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이설희,최진희,조아라,최재연,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those who are related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arents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six experts, thre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junior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 total of four main topics including instruction·parenting difficulties, helpful support, support needs, expect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체중복장애학생 관련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대하는 지원요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내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3명)와 지체중복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2명)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지체중복장애학생 지도 및 강의 경력이 있는 전문가(6명)와 초등 특수교사(3명), 중등 특수교사(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의 결과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도·양육상의 어려움, 도움이 되었던 지원, 지원요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센터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총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정책적인 접근의 필요성, 2) 지원 대상의 수, 지원 범위 등을 고려한 센터 및 업무 담당자의 수 조정, 3)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거점 센터로서의 역할 수행 고려, 4) 최우선 과제로서의 통합교육 지원.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방안

        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suggest ways of enhancing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 The study reviewed journal articles, curriculum, models, and scales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 proposals for the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perceptions of careers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chool members, community members, and family members. Second, the study suggest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s based on examples of school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rd, the study suggested plan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o connect schools, communities, and families. Fourth, the study suggested method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communities and families. Finally, the study suggested way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research base support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Conclusi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focu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based on practical placement of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their school gradu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사회로의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의 모형을 개발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술지 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교육과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모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척도를 중심으로 문헌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교구성원, 지역사회구성원, 가족구성원의 인식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중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와 지역사회 및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지역사회 및 가정 중심의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기반의 지원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안과 행·재정적인 지원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졸업 이후의 실제적인 배치를 고려하여 직업재활에 초점을 맞춘 진로 및 직업교육의 방향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도중복장애학생 어머니의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이광림,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why mothers whose children are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decided on inclusive education in their children`s secondary schools, and explore improvement for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rough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ir children`s inclusiv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Method: Five mother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re receive inclusive education in regular secondary schools were interviewed. Results: First, the reasons for deciding on inclusive education were positive perceptions of pas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dvice from counselors, and parent expecta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mothers` thoughts about their children`s inclusiv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ere that there are limits of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limitations of special teachers' perception which was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limitations on participating in school events and socializing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ue to the severe of disability, and satisfactions due to the autonomy of management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skill acquisition, which was possible due to support of the sam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rd, the require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during secondary school period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to expand the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school staff and teachers for children's education. Conclusion: The study recognized mothers`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support requirements during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dditional assignment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by disability level, and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에 통합교육을 받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통합교육 경험을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시기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질적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변인들의 배려와 이해를 통한 통합교육의 긍정적 경험, 통합교육 결정에 영향을 준 주변인들의 조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를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내기로 결정하였다. 둘째, 어머니들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의 한계, 특수교사의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인식의 한계, 장애의 심각성으로 인한 학교 행사 참여의 한계로 인해 아쉬운 마음이 든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어머니들은 중도중복장애를 가진 자녀가 일반학생들과 어울릴 수 있고, 운영의 자율성과 동일교사 유지로 인해 가능했던 기능습득으로 인한 만족감으로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들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특수교육 보조 인력지원의 확대, 교사들의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전문성 향상, 학교와 자녀 교육에 대한 의사소통 강화를 언급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어머니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영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by multiple modeling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on 170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23 special schools.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 HLM 7.01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First,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level and also school level. Second, the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the grade,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irdly, the teacher leve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principals' leadership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enviorn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commitment. Conclusion: We discuss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bout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3개 특수학교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을 담임 및 부담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및 HLM 7.01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 모두에 의해 차이가 난다. 둘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교급과 교장 지도성에서 차이가 난다. 셋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수준의 변인 중 교수효능감과 교직헌신에서 차이가 난다. 넷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장 지도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학습환경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사수준 및 학생수준 변인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과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 초등 특수학급 수업을 중심으로 -

        이경아,이숙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al educational application of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with reconsideration about special class situ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ed alternative paradigm for severe disabilities students' instruction-learning. The constructive epistemology in class situ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 were as follows: the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knows that the world is constructed differently by learner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s in the world, and helps the learners with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orld. A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considers texts as instruments for realizing educational intrinsic value and tries to relates learners with helper and colleague of learning. In the episode related with learning of a learner with severe disabilities, teacher made one participate in the class for a moment. But teacher with constructive epistemology can grasp a conversation and the cognitive response of learners, so he/she cannot give a meaning to educational con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and extend learning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 it is required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s can extend to unverbal communication with recognizing possibilities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learning. Masschelein's communicational inter-subjectivity introduced as alternative paradigm will be a base which can secure the learner's autonomy and seize the phenomena of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being-together-ness" by scrutiniz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n the field amidst.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수업 현상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구성주의 인식 기반에 편향된 교육행위를 반성하고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수-학습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한 범례에서 구성주의 인식에 편향한 교사의 교육활동은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수업에서 대화와 인지적 방식의 반응만을 포착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교육 현상에 주관적 전반성적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웠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에 대한 인식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학습 가능성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과 함께 의사소통의 개념을 비언어적 의사소통까지 확장하는 일이 요구된다.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소개한 마스켈라인의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은 ‘사이’의 공간에서 교사-학습자간의 의사소통에 천착함으로써“함께 있음”의 개념을 통하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자 주체성을 담보하고 교육현상을 포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최옥순,김영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school education and life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of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graduate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conducting this study. Fifteen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graduate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a 2-item questionnaire (for school education that they received) and a 5-item questionnaire (for life after school gradu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researcher (the primary author)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individually with each participant.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y the researcher, using Colaizzi's method. Based on the students' interviews, essential themes of experience emerged: needs of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no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nd low wages, need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difficulties for using the facilities and center for the disabled, no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fte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eaningless leisure time, difficulty of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no ways for the motorized wheelchair, limited support system only for welfare recipients, needs of the steady supports for medical services and rehabilitation, fear of the future, etc.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을 받은 장애인들의 고용, 자립생활, 지역사회참여 등 성인생활에서의 성과는 높지 못하며, 특히 중도·중복장애졸업생의 경우 과반수가 가정으로 돌아가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졸업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생활에 대한 면접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지체장애학교의 교육방향과 중도·중복장애인의 성인생활로의 지원체계를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2001-2005년에 G 광역시 소재 지체장애학교를 졸업한 중도·중복장애학생 15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반구조화 면접 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별로 학교교육 경험과 졸업 후 생활에 대하여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체장애학교 학교교육 경험에 대해 개인의 장애 정도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장애특성과 요구에 따른 개별화 교육과 전환교육을 통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중도·중복장애인의 경우 학교 졸업 후 고용의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신체장애가 심하다는 이유로 본인이 희망하는 시설이나 기관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어 심한 좌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난 후에도 취업이 되지 않아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거나 직업교육기관에 재입학하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었으며 별다른 여가생활을 하지 못한 채 무료하게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무엇보다 이동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장애성인 지원 정책이 단지 가정의 경제 수준만을 고려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에게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졸업 후 생활에 대한 어려움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학교 졸업 후에도 장애정도와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기를 간절히 원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 장애 교육 연구의 동향 및 과제

        김수영,진영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4

        While educational acces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has lately been emphasized, this study desires to consider a study trend on education for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surveying a study trend by analyzing total 43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exploring the future study task, first, while positive recognition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was expand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uited to individual disabled characteristics and demands should be offered. Second, about communication that is the biggest difficulty in educational situation, every physical response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has an intention of communication, and studies focused on ‘empathic communication’ based on a form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educational activity. Third, a study task for education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needs an actual access to the operation of a school-level of curriculum, so suggested studies on a curriculum management sui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on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on detailed methods evaluating an educational activity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본 연구는 최근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이 점차 늘어나고, 교육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로 학생들의 개별적인 장애특성과 교육적인 요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국가수준교육과정에서 그동안 논의조차 되지 않았던 중도·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과교육의 내실을 기할 것이 강조되면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석․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43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조망하고, 향후의 연구 과제를 탐색한 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대되면서 개별적인 장애특성과 요구에 적절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제공되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교육상황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의사소통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모든 신체적인 반응을 소통의 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고, 교사와 학생의 교육활동 과정에서의 상호적인 관계 형성이 바탕이 되는공감적 의사소통에 대해 논의되고 있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 관한 연구과제는 학교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요구에 적절한 교과 운영에 관한 연구, 다양한 교수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활동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방법에 의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김선희,정지윤,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에서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지체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모든 면담을 전사한 후, 면담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 개의 대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족, 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 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1) 가족과의 협력 및 지원, 2) 학교 차원의 지원 및 구성원 간의 협력, 3) 교육청 차원의 통합교육지원, 4) 특수학급 교사의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전문성 강화와 같은 다차원적 지원방안이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제언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중도의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일반 학교내에서 특수교사와 보건교사, 학교 구성원들을 지원할 학교 기반 건강관리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인지적 어려움을 가진 지체장애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지원센터가 관련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주체로서 역할 의식을 가지고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지원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중·고등학교가 자유학년제와 고교학점제와 같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따라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보다 세심한 준비와 협력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o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t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13 subtopics categorized under 3 main themes. Results: A multidimens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alize the inclusive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mphasizing collabo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school district offices, and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1) cooperation and support of families, 2) school-level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3)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rom school district offices, and 4) strengthening awareness and expertise of special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clusive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rst,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school-based health support system. Second, students with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require various levels of individualized support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school district offices should acknowledge their role as service providers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timely information and assistance to special education educators.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new educational curricula in secondary schools calls for an increased emphasis on collaborative support system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박재국,김진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review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that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level of importance was recognized high, but level of implementation was found normal, and through analysis of Borich requirement item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lan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by each stage were extracted. Second,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y teacher factor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erceptions differ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epending on acquired qualification, the experience of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o instruct, and the ratio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e application measure of I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9개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실행․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 수행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각 단계별로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교사변인별 인식차이에서는 소지자격,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 경력, 지도하는 총 학생 수 및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