type of unethical behaviors which are contrary to the realization of value for social welfare and help social welfare facilities vitalize ethical management by removing causes of unethical behaviors. so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ubjects are set up: 1. What are the types of unethical behavio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2. What are the plans to vitalize ethical management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using bot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presents the classifications of unethical behaviors that have happened since 1980s. Also, with three ethical fields - social ethics, business ethics, and social welfare ethics - this study also shows the classifications based on each ethical field and implications of ethical manageme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의 근본 원인을 유형별로 분석 찾아봄으로써 사회복지기관의 윤리경영을 활성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그동안 윤리경영을 강조하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윤리경영 연구는 아주 미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복지계는 끊임없이 클라이언트와 수혜자 등에게 해를 끼치는 비윤리적인 행위들이 잔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의 사회복지기관 내에서 자행되었던 비윤리 행위들을 대상으로 근본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적으로 1980년도부터 2013년까지 언론에 보도되었던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 사건들을 찾아서 유형화하였고, 그 행위에 대한 원인들을 현장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찾으려고 하였다. 그 기준점으로는 보편화된 사회윤리, 복지윤리, 기업윤리 관점에서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의 접근은 단순히 단선적인윤리의 틀에서 해석하였다면 이제는 다른 관점으로 해석을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윤리, 복지윤리, 기업윤리를 종합화하고 이를 통합적인 윤리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여 사회복지기관 윤리경영활성화를찾아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지기관 윤리영영 활성화 방향을 새롭게 제언하였다.

      • 뉴럴 메모리의 리콜 기능에 관한 탐구

        김태환(Taehwan Kim),박정호(Jeongho Park),이주원(Juwon Lee),박주영(Jooyoung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들어 딥러닝은 컴퓨팅 기술의 발달과 이론 분야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화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뉴럴 메모리(neural memory)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뉴럴 메모리는 고전적인 컴퓨터의 메모리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구글 딥마인드에서 발표한 미분가능 뉴럴 컴퓨터 기술인 DNC를 발표한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DNC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응용 목적에 특화된 형태의 현대적 신경망 기반의 메모리 분야는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DNC의 주요 특징을 계승하는 동적 카네르바 머신(dynamic Kanerva machine, DKM)의 현대화된 연상 메모리 기능에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 메타-학습(meta-learning) 분야에 메모리를 활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 변분 의미론적 메모리(variational semantic memory) 방법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장기메모리에 대한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음이 포함된 데이터와 새롭게 목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고, 스토리지의 메모리 효율 면에서도 가볍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전주람,김성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female defectors.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arranged with 5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present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into four main clusters of themes which may be labeled as (1) Looked after Strangers-Material Benefits, Depen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Psychologically, Life Guide, (2) Recovering Me-Healing of Mind and Cleansing Feeling, Feeling like a Child, (3) Changing Me-Self-Understanding, Awareness of Recognition, New Type of Communication, (4) Expectations as a Stranger-Free from Disapproving Manners, Sorriness about the welfare administration. In all there are ten sub-theme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esented some conclusions on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women defectors. We also presented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welfare services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을 지닌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이 어떠한지 질적사례연구법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들은 면담의 전사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사회복지관 이용경험과 관련하여 언급한 진술문들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엄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친밀한 관계형성, 삼각검증법, 자료의 다원화 세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은 ‘돌보아지는 이방인’, ‘회복되는 나’, ‘변화하는 나’, ‘이방인으로서의 기대’ 4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돌보아지는 이방인’은 물질적 혜택, 심리적 의지처, 생활 가이드 3개로, ‘회복되는 나’는 마음의 치유와 감정 정화, 동심으로 2개로, ‘변화하는 나’는 자기 이해,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 방식 3개로, ‘이방인으로서의 기대’는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 복지 행정의 아쉬움 2개 총 10가지의 하위범주로 나뉘었다. 결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 하며 물질적·심리적으로 돌보아지는 경험을 하며 그들의 정착에 사회복지사는 중요한 생활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상처의 치유와 감정 정화의 기회를 갖고, 북한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즐거운 활동들을 통해 어린 아이와 같은 동심의 세계로 이동하여 심리적으로 회복되어져 가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자기 이해의 향상, 인권, 복지 등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의 방식 배움을 경험하여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였다. 넷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며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되기를 복지 행정이 보다 체계적이고 자신들의 욕구에 적합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빈곤한 여자 대학생들의 사회적 배제와 포함 경험:엇갈림과 어울림의 무지개

        김서현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1

        Poverty in modern society is closely related to multidimensional exclusion, such as relational isolation, social prejudice, and the deprivation of opportunity as well as the economic difficulties. To resolve this, appropriate material support is importan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cial inclusion so tha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poverty can practice their own will in social communities and be respected.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experienced by po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depth. To find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underprivileged class to collect data, which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 an in-case analysis, each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 and context were understood, concerning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In a cross-case analysis, 27 sub-components were found in total, which would reveal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mon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tructuring them, a total of eight parent components were discovered, and at this time, each category was classified once again, into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such as ‘Hovering outside the line’, ‘An intruder named anxiety’, ‘Simplicity filling emptiness’, and ‘Staggered beating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the experience of social inclusion, such as ‘Adapting oneself first’, ‘Rounding off at college’, ‘Sharing embracing poverty’, and ‘Preciousness added by communication.’ Lastly,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the meaning of social exclusion, obviously crossing centrality, distinguished as a minority and the meaning of social inclusion as the marginalized reality overlaps the centrality through participation and making relationships, like the central topic ‘The rainbow of crossing and fit.’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omotion of impoverished female college students’ social welfare. 현대사회에서 빈곤은 경제적 어려움을 비롯해 관계상의 고립, 사회적 편견, 기회의 박탈 등 다차원적 배제와 밀접히 관련된다. 이것의 해결을 위해서는 적절한 물질적 지원도 중요하겠으나, 빈곤을 경험한 개인들이 사회공동체 안에서 각자의 의지를 실천하며 존중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포함에 귀 기울이는 작업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빈곤한 여자 대학생들이 경험한 사회적 배제와 포함의 맥락과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수립하였다. 연구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빈곤층 여자 대학생 7명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관한 각 연구참여자의 개별적 경험과 맥락을 이해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적 경험을 밝히는 총 27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발견하였다. 이를 다시 구조화한 결과 총 8개의 상위구성요소가 드러났으며, 이때 각각의 범주는 ‘선 밖의 서성거림’, ‘불안이라는 불청객’, ‘텅 빔을 채우는 단출함’, ‘꿈과 현실의 엇박자’와 같은 사회적 배제 경험, ‘내가 먼저 맞추기’, ‘대학에서의 반올림’, ‘가난을 감싸는 나눔’, ‘소통으로 더하는 소중함’이라는 사회적 포함 경험으로 또 한 번 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엇갈림과 어울림의 무지개’라는 중심주제처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서는 소수자로 구별되며 중심성과 극명히 엇갈리는 사회적 배제의 의미, 그리고 참여와 관계 맺기로 주변화된 현실이 중심성과 겹쳐지면서 사회적 포함 경험의 의미가 드러났다. 끝으로, 빈곤한 여자 대학생들의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사회복지사의 위험 경험과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우,양호정,유서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변화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직무수행과정에서 안전을 위협당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위험 경험과 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14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와 각 범주의 하위범주는 “안전에 대한 위험 경험: 신체·정서적 위험, 고용안전의 위험, 사회복지 업무와 사명의 위험, 개인 삶의 위험”, “안전 위협의 원인: 클라이언트와 가족의 특성, 조직의 특성, 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부족한 재정과 인력, 규정과 체계의 문제”, “위험경험으로 인한 변화: 소진: 허무하고 지침, 조직에 대한 회의, 조직 내 관계 변화, 업무에 대한 변화, 대처방법의 변화”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study intended to analyze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risks that had threatened their safety and changes from those experiences. Utiliz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t delved thoroughly into six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risks that had intimidated their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ir experiences would be summarized into 3 upper-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Those categories consisted of “experiences of the risks”: physical attack & emotional threatening, insecure employment, endangered professional missions, risks to personal life, “causes for the risks”: clients’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raits,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insufficient budgets & staff, inefficient regulations, and “changes from the experience of the risks”: burn-out, skepticism about the organization, changes of relations within the workplace, task alteration, changing interventions.’ Based upon the results, the study concluded wit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would efficiently protect social workers’ safety.

      • KCI등재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 연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조소연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2

        The study aims to delineate the research experienc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r who is a social worker in the field of social work and to identify its implication. I recalled what I experienced during my doctoral dissertation process, and wrote it through an autoethnograph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collected and rearranged the related data, and then analyzed the data through self-reflection. This result introduces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such a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topic, entering the research field, and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shows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qualitative research eth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readers to see how a qualitative researcher entered and adapted the field of social work. Furthermore, some of the principles found in this process can help researchers who feel confuse or have ethical conflicts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연구 경험을 기술하고 함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는 나의 박사학위 논문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일을 회고하고 자문화기술지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재정리하였으며, 이 자료를 자기성찰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 선정과 연구현장 진입, 자료수집 등 질적연구 과정을 소개하고,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 관계 맺기와 질적연구 윤리에 관한 함의를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독자는 한 질적연구자가 어떻게 사회복지현장에 진입하고 적응하며 연구참여자와 관계 맺어 갔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원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면서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수립에서 혼란과 윤리적 갈등을 느끼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여성 사회복지사의 유리천장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예나(Yena Lee),김다은(Daeun Kim)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현장 내 여성 사회복지사의 유리천장에 대한 의미와 원인을 탐색하고,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여성 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차적으로 사례 내 분석 및 사례 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3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상위범주의 주제는 ‘유리천장: 보이지 않는 벽’, ‘유리천장 원인: 나를 가두는 나 자신과 남성 그리고 사회’, ‘유리천장 깨기: 지지와 연대 속에 포기하지 않는 우리’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사회복지사를 위한 교육 및 서비스 그리고 사회복지 현장 내 유리천장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ause of the glass ceiling of female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in depth.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emale social workers who were judged to be able to provide abundant experienc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both cross-case analysis and within-cas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3 uppe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subjects of the upper categories were presented as 'glass ceiling: invisible wall', 'glass ceiling cause: myself, men, and society that traps me', and 'glass ceiling breaking: We don't give up in support and solidarity'.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and services for female social workers and policy and practical directions to reduce the glass ceiling phenomen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과 욕구에 대한 연구

        최종산,양영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and needs in rural elderl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9 elderly in Heongsung an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transcribed data. A variety of experience,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evolv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Improving information delivery system for elderly job and support for village cooperative business were requested. The participant living alone were satisfied the caring service such as calling service via phone to ask “safety” at home and delivery service that they needed from market but wanted solutions to improve access to the hospital and market. Village leaders mentioned about equipping exercise facilities and Jjimjilbang(Korean stream room) in the community center to promote health in winter. Some proposed the language course of the Korean for the illiteracy in the village as a type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quality of life. Participants wanted increase of the elderly financial assistance and different amount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proper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information in making individualize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본 연구는 농촌노인 복지욕구실태와 관련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대다수의 연구결과가 구조화된 설문내용에 제한되어 있는 점을 보완하고 수혜자의 생생한 복지서비스경험과 욕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강원도 횡성군에 거주하는 노인 19명을 대상으로 개인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 후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이 원하는 복지와 수혜경험, 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자리에 대한 정보전달체계개선, 마을공동사업 창출 및 운영지원의 개선, 가사(돌봄)서비스 수혜자인 독거노인은 안부확인과 장보기 서비스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수혜자 형평성 제고와 농촌현실을 감안한 노인영양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보건소의 공공의료 복지서비스 역할의 미비함과 보건소 이용에 대한 농촌노인의 선호도가 낮음이 발견되었고 경로당에 물리치료, 운동기구, 찜질방 등의 건강관리를 위한 환경조성과 권역별 보건소 설치를 건의하였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노인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한글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안하였다. 소득보장형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는 노령임금액 인상과 소득에 따른 차등지원이 거론되었다. 그 외, 버스운행횟수증가, 방문을 통한 수요조사, 귀농노인을 위한 지원, 복지서비스 차원에서의 영농활동지원 등에 대한 대책을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해한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 복지욕구 및 개선방안은 맞춤형 농촌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복지연구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의 가치와 적용 - 공동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

        하정미,좌문경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0 No.2

        We have studied to explore the value and how to apply autoethnography in Social Work Research, which is new in Korea, using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hrough the study, we have found 4 meanings of applying autoethnography in Social Work Research such as increasing of Social Workers’ self-awareness using self-narratives, understanding of person in environment, extending accessability of study on sensitive issues, and pursuing social changes and justice through empathy and therapeutic effect. We found these meanings as we share our experiences of getting to know autoethnography, especially the history, philosophical background, procedure, and ethical issues of autoethnography, based on relative literatures.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덜 알려진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사회복지연구에 있어서의 가치와 적용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2인 이상의 연구자가 수행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자서전적인 요소와 문화기술지적 요소가 혼합된 질적연구방법으로 자기 내러티브를 소재로 하여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지어 반영적인 글쓰기를 사용하는 체계적이고 사회학적인 자기성찰적인 연구방법이다. 자문화기술지에 관한 여러 문헌들을 토대로 자문화기술지의 철학적 및 학문적 배경,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과 연구과정, 윤리적 고려사항, 자문화기술지의 장점과 한계들을 탐색하였으며, 이러한 탐색과정에서 두 연구자의 성찰과 변화해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적 방법으로 풀어내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연구에서의 자문화기술지의 적용과 가치를 자기 내러티브를 통한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의 증진, 환경속의 인간에 대한 이해, 민감한 이슈들에 대한 연구기회의 확대, 공감과 치유적 효과를 통한 변화의 추구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