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 단독과 근위 경골 절골술 동반 수술의 결과 비교
문재영,선종근,송은규,김형순,임지현,조현종,Moon, Jae-Young,Seon, Jong-Keun,Song, Eun-Kyoo,Kim, Hyung-Soon,Yim, Ji-Hyeon,Cho, Hyun-J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1 No.1
목적: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 중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circ}$ 이상 내반 변형과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을 지닌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30명에 대해서는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2명에 대해서는 반월 연골판 절제술만 시행하였었다. 평균 추시 시간은 52.5개월 (36.0~76.6)이었다. 최종 추시 상 두 군간에 수술 전 증상의 소실 유무, 수술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및 HSS 점수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증상의 호전은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의의있게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66.7%, 8예)보다 호전을 보였다. 환자 만족도 역시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반월상부분 절제술만 시행한 군(58.3%, 7예)보다 의의있게 높게 나타났다. HSS 점수는 근위 경골 절골술을 같이 시행한 군은 술 전 56.9점에서 술 후 90.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 전 67.9점에서 술 후 89.0점으로 향상되었으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WOMAC 점수 역시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에 있어서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내반 변형을 지닌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의 치료에 있어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해서는 근위 경골절골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eniscectomy with HTO or without HTO for degenerative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with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patients who had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more than 3 degree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mong them, 30 patients were performed meniscectomy combined with open wedge HTO and 12 patients were performed only meniscectomy without HTO.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5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symptom improvement,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for surgery and HSS score. We also compared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he group on preoperative and at the final follow up radiographs. Results: Symptom improvement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66.7% (8 cases) without HTO group at final follow 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atients' satisfaction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58.3% (7 cases) without HTO group which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SS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 (90.8: with HTO group, 89.0: without HTO group)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WOMAC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good clinical result for treatment of patient who have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proximal high tibial osteotomy is considered absolutely necessary. However,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its effect on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eded.
슬개골 내측 추벽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이동원,하정구,김진구,Lee, Dhong Won,Ha, Jeong Ku,Kim, Jin G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슬관절의 추벽은 정상적인 구조물로 인식되고 있으나 외상, 반복적인 손상 등과 같은 유발 인자에 의해 비후되면서 탄력성을 소실하고 병적인 추벽으로 변하면서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슬개골 내측 추벽 증후군은 슬내장의 주요한 원인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어 왔으나 추벽의 양동이형 손잡이형 파열에 대한 보고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슬개골 내측 추벽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서 관절경적으로 절제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이용걸,Rhee Yong Gir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2
소절개 봉합술은 관혈적 봉합술에 비해 동반된 관절와 상완 관절(glenohumeral joint) 내의 병변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처치를 시행할 수 있으며, 견봉하 감압술과 함께 동반된 견봉 쇄골 관절의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삼각근 기시부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빠른 재활과 조기 퇴원을 시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관절경적 봉합술에 비해서는 수술 술기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항상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을 시행할 때 관절경적 봉합술이 모든 경우에서 관혈적 또는 소절개 봉합술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환자가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기술적 문제가 있는 경우, 봉합 후 회전근 개에 지나친 긴장이 염려될 때는 항상 소절개 봉합술로의 전환을 시도하여야 한다.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관절경적 봉합술시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치료의 결과는 수술의 방법보다는 정확한 술기 및 수술 전 환자의 상태에 좌우된다고 하겠다.
슬개골 재발성 탈구에 대한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 중첩술을 이용한 치료
황병윤,최종혁,양익환,박윤길,Hwang, Byoung-Yoon,Choi, Chong-Hyuk,Yang, Ick-Hwan,Park, Yoon-Ghi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관절경적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외상 후 발생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3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4.2세, 평균 추시 기간은 47.4개월이었다. 결과: 술 전 일치각은 평균 24.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평균 -6.2도, Lysholm score는 평균 75점이었다. 술 후 일치각은 평균 -2.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10.2도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도 95점으로 향상 되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3례에서 대퇴골 이형성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합병증이 드물고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퇴골 활차의 선천성 변형이 있다면 다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박용욱,Park, Y.W.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골연골 병변에 관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연구 방법, 각기 다른 치료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가 상당한 가변성을 보였다. 현 시점에서 골연골편 제거술 및 병변의 변연 절제와 천공술 그리고 자가 골연골 이식술 등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가장 적절한 치료 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유추하기 위해서는 무작위 임상 실험과 동일한 연구 방법에 의한 결과 측정의 비교가 우선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uture anchor를 이용한 외측 반월판 연골 전방 뿌리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 -증례 및 술기 보고-
김도영,유연식,이상수,정운섭,서은민,박승재,Kim, Do-Young,Yoo, Yon-Sik,Lee, Sang-Soo,Jeong, Un-Seob,Seo, Eun-Min,Park, Seung-Jae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1
반월상 연골판의 뿌리파열의 심각성이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봉합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 봉합 방법과 결과가 최근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보고는 아직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저자들은 과거에 시행했던 원판형 연골의 부분 절제 후 발생한 의인성 뿌리 파열과 이로 인한 아탈구를 경험하였고 이를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정복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스포츠와 관련된 족부 및 족관절 손상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
곽희철,서승석,김창완,Gwak Heui-Chul,Seo Seung-Suk,Kim Chang-W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2
The foot and ankle are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for acute musculoskeletal injuries related to sports activity. Foot and ankle injury includes ligament injury, tendon injury, bone and osteochondral injury, nerve injuy, heel pain syndrome, phalangeal injury. This is a article about nonoperative management of foot and ankle injury. Therefore, this article includes various exercise technique, range of motion, stretching for muscle relaxation, proprioception training for rehabilitation. We recommend that orthopedic surgeon should discuss with patient and specialist for treatment plan after foot and ankle injury
최남홍,Choi, Nam-H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1
슬관절의 연골 결손에 대한 치료로 여러가지 방법이 시행되어 왔는데, 기존의 방법들은 치 유된 결손 부위가 섬유연골로 덮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시행되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자가 연골세포 이식술은 결손 부위가 대부분 초자연골로 덮힌다고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의 기초적 연구, 적응증, 수술 기법, 수술 후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최창혁,이호형,Choi, Chang-Hyuk,Lee, Ho-Hyu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견봉쇄골관절의 손상은 대개 견관절에 직접 가해지거나 상완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지만, 투구활동을 하는 운동선수의 경우 과 사용으로 인한 반복적인 자극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견봉쇄골관절의 안정성에 관계된 인대의 손상 정도에 따라 견봉쇄골관절 손상의 방향과 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견봉쇄골관절의 해부와 손상기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분류를 통해, 투구 활동과 관계된 견봉쇄골관절 손상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다.
대학 태권도 선수들에서의 스포츠 손상: 47명에 대한 후향적 연구
정홍근,박희곤,김종필,김유진,김기철,김영인,이상민,Jung, Hong-Geun,Park, Hee-Gon,Kim, Jong-Phil,Kim, You-Jin,Kim, Ki-Choul,Kim, Young-In,Lee, Sang-Mi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5 No.1
Purpose: To perform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sports injuries sustained by the college Taekwondo athletes in the respect of the injury patterns, mechanism of injury and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47 out of 49 college Takwondo athletes, who had experienced the Takwondo related musculoskeletal injuries severe enough to visit the clinic for medical treatment. The mean age at the time of injury was 18.8 years and 39 were males and 8 females. The Taekwondo career was average 9.6 years and the injuries were sustained at average 6.7 years of their career. The injuries were analyzed by the detailed interview with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Forty-seven Taekwondo athletes in the study experienced average 1.8 injury/person (total 85 cases) with 26 persons of one time experience(55.3%), 11 persons of 2 times(23.4%),4 persons of 3 times (8.5%),5 persons of 4 times (10.6%) and 1 person of 5 times (2.2%). Injuries occurred during training in 50 cases (58.8%), while during match in 35 cases (41.2%). Injuries occurred during the attack phase of the match are 26 cases (31.7%) while 49 cases (57.6%) during the defense phase. As for the pattern of injury,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with 49 cases (57.6%), followed by ligament injury with 21 cases (24.7%). The upper extremity injuries were 32 cases (37.7%) while the lower extremity injuries were 44 cases (51.8%) Mode of medical treatment were operation in 15cases(17.7%), cast in 21 cases(24.7%), splint in 33 cases (38.8%), physical therapy in 15cases(17.7%) and acupuncture in 1 case(1.1%) Conclusion: Almost all the college Taekwondo athletes (96%) experienced sports injuries severe enough to receive medical treatments with the fracture being the most common injury pattern. The injuries occurred more commonly during the defense phase of the competition.