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견관절 불안정성의 견갑하근 및 관절 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 관절 낭 이동술

        박진영,임수택,유문집,유석주,Park Jin-Young,Lim Soo-Taek,Yoo Moon-Jib,Lyu Suk-J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목적 :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수술로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해견갑하근 및 관절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관절낭이동술을시행하고이에대한결과를분석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1994년부터 1999년까지수술을시행한환자중1년이상추시(평균: 2년, 범위: 1$\~$3년)가가능한 15례를대상으로하였다. 남자가13례여자가2례이었으며평균연령은27 이었다. 질환은다방향성불안정성4례, 수의성불안정성3례, 골성Bankart 병변이있는전방불안정성2례, 접촉성운동선수의전방불안정성6례였다. 13례는관혈적봉합술과하방관절낭이동술을 동시에 시행하였고, Bankart 병변이없던2례는하방관절낭이동술만 시행하였다. 관절낭중첩 정도는평균 19 mm (범위: 10$\~$5 mm)였다. 결과 : 14례에서우수혹은양호의결과를보였으며술후1례에서아탈구되었고, 1례에서전방염려검사에양성소견을보였다. 술후전방거상과팔을체간에붙인외회전, 90$^{\circ}$ 외전에서의외회전의운동범위는술전과통계학적인차이가없었다. 결론 : 견갑하근및관절낭수평분할을이용한하방관절낭이동술은관절운동범위의감소없이과잉관절낭과Bankart 병변을치료할수있어관절경적치료로재발의가능성높은환자에서권장될치료법으로사료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ere to report the short-term results of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using splitting subscapularis and capsule for the patients who had shoulder instability and were apt to recur after arthroscopic stabilization procedure. Materials & Methods : Fifteen cases of instability of the shoulder were included with an average follow-up of 2 years (range: 1$\~$3 years). There were 13 men and 2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27years.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was found in 4 cases, voluntary instability in 3 cases, bony Bankarte lesion in 2 cases and 6 cases were contact sportmen. Thirteen shoulders underwent the inferior capsular shifts and Bankart repairs and 2 shoulders without Bankart lesion underwent the inferior capsular shift only. Average 19 mm of shift (range: 10$\~$25 mm) was done. Results : Fourteen patients showed good and excellent results with one subluxation and one positive apprehension test. Postoperative ranges of motions did not change in forward elevation, external rotation at side and external rotation at 90$^{\circ}$ abduction (p>0.05). Conclusion :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using splitting subscapularis and capsule can be helpful in shoulder instability patients who were high-risk group of recurrence with arthroscopic procedure.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

        박진영,박희곤,Park Jin-Young,Park Hee-G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근위 상완골 골절은 골절의 형태에 따라 크게 관절편 또는 해부학적 경부, 대 결절, 소 결절, 상완골 간부 또는 외과적 경부의 4개의 골절편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Neer의 근위 상완골 골절의 분류는 골절선에 의해 골절편을 나누는 분류가 아니며, 1 cm이상전이나 45$^{\circ}$ 이상의 각형성 이 있는 경 우를 전 이 골절편으로 생각하였다.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 복 및 내고정술의 일차적 적응증은 골다공증이 없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된 튼튼한 내고정물을 시행할 수 있는 삼분 골절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위해 술후 오랜 기간동안 시행할 재활치료에 잘견딜수 있는 활동력 이 좋은 환자여야 한다. 수술적 치료의 절대적 적응증은 개방성 골절 ,혈관이 나 신경 손상이 동반될 때 , 정복이 불가능한 골절 탈구등이다. 반대로 환자가 골다공증이 심하거나, 근위 상완 골절편의 분쇄정도가 심하며 , 튼튼한 내고정을 시행할 가능성 이 희박한 나이가 많은 경 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보다 일차적 인공삽입물을 이 용한 관절성형 술을 시행한 후 조기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에는 다양한 수술 기법과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 이고 체계적 인 재활 치 료가 꼭 필요하다. 여러 수술 기 법 중 관혈적 정복 및 장력 대 강선 기법을 시행할 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이 방법 은 수술적 기법이 어렵지 않고, 골에 대한 고정과 함께 회전근 개의 건부착 부위에 대한 봉합을 추가할 수 있으나 역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있으므로 골절의 양상이 나 환자의 상태 ,환자의 활동력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된다.EX>46N으로,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이평균 1067.4$\pm$145N에서평균 601.8$\pm$134N으로, 슬개건-생체흡수성간섭나사군이평균 987.1$\pm$168N에서588.7$\pm$124N으로각각40$\%$, 39$\%$, 50$\%$, 24$\%$, 44$\%$, 40$\%$가감소하였다. 결론: 수술후초기고정력은슬괵건을LA나사(R) 또는Semifix(R)로고정하는방법과슬개건을티타늄및생체흡수성간섭나사로고정하는방법등이우수하였으며, 슬괵건을생체흡수성간섭나사나Endobutton(R)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은고정력이 상대적으로매우약함을 알수있었다. 최대인장력은단순인장검사로는이상의대퇴골측고정방법의고정력이초기부하를견뎌내는데충분하다고생각되었으나주기성부하실험후현저히감소되어충분한초기안정성을제공하지못함을알수있었다.를 나타내었다. 또한 3m깊이에서의 측방 선량분포에서 Spoiler의 거리변화(6, 10cm)는 심부선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실험측정치를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선량분포를 확인한 결과 Spoiler를 사용하는 경우 OPEN에 비해 선량분포 영역을 표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Bolus 보다 피부 보호효과는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4.결론 이와 같이 Spoiler는 Bolus와 비교하여 6MV 광자선의 build up 영역을 표면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Spoiler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으로는 조사면이 Fracture about proximal humerus may be classified as the articular segment or the anatomical neck, the greater tuberosity, the lesser tuberosity, and the shaft or surgical neck. Now, usually used, Neer'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segments displaced, over 1cm of displaced or more than 45 degrees of angulation , rather than the number of fracture line . Absolute indication of a operative treatment a open fracture, the fracture with vascular injury or nerve injury , and unreductable fracture-dislocation . Inversely, the case that are severe osteoporosis, and eldly patient who can't be operated by strong internal fixation is better than arthroplasty used by primary prosthetic replacement and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th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operator make a decision for the patient who should be taken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ecause it's different that anatomical morphology, bone density, condition of patient. The operator decide operation procedure. For example, percutaneous pinning, open reduction, plate & screws, wire tension bands combined with some intramedullary device are operation procedure that operator can decide . The poor health condition for other health problem, fracture with unstable vital sign and severe osteoporosis , are the relative contraindication. The stable fracture without dislocation is not the operative indication . The radiologic film of the prokimal humerus before the operation can not predict for fracture evaluation. It's necessary to good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of fracture form. The trauma serise is better than the other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The accessary radiologic exam is able to help for evaluation of bone fragment and anatomy. The CT can be helpful in evaluating these injury, especially if the extract fracture type cannot be determined from plain roenterogram of the proximal humerus, bone of humerus head. If the dislocation is severe anatomically , we could consider to do three dimentional remodelling. The MRI doing for observing of bony morphology before the operation is not better than CT If we were suspicious of vascular injury, we could consider the angiography.

      • 검도 운동에서 발생된 스포츠 손상의 분석

        송현석,박성진,한석구,나기호,정형국,최우혁,최남용,Song, Hyun-Seok,Park, Sung-Jin,Han, Suk-Ku,Nah, Ki-Ho,Cheung, Hyung-Kook,Choi, Woo-Hyuk,Choi, Nam-Y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목적: 일반인의 검도 운동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손상 기전, 치료 및 임상 결과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검도 손상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한 검도회에 등록되어 있는 검도 도장의 관원 중 6개월 이상 수련한 고등학생 이상 관원에서 검도를 시작한 후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꼈던 총 98명 (평균 연령 : 30.2세)을 대상으로 부위별, 증상별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치료 장소와 방법에 대한 설문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증상의 출현은 운동 후 2주에서 6개월 이내가 많았으며 32.2%에서 공격을 시도하다가 손상받았다. 운동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족부 손상으로 인한 족부 통증이 가장 많았고, 이 중 족저근막염이 가장 많았다. 병원 치료는 대부분 조기에 이루어 졌으나, 59명(60.2%)에 불과하였다. 그 중 정형외과를 방문한 경우는 36%, 한의원을 포함한 기타 진료과에서 치료를 받은 경우가 38%였다. 이환부는 족부와 족관절이 가장 많았으며(38.8%), 완관절(13.1%), 견관절(11.9%), 슬관절(11.9%) 순이었다. 치료후 이전 수준으로의 운동 복귀는 50%에서 가능하였다. 결론: 검도 운동에서 발생하는 손상은 족부와 족관절이 가장 많았으며, 완관절, 견관절, 슬관절 순이었다.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경우는 조사 대상자의 60.2%에 불과하였고, 이 중 정형외과를 내원한 경우는 36%였다. Purpose: To study the mechanism of injuries or discomfort during kendo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njury, injured parts of body, treatments modalities, and degree of return to the pre-injury activity level.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ninety-eight kendo players who had played at three gymnasium of Korean Kumdo Association, were older than high-school age, had been playing kendo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had any pain or discomfort after playing kendo.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ed the patients concerning the injured parts of body, symptoms, treatments. Results; The mean age was 30.2 years ol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between two weeks and six months after starting the kendo. Many of them were injured during attacking(32.2%). The injuries of feet were increased on players who exercised for less than 1 year. Only fifty-nine players(60.2%) were treated within one month. Among them, thirty-eight percent were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or other departments and only thirty-six percent were treated by orthopaedic surgeons. The prevalence of injuries of the foot and ankle was highest(38.8%), and there were the wrist(13.1%), shoulder(11.9%), knee(11.9%) in order of prevalence. Fifty percents of them could return to the pre-injury activity level.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injuries of the foot and ankle was highest(38.8%), and were increased on players who exercised for less than 1 year. Sixty percents of players were treated with any proper modalities, and only thirty-six percent were treated by orthopaedic surgeons.

      • 슬관절의 연골결손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술

        최남홍,Choi, Nam-H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1

        슬관절의 연골 결손에 대한 치료로 여러가지 방법이 시행되어 왔는데, 기존의 방법들은 치 유된 결손 부위가 섬유연골로 덮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시행되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자가 연골세포 이식술은 결손 부위가 대부분 초자연골로 덮힌다고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의 기초적 연구, 적응증, 수술 기법, 수술 후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Several methods to resurface the lost cartilage of the knee have been used, multiple drilling, microfracture, abrasion arthroplasty Resurfaced cartilages resulting from above techniques are mostly fibrocartilage.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 transfer and autologous chondrocyte transfer are known to resurface the lost cartilage with mostly hyaline cartilage. This article reviews basic researches, indications, operative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of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 transfer.

      • 장력대 강선 고정법을 이용한 주두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전완부의 회전운동 제한 - 증례보고 -

        노권재,이철우,윤여헌,신상진,Roh, Kwon-Jae,Lee, Churl-Woo,Yun, Yeo-Hon,Shin, Sang-Ji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주두 골절에 대한 치료적 수술 방법으로 장력대 강선 고정법은 골절의 고정과 유합에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합병증으로 불유합, 운동 장애 및 강선의 피하 돌출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 빈도는 많지 않다. 그 중 주관절의 회전 운동 장애에 대한 보고된 예가 없어 저자들은 전완 회내전과 회외전 장애를 각각 1례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ension band wiring of olecranon fractures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fixation and union Complications as non-union, limitation of motion and subcutaneous k-wire protrusion are occasionally reported. But, there are no references about limitation of forearm rotation after tension band fixation. We report two cases of limitation of forearm rotation after tension band fixation of olecranon fracture.

      • 거골 체 골연골 병변에 대한 최신 지견

        박용욱,Park, Y.W.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골연골 병변에 관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연구 방법, 각기 다른 치료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가 상당한 가변성을 보였다. 현 시점에서 골연골편 제거술 및 병변의 변연 절제와 천공술 그리고 자가 골연골 이식술 등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가장 적절한 치료 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유추하기 위해서는 무작위 임상 실험과 동일한 연구 방법에 의한 결과 측정의 비교가 우선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장년층에서의 회전근 개 파열과 Bankart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이광원,양동현,안재훈,김하용,최원식,하권익,Lee Kwang Won,Yang Dong Hyun,Ahn Jae Hoon,Kim Ha Yong,Choy Won Sik,Ha Kwon-Ic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경우, Bankart복원술이나 소절개 술식(miniopen technique)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후 후향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9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내원하여 수술 받은 40세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25례의 환자 중 최종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범위, 41$\~$67)세, 추시기간은 평균 50.5(범위, 10$\~$4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환자 8례들의 최종 추시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은 평균 122$^{\circ}$에서 154$^{\circ}$, 외전은 평균 115$^{\circ}$ 에서 161$^{\circ}$ 로 향상되어 술전에 비해 견관절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의 동통지수는 술전 11.0에서 술후 5.5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호소하는 동통의 정도는 VAS 평가상 술전 평균 5.4에서 술후 평균 2.5로, UCLA 평가지수는 술전 20.2에서 술후 29.6로, Constant 평가지수는 술전 48.6에서 술후 69.0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CLA 평가지수상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8례 환자들의 최종 추시 결과 우수 2명, 양호 4명 , 보통 2명이었으며, Bankart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14례의 환자군의 최종 추시 시 우수 2명 , 양호 6명, 보통 5명, 불량 1명으로 양 그룹간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40세 이상에서의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은 적고, 회전근 개와 액와신경 손상,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회전근 개 파멸과 함께 전방관절낭와순 복합체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엔 재발성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소절개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Bankart봉합술과 같은 전방 구조물 대한 복원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Objectives: To assess the functional outcome of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using mini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of over 4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1 to January 2002, twenty two patients were availa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Mean age was 52 years old(41-67), Follow-up evaluations averaged 50.5months(10-147). Results: The patients(22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in patients over 40 years old. Group 2: without Bankart lesion(14 cases). In Group 1, mean average of forward flexion and abduction improved from 122 degrees to 154 degrees at the final follow-up and from 115 degrees to 161 degrees respectively. In terms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pain score and VAS, scores improved from 11.0 to 5.5 and from 5.4 to 2.5 respectively. In terms of UCLA score & Constant score, scores also improved from 20.2 to 29.6 and from 48.6 to 69.0 respectively. Functional outcome of Group 1: two patients with excellent, four patients with good, and two patients with fair. Functional outcome of Group 2: two patients with excellent, six patients with good, five patients with fair, and one patient with poor. But they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All cases were improved shoulder pain at the final follow up. And six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shoulder function.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using mini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tears of rotator cuff and Bankart lesion older than 40 years. We recommend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at the same time.

      • 무지의 대능형중수간 관절의 아탈구에 대한 인대 재건술

        박진수,정영기,유정한,나경수,Park Jin Soo,Chung Yung Khee,Yoo Jung Han,Na Kyong S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2

        목적: 불안정성 무지수근중수관절의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전방사상 인대의 재건술을 권장하고 있다. 전방사상 인대손상을 요측수근굴근건을 이용해 치료받은 2명의 환자들의 기능적 결과를 후향적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사상인대 파열로 대능형중수관절의 불안정성을 지닌 2명의 환자가 요측수근굴건이식을 통해 재건술을 시행받았고 이환자들을 2년간 추시 분석하였다. 결과: 2년후의 추시 결과는 이들 모두 상당한 통증과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건측에 비해 악력은 90$\%$로 회복되었다. 환자들은 주관적인 호전을 보였으며 "만약 이처럼 다친다면 다시 이러한 수술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결론: 이러한 손상에 대한 향상된 지식 을 통해 조기 진단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 환자가 적절히 처치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reconstructive surgery of the anterior oblique ligament has been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unstable carpometacarpal joint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functional results of two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6 using a harvested portion of the tendon of flexor carpi radialis as a substitute for the anterior oblique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In two patients with a instability of the trapeziometacarpal joint because of a rupture of the anterior oblique ligament, reconstruction was carried out using a slip of the tendon of flexor carpi radialis and the patients had been followed up for two years. Results: The results after a follow-up of two years that both of them had significant relief from pain and symptoms. The mean grip strength recovered to 90$\%$ of the controlateral side. patients felt that they had subjective improvement and would have undergone the operation again. Conclusion: Increased awareness of this lesion can lead to an early and clear diagnosis, so that the patient may be advised adequately.

      • 슬관절과 견관절의 초기재활과정에서 관절운동범위와 스트레칭, 그리고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

        김용권,진영수,Kim Yong-Kweon,Jin Young-S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1

        본연구는슬관절과견관절의초기재활과정에서관절운동범위와스트레칭, 그리고유산소성운동프로그램에대한논문이다. 만약관절이손상후장기간동안고정된다면관절이굳어지고 근육은위축이 될것이다. 그러므로본 프로그램은다양한운동기술을포함하고있다. 즉관절의경직을예방하기위한운동범위확보와근육의이완을위한스트레칭, 심폐기능의감소를예방하기위한심혈관훈련(수영, 상체자전거, 고정식자전거)을포함하고있다. 초기재활과정에서는임상운동전문가와환자사이의상호관계를형성하는것이매우중요하다. 또한임상운동전문가는환자의통증과운동적응도, 체력수준, 프로그램의진행등에관해스포츠의학전문의와상의하는것이권장된다. This is a review article about range of motion,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in accelerated rehabilitation of knee and shoulder. If the joint was immobilized for a long time after injury, it would cause stiffness and atrophy. Therefore, this program includes various exercise techniques; range of motion for joint stiffness, and stretching for muscle relaxation, and cardiovascular training (e.g., swimming, upper body extremity, stationary bicycle) for preventi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decrease. In accelerated rehabilitation, It is very important factor to make interaction between clinical exercise specialist and patients. Also, we recommend that they should discuss with sports medicine doctor as a team members the following; pain, adaptation of exercise, fitness level, and progression of program.

      • 이두박건 활차의 충돌 징후 - 증례보고 -

        최창혁,김신근,강병규,장우창,Choi Chang-Hyuk,Kim Shin-Kun,Kang Byung-Kyu,Jang Woo-Cha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1

        견관절증에 대한 관절경검사중분리된이두박건활차(detached biceps pulley)를발견하였으며 그임상적의의를고찰하고자한다. 견관절의병변에 대한관절경 치료 시3예의분리된 이두박건활차의 양상을확인하였으며, 그유발원인은 각각 반복적인투구, 전방견관절불안정성및외상등으로생각되었다. 분리된이두박건활차가상완운동에따른관절내활주를통해후상방관절순에충돌을유발하는것을관찰하였다. 불안정성예에대해서는전방관절순수복술후충돌징후가감소하였으며, 나머지2예에서는충돌징후를유발하는이두박건활차를절제후증상의호전을볼수있었다. We evaluated biceps pulley as a stabilizing sling for the long head of biceps tendon in the rotator interval. We present 3 cases of detached biceps pulley which impinges on posterosuperior glenoid labrum in the position of late cocking. Pulley impingement related to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as relieved after Bankart repair. In another two cases, impingement symptoms were disappeared after resection of the detached biceps pull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